#!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한국의 성씨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05em; word-break:keep-all"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5px 20px" | |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 ㅋ | 쾌 | |
| ㅌ | 탁 · 탄 · 탕 · 태 |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 좌명개국공신 (1등) |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 이직 | | 함부림 |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 한상경 | 한충 | }}}}}}}}} | ||||||
| 조선 익대개국공신 가문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ce6d6> | 延安 金氏 연안 김씨 | }}} | |
| 관향 | 황해도 연안군 (현 황해도 연백군)[1] | |||
| 시조 | 김섬한(金暹漢) | |||
| 파조 | 호부원외랑공계(戶部員外郎公系)
| |||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
| ||||
| 집성촌 | 경기도 군포시 산본동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산유리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수촌리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장산리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원산리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안창리[2]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대관령면 용산1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마평리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 | |||
| 평안북도 정주시 갈산면 서남리 | ||||
| 인구 | 68,939명 16,689가구(1985년, 통계청) 79,788명 25,215가구(2000년, 통계청) 93,382명(2015년, 통계청)[3] | |||
| 링크 | 연안김씨대종회 | 연안김씨뉴스[4] | |||
1. 개요
| 2022년 경원대제가 봉행된 [ruby(경, ruby=敬)][ruby(원, ruby=源)][ruby(재, ruby=齋)] 전경[5] |
2. 관향 연안
삼국시대 초기 백제의 지배 아래에 있다가 고구려의 강역으로 넘어간다. 시기는 불명이나 고구려의 한성 점령 이전일 것이다. 이후로는 고구려의 동삼흘(冬彡忽) 혹은 동음홀(冬音忽)이었고, 동청(冬靑)·시염성(豉鹽城) 등으로도 불렸다.|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be67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수도 | |||||
| 금성(서라벌) | ||||||
| 소경 | ||||||
| | 중원경 (국원소경) | | 북원경 (북원소경) | |||
| 금관경(금관소경) | 서원경(서원소경) | 남원경(남원소경) | ||||
| 주 | ||||||
| 양주(삽량주) | 강주(청주) | 상주(사벌주) | ||||
| 웅주(웅천주) | 전주(완산주) | 무주(무진주) | ||||
| 한주(한산주) | 삭주(수약주) | 명주(하서주) | ||||
| 진 | ||||||
| 패강진(패서) | ||||||
남북국시대에는 통일신라의 한주에 속했으며 경덕왕에 의해 해고군(海皐郡)으로 개칭되었다.
|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5%"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edc89,#670000>고려 행정구역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도 체제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경 | 개경 개성부 | 서경 평양부 | 동경 계림부 | |||||||||||||||||
| 경기 | 경기 | 서경기 | 동경기 | ||||||||||||||||||
| 10도 | 관내도 | 중원도 | 하남도 | 강남도 | 해양도 | ||||||||||||||||
| 산남도 | 영남도 | 영동도 | 삭방도 | 패서도 | |||||||||||||||||
| 12목 | 양주⋅광주⋅충주⋅청주⋅공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해주⋅황주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도 양계 체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경 | 개경 개성부 | 서경 평양부 | 동경 계림부 | 남경 한양부 | 강도 강화군 | |||||||||||||||
| 경기 | 경기 | 서경기 | 동경기 | 남경기 | |||||||||||||||||
| 경기좌도 | 경기우도 | ||||||||||||||||||||
| 5도 | 양광도 | 전라도 | 경상도 | 교주도 | 서해도 | ||||||||||||||||
| 양계 | 북계(서북면) | 동계(동북면) | |||||||||||||||||||
| 8목 | 광주⋅충주⋅진주⋅상주⋅전주⋅나주⋅승주⋅황주 | ||||||||||||||||||||
| 도호부 | 안변도호부 | 안서도호부 | 안북도호부 | 안남도호부 | |||||||||||||||||
다시 왕조가 바뀐 고려 초에는 염주(鹽州)라 하였다. 성종 14년(995)에 방어사를 두었다가 현종초에 도로 방어사를 폐지하고 해주에 내속시켰다가 뒤에 감무를 두었다. 고종 4년(1217) 이 지역이 거란의 침입을 막은 공이 있다 하여 영응현(永鷹縣)으로 승격되었고 고종 46년(1259)에 고을 사람 차송우(車松祐·松佑)의 위사의 공[9]이 있다는 이유로 복주(復州)가 되었다. 이후 원종 10년(1269)에 이분희(李汾禧)가 위사공신에 책록되자 석주(碩州)로 이름을 또 고쳤다. 충렬왕 34년(1308) 목(牧)으로 승격하며 이름을 온주(溫州)로 바꿨고, 충선왕 2년(1310)에 모든 목을 폐하여 연안부(延安府)가 되었다.[10]
온주목으로 승격하기 전까지 해주목에 속했으며, 10도 체제 아래에서는 관내도에, 5도 양계 체계 하에서는 서해도에 속했다. 고려 중기 이후로 수도 개경 근방에 한정되었던 경기가 확장되어 고려 말에는 좌/우도로 나눠지게 되는데, 이 때 연안은 경기우도에 속했다. 별호는 양원(陽原)이고, 성종이 정한 또다른 별호는 오원(五原)이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경국대전(148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府) | |||||||||||||||||
| 한성부 | 개성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도(道) | |||||||||||||||
| <colbgcolor=#c00d45,#94153e> 도 | 경기 | 충청도 | 경상도 | 전라도 | 황해도 | 강원도 | 영안도[1] | 평안도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도 산하 | ||||||||
| <colbgcolor=#c00d45,#94153e> 부 | 경주 | 전주 | 영흥[2] | 평양 | ||||||||||||||
| 대도호부 | 안동 | 강릉 | 안변 | 영변 | ||||||||||||||
| 목 | 광주(廣州) 여주 파주 양주 | 충주 청주 공주 홍주 | 상주 진주 성주 | 나주 제주 광주(光州) | 황주 해주 | 원주 | 안주 정주 의주 | |||||||||||
| 도호부 | 수원水原 강화江華 부평富平 남양南陽 이천利川 인천仁川 장단長湍 | 창원昌原 김해金海 영해寧海 밀양密陽 선산善山 청송靑松 대구大丘 | 남원南原 장흥長興 순천順天 담양潭陽 | 연안延安 평산平山 서흥瑞興 풍천豐川 | 회양淮陽 양양襄陽 춘천春川 철원鐵原 삼척三陟 | 경성鏡城 경원慶源 회령會寧 종성鍾城 온성穩城 경흥慶興 부령富寧 북청北靑 덕원德源 정평定平 갑산甲山 | 강계江界 창성昌城 성천成川 삭주朔州 숙천肅川 구성龜城 | |||||||||||
| 군 | 양근楊根 풍덕豊德 안산安山 삭녕朔寧 안성安城 마전麻田 고양高陽 | 임천林川 단양丹陽 청풍淸風 태안泰安 한산韓山 서천舒川 면천沔川 천안天安 서산瑞山 괴산槐山 옥천沃川 온양溫陽 | 합천陜川 함양咸陽 초계草溪 청도淸道 영천永川 예천醴泉 영천榮川 흥해興海 울산蔚山 양산梁山 함안咸安 김산金山 풍기豐基 곤양昆陽 | 보성寶城 익산益山 고부古阜 영암靈巖 영광靈光 진도珍島 낙안樂安 순창淳昌 금산錦山 진산珍山 김제金堤 여산礪山 | 곡산谷山 봉산鳳山 안악安岳 재령載寧 수안遂安 배천白川 신천信川 | 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영월寧越 평창平昌 | 삼수三水 문천文川 고원高原 단천端川 함흥咸興[3] | 중화中和 상원祥原 덕천德川 개천价川 자산慈山 가산嘉山 선천宣川 곽산郭山 철산鐵山 용천龍川 순천順川 희천熙川 이산理山 벽동碧潼 운산雲山 박천博川 위원渭原 영원寧遠 | ||||||||||
| 현 현령(縣令, 종5품) 파견 | 용인龍仁 진위振威 영평永平 양천陽川 금포金浦 | 문의文義 | 영덕盈德 경산慶山 동래東萊 고성固城 거제巨濟 의성義城 남해南海 | 창평昌平 용담龍潭 임피臨陂 만경萬頃 금구金溝 능성綾城 | 신계新溪 옹진瓮津 문화文化 우봉牛峯 | 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歙谷 | 용강龍岡 삼화三和 함종咸從 영유永柔 증산甑山 삼등三登 순안順安 강서江西 | |||||||||||
| 현 현감(縣監, 종6품) 파견 | 지평砥平 포천抱川 적성積城 과천果川 금천衿川 교동喬桐 통진通津 교하交河 연천漣川 음죽陰竹 양성陽城 양지陽智 가평加平 죽산竹山 | 홍산鴻山 제천堤川 덕산德山 평택平澤 직산稷山 회인懷仁 정산定山 청양靑陽 연풍延豐 음성陰城 청안淸安 은진恩津 회덕懷德 진잠鎭岑 연산連山 이산尼山 대흥大興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 남포藍浦 진천鎭川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美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목천木川 전의全義 연기燕岐 영춘永春 보은報恩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아산牙山 | 개령開寧 거창居昌 삼가三嘉 의령宜寧 하양河陽 용궁龍宮 봉화奉化 청하淸河 언양彦陽 칠원漆原 진해鎭海 하동河東 인동仁同 진보眞寶 문경聞慶 함창咸昌 지례知禮 안음安陰 고령高靈 현풍玄風 산음山陰 단성丹城 군위軍威 비안比安 의흥義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장기長鬐 영산靈山 창녕昌寧 사천泗川 기장機張 웅천熊川 | 광양光陽 용안龍安 함열咸悅 부안扶安 함평咸平 강진康津 옥과玉果 고산高山 태인泰仁 옥구沃溝 남평南平 흥덕興德 정읍井邑 고창高敞 무장茂長 무안務安 구례求禮 곡성谷城 장성長城 진원珍原 운봉雲峯 임실任實 장수長水 진안鎭安 무주茂朱 동복同福 화순和順 흥양興陽 해남海南 대정大靜 정의旌義 | 장련長連 송화松禾 장연長淵 강령康翎 은률殷栗 강음江陰 토산兔山 | 이천伊川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 홍원洪原 이성利城 길성吉城 명천明川 | 양덕陽德 맹산孟山 태천泰川 강동江東 은산殷山 | ||||||||||
| [1] 영길도(1413년 ~ 1416년) → 함길도(1416년 ~ 1468년) → 함경도(1468년 ~ 1470년) → 영안도(1470년 ~ 1498년) → 함경도(1498년~). [2] 1470년(성종 1) 대도호부에서 승격, 1498년(연산군 4) 대도호부로 강등. [3] 1470년(성종 1) 부에서 강등, 1498년(연산군 4) 부로 승격.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23부제(1895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tablebgcolor=#fff,#1f2023> 한성부(漢城府) | 한성, 고양, 파주, 교하, 적성, 양주, 포천, 영평, 연천, 광주(廣州), 가평 | ||||||||||||||
| 인천부(仁川府) | 인천, 부평, 강화, 교동, 금포, 통진, 양천, 시흥, 과천, 안산, 수원, 남양 | |||||||||||||||||
| 충주부(忠州府) | 충주, 제천, 청풍, 단양, 영춘, 음성, 진천, 괴산, 연풍, 청안, 여주, 이천(利川), 음죽, 용인, 양지, 죽산, 원주, 평창, 정선, 영월 | |||||||||||||||||
| 홍주부(洪州府) | 홍주, 결성, 예산, 덕산, 대흥, 서산, 해미, 태안, 청양, 정산, 아산, 온양, 신창, 당진, 면천, 보령, 남포, 서천, 비인, 한산, 임천, 홍산 | |||||||||||||||||
| 공주부(公州府) | 공주, 천안, 목천, 직산, 진위, 평택, 안성, 양성, 회덕, 진잠, 연기, 전의, 은진, 연산, 노성, 부여, 석성, 청주, 문의, 보은, 회인, 옥천, 청산, 영동, 황간, 금산(錦山), 진산 | |||||||||||||||||
| 전주부(全州府) | 전주, 고산, 익산, 함열, 여산, 용안, 옥구, 임피, 김제, 금구, 만경, 정읍, 고부, 태인, 부안, 고창, 흥덕, 무장, 장성, 영광, 지도 | |||||||||||||||||
| 남원부(南原府) | 남원, 운봉, 장수, 무주, 진안, 용담, 임실, 순창, 담양, 창평, 곡성, 옥과, 구례, 순천(順天), 광양, 돌산 | |||||||||||||||||
| 나주부(羅州府) | 나주, 남평, 광주(光州), 능주, 화순, 동복, 낙안, 흥양,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영암, 함평, 무안, 진도, 완도 | |||||||||||||||||
| 제주부(濟州府) | 제주, 정의, 대정 | |||||||||||||||||
| 진주부(晉州府) | 진주, 산청, 단성, 함양, 안의, 하동, 거창, 사천, 곤양, 남해, 합천, 초계, 삼가, 고성(固城), 의령, 함안, 칠원, 창원, 진해, 웅천, 김해 | |||||||||||||||||
| 동래부(東萊府) | 동래, 기장, 양산, 거제, 울산, 언양, 경주, 연일, 장기, 흥해 | |||||||||||||||||
| 대구부(大邱府) | 대구, 현풍, 경산, 하양, 자인, 인동, 칠곡, 선산, 금산(金山), 지례, 개령, 성주, 고령, 청도, 영천(永川), 신녕, 의성, 비안, 군위, 의흥, 밀양, 창녕, 영산 | |||||||||||||||||
| 안동부(安東府) | 안동, 예안, 청송, 진보, 영양, 청하, 영천(榮川), 순흥, 풍기, 상주, 함창, 문경, 예천, 용궁, 영덕, 영해, 봉화 | |||||||||||||||||
| 강릉부(江陵府) | 강릉, 울진, 평해, 삼척, 양양, 고성(高城), 간성, 통천, 흡곡 | |||||||||||||||||
| 춘천부(春川府) | 춘천, 홍천, 낭천, 횡성, 양구, 인제, 철원, 금화, 금성, 평강, 회양, 양근, 지평 | |||||||||||||||||
| 개성부(開城府) | 개성, 풍덕, 장단, 삭녕, 마전, 이천(伊川), 안협, 금천, 토산, 평산, 수안, 신계, 곡산 | |||||||||||||||||
| 해주부(海州府) | 해주, 연안, 배천, 옹진, 강령, 장연, 송화, 풍천, 안악, 은률, 장련, 재령, 신천, 문화, 서흥, 봉산 | |||||||||||||||||
| 평양부(平壤府) | 평양, 삼화, 용강, 강서, 증산, 함종, 중화, 상원, 황주, 강동, 삼등, 성천, 양덕, 안주, 영유, 숙천, 순안, 순천(順川), 은산, 자산, 맹산, 영원, 개천, 덕천, 영변, 운산, 희천 | |||||||||||||||||
| 의주부(義州府) | 의주, 용천, 선천, 철산, 정주, 곽산, 박천, 가산, 태천, 구성, 삭주, 창성, 벽동 | |||||||||||||||||
| 강계부(江界府) | 강계, 후창, 자성, 초산, 위원, 장진 | |||||||||||||||||
| 함흥부(咸興府) | 함흥, 덕원, 정평, 영흥, 고원, 문천, 안변, 단천, 이원, 북청, 홍원 | |||||||||||||||||
| 경성부(鏡城府) | 경성, 부령, 길주, 명천, 무산, 회령, 종성, 온성, 경원, 경흥 | |||||||||||||||||
| 갑산부(甲山府) | 갑산, 삼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3도제(1896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수도 | |||||||||||||||||
| 한성부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도 | ||||||||||||||||
| 경기 京畿 | 1등군 | 광주廣州 개성開城 강화江華 인천仁川 | ||||||||||||||||
| 2등군 | 수원水原 | |||||||||||||||||
| 3등군 | 여주驪州 양주楊州 장단長湍 통진通津 | |||||||||||||||||
| 4등군 | 파주坡州 이천利川 부평富平 남양南陽 풍덕豊德 포천抱川 죽산竹山 양근楊根 안산安山 삭녕朔寧 안성安城 고양高陽 금포金浦 영평永平 마전麻田 교하交河 가평加平 용인龍仁 음죽陰竹 진위振威 양천陽川 시흥始興 지평砥平 적성積城 과천果川 연천漣川 양지陽智 양성陽城 교동喬桐 | |||||||||||||||||
| 5등군 | - | |||||||||||||||||
| 충청북도 忠淸北道 | 1등군 | 충주忠州 청주淸州 | ||||||||||||||||
| 2등군 | - | |||||||||||||||||
| 3등군 | 옥천沃川 진천鎭川 | |||||||||||||||||
| 4등군 | 청풍淸風 괴산槐山 보은報恩 단양丹陽 제천堤川 회인懷仁 청안淸安 영춘永春 영동永同 황간黃澗 청산靑山 연풍延豐 음성陰城 | |||||||||||||||||
| 5등군 | - | |||||||||||||||||
| 충청남도 忠淸南道 | 1등군 | 공주公州 | ||||||||||||||||
| 2등군 | 홍주洪州 | |||||||||||||||||
| 3등군 | 한산韓山 서천舒川 면천沔川 서산瑞山 덕산德山 임천林川 홍산鴻山 은진恩津 | |||||||||||||||||
| 4등군 | 태안泰安 온양溫陽 대흥大興 평택平澤 정산定山 청양靑陽 회덕懷德 진잠鎭岑 연산連山 노성魯城 부여扶餘 석성石城 비인庇仁 남포藍浦 결성結城 보령保寧 해미海美 당진唐津 신창新昌 예산禮山 전의全義 연기燕岐 아산牙山 직산稷山 천안天安 문의文義 목천木川 | |||||||||||||||||
| 5등군 | - | |||||||||||||||||
| 전라북도 全羅北道 | 1등군 | 전주全州 남원南原 | ||||||||||||||||
| 2등군 | 고부古阜 김제金堤 태인泰仁 | |||||||||||||||||
| 3등군 | 여산礪山 금산錦山 익산益山 임피臨陂 금구金溝 함열咸悅 부안扶安 무주茂朱 순창淳昌 임실任實 진안鎭安 | |||||||||||||||||
| 4등군 | 진산珍山 만경萬頃 용안龍安 고산高山 옥구沃溝 정읍井邑 용담龍潭 운봉雲峯 장수長水 구례求禮 | |||||||||||||||||
| 5등군 | - | |||||||||||||||||
| 전라남도 全羅南道 | 1등군 | 광주光州 나주羅州 영암靈巖 영광靈光 순천順天 제주濟州 | ||||||||||||||||
| 2등군 | 보성寶城 흥양興陽 장흥長興 함평咸平 강진康津 해남海南 무장茂長 담양潭陽 | |||||||||||||||||
| 3등군 | 능주綾州 낙안樂安 무안務安 남평南平 진도珍島 흥덕興德 장성長城 | |||||||||||||||||
| 4등군 | 창평昌平 광양光陽 동복同福 화순和順 고창高敞 옥과玉果 곡성谷城 완도莞島 지도智島 돌산突山 | |||||||||||||||||
| 5등군 | 대정大靜 정의旌義 | |||||||||||||||||
| 경상북도 慶尙北道 | 1등군 | 상주尙州 경주慶州 | ||||||||||||||||
| 2등군 | 대구大丘 성주星州 의성義城 영천永川 안동安東 | |||||||||||||||||
| 3등군 | 예천醴泉 김산金山 선산善山 청도淸道 | |||||||||||||||||
| 4등군 | 청송靑松 인동仁同 영해寧海 순흥順興 칠곡漆谷 풍기豐基 영덕盈德 용궁龍宮 하양河陽 영천榮川 봉화奉化 청하淸河 진보眞寶 군위軍威 의흥義興 신녕新寧 예안禮安 연일延日 개령開寧 문경聞慶 지례知禮 함창咸昌 영양英陽 흥해興海 경산慶山 자인慈仁 비안比安 현풍玄風 고령高靈 장기長鬐 | |||||||||||||||||
| 5등군 | - | |||||||||||||||||
| 경상남도 慶尙南道 | 1등군 | 동래東萊 진주晉州 | ||||||||||||||||
| 2등군 | 김해金海 밀양密陽 | |||||||||||||||||
| 3등군 | 울산蔚山 의령宜寧 창녕昌寧 창원昌原 거창居昌 하동河東 합천陜川 함안咸安 함양咸陽 고성固城 | |||||||||||||||||
| 4등군 | 양산梁山 언양彦陽 영산靈山 기장機張 거제巨濟 초계草溪 곤양昆陽 삼가三嘉 칠원漆原 진해鎭海 안의安義 산청山淸 단성丹城 남해南海 사천泗川 웅천熊川 | |||||||||||||||||
| 5등군 | - | |||||||||||||||||
| 황해도 黃海道 | 1등군 | 황주黃州 안악安岳 | ||||||||||||||||
| 2등군 | 해주海州 평산平山 봉산鳳山 | |||||||||||||||||
| 3등군 | 연안延安 곡산谷山 서흥瑞興 장연長淵 재령載寧 수안遂安 배천白川 신천信川 금천金川 문화文化 | |||||||||||||||||
| 4등군 | 풍천豐川 신계新溪 장련長連 송화松禾 은률殷栗 토산兔山 옹진瓮津 강령康翎 | |||||||||||||||||
| 5등군 | - | |||||||||||||||||
| 평안남도 平安南道 | 1등군 | 평양平壤 | ||||||||||||||||
| 2등군 | 중화中和 용강龍岡 | |||||||||||||||||
| 3등군 | 성천成川 함종咸從 삼화三和 순천順川 상원祥原 영유永柔 강서江西 안주安州 | |||||||||||||||||
| 4등군 | 자산慈山 숙천肅川 덕천德川 개천价川 영원寧遠 은산殷山 양덕陽德 맹산孟山 강동江東 증산甑山 삼등三登 순안順安 | |||||||||||||||||
| 5등군 | - | |||||||||||||||||
| 평안북도 平安北道 | 1등군 | 의주義州 강계江界 | ||||||||||||||||
| 2등군 | - | |||||||||||||||||
| 3등군 | 영변寧邊 정주定州 선천宣川 | |||||||||||||||||
| 4등군 | 초산楚山 창성昌城 구성龜城 철산鐵山 용천龍川 삭주朔州 위원渭原 벽동碧潼 가산嘉山 곽산郭山 희천熙川 운산雲山 박천博川 태천泰川 자성慈城 후창厚昌 | |||||||||||||||||
| 5등군 | - | |||||||||||||||||
| 강원도 江原道 | 1등군 | - | ||||||||||||||||
| 2등군 | - | |||||||||||||||||
| 3등군 | - | |||||||||||||||||
| 4등군 | 춘천春川 원주原州 강릉江陵 회양淮陽 양양襄陽 철원鐵原 삼척三陟 평해平海 통천通川 정선旌善 고성高城 간성杆城 영월寧越 평창平昌 금성金城 울진蔚珍 흡곡歙谷 이천伊川 평강平康 금화金化 낭천狼川 홍천洪川 양구楊口 인제麟蹄 횡성橫城 안협安峽 | |||||||||||||||||
| 5등군 | - | |||||||||||||||||
| 함경남도 咸鏡南道 | 1등군 | 덕원德源 | ||||||||||||||||
| 2등군 | 함흥咸興 단천端川 영흥永興 | |||||||||||||||||
| 3등군 | 북청北靑 안변安邊 정평定平 | |||||||||||||||||
| 4등군 | 갑산甲山 삼수三水 장진長津 이원利原 문천文川 고원高原 | |||||||||||||||||
| 5등군 | - | |||||||||||||||||
| 함경북도 咸鏡北道 | 1등군 | 경흥慶興 | ||||||||||||||||
| 2등군 | 길주吉州 | |||||||||||||||||
| 3등군 | 회령會寧 종성鍾城 | |||||||||||||||||
| 4등군 | 경성鏡城 경원慶源 온성穩城 부령富寧 명천明川 무산茂山 | |||||||||||||||||
| 5등군 | - | |||||||||||||||||
조선 건국 후 태종 13년(1413)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경기도에서 황해도로 이속되었다. 황해도의 이름의 근원이 된 황주목, 해주목 다음으로 큰 고을이었으며 평산도호부, 배천군, 우봉현, 토산현, 강음현을 관할했다.
임진왜란 당시이던 선조 26년(1593)에는 연안성에서 황해도 초토사 이정암(李廷馣)과 연안부사 김대정(金大鼎)이 구로다 나가마사(黒田長政)가 이끌던 일본 제3군 약 5천명을 맞아 승리했다. 구로다는 평양, 평산, 배천, 해주를 지나 연백평야로 향하고 있었는데, 조선은 연안성에서 일본군을 패퇴시킴으로써 황해도의 곡창지대를 지켜낼 수 있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안성 전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연안성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광해군 대에는 해주목의 벽성현 강등으로 황해도가 황주와 연안에서 이름을 딴 황연도(黃延道)로 개칭되기도 했다. 고종 32년(1895)에 23부제가 실시되자 해주부에 속했고 고종 33년(1896) 13도제가 시행될 때에는 황해도 연안군이 되었다.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延安郡)과 배천군[11](白川郡)이 통합되며 두 군의 앞 글자 한 자씩을 따온 연백군(延白郡)이 되었다.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545b96>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시 | ||
| [[이북5도위원회| 도청 ]] 해주시 | 송림시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545b96> 군 ||
| 벽성군 | 연백군 | 금천군 | 평산군 | 신계군 |
| 장연군 | 송화군 | 은율군 | 안악군 | 신천군 |
| 재령군 | 황주군 | 봉산군 | 서흥군 | 수안군 |
}}}}}}}}} ||
연백군 대부분의 지역이 8.15 광복 이후 그어진 38선 이남에 있었고, 이남의 연백군은 벽성군 동부 지역을 편입한 후 황해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다. 북한은 38선 이북의 연백군을 폐지하지 않고, 평산군과 금천군의 일부 지역을 편입시켜 연백을 존치했다. 이렇게 연백은 한동안 두 연백군이 공존하는 모양새로 유지되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 도소재지 해주시 | |||||
| 군 | |||||
| 강령군 | 과일군 | 룡연군 | 배천군 | 벽성군 | |
| 봉천군 | 삼천군 | 송화군 | 신원군 | 신천군 | |
| 안악군 | 연안군 | 옹진군 | 은률군 | 은천군 | |
| 장연군 | 재령군 | 청단군 | 태탄군 | ||
| }}}}}}}}} | |||||
6.25 개전 후 인민군이 점령했다. 인천 상륙 작전으로 전세가 역전되자 국군과 UN군이 탈환했으나 중공군의 참전 후 후퇴하며 연안을 내줬고, 이후 재탈환하지 못하면서 연안은 가깝지만[12] 갈 수 없는 곳이 되고 말았다. 북한은 한국전쟁 중 북한에 점령된 38선 이남 연백군에 남연백군을 설치했다. 이후 연백은 남연백군과 이북의 연백군을 거쳐 1952년 군면리 대폐합으로 연안군과 배천군으로 재분리된다. 1954년 북한이 황해도를 분할함에 따라 연안군은 황해남도에 속하게 되어 현재에 이른다.조선 전기의 지리지인 《 세종실록지리지 》 의 연안도호부 항목은 연안의 토성으로 김(金)이 있다고 적고 있다.
(전략) ‘[ruby(土, ruby=토)][ruby(姓, ruby=성)][ruby(七, ruby=칠)], [ruby(宋, ruby=송)], [ruby(李, ruby=이)], [ruby(洪, ruby=홍)], [ruby(高, ruby=고)], [ruby(康, ruby=강)], [ruby(田, ruby=전)], [ruby(金, ruby=김)]; [ruby(亡, ruby=망)][ruby(姓, ruby=성)][ruby(一, ruby=일)], [ruby(鄭, ruby=정)]; [ruby(村, ruby=촌)][ruby(落, ruby=락)][ruby(姓, ruby=성)][ruby(二, ruby=이)], [ruby(車, ruby=차)], [ruby(魯, ruby=노)]; [ruby(續, ruby=속)][ruby(姓, ruby=성)][ruby(三, ruby=삼)], [ruby(段, ruby=단)], [ruby(黃, ruby=황)], [ruby(崔, ruby=최)]。’ '토성(土姓)이 7이니, 송(宋)·이(李)·홍(洪)·고(高)·강(康)·전(田)·김(金)이요, 망성(亡姓)이 1이니, 정(鄭)이요, 촌락성(村落姓)이 2이니, 차(車)·노(魯)요, 속성이 3이니, 단(段)·황(黃)·최(崔)이다.' (후략) |
| <rowcolor=#dce6d6> 지리지 | 링크 |
|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세종실록지리지 황해도 연안도호부 |
| 《고려사지리지(高麗史地理志)》 | 고려사 지리지 안서대도호부 해주 |
| 《규장각지리지(奎章閣地理志)》 | 서울대학교 규장각 지리지 종합정보 황해도 연안 지역 읍지류 |
3. 역사
3.1. 기원
| 연안 김씨의 시조 발상과 흥성[오류] |
(전략) ‘[ruby(謹, ruby=근)][ruby(按, ruby=안)], [ruby(王, ruby=왕)][ruby(后, ruby=후)][ruby(姓, ruby=성)][ruby(金, ruby=김)][ruby(氏, ruby=씨)], [ruby(系, ruby=계)][ruby(出, ruby=출)][ruby(新, ruby=신)][ruby(羅, ruby=라)][ruby(王, ruby=왕)][ruby(族, ruby=족)]。[ruby(其, ruby=기)][ruby(後, ruby=후)][ruby(有, ruby=유)][ruby(坐, ruby=좌)][ruby(直, ruby=직)][ruby(諫, ruby=간)], [ruby(謫, ruby=적)][ruby(豉, ruby=시)][ruby(鹽, ruby=염)][ruby(城, ruby=성)], [ruby(子, ruby=자)][ruby(孫, ruby=손)][ruby(因, ruby=인)][ruby(籍, ruby=적)][ruby(焉, ruby=언)], [ruby(後, ruby=후)][ruby(改, ruby=개)][ruby(延, ruby=연)][ruby(安, ruby=안)][ruby(府, ruby=부)]。[ruby(始, ruby=시)][ruby(祖, ruby=조)][ruby(暹, ruby=섬)][ruby(漢, ruby=한)], [ruby(高, ruby=고)][ruby(麗, ruby=려)][ruby(四, ruby=사)][ruby(門, ruby=문)][ruby(博, ruby=박)][ruby(士, ruby=사)]。’ '삼가 살펴보건대 왕후의 성은 김씨(金氏)로서 선계는 신라(新羅) 왕족에서 나왔다. 그 뒤에 바른 말로 간하다 죄를 입고 시염성(豉鹽城)으로 귀양간 이가 있어 자손들이 인하여 관향을 삼았는데 뒤에 연안부(延安府)로 고쳤다. 시조(始祖)는 김섬한(金暹漢)인데 고려의 사문 박사(四門博士)이다.' (후략) |
후손들을 기준으로 세대 간격을 고려하여 역산한 김섬한의 생년은 12세기 중반인데, 명종의 재위 기간(1170 ~ 1197)이 12세기 후반에 걸쳐있고, 사문박사[17]는 국자감에 둔 정8품의 벼슬로, 실제로 존재했던 관직이므로 비록 김섬한이 고려사 등의 사료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내려오는 전승은 대체로 사실인 것으로 보인다.
그 밖에 조선 명종대 편찬된 야사집인 《삼한습유기(三韓拾遺紀)》에는 연안의 김씨는 백제에서 나왔으며([ruby(延, ruby=연)][ruby(安, ruby=안)][ruby(之, ruby=지)][ruby(金, ruby=김)][ruby(出, ruby=출)][ruby(百, ruby=백)][ruby(濟, ruby=제)]), 광주(光州)의 김씨는 고구려에서 나왔다([ruby(光, ruby=광)][ruby(州, ruby=주)][ruby(之, ruby=지)][ruby(金, ruby=김)][ruby(出, ruby=출)][ruby(高, ruby=고)][ruby(句, ruby=구)][ruby(麗, ruby=려)])는 기록이 있다.
3.2.
고려(918~1392)
- 무신집권기(1170~1270) :
- 원 간섭기(1259~1356) : 원나라의 부마국이 되었다.
- 반원개혁기(1356~1392) : 고려 말에 접어들어 동북면 상만호 이성계(李成桂)가 홍건적과 왜구를 연달아 격파하며 고려의 영웅이자 한반도 최대의 군벌로 떠올랐다.
| <rowcolor=#7F0000> 이름 | 급제 | 종파 |
| [ruby(김, ruby=金)][ruby(우, ruby=祐)] | 미상 | _ |
| [ruby(김, ruby=金)][ruby(을, ruby=乙)][ruby(진, ruby=珍)] | 1353 계사방 동진사 23위 (33/33) | 밀직제학공파 |
| [ruby(김, ruby=金)][ruby(도, ruby=濤)] | 1362 임인방 을과 2위 아원(亞元) (2/33) | _ |
| [ruby(김, ruby=金)][ruby(자, ruby=自)][ruby(지, ruby=知)] | 1385 을축방 동진사 9위 (19/33) | _ |
| [ruby(김, ruby=金)][ruby(여, ruby=汝)][ruby(지, ruby=知)] | 1389 기사방 을과 1위 장원(壯元) (1/33) | _ |
3.2.1. 12세기~14세기
※ 후대의 조선 시대와 비교해 현전하는 사료의 양이 부족한 고려사의 특성상 김장수, 김도, 김을진 정도를 제외한 이 문단에 있는 인물 대부분의 서술은 족보를 근거로 한 것이다.
* 시조 김섬한(金暹漢, ? ~ ?)
{{{#!folding [정8품(正八品) ○사랑(○事郞) 국자감 사문박사 (國子監 四門博士) 김섬한(金暹漢)]
일세조 김섬한은 고려 제19대 임금 명종 대(1170~1197)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이 정8품 국자감 사문박사에 이르렀다. 배위는 신번진씨(新繁眞氏)로, 상서좌복야 진극유의 딸이다.* 시조 김섬한(金暹漢, ? ~ ?)
{{{#!folding [정8품(正八品) ○사랑(○事郞) 국자감 사문박사 (國子監 四門博士) 김섬한(金暹漢)]
| <rowcolor=#dce6d6> 내용 | 출처 | |||
| 사문박사 품계 정8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사문박사 (四門博士): '문종 때 품계를 정8품으로 하였다.' | |||
| 정8품 문신 산계 급사랑(給事郞) 혹은 징사랑(徵事郞) | 산계>6. 고려>6.1. 문산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문산계 (文散階) | }}} * 계파 미상[?] 김장수(金長壽, ? ~ 1363)[21] {{{#!folding [증(贈) 종2품(從二品) 봉익대부(奉翊大夫) 개성윤(開城尹) 파평군(坡平君) 충간공(忠簡公) 김장수(金長壽)] | "적이 안에 있는데 무엇을 살펴보라고 하는 것이오?" “[ruby(賊, ruby=적)][ruby(在, ruby=재)][ruby(內, ruby=내)], [ruby(何, ruby=하)][ruby(謂, ruby=위)][ruby(審, ruby=심)][ruby(視, ruby=시)]?” |
| <rowcolor=#dce6d6> 내용 | 출처 |
| 증직된 품계·산계·관직, 군호, 시호 | 《파평 김씨 족보》 |
* 대장군공계 4세 김우(金祐, ~ )
{{{#!folding [증(贈) 정2품(正二品)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김우(金祐)]
김안로의 「선부군유행」 연구}}}
* 대장군공계 6세 김도(金濤, ? ~ 1379)
{{{#!folding [종2품(從二品) 봉익대부(奉翊大夫) 동지밀직제학(同知密直提學) 김도(金濤)]
策進士于奉天殿, 登第者百二十人。 (中略) 高麗入試者三人, 惟[ruby(金, ruby=김)][ruby(濤, ruby=도)][ruby(登, ruby=등)][ruby(第, ruby=제)], 授東昌府安丘縣丞, 朴實·柳伯儒皆不第。三人俱以不通華言, 請還本國, 詔厚給道里費, 遣舟送還。 봉천전(奉天殿)에서 진사(進士)들을 대상으로 책문(策問)을 시험하니, 급제한 것이 120인이었다. (중략) 고려에서 와서 시험본 3인 가운데 오직 김도(金濤)만이 등제하였으므로 동창부(東昌府) 안구현승(安丘縣丞)을 제수하였고, 박실(朴實)과 유백유(柳伯儒)는 모두 급제하지 못하였다. 3인이 모두 화언(華言)을 할 줄 모른다 하여 본국으로 돌아갈 것을 청하니, 조서를 내려 여비를 넉넉히 지급하고 배에 태워 송환하게 하였다. |
"우리나라 사람으로 제과에 급제한 자가 참으로 드문데 하물며 이 사람은 이미 과거에 급제하고 또 황제의 칙명으로 관직까지 받는 은혜를 입어 이름을 일시(一時)에 떨쳤으니 우리나라에도 인재가 있다는 것을 천하에 알렸다. 그가 오는 것을 미처 알지 못하여 예(禮)로 영접하지 못한 것이 한스럽구나." “[ruby(我, ruby=아)][ruby(國, ruby=국)][ruby(之, ruby=지)][ruby(人, ruby=인)], [ruby(登, ruby=등)][ruby(制, ruby=제)][ruby(科, ruby=과)][ruby(者, ruby=자)][ruby(固, ruby=고)][ruby(罕, ruby=한)], [ruby(况, ruby=황)][ruby(此, ruby=차)][ruby(人, ruby=인)][ruby(旣, ruby=기)][ruby(登, ruby=등)][ruby(科, ruby=과)], [ruby(又, ruby=우)][ruby(蒙, ruby=몽)][ruby(勑, ruby=칙)][ruby(授, ruby=수)], [ruby(名, ruby=명)][ruby(揚, ruby=양)][ruby(一, ruby=일)][ruby(時, ruby=시)], [ruby(使, ruby=사)][ruby(天, ruby=천)][ruby(下, ruby=하)][ruby(知, ruby=지)][ruby(我, ruby=아)][ruby(國, ruby=국)][ruby(有, ruby=유)][ruby(人, ruby=인)]。[ruby(恨, ruby=한)][ruby(不, ruby=불)][ruby(早, ruby=조)][ruby(知, ruby=지)][ruby(其, ruby=기)][ruby(來, ruby=래)][ruby(而, ruby=이)][ruby(禮, ruby=예)][ruby(迎, ruby=영)][ruby(之, ruby=지)]。” 《고려사》 27권, 권111 열전 권제24 제신(諸臣) 김도 《고려사》 고려사 김도 열전 |
[ruby(蘿, ruby=나)][ruby(蔔, ruby=복)][ruby(山, ruby=산)][ruby(人, ruby=인)][ruby(金, ruby=김)][ruby(濤, ruby=도)][ruby(長, ruby=장)][ruby(源, ruby=원)][28] |
“내가 죽는 것은 아깝지 않지만 한 점 잘못도 없는 이를 죽이면 도리어 재앙을 받을 것이다.” “[ruby(我, ruby=아)][ruby(死, ruby=사)][ruby(不, ruby=부)][ruby(足, ruby=족)][ruby(惜, ruby=석)], [ruby(殺, ruby=살)][ruby(一, ruby=일)][ruby(無, ruby=무)][ruby(辜, ruby=고)], [ruby(反, ruby=반)][ruby(受, ruby=수)][ruby(其, ruby=기)][ruby(殃, ruby=앙)]。” 《고려사》 27권, 권111 열전 권제24 제신(諸臣) 김도 《고려사》 김도 열전 |
오늘날 전남 모후산에는 김도와 관련된 전승[30]이 내려오고 있으며, 고려 말의 문신 백문보의 《담암일집》에는 김도를 칭송한 오언 배율[31]이 전해지고 있다.
{{{#!folding [백문보(白文寶)의 《담암일집(淡庵逸集)》 권일(卷一)에 실린 시 ]
백문보(白文寶) }}}[ruby(金, ruby=김)][ruby(君, ruby=군)][ruby(早, ruby=조)][ruby(志, ruby=지)][ruby(學, ruby=학)] 김군은 일찍이 학문에 뜻을 두어
[ruby(讀, ruby=독)][ruby(書, ruby=서)][ruby(蘿, ruby=나)][ruby(蔔, ruby=복)][ruby(山, ruby=산)] 나복산에서 글을 읽었네!
[ruby(蘿, ruby=나)][ruby(蔔, ruby=복)][ruby(尙, ruby=상)][ruby(淡, ruby=담)][ruby(薄, ruby=박)] 나복은 맛이 담박하고
[ruby(菜, ruby=채)][ruby(根, ruby=근)][ruby(誠, ruby=성)][ruby(可, ruby=가)][ruby(餐, ruby=찬)] 뿌리는 참으로 먹을 만하여라
[ruby(立, ruby=입)][ruby(心, ruby=심)][ruby(貴, ruby=귀)][ruby(堅, ruby=견)][ruby(固, ruby=고)] 마음가짐 몹시 견고했으니
[ruby(事, ruby=사)][ruby(無, ruby=무)][ruby(爲, ruby=위)][ruby(之, ruby=지)][ruby(艱, ruby=간)] 하기 어려운 일이 없었다네
[ruby(回, ruby=회)][ruby(也, ruby=야)][ruby(居, ruby=거)][ruby(陋, ruby=누)][ruby(巷, ruby=항)] 안회는 더러운 거리에 살며
[ruby(不, ruby=불)][ruby(過, ruby=과)][ruby(食, ruby=사)][ruby(一, ruby=일)][ruby(簞, ruby=단)] 한 대바구니 밥을 먹은 것에 지나지 않지만
[ruby(夫, ruby=부)][ruby(子, ruby=자)][ruby(謂, ruby=위)][ruby(賢, ruby=현)][ruby(哉, ruby=재)] 공자께서 어질다 하셨고
[ruby(學, ruby=학)][ruby(至, ruby=지)][ruby(鑽, ruby=찬)][ruby(仰, ruby=앙)][ruby(間, ruby=간)] 학문은 찬앙의 경지에 이르렀다네
[ruby(長, ruby=장)][ruby(源, ruby=원)][ruby(才, ruby=재)][ruby(混, ruby=혼)][ruby(混, ruby=혼)] 장원의 재주는 흘러 넘치는 듯하여
[ruby(聖, ruby=성)][ruby(門, ruby=문)][ruby(必, ruby=필)][ruby(觀, ruby=관)][ruby(瀾, ruby=란)] 성문에 있었다면 반드시 물결 보였으리라
[ruby(中, ruby=중)][ruby(朝, ruby=조)][ruby(高, ruby=고)][ruby(捷, ruby=첩)][ruby(科, ruby=과)] 중조에서 높은 성적으로 급제하여
[ruby(顯, ruby=현)][ruby(赫, ruby=혁)][ruby(躡, ruby=섭)][ruby(華, ruby=화)][ruby(班, ruby=반)] 혁혁히 빛나는 반열에 올랐다네
[ruby(所, ruby=소)][ruby(進, ruby=진)][ruby(有, ruby=유)][ruby(如, ruby=여)][ruby(此, ruby=차)] 나아간 바가 이와 같으니
[ruby(誰, ruby=수)][ruby(不, ruby=불)][ruby(擊, ruby=격)][ruby(節, ruby=절)][ruby(歎, ruby=탄)] 어느 누가 무릎 치며 탄복지 않으리오?
[ruby(吾, ruby=오)][ruby(君, ruby=군)][ruby(大, ruby=대)][ruby(書, ruby=서)][ruby(字, ruby=자)] 우리 임금께서 크게 글자 써
[ruby(九, ruby=구)][ruby(重, ruby=중)][ruby(垂, ruby=수)][ruby(寵, ruby=총)][ruby(頒, ruby=반)] 구중궁궐에서 은총으로 내려 주시니
[ruby(銀, ruby=은)][ruby(鉤, ruby=구)][ruby(光, ruby=광)][ruby(星, ruby=성)][ruby(日, ruby=일)] 아름다운 글씨는 별과 해처럼 빛나
[ruby(千, ruby=천)][ruby(載, ruby=재)][ruby(爲, ruby=위)][ruby(盛, ruby=성)][ruby(觀, ruby=관)] 천년의 성대한 완상물이 되리라
[ruby(臣, ruby=신)][ruby(拜, ruby=배)][ruby(頌, ruby=송)][ruby(至, ruby=지)][ruby(寶, ruby=보)] 신하는 지극한 보배에 절하며 칭송하고
[ruby(子, ruby=자)][ruby(孫, ruby=손)][ruby(傳, ruby=전)][ruby(所, ruby=소)][ruby(慳, ruby=간)] 자손은 길이길이 전하며 아낄지어다
[ruby(玄, ruby=현)][ruby(陵, ruby=릉)][ruby(賜, ruby=사)][ruby(司, ruby=사)][ruby(藝, ruby=예)][ruby(金, ruby=김)][ruby(濤, ruby=도)] [ruby(大, ruby=대)][ruby(書, ruby=서)][ruby(蘿, ruby=나)][ruby(蔔, ruby=복)][ruby(山, ruby=산)][ruby(人, ruby=인)][ruby(金, ruby=김)][ruby(濤, ruby=도)][ruby(長, ruby=원)][ruby(源, ruby=원)][ruby(八, ruby=팔)][ruby(字, ruby=자)]
현릉(공민왕)이 사예 김도에게 "나복산인김도장원" 여덟자를 크게 써 내리다
| <rowcolor=#dce6d6> 내용 | 출처 |
| 최고관직 [ruby(奉, ruby=봉)][ruby(翊, ruby=익)][ruby(大, ruby=대)][ruby(夫, ruby=부)] [ruby(同, ruby=동)][ruby(知, ruby=지)][ruby(密, ruby=밀)][ruby(直, ruby=직)][ruby(提, ruby=제)][ruby(學, ruby=학)] | 《씨족원류(氏族源流)》 |
| 봉익대부(奉翊大夫) 품계 종2품 | 산계>6. 고려>6.1. 문산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문산계 (文散階)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도(고려)#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도(고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7세 김자지(金自知, 1367 ~ 1435)
{{{#!folding [김자지(金自知)]
| <rowcolor=#dce6d6> 과거 급제 | 링크 |
| 우왕 11년(1385) 을축방(乙丑榜) 동진사(同進士) 9위(19/33) | 한국학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과거 및 취재>김자지(金自知)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자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자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1370 ~ 1425)[壯元]
{{{#!folding [정6품(正六品) 승봉랑(承奉郞) 우정언(右正言) 김여지(金汝知)]
| <rowcolor=#dce6d6> 과거 급제 | 링크 |
| 우왕 11년(1385) 을축방(乙丑榜) 동진사(同進士) 9위(19/33) | 한국학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과거 및 취재>김여지(金汝知) 『등과록전편(登科錄前編)』 卷之二(규장각한국학연구원[古4650-10]) |
| <rowcolor=#dce6d6> 내용 | 출처 |
| 우정언 품계 정6품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우정언 (右正言): '1308년에 충선왕이 재즉위하면서 이를 … 정6품으로 높이었다가 …' |
| 정6품 문신 산계 승봉랑(承奉郞) | 산계>6. 고려>6.1. 문산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문산계 (文散階)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여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여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파조) 8세 김안주(金安柱, ~)
{{{#!folding [종2품(從二品) 봉익대부(奉翊大夫) 개성부윤(開城府尹) 상호군(上護軍) 신효공(愼孝公) 김안주(金安柱)]
}}}
*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파조) 8세 김선(金善, 1359 ~ 1419)
{{{#!folding [종2품(從二品) 봉익대부(奉翊大夫) 공부전서(工部典書) 김선(金善)]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파조) 8세 김을진(金乙珍, ~)
{{{#!folding [정3품(正三品) 봉익대부(奉翊大夫) 밀직부사(密直副使) 김을진(金乙珍)]
*
{{{#!folding [김현]
{{{#!folding [고려, 조선 양조에서 연(延)이 들어가는 봉호를 받은 인물 ]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김현(金玄),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 박사인부카(朴賽顔不花),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 송경(宋卿),
연안부원군(延安府院君) 인승단(印承旦),
[이상 고려]
연녕부원군(延寧府院君) 이주(李澍),연릉부원군(延陵府院君) 이호민(李好閔),
연선부원군(延善府院君) 이국주(李國柱),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말정(李末丁),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박원형(朴元亨),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석형(李石亨),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정화(李廷華),
연양부원군(延陽府院君) 이시백(李時白),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 이시방(李時昉),
연원부원군(延原府院君) 이광정(李光庭),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김감(金勘),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
연성군(延城君) 김로(金輅),
연산군(延山君) 김효성(金孝誠)
연산군(延山君) 김처의(金處義)
연안군(延安君) 이숙기(李淑琦),
연복군(延福君) 장말손(張末孫),
연천군(延川君) 차운혁(車云革),
연원군(延原君) 이숭원(李崇元),
연성군(延城君) 이곤(李坤),
연양군(延陽君) 이후백(李後白),
연양군(延陽君) 김계한(金繼韓),
연창군(延昌君) 박명현(朴名賢),
연창군(延昌君) 송덕영(宋德榮),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
[이상 조선]}}}
을 살펴보면 이 중 김현, 박사인부카의 본관만 알려지지 않았고, 박원형, 장말손, 박명현을 제외한 나머지 인물은 모두 본관을 황해도 연안으로 하는 연안인(延安人)이었다는 점에서 이 사람이 연안 김씨였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다. 그렇지만, 박원형, 박명현의 관향인 죽산에 김씨가 살았었다는 세종실록지리지의 내용과, 장말손의 관향인 인동에도 김씨가 산다는 세종실록지리지의 내용, 그리고 김현과 김섬한의 관계를 알기 어려운 점을 고려할 때 김현이 연안 김씨라고 말할 수 없다.}}}3.3.
조선(1392~1910)
조선조에 들어 연김은 중전[33], 국구[34], 부마[35] 각각 1명, 왕자비 3명(부부인 1명, 군부인 2명)[36], 종묘 배향공신 2명[종묘배향], 정공신 5명(개국공신 1명), 봉군 7명(부원군 2명)[38], 삼정승 6명[상신], 대제학 4명(문형 2명)[40], 청백리 3명[淸][廉], 당상관 38명 이상[43], 문과 급제 163명[44], 무과 급제 271명[45], 음양과(잡과) 급제 1명[46], 사마시 입격 297명[47][48], 문과 장원 8명[壯元], 무과 장원 2명 이상[武魁]을 배출한 명문으로 거듭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padding-top: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 2 신덕왕후 | 1 정안왕후 | 1 원경왕후 | 1 소헌왕후 | |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
| 1 정순(定順)왕후 | 1 정희왕후 | 2 안순왕후 | 1 공혜왕후폐 폐비 윤씨2 정현왕후 | |
| 연산군 | 중종 | 인종 | 명종 | |
| 1 거창군부인 | 1 단경왕후2 장경왕후3 문정왕후 | 1 인성왕후 | 1 인순왕후 |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
| 1 의인왕후2 인목왕후 | 1 문성군부인 | 1 인열왕후2 장렬왕후 | 1 인선왕후 | |
| 현종 | 숙종 | 경종 | 영조 | |
| 1 명성왕후 | 1 인경왕후2 인현왕후폐 폐비 장씨3 인원왕후 | 2 선의왕후 | 1 정성왕후2 정순(貞純)왕후 | |
| 정조 | 순조 | 헌종 | 철종 | |
| 1 효의왕후 | 1 순원왕후 | 1 효현왕후2 효정왕후 | 1 철인왕후 | |
| 고종 | 순종 | |||
| 1 명성태황후 | 2 순정효황후 | |||
| <nopad> | }}}}}}}}} | |||
| <rowcolor=#FFD400> 이름 | 책봉 | 종파 | [ruby(부, ruby=夫)][ruby(왕, ruby=王)] |
| [ruby(인, ruby=仁)][ruby(목, ruby=穆)][ruby(왕, ruby=王)][ruby(후, ruby=后)] | 1602 | 내자시윤공파 | 선조 |
- 부원군(국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11208 0%, #7e2f22 20%, #7e2f22 80%, #51120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태조 | 정종 | 태종 | |||
| 안천부원군 한경 | 상산부원군 강윤성 | 월성부원군 김천서 | 여흥부원군 민제 | |||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
| 청천부원군 심온 | 화산부원군 권전 | 여량부원군 송현수 | 파평부원군 윤번 | |||
| 예종 | 예종, 성종 | 성종 | ||||
| 청천부원군 한백륜 | 상당부원군 한명회 | | 영원부원군 윤호 | |||
| 연산군 | 중종 | |||||
| 거창부원군 신승선 | 익창부원군 신수근 | 파원부원군 윤여필 | 파산부원군 윤지임 | |||
| 인종 | 명종 | 선조 | ||||
| 금성부원군 박용 | 청릉부원군 심강 | 반성부원군 박응순 | 연흥부원군 김제남 | |||
| 선조 | 광해군 | 인조 | ||||
| | | 서평부원군 한준겸 | 한원부원군 조창원 | |||
| 효종 | 현종 | 숙종 | ||||
| 신풍부원군 장유 | 청풍부원군 김우명 | 광성부원군 김만기 | 여양부원군 민유중 | |||
| 숙종 | 경종 | 영조 | ||||
| 경은부원군 김주신 | 청은부원군 심호 | 함원부원군 어유구 | 달성부원군 서종제 | |||
| 영조 | 정조 | 순조 | 헌종 | |||
| 오흥부원군 김한구 | 청원부원군 김시묵 | 영안부원군 김조순 | 영흥부원군 김조근 | |||
| 헌종 | 철종 | 고종 | 순종 | |||
| 익풍부원군 홍재룡 | 영은부원군 김문근 | 여성부원군 민치록 | 여은부원군 민태호 | |||
| 순종 | ||||||
| 해풍부원군 윤택영 | ||||||
| 추존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목조(이안사) | 익조(이행리) | 도조(이춘) | |||
| 이숙(이공숙) | 최기열 | 안변부원군 박광 | ||||
| 환조(이자춘) | 덕종(의경세자) | 원종(정원군) | ||||
| 영흥백 최한기 | 서원부원군 한확 | 능안부원군 구사맹 | ||||
| 진종(효장세자) | 장조(사도세자) | 문조(효명세자) | ||||
| 풍릉부원군 조문명 | 영풍부원군 홍봉한 | 풍은부원군 조만영 | }}} | |||
| 조선 왕비 · 조선 추존 왕비 · 대한제국의 국구 | ||||||
| <rowcolor=#ffd400> 이름 | 군호 | 봉군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제, ruby=悌)][ruby(남, ruby=男)] | [ruby(연, ruby=延)][ruby(흥, ruby=興)][ruby(부, ruby=府)][ruby(원, ruby=院)][ruby(군, ruby=君)] | 1602 | 내자시윤공파 | 국구 |
| <rowcolor=#ffd400> 이름 | 봉호 | 간택 | 종파 | 부인 |
| [ruby(김, ruby=金)][ruby(희, ruby=禧)] | [ruby(연, ruby=延)][ruby(성, ruby=城)][ruby(위, ruby=尉)] | 1520 | 내자시윤공파 | 효혜공주 |
| <rowcolor=#ffd400> 봉호 | 간택/개봉 | 종파 | [ruby(부, ruby=夫)][ruby(군, ruby= 君)] |
| [ruby(덕, ruby=德)][ruby(원, ruby=原)][ruby(군, ruby=郡)][ruby(부, ruby=夫)][ruby(인, ruby=人)] [ruby(양, ruby=梁)][ruby(원, ruby=原)][ruby(군, ruby=郡)][ruby(부, ruby=夫)][ruby(인, ruby=人)] | 1439 1872 | 도관찰사공파 | 의창군 |
| [ruby(연, ruby=延)][ruby(성, ruby=城)][ruby(부, ruby=府)][ruby(부, ruby=夫)][ruby(인, ruby=人)] | 미상 | 밀직제학공파 | 영응대군 |
| [ruby(연, ruby=延)][ruby(원, ruby=原)][ruby(군, ruby=郡)][ruby(부, ruby=夫)][ruby(인, ruby=人)] [ruby(의, ruby=義)][ruby(친, ruby=親)][ruby(왕, ruby=王)][ruby(비, ruby=妃)] | 1893 1907 | 내자시윤공파 | 의친왕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 <colcolor=#000> 조준, 이화,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
| 정종 | 이방의 | |
| 태종 |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 |
| 세종 |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이제, 이보 | |
| 문종 | 하연 | |
| 세조 | 권람, 한확, 한명회 | |
| 예종 | 박원형 | |
| 성종 | 신숙주, 정창손, 홍응 | |
| 중종 |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 |
| 인종 | 홍언필, 김안국 | |
| 명종 | 심연원, ■이언적 | |
| 선조 | 이준경, ■이황, ■이이 | |
| 인조 |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이보 | |
| 효종 |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이요, 민정중, 민유중 | |
| 현종 | 정태화, | |
| 숙종 |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 |
| 경종 | 이유, 민진후 | |
| 영조 |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 |
| 장조 | 이종성, 민백상 | |
| 정조 |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 |
| 순조 |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이구, 조만영 | |
| 문조 | 남공철, 김로, 조병구 | |
| 헌종 | 이상황, 조인영 | |
| 철종 | 이헌구, 이희, 김수근 | |
| 고종 |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 |
| 순종 | 송근수, | |
|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서무종향 | ||
| <rowcolor=#f0ad73> 이름 | 시호 | 배향 | 종파 | 묘실 |
| [ruby(김, ruby=金)][ruby(재, ruby=載)][ruby(찬, ruby=瓚)] | [ruby(문, ruby=文)][ruby(충, ruby=忠)] | 1836 | 내자시윤공파 | 14실 (순조묘정) |
| [ruby(김, ruby=金)][ruby(로, ruby=鏴)] | [ruby(문, ruby=文)][ruby(헌, ruby=獻)] | 1875 | 내자시윤공파 | 15실 (문조묘정)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506년 9월 8일 중종에 의해 책록 | |||||||
|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1등) | ||||||||
| 박원종 | 홍경주 | | 류순정 | |||||
| 장정 | | 성희안 |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 | |||
| 이효성 | 최한홍 | 류순 | 이계 | |||||
| 이활 | 심순경 | 윤형로 | 김수동 | |||||
| 이계남 | 변수 | 조계상 | 김감 | |||||
| 구수영 | ||||||||
| 병충분의정국공신 (3등) | ||||||||
| 고수겸 | 류세웅 | 이심 | 민회창 | |||||
| 구현휘 | 신준 | 정미수 | 강혼 | |||||
| 류경 | 김경의 | 윤양로 | 심형 | |||||
| 류계종 | 이식 | 허상 | 백수장 | |||||
| 김우증 | 박건 | 한순 | 김수경 | |||||
| 이함 | 황탄 | 윤사정 | 민희발 | |||||
| 장온 | 이극정 | 이석번 | 송질 | |||||
| 이손 | 정윤겸 | | ||||||
| 분의정국공신 (4등) | ||||||||
| 박이검 | 윤형 | 이종의 | 한사문 | |||||
| 윤탄 | 조세훈 | 박영창 | 이창 | |||||
| 박영분 | 변준 | 신윤문 | 민효증 | |||||
| 이성언 | 이상 | 이맹우 | 김임 | |||||
| 최유정 | 이희옹 | 변사겸 | 홍경림 | |||||
| 김극성 | 이당 | 류홍 | 이성동 | |||||
| 조계은 | 장한공 | | 한숙창 | |||||
| 강지 | 성몽정 | 윤희평 | 성율 | |||||
| 이기 | 박이온 | 손동 | 윤장 | |||||
| 류영 | 류응룡 | 이세응 | 신수린 | |||||
| 윤금손 | 김선 | 신은윤 | 이곤 | |||||
| 성희옹 | 윤여필 | 황맹헌 | 허광 | |||||
| 한세창 | 조원륜 | 강윤희 | 조계형 | |||||
| 문치 | 채수 | 서경생 | 김계공 | |||||
| 김은 | 김무 | 권균 | 김준 | |||||
| 반우형 | 김숙손 | 우정 | 임원산 | |||||
| 송일 | ||||||||
| <rowcolor=#f0ad73> 이름 | 군호 | 봉군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감, ruby=勘)] | [ruby(연, ruby=延)][ruby(창, ruby=昌)][ruby(부, ruby=府)][ruby(원, ruby=院)][ruby(군, ruby=君)] | 1506 1507 | 도관찰사공파 | 공신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 좌명개국공신 (1등) |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 이직 | | 함부림 |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 한상경 | 한충 | }}}}}}}}} | ||||||
| <rowcolor=#f0ad73> 이름 | 군호 | 책록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로, ruby=輅)] | [ruby(연, ruby=延)][ruby(성, ruby=城)][ruby(군, ruby=君)] | 1392 | 밀직제학공파 | 익대개국공신 |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48대 류순 | 제49대 박원종 | 제50대 김수동 | 제51대 류순정 | |
| 제52대 성희안 | 제53대 송질 | 제54대 류순 | 제55대 정광필 | |
| 제56대 김전 | 제57대 남곤 | 제58대 정광필 | 제59대 장순손 | |
| 제60대 한효원 | 제61대 김근사 | 제62대 윤은보 | ||
| 제63대 홍언필 | 제64대 윤인경 | |||
| 제64대 윤인경 | 제65대 홍언필 | 제66대 이기 | 제67대 심연원 | |
| 제68대 상진 | 제69대 윤원형 | 제70대 이준경 | ||
| 제70대 이준경 | 제71대 권철 | 제72대 이탁 | 제73대 홍섬 | |
| 제74대 권철 | 제75대 홍섬 | 제76대 권철 | 제77대 홍섬 | |
| 제78대 박순 | 제79대 노수신 | 제80대 류전 | 제81대 이산해 | |
| 제82대 류성룡 | 제83대 최흥원 | 제84대 류성룡 | 제85대 이원익 | |
| 제86대 윤두수 | 제87대 이원익 | 제88대 이산해 | 제89대 이항복 | |
| 제90대 이덕형 | 제91대 이항복 | 제92대 윤승훈 | 제93대 유영경 | |
| 제94대 이원익 | 제95대 이덕형 | 제96대 이원익 | 제97대 이덕형 | |
| 제98대 기자헌 | 제99대 정인홍 | 제100대 박승종 | ||
| }}}}}}}}} | ||||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158대 이광좌 | 제159대 정호 | 제160·161대 이광좌 | 제162대 홍치중 | |
| 제163대 심수현 | 제164대 이의현 | 제165대 김흥경 | 제166대 이광좌 | |
| 제167대 김재로 | 제168대 조현명 | 제169대 김재로 | 제170대 이종성 | |
| 제171대 김재로 | 제172·173대 이천보 | 제174대 유척기 | 제175대 이천보 | |
| 제176대 김상로 | 제177대 홍봉한 | 제178대 신만 | 제179대 홍봉한 | |
| 제180대 윤동도 | 제181대 서지수 | 제182대 김치인 | 제183대 홍봉한 | |
| 제184대 김치인 | 제185대 김상복 | 제186대 신회 | 제187대 김상복 | |
| 제188대 한익모 | 제189대 김상복 | 제190대 신회 | 제191대 한익모 | |
| 제192대 김상복 | 제193대 한익모 | 제194대 김상복 | 제195대 한익모 | |
| 제196대 신회 | 제197대 한익모 | 제198대 김상철 | ||
| 제199대 김양택 | 제200대 김상철 | 제201대 서명선 | 제202대 김상철 | |
| 제203대 서명선 | 제204대 정존겸 | 제205대 서명선 | 제206대 정존겸 | |
| 제207대 김치인 | 제208대 김익 | 제209대 이재협 | 제210대 김익 | |
| 제211대 채제공 | 제212대 홍낙성 | 제213대 이병모 | ||
| }}}}}}}}} | ||||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14대 심환지 | 제215대 이시수 | 제216대 이병모 | 제217대 서매수 | |||
| 제218대 이병모 | 제219대 김재찬 | 제220대 서용보 | 제221대 한용구 | |||
| 제222대 김재찬 | 제223대 남공철 | 제224대 이상황 | 제225대 심상규 | |||
| 제226대 이상황 | 제227대 조인영 | 제228대 권돈인 | 제229대 정원용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229대 정원용 | 제230대 조인영 | 제231대 권돈인 | |||
| 제232대 김흥근 | 제233대 김좌근 | 제234대 정원용 | ||||
| 제235대 김좌근 | 제236대 정원용 | 제237대 김좌근 | }}} | |||
| 제237대 김좌근 | 제238대 조두순 | 제239대 이경재 | 제240대 김병학 | |||
| 제241대 정원용 | 제242대 김병학 | 제243대 홍순목 | 제244대 이유원 | |||
| 제245대 이최응 | 제246대 서당보 | 제247대 홍순목 | 제248대 김병국 | |||
| 제249대 심순택 | 제250대 김병시 | 제251대 김홍집 | ||||
| }}}}}}}}} | ||||||
| <rowcolor=#f0ad73> 이름 | 시호 | 임명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전, ruby=詮)] | [ruby(충, ruby=忠)][ruby(정, ruby=貞)] | 1520 | 내자시윤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근, ruby=謹)][ruby(사, ruby=思)] | - | 1535 | 도관찰사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익, ruby=熤)] | [ruby(문, ruby=文)][ruby(정, ruby=貞)] | 1789 | 내자시윤공파 | 정조 |
| [ruby(김, ruby=金)][ruby(재, ruby=載)][ruby(찬, ruby=瓚)] | [ruby(문, ruby=文)][ruby(충, ruby=忠)] | 1812 1821 | 내자시윤공파 | 순조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 제85대 홍언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 제132대 허욱 |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순조 ~ 고종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06대 이시수 | 제307대 서용보 | 제308대 이시수 | 제309대 서매수 | |||||
| 제310대 이경일 | 제311대 한용구 | 제312대 서용보 | 제313대 이시수 | |||||
| 제314대 김재찬 | 제315대 한용구 | 제316대 김재찬 | 제317대 김사목 | |||||
| 제318대 남공철 | 제319·320대 이상황 | 제321대 이존수 | 제322-324대 이상황 | |||||
| 제325대 심상규 | 제326대 홍석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26대 홍석주 | 제327대 박종훈 | 제328대 김홍근 | |||||
| 제329대 정원용 | 제330대 권돈인 | 제331·332대 김도희 | }}} | |||||
|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3대 정원용 | 제334대 김흥근 | 제335대 박영원 | |||||
| 제336대 이헌구 | 제337대 김도희 | 제338대 조두순 | 제339대 박회수 | |||||
| 제340대 조두순 | 제341대 박회수 | 제342대 조두순 | 제343대 조두순 | |||||
| 제344대 이유원 | 제345대 김병학 | 제346대 강로 | 제347대 이최응 | |||||
| 제348·349대 김병국 | 제350대 송근수 | 제351대 김병국 | 제352대 이재원 | |||||
| 제353대 김홍집 | 제354대 김병시 | 제355대 김홍집 | 제356대 김병시 | |||||
| 제357대 김홍집 | 제358대 조병세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40대 서용보 | 제341대 김관주 | 제342대 이경일 | 제343대 김달순 | |||||
| 제344대 서용보 | 제345대 김재찬 | 제346대 김사목 | 제347대 남공철 | |||||
| 제348대 임한호 | 제349대 이서구 | 제350대 심상규 | 제351대 이존수 | |||||
| 제352대 정만석 | 제353대 김이교 | 제354·355대 박종훈 | ||||||
| 제354·355대 박종훈 | 제356대 이지연 | 제357대 조인영 | 제358대 정원용 | |||||
| 제359대 권돈인 | 제360대 김도희 | 제361대 박회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2대 박영원 | 제363대 김좌근 | 제364-366대 조두순 | }}} | ||||
| 제367대 이경재 | 제368대 임백경 | 제369대 류후조 | 제370대 홍순목 | |||||
| 제371대 한계원 | 제372대 박규수 | 제373대 김병국 | 제374대 김병덕 | |||||
| 제375대 심순택 | 제376대 홍영식 | 제377대 김병시 | 제378대 김유연 | |||||
| 제379-382대 조병세 | 제378대 정범조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rowcolor=#f0ad73> 이름 | 시호 | 임명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근, ruby=謹)][ruby(사, ruby=思)] | - | 1534 | 도관찰사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안, ruby=安)][ruby(로, ruby=老)] | - | 1535 | 내자시윤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재, ruby=載)][ruby(찬, ruby=瓚)] | [ruby(문, ruby=文)][ruby(충, ruby=忠)] | 1808 | 내자시윤공파 | 순조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 제85대 홍언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 제132대 허욱 |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영조 ~ 정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25대 이광좌 | 제226대 류봉휘 | 제227대 조태억 | 제228대 정호 | |||||
| 제229대 민진원 | 제230대 이관명 | 제231·232대 홍치중 | 제233대 조태억 | |||||
| 제234대 홍치중 | 제235대 이태좌 | 제236대 이집 | 제237대 조문명 | |||||
| 제238·239대 서명균 | 제240·241대 김재로 | 제242대 송인명 | 제243대 정석오 | |||||
| 제244대 조현명 | 제245대 김약로 | 제246대 조현명 | 제247대 이종성 | |||||
| 제248·249대 이천보 | 제250대 김상로 | 제251대 신만 | 제252대 김상로 | |||||
| 제253대 신만 | 제254대 이후 | 제255대 홍봉한 | 제256대 정휘량 | |||||
| 제257대 홍봉한 | 제258·259대 윤동도 | 제260대 김상복 | 제261대 김치인 | |||||
| 제262대 윤동도 | 제263대 김치인 | 제264대 한익모 | 제265대 김양택 | |||||
| 제266대 한익모 | 제267대 김양택 | 제268대 김상복 | 제269대 한익모 | |||||
| 제270대 신회 | 제271대 이은 | 제272대 김상철 | 제273대 이은 | |||||
| 제274대 김상철 | 제275대 이은 | 제276대 김상철 | 제277대 이은 | |||||
| 제278대 이사관 | 제279대 홍인한 | 제280대 이사관 | 제281대 이은 | |||||
| 제282대 신회 | ||||||||
| 제283대 김상철 | 제284대 정존겸 | 제285대 서명선 | 제286대 홍낙순 | |||||
| 제287대 이은 | 제288대 서명선 | 제289대 홍낙성 | 제290대 이복원 | |||||
| 제291대 홍낙성 | 제292대 이복원 | 제293대 홍낙성 | 제294대 이복원 | |||||
| 제295대 이재협 | 제296대 이성원 | 제297대 이재협 | 제298대 채제공 | |||||
| 제299대 김종수 | 제300·301대 김이소 | 제302대 유언호 | 제303대 채제공 | |||||
| 제304대 이병모 | 제305대 심환지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58대 류봉휘 | 제259대 조태억 | 제260대 정호 | 제261대 민진원 | |||||
| 제262대 이관명 | 제263대 홍치중 | 제264대 조도빈 | 제265대 이의현 | |||||
| 제266대 홍치중 | 제267대 심수현 | 제268대 오명항 | 제269대 이태좌 | |||||
| 제270대 이집 | 제271대 조문명 | 제272대 서명균 | 제273대 김흥경 | |||||
| 제274대 송인명 | 제275대 유척기 | 제276대 송인명 | 제277·278대 조현명 | |||||
| 제279대 정석오 | 제280대 민응수 | 제281대 김약로 | 제282대 정우량 | |||||
| 제283대 이천보 | 제284대 김상로 | 제285대 조재호 | 제286대 신만 | |||||
| 제287대 이후 | 제288대 신만 | 제289대 이후 | 제290대 민백상 | |||||
| 제291대 홍봉한 | 제292대 정휘량 | 제293대 윤동도 | 제294대 김상복 | |||||
| 제295대 김치인 | 제296대 서지수 | 제297대 김치인 | 제298대 김양택 | |||||
| 제299대 김상철 | 제300대 이창의 | 제301대 김상철 | 제302대 이은 | |||||
| 제303대 신회 | 제304대 이사관 | 제305대 원인손 | 제306대 이사관 | |||||
| 제307대 원인손 | 제308대 이사관 | 제309대 원인손 | 제310대 이사관 | |||||
| 제311대 홍인한 | 제312대 이사관 | 제313대 이은 | ||||||
| 제314대 정존겸 | 제315대 서명선 | 제316대 정홍순 | 제317대 홍낙순 | |||||
| 제318·319대 이휘지 | 제320대 이복원 | 제321대 김익 | 제322대 이복원 | |||||
| 제323·324대 김익 | 제325대 조경 | 제326대 유언호 | 제327대 이성원 | |||||
| 제328대 채제공 | 제329·330대 김종수 | 제331대 박종악 | 제332대 김이소 | |||||
| 제333대 김희 | 제334대 이병모 | 제335대 채제공 | 제336대 윤시동 | |||||
| 제337대 이병모 | 제338대 심환지 | 제339대 이시수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순조 ~ 고종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06대 이시수 | 제307대 서용보 | 제308대 이시수 | 제309대 서매수 | |||||
| 제310대 이경일 | 제311대 한용구 | 제312대 서용보 | 제313대 이시수 | |||||
| 제314대 김재찬 | 제315대 한용구 | 제316대 김재찬 | 제317대 김사목 | |||||
| 제318대 남공철 | 제319·320대 이상황 | 제321대 이존수 | 제322-324대 이상황 | |||||
| 제325대 심상규 | 제326대 홍석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26대 홍석주 | 제327대 박종훈 | 제328대 김홍근 | |||||
| 제329대 정원용 | 제330대 권돈인 | 제331·332대 김도희 | }}} | |||||
|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3대 정원용 | 제334대 김흥근 | 제335대 박영원 | |||||
| 제336대 이헌구 | 제337대 김도희 | 제338대 조두순 | 제339대 박회수 | |||||
| 제340대 조두순 | 제341대 박회수 | 제342대 조두순 | 제343대 조두순 | |||||
| 제344대 이유원 | 제345대 김병학 | 제346대 강로 | 제347대 이최응 | |||||
| 제348·349대 김병국 | 제350대 송근수 | 제351대 김병국 | 제352대 이재원 | |||||
| 제353대 김홍집 | 제354대 김병시 | 제355대 김홍집 | 제356대 김병시 | |||||
| 제357대 김홍집 | 제358대 조병세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40대 서용보 | 제341대 김관주 | 제342대 이경일 | 제343대 김달순 | |||||
| 제344대 서용보 | 제345대 김재찬 | 제346대 김사목 | 제347대 남공철 | |||||
| 제348대 임한호 | 제349대 이서구 | 제350대 심상규 | 제351대 이존수 | |||||
| 제352대 정만석 | 제353대 김이교 | 제354·355대 박종훈 | ||||||
| 제354·355대 박종훈 | 제356대 이지연 | 제357대 조인영 | 제358대 정원용 | |||||
| 제359대 권돈인 | 제360대 김도희 | 제361대 박회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2대 박영원 | 제363대 김좌근 | 제364-366대 조두순 | }}} | ||||
| 제367대 이경재 | 제368대 임백경 | 제369대 류후조 | 제370대 홍순목 | |||||
| 제371대 한계원 | 제372대 박규수 | 제373대 김병국 | 제374대 김병덕 | |||||
| 제375대 심순택 | 제376대 홍영식 | 제377대 김병시 | 제378대 김유연 | |||||
| 제379-382대 조병세 | 제378대 정범조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rowcolor=#f0ad73> 이름 | 시호 | 임명 | 종파 | 비고 |
| [ruby(김, ruby=金)][ruby(전, ruby=詮)] | [ruby(충, ruby=忠)][ruby(정, ruby=貞)] | 1519 | 내자시윤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근, ruby=謹)][ruby(사, ruby=思)] | - | 1533 | 도관찰사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안, ruby=安)][ruby(로, ruby=老)] | - | 1534 | 내자시윤공파 | 중종 |
| [ruby(김, ruby=金)][ruby(익, ruby=熤)] | [ruby(문, ruby=文)][ruby(정, ruby=貞)] | 1782 | 내자시윤공파 | 정조 |
| [ruby(김, ruby=金)][ruby(재, ruby=載)][ruby(찬, ruby=瓚)] | [ruby(문, ruby=文)][ruby(충, ruby=忠)] | 1807 | 내자시윤공파 | 순조 |
| [ruby(김, ruby=金)][ruby(유, ruby=有)][ruby(연, ruby=淵)] | [ruby(정, ruby=貞)][ruby(익, ruby=翼)] | 1882 | 내자시윤공파 | 고종 |
| 조선 문과 장원 급제자 |
| <rowcolor=#f0ad73> 이름 | 급제 | 종파 |
| [ruby(김, ruby=金)][ruby(흔, ruby=訢)] | 1471 신묘 별시 갑과 장원 (1/9)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전, ruby=詮)] | 1489 기유 식년시 갑과 장원 (1/33)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안, ruby=安)][ruby(로, ruby=老)] | 1506 병인 별시 갑과 장원 (1/17)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운, ruby=雲)][ruby(장, ruby=長)] | 1639 기묘 식년시 갑과 장원 (1/33)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상, ruby=相)][ruby(옥, ruby=玉)] | 1709 기축 알성시 갑과 장원 (1/5) | 직강공파 |
| [ruby(김, ruby=金)] [ruby(필, ruby=釒弼)] | 1829 기축 정시 갑과 장원 (1/42)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민, ruby=民)][ruby(수, ruby=秀)] | 1860 경신 정시 갑과 장원 (1/19) | 내자시윤공파 |
| [ruby(김, ruby=金)][ruby(의, ruby=懿)][ruby(수, ruby=秀)] | 1888 무자 식년시 갑과 장원 (1/34) | 내자시윤공파 |
| 조선 무과 장원 급제자 |
| <rowcolor=#f0ad73> 이름 | 급제 | 종파 |
| [ruby(김, ruby=金)][ruby(세, ruby=世)][ruby(공, ruby=功)] | 1552 임자 식년시 갑과 장원 (1/30) | 직강공파 |
| [ruby(김, ruby=金)][ruby(암, ruby=巖)] | 1582 임오 식년시 갑과 장원 (1/?) | 직강공파 |
3.3.1. 14세기~16세기
{{{#!folding [ 14세기 ~ 16세기 조선 ]* 조선 초대 국왕 태조 조선 개국(1392) : 이성계가 개경의 수창궁에서 왕위에 올라 조선을 건국한다.[55]
* 제1차 왕자의 난(1398) : 정안군 이방원(李芳遠)을 위시한 신의왕후 소생 왕자들과 그 추종자들이 반정을 일으켜 세자 이방석(李芳碩),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했다.* 조선 제2대 국왕 정종 즉위(1398) : 왕자의 난 후 태조의 차남 영안군 이방과(李芳果)가 세자로 책봉되었고, 얼마안가 태조가 양위하자 왕위에 올랐다.
* 제2차 왕자의 난(1400) : 회안공 이방간(李芳幹)이 정안공 이방원의 왕위 승계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했다.* 조선 제3대 국왕 태종 즉위(1400) : 정안공 이방원이 박포의 난 후 형의 아들이 되어 세자로 책봉되었고, 몇 개월 후 정종이 양위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했다.* 조선 제4대 국왕 세종 즉위(1418) : 태종의 3남 충녕대군(忠寧大君) 이도(李祹)는 동복형이자 부왕의 적장남인 세자 이제(李禔)가 양녕대군(讓寧大君)이라는 군호를 받음과 함께 폐세자되며 새 세자로 책봉되었고, 약 2달 뒤 아버지로부터 양위받아 조선의 임금으로 즉위했다.
* 대마도 정벌
* 4군 6진 개척* 조선 제5대 국왕 문종 즉위(1450) : 원자 이향(李珦)은 세종 3년(1421) 세자로 책봉되었고, 세종 27년(1445)부터 세종 32년(1450)까지 대리청정을 하다가 세종이 승하하자 1450년 조선 국왕으로 즉위했다.* 조선 제6대 국왕 단종 즉위(1452) : 세종의 적장손, 문종의 적장남인 이홍위(李弘暐)는 원손-왕세손-왕세자를 차례로 거쳐 부왕의 승하 후 임금으로 즉위했다.
* 계유정난* 조선 제7대 국왕 세조 즉위(1455) : 세종의 차남 이유(李瑈)는 문종의 승하 후 계유정난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조카 단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조선의 7대 임금으로 즉위했다.* 조선 제8대 국왕 예종 즉위(1468) : 수양대군과 낙랑부대부인 윤씨의 차남으로 태어난 이황(李晄)은 세조 원년(1455) 아버지의 즉위로 해양대군(海陽大君)에 봉해졌다. 차남인데다 형에게 아들 월산대군(月山大君)이 있는만큼 본래는 왕위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세조 3년(1457) 맏형 세자가 만 19세의 나이로 급사하자 세자로 책봉되었고, 부왕이 승하하기 하루 전인 세조 14년(1468) 9월 7일 세조로부터 양위받아 조선의 8대 임금이 되었다.}}} 태조 태종 세종 치세는 국가의 기틀이 되는 주요 제도들이 정립되고, 한편으로는 고유의 민족 문화가 최고로 발달한 시기였다. 또한, 영토 확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에 있던 여진족들을 강 너머로 내쫓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의 강역을 완성한다. 양효공 김효성도 이 과정에서 공을 세운다.
* 제1차 왕자의 난(1398) : 정안군 이방원(李芳遠)을 위시한 신의왕후 소생 왕자들과 그 추종자들이 반정을 일으켜 세자 이방석(李芳碩), 정도전(鄭道傳) 일파를 제거했다.* 조선 제2대 국왕 정종 즉위(1398) : 왕자의 난 후 태조의 차남 영안군 이방과(李芳果)가 세자로 책봉되었고, 얼마안가 태조가 양위하자 왕위에 올랐다.
* 제2차 왕자의 난(1400) : 회안공 이방간(李芳幹)이 정안공 이방원의 왕위 승계에 불만을 품고 난을 일으켰으나 진압당했다.* 조선 제3대 국왕 태종 즉위(1400) : 정안공 이방원이 박포의 난 후 형의 아들이 되어 세자로 책봉되었고, 몇 개월 후 정종이 양위하자 그 뒤를 이어 즉위했다.* 조선 제4대 국왕 세종 즉위(1418) : 태종의 3남 충녕대군(忠寧大君) 이도(李祹)는 동복형이자 부왕의 적장남인 세자 이제(李禔)가 양녕대군(讓寧大君)이라는 군호를 받음과 함께 폐세자되며 새 세자로 책봉되었고, 약 2달 뒤 아버지로부터 양위받아 조선의 임금으로 즉위했다.
* 대마도 정벌
* 4군 6진 개척* 조선 제5대 국왕 문종 즉위(1450) : 원자 이향(李珦)은 세종 3년(1421) 세자로 책봉되었고, 세종 27년(1445)부터 세종 32년(1450)까지 대리청정을 하다가 세종이 승하하자 1450년 조선 국왕으로 즉위했다.* 조선 제6대 국왕 단종 즉위(1452) : 세종의 적장손, 문종의 적장남인 이홍위(李弘暐)는 원손-왕세손-왕세자를 차례로 거쳐 부왕의 승하 후 임금으로 즉위했다.
* 계유정난* 조선 제7대 국왕 세조 즉위(1455) : 세종의 차남 이유(李瑈)는 문종의 승하 후 계유정난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조카 단종으로부터 양위를 받아 조선의 7대 임금으로 즉위했다.* 조선 제8대 국왕 예종 즉위(1468) : 수양대군과 낙랑부대부인 윤씨의 차남으로 태어난 이황(李晄)은 세조 원년(1455) 아버지의 즉위로 해양대군(海陽大君)에 봉해졌다. 차남인데다 형에게 아들 월산대군(月山大君)이 있는만큼 본래는 왕위계승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세조 3년(1457) 맏형 세자가 만 19세의 나이로 급사하자 세자로 책봉되었고, 부왕이 승하하기 하루 전인 세조 14년(1468) 9월 7일 세조로부터 양위받아 조선의 8대 임금이 되었다.}}} 태조 태종 세종 치세는 국가의 기틀이 되는 주요 제도들이 정립되고, 한편으로는 고유의 민족 문화가 최고로 발달한 시기였다. 또한, 영토 확장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이남에 있던 여진족들을 강 너머로 내쫓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지금까지 이어지는 '한반도'의 강역을 완성한다. 양효공 김효성도 이 과정에서 공을 세운다.
- 대장군공계 7세 김자지(金自知, 1367 ~ 1435)
{{{#!folding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개성부유후사유후(開城府留後司留後) 문정공(文靖公) 김자지(金自知)]
{{{#!folding [태종 등 20인과 '사생(死生)을 같이 한다.'는 정미갑계(丁未甲契)를 맺다.]
덕수 이씨 춘당(春塘) 이양(李揚)[56] 및 연안 김씨 문정공 김자지의 족보에 갑계 계첩이 실려있다. 이 계첩을 통해 그가 조선 건국 후 정안군과 나쁘지 않은 사이[57]로 지냈음을 추측해볼 수 있다. 이 동갑례가 치러진 정확한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태종의 잠저 시절이라 하며, 한나라 개국공신을 언급한 어제시의 내용으로 보아 이 갑계는 조선 건국 후, 태종 즉위 전인 1392 ~ 1400 즈음에 맺어진 것으로 보인다. 전주 류씨 영흥공파 파조 류빈(柳濱)의 기록에 따르면, 태종이“이 정미생 20명은 모두 나의 개국공신이다. 후손이 비록 못났더라도 정역을 면제할 것이며, 쓸만한 인재는 등용해야 한다.” |
라는 수교를 내렸다. 이어 태종은
“이들의 후손들에게 징병과 부역을 면하고, 계원들의 묘는 임금과 같이 능으로 하라.”[58] |
라고 명령을 내렸다고 한다. 또는
”나는 비록 왕이 되었지만 나와 동문수학한 그대들도 똑같은 군졸을 가져야 한다.“ |
召黃喜、孟思誠、權軫、許稠、申商、鄭招、尹淮等, 命安崇善議事, (中略) 其五曰: "我非私厚李揚也。 太宗同庚誓文曰: ‘[ruby(死, ruby=사)][ruby(生, ruby=생)][ruby(同, ruby=동)][ruby(之, ruby=지)]。’ 揚別無才能, 超授堂上官。 昔年入朝時, 犯法奪職, 今已九年, 欲還給職牒, 何如?" (下略) 황희(黃喜)·맹사성·권진(權軫)·허조(許稠)·신상·정초(鄭招)·윤회(尹淮) 등을 불러서 안숭선(安崇善)에게 명하여 일을 의논하도록 했는데, (중략) 그 다섯째는, 내가 이양(李揚)을 사사로이 후대하는 것이 아니다. 태종의 동경 서문(同庚誓文)에, '사생(死生)을 같이 한다.'고 하였다. 이양은 별다르게 재능이 없는데도 당상관(堂上官)으로 등급을 뛰어서 임명되었는데, 옛날에 중국에 들어가 조회할 때에 법을 범하여 관직을 삭탈당한 지 지금 벌써 9년이 되었다. 그 직첩(職牒)을 도로 주고자 하는데 어떻겠는가?" (하략) |
한편 전의인(全義人) 효정공(孝靖公) 이정간(李貞幹)이 지극한 효심으로 70세에 90대의 노모 앞에서 색동 옷을 입고 재롱을 부린 일이 있었는데 문정공이 이 일을 치하하며 지은 오언절구가 《동문선》에 전한다. 이 동문선은 성종의 명으로 편찬된 것으로, 당시 대제학 서거정(徐居正)을 비롯한 노사신(盧思愼) · 강희맹(姜希孟)[60] · 양성지(梁誠之) 등 23인의 찬집관이 편찬에 참여했다.
{{{#!folding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東文選)》 제5권에 실린 시]
[ruby(賀, ruby=하)][ruby(李, ruby=이)][ruby(中, ruby=중)][ruby(樞, ruby=추)][ruby(貞, ruby=정)][ruby(幹, ruby=간)][ruby(年, ruby=연)][ruby(七, ruby=칠)][ruby(十, ruby=십)][ruby(壽, ruby=수)][ruby(九, ruby=구)][ruby(十, ruby=십)][ruby(慈, ruby=자)][ruby(親, ruby=친)]김자지(金自知) }}}
[ruby(美, ruby=미)][ruby(哉, ruby=재)][ruby(李, ruby=이)][ruby(相, ruby=상)][ruby(公, ruby=공)] 아름답다, 이 상공이여
[ruby(盛, ruby=성)][ruby(事, ruby=사)][ruby(誰, ruby=유)][ruby(敢, ruby=감)][ruby(駢, ruby=병)] 이 성한 일은 누가 감히 견주리
[ruby(慈, ruby=자)][ruby(親, ruby=친)][ruby(在, ruby=재)][ruby(高, ruby=고)][ruby(堂, ruby=당)] 자친이 높은 고당에 계시어
[ruby(九, ruby=구)][ruby(十, ruby=십)][ruby(猶, ruby=유)][ruby(康, ruby=강)][ruby(寧, ruby=녕)] 90세에도 오히려 강녕하여라
[ruby(養, ruby=양)][ruby(志, ruby=지)][ruby(固, ruby=고)][ruby(子, ruby=자)][ruby(職, ruby=직)] 뜻을 봉양하는 것이 진실로 자식의 직분이니
[ruby(色, ruby=색)][ruby(難, ruby=난)][ruby(著, ruby=저)][ruby(於, ruby=어)][ruby(經, ruby= 경)] 얼굴빛 가지기 어려움이 경서에 써 있다
[ruby(怡, ruby=이)][ruby(愉, ruby=유)][ruby(奉, ruby=봉)][ruby(晨, ruby=신)][ruby(夕, ruby=석)] 기쁘고 화한 빛으로 아침저녁 받들어
[ruby(鬢, ruby=빈)][ruby(髮, ruby=발)][ruby(垂, ruby=수)][ruby(星, ruby=성)][ruby(星, ruby=성)] 살쩍이 희뜩희뜩 세었다
[ruby(時, ruby=시)][ruby(以, ruby=이)][ruby(具, ruby=구)][ruby(八, ruby=팔)][ruby(珍, ruby=진)] 때마침 팔진미를 갖추고
[ruby(擧, ruby=거)][ruby(觴, ruby=상)][ruby(稱, ruby=칭)][ruby(遐, ruby=하)][ruby(齡, ruby=령)] 잔을 들어 하령을 축수한다
[ruby(七, ruby=칠)][ruby(旬, ruby=순)][ruby(綵, ruby=채)][ruby(衣, ruby=의)][ruby(舞, ruby=무)] 칠순 나이에 채의로 춤을 추니
[ruby(風, ruby=풍)][ruby(彩, ruby=채)][ruby(照, ruby=조)][ruby(羅, ruby=라)][ruby(屏, ruby=병)] 풍채가 비단 병풍에 미친다
[ruby(淸, ruby=청)][ruby(謌, ruby=가)][ruby(閒, ruby=간)][ruby(琴, ruby=금)][ruby(瑟, ruby=슬)] 맑은 노래에 금슬로 사이하니
[ruby(裊, ruby=뇨)][ruby(裊, ruby=뇨)][ruby(徹, ruby=철)][ruby(冥, ruby=명)][ruby(冥, ruby=명)] 길게 끄는 남은 소리 공중에 사무친다
[ruby(群, ruby=군)][ruby(孫, ruby=손)][ruby(摠, ruby=총)][ruby(振, ruby=진)][ruby(振, ruby=진)] 여러 손자가 모두 인후하여
[ruby(迭, ruby=질)][ruby(獻, ruby=헌)][ruby(仍, ruby=잉)][ruby(醉, ruby=취)][ruby(醒, ruby=성)] 번갈아 잔을 드려 취했다 깨었다 한다
[ruby(歡, ruby=환)][ruby(忻, ruby=흔)][ruby(樂, ruby=락)][ruby(云, ruby=운)][ruby(多, ruby=다)] 기쁨도 즐거움도 많아
[ruby(和, ruby=화)][ruby(氣, ruby=기)][ruby(浮, ruby=부)][ruby(罍, ruby=뢰)][ruby(缾, ruby=병)] 화한 기분이 잔과 병에 뜬다
[ruby(一, ruby=일)][ruby(家, ruby=가)][ruby(自, ruby=자)][ruby(位, ruby=위)][ruby(育, ruby=육)] 한 집이 스스로 위육이요
[ruby(增, ruby=증)][ruby(輝, ruby=휘)][ruby(惟, ruby=유)][ruby(德, ruby=덕)][ruby(馨, ruby=성)] 광채를 더하기는 덕의 향기로다
[ruby(如, ruby=여)][ruby(公, ruby=공)][ruby(古, ruby=고)][ruby(亦, ruby=역)][ruby(少, ruby=소)] 공 같은 이 예전에도 적으니
[ruby(終, ruby=종)][ruby(當, ruby=당)][ruby(紀, ruby=기)][ruby(汗, ruby=한)][ruby(靑, ruby=청)] 마땅히 청사에 기록하리라
한국고전종합DB > 고전번역서 > 동문선 > 동문선 제5권 > 오언고시 > 최종정보
동문선 제5권 / 오언고시(五言古詩)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uby(太, ruby=태)][ruby(宗, ruby=종)][ruby(大, ruby=대)][ruby(王, ruby=왕)] [ruby(丁, ruby=정)][ruby(未, ruby=미)] [ruby(甲, ruby=갑)][ruby(稧, ruby=계)] [ruby(御, ruby=어)][ruby(製, ruby=제)][ruby(詩, ruby=시)] [ruby(漢, ruby=한)][ruby(封, ruby=봉)][ruby(二, ruby=이)][ruby(八, ruby=팔)][ruby(大, ruby=대)][ruby(功, ruby=공)][ruby(臣, ruby=신)] | |||
| [ruby(甲, ruby= 갑)][ruby(契, ruby=계)][ruby(案, ruby=안)] | ||||
| 太宗大王 丁未 五月十六日 정안군(靖安君) 이방원 5월16일 | ||||
| 李仲卿 正月十六日 陜川人 예조판서 이중경 1월16일 합천인 | 李伯含 正月二十日 完山人 완산군(完山君) 이백함 1월20일 완산인 | 李陟 三月二十九日 茂州人 직제학 이척 3월29일 무주인 | 閔壽山 四月二十六日 驪興人 돈령 민수산 4월26일 여흥인 | |
| 張允和 六月初一日 丹陽人 증 호조판서 장윤화 6월초1일 단양인 | 黃允正 六月十一日 鐵原人 감사 황윤정 6월11일 철원인 | 曺致 七月初一日 昌寧人 필선 조치 7월초1일 창녕인 | 朴礎 七月十三日 咸陽人 이조판서 박초 7월13일 함양인 | |
| 權希達 八月初六日安東人 지중추원사 위려공(威戾公) 권희달 8월초6일 안동인 | 李揚 八月十三日 德水人 증 공조판서 이양 8월13일 덕수인 | 李伯有 八月十九日 全陵人 양후공(良厚公) 완성군(完城君) 이백유 8월19일 전능인 | 卓愼 九月十三日 光州人 참찬 문정공(文貞公) 탁신 9월13일 광주인 | |
| 朴翶 九月十七日 竹山人 참판 박고 9월17일 죽산인 | 柳善 九月二十五日 文化人 감찰 류선 9월25일 문화인 | 朴實 十月初三日 咸揚人 병조판서 정효공(靖孝公) 박실 10월초3일 함양인 | 柳濱 十月二十七日 全州人 교리 류빈 10월27일 전주인 | |
| 金素 十一月二十一日 彦陽人 감사 김소 11월21일 언양인 | 徐選 十二月十四日 利川人 한성판윤 공도공(恭度公) 서선 12월14일 이천인 | 金自知 十二月十七日 延安人 형조판서 문정공(文靖公) 김자지 12월17일 연안인 | 林滌 十二月二十日 羅州人 어사 임척 12월20일 나주인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자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자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1370 ~ 1425)
{{{#!folding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의정부좌참찬(議政府左參贊) 문익공(文翼公) 김여지(金汝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여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여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7세 김치지(金致知, ~ )
- [정3품(正三品) 통○대부(通○大夫) 예빈시윤(禮賓寺尹) 김치지(金致知)]
* 대장군공계 7세 김학지(金學知, ~ )
- [정2품(正二品) 자헌대부(資憲大夫) 행(行) 황해도관찰사(黃海道觀察使) 겸(兼) 해주목사(海州牧使) 김학지(金學知)]
*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파조) 8세 김선(金善, 1359 ~ 1419)
-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공조판서(工曹判書) 김선(金善)]
* 대장군공계 재령군수공파(파조) 8세 김잉(金仍, ~ )
- [정3품(正三品) 통훈대부(通訓大夫) 재령군수(載寧郡守) 김잉(金仍)]
* 대장군공계 정선공파(파조) 8세 김하(金何, ~ 1462)
-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정선공(靖宣公) 김하(金何)]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파조) 8세 김해(金侅, ~ )
- [종3품(從三品) 중○대부(中○大夫) 내자시윤(内資寺尹) 김해(金侅)]
- 세종실록90권, 세종 22년(1440) 7월 22일 임술 1번째기사 토산 현감 김해가 하직하다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파조) 8세 김수(金修, ? ~ ?)
- [음(蔭) 종2품(從二品)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원부사(同知中樞院副使) 황해도도관찰사(黃海道都觀察使) 김수(金修)]
- 이조참판(吏曹參判)
* 대장군공계 직강공파(파조) 8세 김승(金昇, ? ~ 1464)
{{{#!folding [정4품(正四品) 봉정대부(奉正大夫) 성균관직강지제교(成均館直講知製敎) 김승(金昇)]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장군공계 사간공파(파조) 8세 김지(金漬, ? ~ ?)
- [정6품(正六品) 승○랑(承○郎) 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 김지(金漬)]
- 한림(翰林) 세조 2년(1456) 병자(丙子) 식년시 병과(丙科) 5위(08/33)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9세 김남수(金南秀, 1350 ~ 1423)
-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판좌군도총제부사(判左軍都摠制府事) 장양공(莊襄公) 김남수(金南秀)]
- #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9세 김로(金輅, 1355 ~ 1416)
{{{#!folding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연성군(延城君) 공경공(恭頃公) 김로(金輅)]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 좌명개국공신 (1등) |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 이직 | | 함부림 |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 한상경 | 한충 |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8년 9월 17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 정사일등공신 (1등) | ||||||||
| 김사형 | | 이무 | | |||||
| 이방원 | 이방의 | 이애 | 이화 | |||||
| | 조영무 | 조준 | 하륜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정사이등공신 (2등) | |||
| 김로 | | | | |||||
| 신극례 | 심종 | 이복근 | | |||||
| 이양우 | 이지란 | 이천우 | | |||||
| 장사길 | | 장철 | 정탁 | |||||
| 조온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로(1355)#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로(135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9세 김만수(金萬壽, ? ~ 1421)
-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좌군도총제(左軍都摠制) 장양공(莊襄公) 김만수(金萬壽)]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9세 김우신(金友臣, 1424 ~ 1510)
- [정2품(正二品)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호간공(胡簡公) 김우신(金友臣)]
- 증(贈)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겸(兼) 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9세 김제신(金悌臣, 1438 ~ 1499)
- [종2품(從二品) 대부(大夫) 예조참판(禮曹參判) 김제신(金悌臣)]
*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9세 김석철(金錫哲, ? ~ 1533)
- [정2품(正二品) 자헌대부(資憲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공(●●公) 김석철(金錫哲)]
- 정2품 이상의 대신이 졸하면 시호가 내려지게 되어있고, 석철은 관직이 정2품 자헌대부에 이르렀으므로 마땅히 시호가 주어졌어야 하지만 시호가 알려지지 않았다. 족보는 [ruby(諡, ruby=시)] [ruby(失, ruby=실)][ruby(傳, ruby=전)]이라 기록하고 있다.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김원신(金元臣, ? ~ ?)
{{{#!folding [종2품(從二品) 가선대부(嘉善大夫) 행(行) 안동대도호부사(安東大都護府使) 김원신(金元臣)]
김수의 장남 원신 # 증(贈)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김창신(金彰臣, ? ~ ?)
{{{#!folding [정3품(正三品) 통○대부(通○大夫) 재령군수(載寧郡守) 김창신(金彰臣)]
김수의 차남 창신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김한신(金漢臣, ? ~ ?)
{{{#!folding [김한신(金漢臣)]
김수의 3남 한신 생원 성종 3년(1472) 임진(壬辰) 식년시 [생원] 3등 43위(73/100)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김개신(金愷臣, ~ )
{{{#!folding [김개신(金愷臣)]
김수의 4남 개신 진사 성종 14년(1483) 계묘(癸卯) 식년시 [진사] 3등 11위(41/100)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덕원군부인 / 양원군부인 김씨(德源郡夫人 / 梁源郡夫人 金氏, ~ )
{{{#!folding [의창군(義昌君)의 부인 정1품(正一品) 덕원군부인(德源郡夫人) / 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장군공계 재령군수공파 9세 김차산(金次山, ~ )
- [충문공(忠文公) 성삼문(成三問)의 부인 증(贈) 정2품(正二品) 정부인(貞夫人) 김차산(金次山)]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장군공계 연안부사공파 홍원종중 9세 김한려(金漢礪, ~)
{{{#!folding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연성군(延城君) 김한려(金漢礪)]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김효성(金孝誠, 1385 ~ 1454)
{{{#!folding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행(行) 판중추원사(判中樞院事) 연산군(延山君) 양효공(襄孝公) 김효성(金孝誠)]
}}}
}}}}}}}}} ||
자세한 내용은 김효성(1385) 문서
* 대장군공계 중추부사공파 10세 김봉(金崶, ? ~ 1512)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심(金諶, 1445 ~ 1502)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 ~ 1436)[壯元][淸]
자세한 내용은 김흔(조선) 문서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1458 ~ 1523)[壯元][右][領][淸]
자세한 내용은 김전 문서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김감(金勘, 1466 ~ 1509)
}}}}}}}}} ||
자세한 내용은 김감 문서
* 대장군공계 사간공파 10세 김확(金擴, ~ )[廉]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김처의(金處義, ~ 1465)
}}}}}}}}} ||
자세한 내용은 김처의 문서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1세 김근사(金謹思, 1466 ~ 1539)[右][左][領]
자세한 내용은 김근사 문서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1481 ~ 1537)[壯元][右][左]
자세한 내용은 김안로 문서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성부부인 김씨(延城府夫人 金氏, ~ )
관련 문서: 영응대군
*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1세 김세공(金世功, ? ~ 선조 병진년[76])[武魁]
{{{#!folding [정3품(正三品) 절충장군(折衝將軍)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 김세공(金世功)]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53년 11월 8일 단종에 의해 책록 | |||||||
|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 (1등) | ||||||||
| 권람 | 김효성 | 박종우 | 박중손 | |||||
| 이계전 | 이사철 | 이유 | 정인지 | |||||
| 최항 | 한명회 | 한확 | 홍달손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수충협책정난공신 (2등) | |||
| 곽연성 | 권준 | 류수 | 류하 | |||||
| 봉석주 | 신숙주 | | 엄자치 | |||||
| 윤사윤 | 전균 | 홍윤성 | ||||||
| 수충정난공신 (3등) | ||||||||
| 강곤 | 권경 | 권언 | | |||||
| 류사 | 류서 | 류자환 | 설계조 | |||||
| 성삼문 | 송익손 | 안경손 | 이몽가 | |||||
| 이예장 | 이흥상 | 임자번 | | |||||
| 한명진 | 한서구 | 홍순로 | 홍순손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효성(1385)#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효성(1385)#|]]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중추부사공파 10세 김봉(金崶, ? ~ 1512)
- [종2품(從二品) 가선대부(嘉善大夫) 예조참판(禮曹參判) 공간공(恭簡公) 김봉(金崶)]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심(金諶, 1445 ~ 1502)
- [정2품(正二品) 자헌대부(資憲大夫)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문정공(文貞公) 김심(金諶)]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 ~ 1436)[壯元][淸]
- [정3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 공조참의(工曹參議) 문광공(文匡公) 김흔(金訢)]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흔(조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흔(조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1458 ~ 1523)[壯元][右][領][淸]
-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충정공(忠貞公) 김전(金詮)]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48대 류순 | 제49대 박원종 | 제50대 김수동 | 제51대 류순정 | |
| 제52대 성희안 | 제53대 송질 | 제54대 류순 | 제55대 정광필 | |
| 제56대 김전 | 제57대 남곤 | 제58대 정광필 | 제59대 장순손 | |
| 제60대 한효원 | 제61대 김근사 | 제62대 윤은보 | ||
| 제63대 홍언필 | 제64대 윤인경 | |||
| 제64대 윤인경 | 제65대 홍언필 | 제66대 이기 | 제67대 심연원 | |
| 제68대 상진 | 제69대 윤원형 | 제70대 이준경 | ||
| 제70대 이준경 | 제71대 권철 | 제72대 이탁 | 제73대 홍섬 | |
| 제74대 권철 | 제75대 홍섬 | 제76대 권철 | 제77대 홍섬 | |
| 제78대 박순 | 제79대 노수신 | 제80대 류전 | 제81대 이산해 | |
| 제82대 류성룡 | 제83대 최흥원 | 제84대 류성룡 | 제85대 이원익 | |
| 제86대 윤두수 | 제87대 이원익 | 제88대 이산해 | 제89대 이항복 | |
| 제90대 이덕형 | 제91대 이항복 | 제92대 윤승훈 | 제93대 유영경 | |
| 제94대 이원익 | 제95대 이덕형 | 제96대 이원익 | 제97대 이덕형 | |
| 제98대 기자헌 | 제99대 정인홍 | 제100대 박승종 | ||
| }}}}}}}}} |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 제85대 홍언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 제132대 허욱 |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김감(金勘, 1466 ~ 1509)
- [정1품(正一品)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예조판서(禮曺判書)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문경공(文敬公) 김감(金勘)]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506년 9월 8일 중종에 의해 책록 | |||||||
| 병충분의협책익운정국공신 (1등) | ||||||||
| 박원종 | 홍경주 | | 류순정 | |||||
| 장정 | | 성희안 |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 (2등) | |||
| 이효성 | 최한홍 | 류순 | 이계 | |||||
| 이활 | 심순경 | 윤형로 | 김수동 | |||||
| 이계남 | 변수 | 조계상 | 김감 | |||||
| 구수영 | ||||||||
| 병충분의정국공신 (3등) | ||||||||
| 고수겸 | 류세웅 | 이심 | 민회창 | |||||
| 구현휘 | 신준 | 정미수 | 강혼 | |||||
| 류경 | 김경의 | 윤양로 | 심형 | |||||
| 류계종 | 이식 | 허상 | 백수장 | |||||
| 김우증 | 박건 | 한순 | 김수경 | |||||
| 이함 | 황탄 | 윤사정 | 민희발 | |||||
| 장온 | 이극정 | 이석번 | 송질 | |||||
| 이손 | 정윤겸 | | ||||||
| 분의정국공신 (4등) | ||||||||
| 박이검 | 윤형 | 이종의 | 한사문 | |||||
| 윤탄 | 조세훈 | 박영창 | 이창 | |||||
| 박영분 | 변준 | 신윤문 | 민효증 | |||||
| 이성언 | 이상 | 이맹우 | 김임 | |||||
| 최유정 | 이희옹 | 변사겸 | 홍경림 | |||||
| 김극성 | 이당 | 류홍 | 이성동 | |||||
| 조계은 | 장한공 | | 한숙창 | |||||
| 강지 | 성몽정 | 윤희평 | 성율 | |||||
| 이기 | 박이온 | 손동 | 윤장 | |||||
| 류영 | 류응룡 | 이세응 | 신수린 | |||||
| 윤금손 | 김선 | 신은윤 | 이곤 | |||||
| 성희옹 | 윤여필 | 황맹헌 | 허광 | |||||
| 한세창 | 조원륜 | 강윤희 | 조계형 | |||||
| 문치 | 채수 | 서경생 | 김계공 | |||||
| 김은 | 김무 | 권균 | 김준 | |||||
| 반우형 | 김숙손 | 우정 | 임원산 | |||||
| 송일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감#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사간공파 10세 김확(金擴, ~ )[廉]
- [정3품(正三品) 통훈대부(通訓大夫)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 김확(金擴)]
- 지(漬)의 손자 확은 강릉대도호부사로 재직하던 명종 7년(1552년)), 염근리에 선발되었다. 감확의 최종 관등이 정3품 통훈대부였는지는 알 수 없다. 먼저 김확이 외인 염근인이라고 기술된 실록의 기사에는 확이 강릉부사라고 나오는데, 조선 대부분의 기간 동안 강릉은 대도호부였고, 김확이 염근리로 녹선된 후인 명종 16년(1561)에 우의정 심통원이 강릉대도호부를 강호하지 않기를 건의한 내용이 실록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강릉대도호부사를 줄여 강릉부사라 적은 것으로 보인다. 대도호부 강릉을 관할하는 대도호부사는 정3품직이었고 정3품 상계의 문신은 통정대부(通政大夫)의 산계를, 하계의 문신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산계를 받았다. 확은 염근리에 선발되기 전 이미 통훈대부에 오른 기사가 있으므로 염근리로 뽑힐 당시에는 그대로 통훈대부이거나 그 이상의 산계에 올랐을 것이다. 성종조의 기사를 보면 통정대부 강릉대도호부사에 임명된 구치곤(丘致崐)의 사례가 보이므로 확 역시 뒤에 당상관(통정대부나 그보다 높은 산계를 받으면 당상관이다)가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김처의(金處義, ~ 1465)
- [정3품(正三品) 절충장군(折衝將軍) 상호군(上護軍) 지중추원사(知中樞院事) 연산군(延山君) 김처의(金處義)]
| |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453년 11월 8일 단종에 의해 책록 | |||||||
|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 (1등) | ||||||||
| 권람 | 김효성 | 박종우 | 박중손 | |||||
| 이계전 | 이사철 | 이유 | 정인지 | |||||
| 최항 | 한명회 | 한확 | 홍달손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수충협책정난공신 (2등) | |||
| 곽연성 | 권준 | 류수 | 류하 | |||||
| 봉석주 | 신숙주 | | 엄자치 | |||||
| 윤사윤 | 전균 | 홍윤성 | ||||||
| 수충정난공신 (3등) | ||||||||
| 강곤 | 권경 | 권언 | | |||||
| 류사 | 류서 | 류자환 | 설계조 | |||||
| 성삼문 | 송익손 | 안경손 | 이몽가 | |||||
| 이예장 | 이흥상 | 임자번 | | |||||
| 한명진 | 한서구 | 홍순로 | 홍순손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처의#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처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1세 김근사(金謹思, 1466 ~ 1539)[右][左][領]
-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김근사(金謹思)]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48대 류순 | 제49대 박원종 | 제50대 김수동 | 제51대 류순정 | |
| 제52대 성희안 | 제53대 송질 | 제54대 류순 | 제55대 정광필 | |
| 제56대 김전 | 제57대 남곤 | 제58대 정광필 | 제59대 장순손 | |
| 제60대 한효원 | 제61대 김근사 | 제62대 윤은보 | ||
| 제63대 홍언필 | 제64대 윤인경 | |||
| 제64대 윤인경 | 제65대 홍언필 | 제66대 이기 | 제67대 심연원 | |
| 제68대 상진 | 제69대 윤원형 | 제70대 이준경 | ||
| 제70대 이준경 | 제71대 권철 | 제72대 이탁 | 제73대 홍섬 | |
| 제74대 권철 | 제75대 홍섬 | 제76대 권철 | 제77대 홍섬 | |
| 제78대 박순 | 제79대 노수신 | 제80대 류전 | 제81대 이산해 | |
| 제82대 류성룡 | 제83대 최흥원 | 제84대 류성룡 | 제85대 이원익 | |
| 제86대 윤두수 | 제87대 이원익 | 제88대 이산해 | 제89대 이항복 | |
| 제90대 이덕형 | 제91대 이항복 | 제92대 윤승훈 | 제93대 유영경 | |
| 제94대 이원익 | 제95대 이덕형 | 제96대 이원익 | 제97대 이덕형 | |
| 제98대 기자헌 | 제99대 정인홍 | 제100대 박승종 | ||
| }}}}}}}}} | ||||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 제85대 홍언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 제132대 허욱 |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근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근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1481 ~ 1537)[壯元][右][左]
-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 김안로(金安老)]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중종 ~ 광해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65대 김수동 | 제66대 박원종 | 제67대 류순정 | 제68대 성희안 | ||||||
| 제69대 송질 | 제70대 정광필 | 제71대 김응기 | 제72대 신용개 | ||||||
| 제73대 안당 | 제74대 남곤 | 제75대 이유청 | 제76대 정광필 | ||||||
| 제77대 심정 | 제78대 이행 | 제79대 장순손 | 제80대 한효원 | ||||||
| 제81대 김근사 | 제82대 김안로 | 제83대 윤은보 | 제84대 류부 | ||||||
| 제85대 홍언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85대 홍언필 | 제86대 윤인경 | 제87대 류관 | }}} | |||||
| 제88대 성세창 | 제89대 이기 | 제90대 홍언필 | 제91대 윤인경 | ||||||
| 제92대 황헌 | 제93대 심연원 | 제94대 상진 | 제95대 윤개 | ||||||
| 제96대 안현 | 제97대 이준경 | 제98대 심통원 | 제99대 이명 | ||||||
| 제100대 권철 | 제101대 홍섬 | 제102대 박순 | 제103대 이탁 | ||||||
| 제104대 박순 | 제105대 홍섬 | 제106대 노수신 | 제107대 김귀영 | ||||||
| 제108대 정유길 | 제109대 노수신 | 제110대 정유길 | 제111대 류전 | ||||||
| 제112대 이산해 | 제113대 정철 | 제114대 류성룡 | 제115대 최흥원 | ||||||
| 제116대 윤두수 | 제117대 유홍 | 제118대 김응남 | 제119대 윤두수 | ||||||
| 제120대 이원익 | 제121대 이덕형 | 제122대 이항복 | 제123대 정탁 | ||||||
| 제124대 이원익 | 제125대 이항복 | 제126대 이헌국 | 제127대 김명원 | ||||||
| 제128대 윤승훈 | 제129대 류영경 | 제130대 기자헌 | 제131대 심희수 | ||||||
| 제132대 허욱 | |||||||||
| 제133대 기자헌 | 제134대 이항복 | 제135대 이덕형 | 제136대 이항복 | ||||||
| 제137대 정인홍 | 제138대 한효순 | 제139대 박승종 | 제140대 박홍구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78대 박원종 | 제79대 류순정 | 제80대 성희안 | 제81대 송질 | ||||||
| 제82대 정광필 | 제83대 김응기 | 제84대 신용개 | 제85대 안당 | ||||||
| 제86대 김전 | 제87대 이유청 | 제88대 권균 | 제89대 심정 | ||||||
| 제90대 이행 | 제91대 장순손 | 제92대 한효원 | 제93대 김근사 | ||||||
| 제94대 김안로 | 제95대 윤은보 | 제96대 류부 | 제97대 홍언필 | ||||||
| 제98대 김극성 | 제99대 윤인경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99대 윤인경 | 제100대 류관 | 제101대 성세창 | }}} | |||||
| 제102대 이기 | 제103대 정순붕 | 제104대 황헌 | 제105대 심연원 | ||||||
| 제106대 상진 | 제107대 윤개 | 제108대 윤원형 | 제109대 안현 | ||||||
| 제110대 이준경 | 제111대 심통원 | 제112대 이명 | 제113대 권철 | ||||||
| 제114대 민기 | 제115대 홍섬 | 제116대 이탁 | 제117대 박순 | ||||||
| 제118대 노수신 | 제119대 강사상 | 제120대 정유길 | 제121대 김귀영 | ||||||
| 제122대 정지연 | 제123대 정유길 | 제124대 노수신 | 제125대 정유길 | ||||||
| 제126대 류전 | 제127대 이산해 | 제128대 정언신 | 제129대 정철 | ||||||
| 제130대 심수경 | 제131대 류성룡 | 제132대 이양원 | 제133대 윤두수 | ||||||
| 제134대 유홍 | 제135대 김응남 | 제136대 정탁 | 제137대 이원익 | ||||||
| 제138대 이덕형 | 제139대 이항복 | 제140대 이헌국 | 제141대 이항복 | ||||||
| 제142대 이헌국 | 제143대 김명원 | 제144대 윤승훈 | 제145대 류영경 | ||||||
| 제146대 기자헌 | 제147대 심희수 | 제148대 허욱 | 제149대 한응인 | ||||||
| 제150대 심희수 | 제151대 이항복 | 제152·153대 정인홍 | 제154대 정창연 | ||||||
| 제155대 정인홍 | 제156대 한효순 | 제157대 민몽룡 | 제158대 박승종 | ||||||
| 제159대 박홍구 | 제160대 조정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안로#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안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성부부인 김씨(延城府夫人 金氏, ~ )
- [영응대군(永膺大君)의 부인 정1품(正一品) 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1세 김세공(金世功, ? ~ 선조 병진년[76])[武魁]
{{{#!folding [정3품(正三品) 절충장군(折衝將軍) 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 김세공(金世功)]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2세 김희(金禧, ? ~ 1531)
- [효혜공주(孝惠公主)의 부군 종1품(從一品) 숭록대부(崇祿大夫)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
- 안로의 차남
#!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2세 김시(金禔, 1524 ~ 1593)
- [김시(金禔)]
- 안로의 3남
* 대장군공계 좌군사정공파 12세 김개국(金蓋國, 1548 ~ 1603)
{{{#!folding [김개국(金蓋國)]
{{{#!folding [14세 때 어른들이 두레박(桔橰)을 글제(題)로 하여 시를 지으라 하고 운을 부르자 지은 시]
김개국(金蓋國) [ruby(水, ruby=수)][ruby(涸, ruby=학)][ruby(山, ruby=산)][ruby(乾, ruby=건)][ruby(六, ruby=육)][ruby(月, ruby=월)][ruby(天, ruby=천)] 물 말라 산 건조한 6월의 날 [ruby(桔, ruby=길)][ruby(橰, ruby=고)][ruby(長, ruby=장)][ruby(把, ruby=파)][ruby(望, ruby=망)][ruby(雲, ruby=운)][ruby(烟, ruby=연)] 길고를 길게 잡고 구름 연기 바라보네 [ruby(無, ruby=무)][ruby(人, ruby=인)][ruby(大, ruby=대)][ruby(旱, ruby=한)][ruby(爲, ruby=위)][ruby(霖, ruby=림)][ruby(雨, ruby=우)] 큰 가뭄에 장마비 내리게 할 사람은 없으니 [ruby(木, ruby=목)][ruby(末, ruby=말)][ruby(焉, ruby=언)][ruby(能, ruby=능)][ruby(待, ruby=대)][ruby(有, ruby=유)][ruby(年, ruby=년)] 나무 끝에 어찌 풍년을 기다리리오. | }}} }}} 3.3.2. 17세기~18세기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13세? 김계한( 金繼韓, ? ~ ?){{{#!folding [종2품(從二品) 가선대부 (嘉善大夫) 상선(尙膳) 연양군(延陽君) 김계한(金繼韓)] }}} 1584년 12월 15일, 김제남과 광산 노씨의 차녀로 태어났다. 친조부는 김오(金祦), 증조부는 김안도(金安道), 고조부는 김전이며, 외조부는 광주인(光州人) 노계(盧洎)이다. 존호는 소성정의명렬정숙(昭聖貞懿明烈正肅)[82], 휘호는 광숙장정(光淑莊定), 시호는 인목(仁穆).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4세 인목왕후 김씨(仁穆王后 金氏, 1584 ~ 1632){{{#!folding [조선 제14대 국왕 선조소경대왕(宣祖昭敬大王)의 계비 소성정의명렬정숙광숙장정인목왕후(昭聖貞懿明烈正肅光淑莊庭仁穆王后)]
}}}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나산종중-재동문중 17세 김상옥(金相玉, ~)[壯元] {{{#!folding [김상옥(金相玉)] {{{#!folding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집(陶谷集)》 제4권에 실린 대사헌 김상옥에 대한 만사]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ruby(金, ruby=김)][ruby(大, ruby=대)][ruby(司, ruby=사)][ruby(憲, ruby=헌)][ruby(相, ruby=상)][ruby(玉, ruby=옥)][ruby(挽, ruby=만)] 도곡(陶谷) 이의현(李宜顯) [ruby(蘿, ruby=나)][ruby(葍, ruby=복)][ruby(聞, ruby=문)][ruby(孫, ruby=손)][ruby(直, ruby=직)][ruby(士, ruby=사)][ruby(兒, ruby=아)] 나복산인의 유명한 후손에 직사의 아들이니, [ruby(妙, ruby=묘)][ruby(齡, ruby=령)][ruby(文, ruby=문)][ruby(采, ruby=채)][ruby(世, ruby=세)][ruby(爭, ruby=쟁)][ruby(推, ruby=추)] 묘령에 아름다운 문채 세상에서 다투어 우러렀네! [ruby(風, ruby=풍)][ruby(波, ruby=파)][ruby(慣, ruby=관)][ruby(閱, ruby=열)][ruby(身, ruby=신)][ruby(仍, ruby=잉)][ruby(倦, ruby=권)] 풍파를 많이 겪으니 몸이 따라서 피로하고, [ruby(簪, ruby=잠)][ruby(紱, ruby=불)][ruby(徒, ruby=도)][ruby(縈, ruby=영)][ruby(志, ruby=지)][ruby(不, ruby=불)][ruby(移, ruby=이)] 잠불이 몸에 매여 있으나 마음은 변치 않았다오. [ruby(深, ruby=심)][ruby(洞, ruby=동)][ruby(恰, ruby=흡)][ruby(成, ruby=성)][ruby(朝, ruby=조)][ruby(市, ruby=시)][ruby(隱, ruby=은)] 깊은 골짝에 사니 저자에서 은거함과 똑같고, [ruby(淸, ruby=청)][ruby(痾, ruby=아)][ruby(奄, ruby=엄)][ruby(促, ruby=촉)][ruby(夜, ruby=야)][ruby(臺, ruby=대)][ruby(期, ruby=기)] 이전부터 앓던 병 문득 죽음을 재촉하였네. [ruby(殘, ruby=잔)][ruby(生, ruby=생)][ruby(伏, ruby=복)][ruby(枕, ruby=침)][ruby(空, ruby=공)][ruby(追, ruby=추)][ruby(舊, ruby=구)] 남은 목숨 병상에서 부질없이 옛날을 생각하니, [ruby(夢, ruby=몽)][ruby(裏, ruby=리)][ruby(依, ruby=의)][ruby(俙, ruby=희)][ruby(瘦, ruby=수)][ruby(鶴, ruby=학)][ruby(姿, ruby=자)] 여윈 모습 꿈속에서 아련하여라. | |||||||||||||||||||||||||||||||||||||||||||||||||||||||||||||||||||||||||||||||||||||||||||||||||||||||||||||||||||||||||||||||||||||||||||||||||||||||||||||||||||||||||||||||||||||||||||||||||||||||||||||||||||||||||||||||||||||||||||||||||||||||||||||||||||||||||||||||||||||||||||||||||||||||||||||||||||||||||
*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나산문중-재동문중 17세 김상신(金相紳, ~)
- [희정공(僖靖公) 김상신(金相紳)]
*
공계 공파 문중 17세 김상훈(金相勛, ~)- [정혜공(靖惠公) 김상훈(金相勛)]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1723 ~ 1790)[右][領]
-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문정공(文貞公) 김익(金熤)]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영조 ~ 정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25대 이광좌 | 제226대 류봉휘 | 제227대 조태억 | 제228대 정호 | |||||
| 제229대 민진원 | 제230대 이관명 | 제231·232대 홍치중 | 제233대 조태억 | |||||
| 제234대 홍치중 | 제235대 이태좌 | 제236대 이집 | 제237대 조문명 | |||||
| 제238·239대 서명균 | 제240·241대 김재로 | 제242대 송인명 | 제243대 정석오 | |||||
| 제244대 조현명 | 제245대 김약로 | 제246대 조현명 | 제247대 이종성 | |||||
| 제248·249대 이천보 | 제250대 김상로 | 제251대 신만 | 제252대 김상로 | |||||
| 제253대 신만 | 제254대 이후 | 제255대 홍봉한 | 제256대 정휘량 | |||||
| 제257대 홍봉한 | 제258·259대 윤동도 | 제260대 김상복 | 제261대 김치인 | |||||
| 제262대 윤동도 | 제263대 김치인 | 제264대 한익모 | 제265대 김양택 | |||||
| 제266대 한익모 | 제267대 김양택 | 제268대 김상복 | 제269대 한익모 | |||||
| 제270대 신회 | 제271대 이은 | 제272대 김상철 | 제273대 이은 | |||||
| 제274대 김상철 | 제275대 이은 | 제276대 김상철 | 제277대 이은 | |||||
| 제278대 이사관 | 제279대 홍인한 | 제280대 이사관 | 제281대 이은 | |||||
| 제282대 신회 | ||||||||
| 제283대 김상철 | 제284대 정존겸 | 제285대 서명선 | 제286대 홍낙순 | |||||
| 제287대 이은 | 제288대 서명선 | 제289대 홍낙성 | 제290대 이복원 | |||||
| 제291대 홍낙성 | 제292대 이복원 | 제293대 홍낙성 | 제294대 이복원 | |||||
| 제295대 이재협 | 제296대 이성원 | 제297대 이재협 | 제298대 채제공 | |||||
| 제299대 김종수 | 제300·301대 김이소 | 제302대 유언호 | 제303대 채제공 | |||||
| 제304대 이병모 | 제305대 심환지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58대 류봉휘 | 제259대 조태억 | 제260대 정호 | 제261대 민진원 | |||||
| 제262대 이관명 | 제263대 홍치중 | 제264대 조도빈 | 제265대 이의현 | |||||
| 제266대 홍치중 | 제267대 심수현 | 제268대 오명항 | 제269대 이태좌 | |||||
| 제270대 이집 | 제271대 조문명 | 제272대 서명균 | 제273대 김흥경 | |||||
| 제274대 송인명 | 제275대 유척기 | 제276대 송인명 | 제277·278대 조현명 | |||||
| 제279대 정석오 | 제280대 민응수 | 제281대 김약로 | 제282대 정우량 | |||||
| 제283대 이천보 | 제284대 김상로 | 제285대 조재호 | 제286대 신만 | |||||
| 제287대 이후 | 제288대 신만 | 제289대 이후 | 제290대 민백상 | |||||
| 제291대 홍봉한 | 제292대 정휘량 | 제293대 윤동도 | 제294대 김상복 | |||||
| 제295대 김치인 | 제296대 서지수 | 제297대 김치인 | 제298대 김양택 | |||||
| 제299대 김상철 | 제300대 이창의 | 제301대 김상철 | 제302대 이은 | |||||
| 제303대 신회 | 제304대 이사관 | 제305대 원인손 | 제306대 이사관 | |||||
| 제307대 원인손 | 제308대 이사관 | 제309대 원인손 | 제310대 이사관 | |||||
| 제311대 홍인한 | 제312대 이사관 | 제313대 이은 | ||||||
| 제314대 정존겸 | 제315대 서명선 | 제316대 정홍순 | 제317대 홍낙순 | |||||
| 제318·319대 이휘지 | 제320대 이복원 | 제321대 김익 | 제322대 이복원 | |||||
| 제323·324대 김익 | 제325대 조경 | 제326대 유언호 | 제327대 이성원 | |||||
| 제328대 채제공 | 제329·330대 김종수 | 제331대 박종악 | 제332대 김이소 | |||||
| 제333대 김희 | 제334대 이병모 | 제335대 채제공 | 제336대 윤시동 | |||||
| 제337대 이병모 | 제338대 심환지 | 제339대 이시수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158대 이광좌 | 제159대 정호 | 제160·161대 이광좌 | 제162대 홍치중 | |
| 제163대 심수현 | 제164대 이의현 | 제165대 김흥경 | 제166대 이광좌 | |
| 제167대 김재로 | 제168대 조현명 | 제169대 김재로 | 제170대 이종성 | |
| 제171대 김재로 | 제172·173대 이천보 | 제174대 유척기 | 제175대 이천보 | |
| 제176대 김상로 | 제177대 홍봉한 | 제178대 신만 | 제179대 홍봉한 | |
| 제180대 윤동도 | 제181대 서지수 | 제182대 김치인 | 제183대 홍봉한 | |
| 제184대 김치인 | 제185대 김상복 | 제186대 신회 | 제187대 김상복 | |
| 제188대 한익모 | 제189대 김상복 | 제190대 신회 | 제191대 한익모 | |
| 제192대 김상복 | 제193대 한익모 | 제194대 김상복 | 제195대 한익모 | |
| 제196대 신회 | 제197대 한익모 | 제198대 김상철 | ||
| 제199대 김양택 | 제200대 김상철 | 제201대 서명선 | 제202대 김상철 | |
| 제203대 서명선 | 제204대 정존겸 | 제205대 서명선 | 제206대 정존겸 | |
| 제207대 김치인 | 제208대 김익 | 제209대 이재협 | 제210대 김익 | |
| 제211대 채제공 | 제212대 홍낙성 | 제213대 이병모 | ||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익#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3.
19세기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1746 ~ 1827)[右][左][領]
{{{#!folding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영의정(議政府領議政) 문충공(文忠公) 김재찬(金載瓚)]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영조 ~ 정조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25대 이광좌 | 제226대 류봉휘 | 제227대 조태억 | 제228대 정호 | |||||
| 제229대 민진원 | 제230대 이관명 | 제231·232대 홍치중 | 제233대 조태억 | |||||
| 제234대 홍치중 | 제235대 이태좌 | 제236대 이집 | 제237대 조문명 | |||||
| 제238·239대 서명균 | 제240·241대 김재로 | 제242대 송인명 | 제243대 정석오 | |||||
| 제244대 조현명 | 제245대 김약로 | 제246대 조현명 | 제247대 이종성 | |||||
| 제248·249대 이천보 | 제250대 김상로 | 제251대 신만 | 제252대 김상로 | |||||
| 제253대 신만 | 제254대 이후 | 제255대 홍봉한 | 제256대 정휘량 | |||||
| 제257대 홍봉한 | 제258·259대 윤동도 | 제260대 김상복 | 제261대 김치인 | |||||
| 제262대 윤동도 | 제263대 김치인 | 제264대 한익모 | 제265대 김양택 | |||||
| 제266대 한익모 | 제267대 김양택 | 제268대 김상복 | 제269대 한익모 | |||||
| 제270대 신회 | 제271대 이은 | 제272대 김상철 | 제273대 이은 | |||||
| 제274대 김상철 | 제275대 이은 | 제276대 김상철 | 제277대 이은 | |||||
| 제278대 이사관 | 제279대 홍인한 | 제280대 이사관 | 제281대 이은 | |||||
| 제282대 신회 | ||||||||
| 제283대 김상철 | 제284대 정존겸 | 제285대 서명선 | 제286대 홍낙순 | |||||
| 제287대 이은 | 제288대 서명선 | 제289대 홍낙성 | 제290대 이복원 | |||||
| 제291대 홍낙성 | 제292대 이복원 | 제293대 홍낙성 | 제294대 이복원 | |||||
| 제295대 이재협 | 제296대 이성원 | 제297대 이재협 | 제298대 채제공 | |||||
| 제299대 김종수 | 제300·301대 김이소 | 제302대 유언호 | 제303대 채제공 | |||||
| 제304대 이병모 | 제305대 심환지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258대 류봉휘 | 제259대 조태억 | 제260대 정호 | 제261대 민진원 | |||||
| 제262대 이관명 | 제263대 홍치중 | 제264대 조도빈 | 제265대 이의현 | |||||
| 제266대 홍치중 | 제267대 심수현 | 제268대 오명항 | 제269대 이태좌 | |||||
| 제270대 이집 | 제271대 조문명 | 제272대 서명균 | 제273대 김흥경 | |||||
| 제274대 송인명 | 제275대 유척기 | 제276대 송인명 | 제277·278대 조현명 | |||||
| 제279대 정석오 | 제280대 민응수 | 제281대 김약로 | 제282대 정우량 | |||||
| 제283대 이천보 | 제284대 김상로 | 제285대 조재호 | 제286대 신만 | |||||
| 제287대 이후 | 제288대 신만 | 제289대 이후 | 제290대 민백상 | |||||
| 제291대 홍봉한 | 제292대 정휘량 | 제293대 윤동도 | 제294대 김상복 | |||||
| 제295대 김치인 | 제296대 서지수 | 제297대 김치인 | 제298대 김양택 | |||||
| 제299대 김상철 | 제300대 이창의 | 제301대 김상철 | 제302대 이은 | |||||
| 제303대 신회 | 제304대 이사관 | 제305대 원인손 | 제306대 이사관 | |||||
| 제307대 원인손 | 제308대 이사관 | 제309대 원인손 | 제310대 이사관 | |||||
| 제311대 홍인한 | 제312대 이사관 | 제313대 이은 | ||||||
| 제314대 정존겸 | 제315대 서명선 | 제316대 정홍순 | 제317대 홍낙순 | |||||
| 제318·319대 이휘지 | 제320대 이복원 | 제321대 김익 | 제322대 이복원 | |||||
| 제323·324대 김익 | 제325대 조경 | 제326대 유언호 | 제327대 이성원 | |||||
| 제328대 채제공 | 제329·330대 김종수 | 제331대 박종악 | 제332대 김이소 | |||||
| 제333대 김희 | 제334대 이병모 | 제335대 채제공 | 제336대 윤시동 | |||||
| 제337대 이병모 | 제338대 심환지 | 제339대 이시수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 <colcolor=#f0ad73,#f0ad73>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158대 이광좌 | 제159대 정호 | 제160·161대 이광좌 | 제162대 홍치중 | |
| 제163대 심수현 | 제164대 이의현 | 제165대 김흥경 | 제166대 이광좌 | |
| 제167대 김재로 | 제168대 조현명 | 제169대 김재로 | 제170대 이종성 | |
| 제171대 김재로 | 제172·173대 이천보 | 제174대 유척기 | 제175대 이천보 | |
| 제176대 김상로 | 제177대 홍봉한 | 제178대 신만 | 제179대 홍봉한 | |
| 제180대 윤동도 | 제181대 서지수 | 제182대 김치인 | 제183대 홍봉한 | |
| 제184대 김치인 | 제185대 김상복 | 제186대 신회 | 제187대 김상복 | |
| 제188대 한익모 | 제189대 김상복 | 제190대 신회 | 제191대 한익모 | |
| 제192대 김상복 | 제193대 한익모 | 제194대 김상복 | 제195대 한익모 | |
| 제196대 신회 | 제197대 한익모 | 제198대 김상철 | ||
| 제199대 김양택 | 제200대 김상철 | 제201대 서명선 | 제202대 김상철 | |
| 제203대 서명선 | 제204대 정존겸 | 제205대 서명선 | 제206대 정존겸 | |
| 제207대 김치인 | 제208대 김익 | 제209대 이재협 | 제210대 김익 | |
| 제211대 채제공 | 제212대 홍낙성 | 제213대 이병모 | ||
| }}}}}}}}} | ||||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 <colcolor=#000> 조준, 이화,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
| 정종 | 이방의 | |
| 태종 |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 |
| 세종 |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이제, 이보 | |
| 문종 | 하연 | |
| 세조 | 권람, 한확, 한명회 | |
| 예종 | 박원형 | |
| 성종 | 신숙주, 정창손, 홍응 | |
| 중종 |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 |
| 인종 | 홍언필, 김안국 | |
| 명종 | 심연원, ■이언적 | |
| 선조 | 이준경, ■이황, ■이이 | |
| 인조 |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이보 | |
| 효종 |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이요, 민정중, 민유중 | |
| 현종 | 정태화, | |
| 숙종 |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 |
| 경종 | 이유, 민진후 | |
| 영조 |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 |
| 장조 | 이종성, 민백상 | |
| 정조 |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 |
| 순조 |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이구, 조만영 | |
| 문조 | 남공철, 김로, 조병구 | |
| 헌종 | 이상황, 조인영 | |
| 철종 | 이헌구, 이희, 김수근 | |
| 고종 |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 |
| 순종 | 송근수, | |
|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서무종향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재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재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원읍종중 20세 김선(金銑, 1750 ~)
{{{#!folding [효헌공(孝憲公) 김선(金銑)]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로(金鏴, 1783 ~ 1838)
{{{#!folding [정2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 문헌공(文獻公) 김로(金鏴)]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 <colcolor=#000> 조준, 이화,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
| 정종 | 이방의 | |
| 태종 |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 |
| 세종 |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이제, 이보 | |
| 문종 | 하연 | |
| 세조 | 권람, 한확, 한명회 | |
| 예종 | 박원형 | |
| 성종 | 신숙주, 정창손, 홍응 | |
| 중종 |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 |
| 인종 | 홍언필, 김안국 | |
| 명종 | 심연원, ■이언적 | |
| 선조 | 이준경, ■이황, ■이이 | |
| 인조 |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이보 | |
| 효종 |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이요, 민정중, 민유중 | |
| 현종 | 정태화, | |
| 숙종 |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 |
| 경종 | 이유, 민진후 | |
| 영조 |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 |
| 장조 | 이종성, 민백상 | |
| 정조 |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 |
| 순조 |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이구, 조만영 | |
| 문조 | 남공철, 김로, 조병구 | |
| 헌종 | 이상황, 조인영 | |
| 철종 | 이헌구, 이희, 김수근 | |
| 고종 |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 |
| 순종 | 송근수, | |
|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 중 서무종향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로(1783)#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로(1783)#|]]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20세 김위(金鍏, 1795 ~)
{{{#!folding [문익공(文翼公) 김위(金鍏)]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21세 김유연(金有淵, 1819 ~ 1887)[右]
- [정1품(正一品)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의정부우의정(議政府右議政) 정익공(貞翼公) 김유연(金有淵)]
| <colbgcolor=#c00d45,#c00d45><colcolor=#f0ad73,#f0ad73> 조선 좌·우의정 순조 ~ 고종 |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06대 이시수 | 제307대 서용보 | 제308대 이시수 | 제309대 서매수 | |||||
| 제310대 이경일 | 제311대 한용구 | 제312대 서용보 | 제313대 이시수 | |||||
| 제314대 김재찬 | 제315대 한용구 | 제316대 김재찬 | 제317대 김사목 | |||||
| 제318대 남공철 | 제319·320대 이상황 | 제321대 이존수 | 제322-324대 이상황 | |||||
| 제325대 심상규 | 제326대 홍석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26대 홍석주 | 제327대 박종훈 | 제328대 김홍근 | |||||
| 제329대 정원용 | 제330대 권돈인 | 제331·332대 김도희 | }}} | |||||
| 제331·332대 김도희 | 제333대 정원용 | 제334대 김흥근 | 제335대 박영원 | |||||
| 제336대 이헌구 | 제337대 김도희 | 제338대 조두순 | 제339대 박회수 | |||||
| 제340대 조두순 | 제341대 박회수 | 제342대 조두순 | 제343대 조두순 | |||||
| 제344대 이유원 | 제345대 김병학 | 제346대 강로 | 제347대 이최응 | |||||
| 제348·349대 김병국 | 제350대 송근수 | 제351대 김병국 | 제352대 이재원 | |||||
| 제353대 김홍집 | 제354대 김병시 | 제355대 김홍집 | 제356대 김병시 | |||||
| 제357대 김홍집 | 제358대 조병세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제340대 서용보 | 제341대 김관주 | 제342대 이경일 | 제343대 김달순 | |||||
| 제344대 서용보 | 제345대 김재찬 | 제346대 김사목 | 제347대 남공철 | |||||
| 제348대 임한호 | 제349대 이서구 | 제350대 심상규 | 제351대 이존수 | |||||
| 제352대 정만석 | 제353대 김이교 | 제354·355대 박종훈 | ||||||
| 제354·355대 박종훈 | 제356대 이지연 | 제357대 조인영 | 제358대 정원용 | |||||
| 제359대 권돈인 | 제360대 김도희 | 제361대 박회수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362대 박영원 | 제363대 김좌근 | 제364-366대 조두순 | }}} | ||||
| 제367대 이경재 | 제368대 임백경 | 제369대 류후조 | 제370대 홍순목 | |||||
| 제371대 한계원 | 제372대 박규수 | 제373대 김병국 | 제374대 김병덕 | |||||
| 제375대 심순택 | 제376대 홍영식 | 제377대 김병시 | 제378대 김유연 | |||||
| 제379-382대 조병세 | 제378대 정범조 | |||||||
| <colbgcolor=#c00d45,#c00d45> 역대 좌·우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역대 영의정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유연(조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유연(조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3.4.
대한제국(1897~1910)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대자리종중 23세 김사준(金思濬, 1855 ~ 1918)
{{{#!folding [김사준(金思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사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사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대자리종중 24세 김숙(金淑, 1880 ~ 1964)
{{{#!folding [조선/대한제국 의화군/의친왕의 부인 정1품(正一品) 연원군부인(延原郡夫人) → 대한제국 의친왕의 비 의친왕비(義親王妃)]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d400,#ffd4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의친왕비 | 흥친왕비 |
| <colbgcolor=#29176e> 대원비 | ||
| 여흥순목대원비 | ||
| ※ 영친왕의 부인 이방자는 영친왕호를 폐작한 후에 혼인했으므로 영친왕비가 아니다. | ||
| 대한제국 황실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친왕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친왕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4.
일제강점기(1910~1945)
- 내자시윤공파 송원종중 23세 김사철(1847 ~ 1935)
{{{#!folding [김사철(金思轍)]
}}}}}}}}} ||
조선귀족{{{#!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수작 공작 - 후작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백작 민영린· 이완용 · 이지용[1]자작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김윤식· 민병석 · 민영규 · 민영소 · 민영휘 · 박제순 · 송병준 · 윤덕영 · 이근명 · 이근택 · 이기용 · 이병무 · 이완용[2] ·이용직· 이재곤 · 이하영 · 임선준 · 조민희[3] · 조중응남작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김사준· 김영철 · 김종한 · 김춘희 · 김학진 · 남정철 · 민상호 · 민영기 · 민종묵 · 민형식 · 박기양 · 박용대 · 박제빈 · 성기운 · 윤웅렬 · 이건하 · 이근상 · 이근호 · 이봉의 · 이용원 · 이용태 · 이윤용 · 이재극 · 이정로 · 이종건 · 이주영 · 이항구[5] · 장석주 · 정낙용 · 정한조 · 조동윤 · 조동희[6] ·조희연· 최석민 · 한창수거부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습작 공작 - 후작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백작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자작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남작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민태곤· 민태윤 · 박경원 · 박서양 · 박승원 · 박정서 · 성일용 · 성주경 ·윤치호· 이강식 · 이경우 · 이규환 · 이기원 · 이능세 · 이동훈 · 이범팔 · 이병옥 · 이병주 · 이완종 · 이원호 · 이인용 · 이장훈 · 이중환 · 이창수 · 이풍한 · 이홍재 · 장인원 · 정두화 · 정주영 · 정천모 · 조원세 · 조중구 · 조중헌 · 최정원 · 한상기 · 한상억승작 백작 → 후작 이완용 자작 → 백작 고희경 · 송병준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대자리종중 23세 김사준(金思濬, 1855 ~ 1918)
{{{#!folding [김사준(金思濬)]
| 조선귀족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 수작 | 공작 |
| - | ||
| 후작 | ||
|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 ||
| 백작 | ||
| 자작 | ||
|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 ||
| 남작 | ||
|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 ||
| 거부 |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 |
| 습작 | 공작 | |
| - | ||
| 후작 | ||
|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 ||
| 백작 | ||
|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 ||
| 자작 | ||
|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 ||
| 남작 | ||
|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 ||
| 승작 | 백작 → 후작 | |
| 이완용 | ||
| 자작 → 백작 | ||
| 고희경 · 송병준 | ||
|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사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사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내자시윤공파 송원종중 24세 김석기(1874 ~ 1956)
{{{#!folding [김석기(金奭基)]
| 조선귀족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8px -3px -11px" | 수작 | 공작 |
| - | ||
| 후작 | ||
| 박영효 · 윤택영 · 이재각 · 이재완 · 이해승 · 이해창 | ||
| 백작 | ||
| 자작 | ||
| 고영희 · 권중현 · 김성근 · | ||
| 남작 | ||
| 김가진[4] · 김병익 · 김사철 · | ||
| 거부 | 김석진 · 민영달 · 유길준 · 윤용구 · 조경호 · 조정구 · 한규설 · 홍순형 | |
| 습작 | 공작 | |
| - | ||
| 후작 | ||
| 박찬범 · 윤의섭 · 이달용 · 이덕용 · 이덕주 · 이병길 | ||
| 백작 | ||
| 고중덕 · 고흥겸 · 송종헌 · 이영주 | ||
| 자작 | ||
| 고희경 · 권태환 · 김호규 · 민병삼 · 민충식 · 민형식 · 민홍기 · 박부양 · 윤강로 · 이규원 · 이종승 · 이창훈 · 이충세 · 이택주 · 이해국 · 이홍묵 · 임낙호 · 임선재ㆍ조대호 · 조용호 · 조원흥 · 조중수 | ||
| 남작 | ||
| 김교신 · 김덕한 · 김세현 · 김석기 · 김영수 · 김용국 · 김정록 · 남장희 · 민건식 · 민규현 · 민병억 · 민영욱 · 민철훈 · | ||
| 승작 | 백작 → 후작 | |
| 이완용 | ||
| 자작 → 백작 | ||
| 고희경 · 송병준 | ||
| [1] 1912년 도박죄로 구속되어 일시적으로 예우 정지. | ||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대자리종중 24세 김숙(金淑, 1880 ~ 1964)
{{{#!folding [이왕가 이강(李堈)공(公)의 비 이강공비(李堈公妃)]
| 일제강점기 왕공족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궁가의 종주와 그 배우자만 표기 | |||
| 왕족 | ||||
| 창덕궁 이왕(왕공족 수장) | ||||
| 창덕궁 이왕 척(순종) | 창덕궁 이왕 은(영친왕) | |||
| 창덕궁 이왕비 | ||||
| 이왕비 윤씨(순정효황후) | 이왕비 마사코 여왕 | |||
| 덕수궁 이태왕 | ||||
| 덕수궁 이태왕 형(고종) | ||||
| 공족 | ||||
| 운현궁 종주 | ||||
| 이희(흥친왕) | 이준(영선군) | 이우(흥영군) | 이청(운현궁 종주) | |
| 운현궁 공비 | ||||
| 이희공비 이씨(흥친왕비) | 이준공비 김씨 | 이우공비 박찬주 | ||
| 사동궁 종주 | ||||
| 이강(의친왕) | 이건 | |||
| 사동궁 공비 | ||||
| 이강공비 김씨(의친왕비) | 이건공비 이성자(마츠다이라 요시코)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친왕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의친왕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종중 문중 27세 김우전(金祐銓, 1922 ~ 2019)
- [한국광복군 제3지대 창설 기간요원, 광복회 제16대 회장 김우전(金祐銓)]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0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광복회 역대 회장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이갑성 | 제2대 이화익 | 제3대 조시원 | 제4대 안춘생 | 제5대 박시창 |
| 제6·7대 김홍일 | 제8대 김상길 | 제9대 유석현 | 제10·11대 이강훈 | 제12대 김승곤 | |
| 제13대 권쾌복 | 제14대 윤경빈 | 제15대 장철 | 제16대 김우전 | 제17대 김국주 | |
| 제18대 김영일 | 제19·20대 박유철 | 제21대 김원웅 | 제22대 장호권 | 제23대 이종찬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우전#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우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계 공파 종중 세 김지환(金智煥, 1892 ~ 1972){{{#!folding [김지환(金智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지환#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지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5.
미군정(1945~1948)
공계공파 종중 문중 세 김찬영(金瓚泳, 1889 ~ 1973)
{{{#!folding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 군정청 대법원 초대 검사총장, 대한민국 대법관 김찬영(金瓚泳)]
| 재조선미국육군사령부 군정청 대법원 검사총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존 하지 군정 | |||
| 초대 김찬영 | 제2대 이종성 | 제3대 이인 | ||
| 대한민국 검찰총장 | ||||
3.6.
대한민국(1948~)
3.6.1. 20세기
공계공파 문중 종중 세 김윤경(金潤慶, 1935 ~ 2022)
{{{#!folding [대한민국 제13대 광주고등법원장, 초대 부산고등법원장, 제23대 서울고등법원장 김윤경(Kim, Yoon-kyung)]
| 광주고등법원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오필선 | 제2대 김종규 | 제3대 방준경 | 제4대 김홍섭 | 제5대 민문기 | |
| 제6대 기세훈 | 제7대 이재옥 | 제8대 한만수 | 제9대 김중서 | 제10대 장순룡 | |
| 제11대 박정근 | 제12대 배석 | 제13대 김윤경 | 제14대 한재영 | 제15대 황도연 | |
| 제16대 천경송 | 제17대 김영진 | 제18대 고중석 | 제19대 이영범 | 제20대 지홍원 | |
| 제21대 이철환 | 제22대 이동락 | 제23대 조용완 | 제24대 강철구 | 제25대 김용담 | |
| 제26대 김연태 | 제27대 박송하 | 제28대 이태운 | 제29대 김관재 | 제30대 정갑주 | |
| 제31대 조용호 | 제32대 이진성 | 제33대 김용헌 | 제34대 방극성 | 제35대 유남석 | |
| 제36대 최상열 | 제37대 황병하 | 제38대 윤준 | 제39대 배기열 | 제39대 설범식 | |
| 부산고등법원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김윤경 | 제2대 한재영 | 제3대 장상재 | 제4대 안용득 | 제5대 이원배 | |
| 제6대 안상돈 | 제7대 송진훈 | 제8대 안석태 | 제9대 안문태 | 제10대 양인평 | |
| 제11대 김적승 | 제12대 이융웅 | 제13대 이상경 | 제14대 김재진 | 제15대 이흥복 | |
| 제16대 권남혁 | 제17대 박용수 | 제18대 이기중 | 제19대 최진갑 | 제20대 박흥대 | |
| 제21대 윤인태 | 제22대 황한식 | 제23대 이강원 | 제24대 박효관 | 제25대 김흥준 | |
| 서울고등법원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 | 제2대 김우열 | 제3대 백한성 | 제4대 허진 | 제5대 변옥주 | |
| 제6대 오필선 | 제7대 임한경 | 제8대 김종규 | 제9대 한성수 | 제10대 김홍섭 | |
| 제11대 홍남표 | 제12대 민문기 | 제13대 기세훈 | 제14대 강안희 | 제15대 유태흥 | |
| 제16대 임기호 | 제17대 윤운영 | 제18대 방례원 | 제19대 전병덕 | 제20대 김홍근 | |
| 제21대 박정근 | 제22대 윤승영 | 제23대 김윤경 | 제24대 임규운 | 제25대 이영모 | |
| 제26대 김영진 | 제27대 김성일 | 제28대 한대현 | 제29대 정지형 | 제30대 윤재식 | |
| 제31대 송재헌 | 제32대 조용완 | 제33대 김대환 | 제34대 이융웅 | 제35대 신정치 | |
| 제36대 김동건 | 제37대 강완구 | 제38대 정호영 | 제39대 박송하 | 제40대 오세빈 | |
| 제41대 이태운 | 제42대 구욱서 | 제43대 김진권 | 제44대 조용호 | 제45대 조병현 | |
| 제46대 심상철 | 제47대 최완주 | 제48대 김창보 | 제49대 김광태 | 제50대 윤준 | |
| 제51대 김대웅 | |||||
*
공계 공파 문중 종중 세 김영주(金永周, ~){{{#!folding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16대 외무부 단일차관 김영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외무부차관 (1948~1998) | |||||||||
| <nopad> 이승만 정부 | ||||||||||
| 초대 고창일 | 제2대 조정환 | 제3대 박암 | 제4대 갈홍기 | 제5대 조정환 |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허정 내각 | <nopad> 장면 내각 | ||||||||
| 제6대 김동조 | 제7대 최규하 | 제8대 이수영 | 제9대(정무) 우희창 | 제9대(사무) 김용식 | ||||||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송요찬 내각 | <nopad> 박정희 내각 | |||||||
| 제10대(정무) 김재순 | 제10대(사무) 이수영 | 제11대 박동진 | 제12대 이원경 | |||||||
| <nopad> 김현철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 제13대 최문경 | 제14대 정일영 | 제15대 문덕주 | 제16대 김영주 | 제17대 진필식 |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최규하 정부 | |||||||||
| 제18대 윤석헌 | 제19대 노신영 | 제20대 윤하정 | 제21대 이민용 |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 제22대 김동휘 | 제23대 노재원 | 제24대 이상옥 | 제25대 오재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 제26대 박쌍용 | 제27대 신동원 | 제28대 유종하 | 제29대 노창희 | |||||||
| <nopad> 문민정부 | ||||||||||
| 제30대 홍순영 | 제31대 박건우 | 제32대 이시영 | 제33대 이기주 | |||||||
| 외교통상부차관 (1998~2005) | ||||||||||
| <nopad> 국민의 정부 | ||||||||||
| 초대 선준영 | 제2대 반기문 | 제3대 최성홍 | 제4대 김항경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nopad> 참여정부 | |||||
| 제5대 김재섭 | 제6대 최영진 | 제7대 이태식 | ||||||||
| 외교통상부 제1차관 (2005~2013) | ||||||||||
| <nopad> 참여정부 | ||||||||||
| 제8대 이태식 | 제9대 유명환 | 제10대 조중표 | }}} {{{#!wiki style="margin: -33px -1px -11px" | <nopad> 이명박 정부 | ||||||
| 제11대 권종락 | 제12대 신각수 | 제13대 박석환 | 제14대 안호영 | |||||||
| 외교부 제1차관 (2013~현재) |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 초대 김규현 | 제2대 조태용 | 제3대 임성남 | ||||||||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 제4대 조현 | 제5대 조세영 | 제6대 최종건 | 제7대 조현동 | |||||||
| <nopad> 윤석열 정부 | <nopad> 이재명 정부 | |||||||||
| 제8대 장호진 | 제9대 김홍균 | 제10대 박윤주 | ||||||||
| 외교부장관 · 외교부 제2차관 | ||||||||||
*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당진종중 24세 김원기(金元基, 1924 ~ 2001)
- [대한민국 제4공화국 박정희 정부 제4대 건설부차관, 제21대 재무부차관, 제26대 재무부장관, 최규하 정부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김원기(Kim Won-ki)]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A520; border-right: 10px solid #DAA52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DAA520; border-right: 10px solid #DAA52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DAA520> 태완선 → 남덕우 → 신현확 | |||
| 국토통일원장관 | 김영선 → 김용식 → 신도성 → 유상근 → 이용희 | |||
| 외무부장관 | 김용식 → 김동조 → 박동진 | |||
| 내무부장관 | 김현옥 → 홍성철 → 박경원 → 김치열 → 구자춘 | |||
| 재무부장관 | 남덕우 → 김용환 → 김원기 | |||
| 법무부장관 | 신직수 → 이봉성 → 황산덕 → 이선중 → 김치열 | |||
| 국방부장관 | 유재흥 → 서종철 → 노재현 | |||
| 문교부장관 | 민관식 → 유기춘 → 황산덕 → 박찬현 | |||
| 농수산부장관 | 김보현 → 정소영 → 최각규 → 장덕진 → 이희일 | |||
| 상공부장관 | 이낙선 → 장예준 → 최각규 | |||
| 건설부장관 | 장예준 → 이낙선 → 김재규 → 신형식 → 고재일 | |||
| 보건사회부장관 | 이경호 → 고재필 → 신현확 → 홍성철 | |||
| 교통부장관 | 김신 → 최경록 → 민병권 → 황인성 | |||
| 체신부장관 | 신상철 → 문형태 → 장승태 → 박원근 → 이재설 | |||
| 문화공보부장관 | 윤주영 → 이원경 → 김성진 | |||
| 총무처장관 | 서일교 → 심흥선 → 심의환 | |||
| 과학기술처장관 | 최형섭 → 최종완 |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0px -11px; margin-top: -12.5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margin-left:10px; margin-right:-17px;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display: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bgcolor=#ffffff,#1f2024> | }}}{{{#!wiki style="padding: 0px; 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2px; margin-bottom: -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f2024> | }}}}}} |
|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808080; border-right: 10px solid #808080;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직위 | 명단 | ||
| 경제기획원장관 | <colbgcolor=#ffffff,#1f2024><colcolor=#808080> 이한빈 → 김원기 | |||
| 국토통일원장관 | 이규호 → 최완복 | |||
| 외무부장관 | 박동진 | |||
| 내무부장관 | 김종환 | |||
| 재무부장관 | 김원기 → 이승윤 | |||
| 법무부장관 | 백상기 → 오탁근 | |||
| 국방부장관 | 주영복 | |||
| 문교부장관 | 김옥길 → 이규호 | |||
| 농수산부장관 | 이재설 → 정종택 | |||
| 상공부장관 | 정재석 → 신병현 | |||
| 건설부장관 | 최종완 | |||
| 보건사회부장관 | 진의종 | |||
| 교통부장관 | 유양수 → 김재명 | |||
| 체신부장관 | 배상욱 → 윤흥정 | |||
| 문화공보부장관 | 이규현 → 이광표 | |||
| 총무처장관 | 김용휴 | |||
| 과학기술처장관 | 성좌경 | }}}}}}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원기(1924)#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원기(1924)#|]]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원성종중 25세 김종운(金鍾云, 1929 ~ 2000)
{{{#!folding [제19대 서울대학교 총장 김종운(Kim Jong-woon)]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B2D57, #003380 20%, #003380 80%, #1B2D57); color: #fff; word-break: keep-all;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이춘호 | 장이욱 | 최규동 | 최규남 |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 윤일선 | 권중휘 | 신태환 | 유기천 | 최문환 | |
| 제11·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 한심석 | 윤천주 | 고병익 | 권이혁 | 이현재 |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 박봉식 | 조완규 | 김종운 | 이수성 |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
| 이기준 | 정운찬 | 이장무 | 오연천 | 성낙인 | |
| 직무대행 | 제27대 | 제28대 | |||
| 박찬욱 | 오세정 | 유홍림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종운#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종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 평양종중-문중 26세 김중업(金重業, 1922 ~ 1988)
{{{#!folding [건축가 김중업(Kim Chung-Up)]
| 은관문화훈장 수훈자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박화성† 소설가 | 1978 김환기† 화가 | 1978 나운규† 영화감독 | 1978 이중섭† 화가 | 1978 현진건† 소설가 | ||||
| 1980 박수근† 화가 | 1980 조치훈 바둑기사 | 1984 박두진† 시인 | 1988 김광균† 시인 | 1988 김중업† 건축가 | |||||
| 1988 이봉상† 화가 | 1989 조남철† 바둑기사 | 1989 조훈현 바둑기사 | 1992 김영주† 화가 | 1992 김춘수† 시인 | |||||
| 1992 장리석† 화가 | 1992 전광용† 소설가 | 1992 한갑수† 교수 | 1995 박노수† 화가 | 1995 전왕영† 시인 | |||||
| 1996 이창호 바둑기사 | 1998 김남조† 시인 | 1999 박홍근† 아동문학가 | 2001 권영우† 화가 | 2001 박용철† 시인 | |||||
| 2001 박태현† 작곡가 | 2001 신경림† 시인 | 2001 유종호 문학평론가 | 2001 이지관 문화연구가 | 2001 최일남† 소설가 | |||||
| 2001 홍연택† 지휘자 | 2002 고은태[1] 시인 | 2002 김종하† 화가 | 2002 나춘호 출판가 | 2002 민경갑† 화가 | |||||
| 2002 박보희† 한국문화재단 총재 | 2002 이수홍† 한국문화협회 이사장 | 2002 이오덕† 아동문학가 | 2002 이형기† 시인 | 2002 이호철† 소설가 | |||||
| 2002 정수봉† 교육인 | 2003 박봉석† 사서, 국립도서관학교 교장 | 2003 신동엽† 시인 | 2003 이종상 화가 | 2003 천상병† 시인 | |||||
| 2003 황병기† 국악인 | 2004 김동혁[2]† 연극인 | 2004 김사엽† 국문학자 | 2004 김서봉† 화가 | 2004 김충현† 서예가 | |||||
| 2004 김희조† 지휘자 | 2004 박연희† 소설가 | 2004 엄대섭† 도서관연구회장 | 2004 임동권† 민속학자 | 2005 고우영† 만화가 | |||||
| 2005 김성구[3]† 불교인 | 2005 김충실[4]† 무용가 | 2005 전숙희† 수필가 | 2005 이문열 소설가 | 2006 이규태† 언론인 | |||||
| 2006 임영방† 국립현대미술관장 | 2006 한명희 국립국악원장 | 2006 홍기삼 교육인 | 2007 김주영 소설가 | 2007 이강덕† 종묘제례악 명예보유자 | |||||
| 2007 안병희† 국어학자 | 2008 박광진 예술인 | 2008 오세영 시인 | 2008 최종태 조각가 | 2008 한백유[5]† 화가 | |||||
| 2009 이미자 가수 | 2010 김희진† 무형문화재 매듭장 | 2010 레프 콘체비치 러시아인 한국학자, 훈민정음 해례본 러시아어 번역 공로 | 2010 백건우 피아니스트 | 2010 백성희† 연극배우 | |||||
| 2010 장민호† 연극배우 | 2010 전혁림† 화가 | 2011 신영균 영화배우 | 2011 이수만 가수, 연예기획사 사장 | 2011 하춘화 가수 | |||||
| 2011 이근배 시인 | 2011 해의만† 국악인 | 2012 최영필[6]† 가수 | 2012 김기덕† 영화감독 | 2012 김순옥[7] 드라마 작가 | |||||
| 2012 손숙 연극배우 | 2012 윤일봉 배우 | 2013 구봉서† 희극인 | 2013 안성기 영화배우 | 2013 조용필 가수 | |||||
| 2013 최인호† 소설가 | 2013 김혜자[8] 가수 | 2014 김승옥 소설가 | 2014 박정란 드라마 작가 | 2014 송해† 희극인 | |||||
| 2014 최영한[9] 배우 | 2015 이천백[10]† 희극인 | 2015 이덕화 배우 | 2015 이성희 음반제작자 | 2016 김윤식† 문학평론가 | |||||
| 2016 백영수† 화가 | 2016 홍경일[11]† 배우 | 2016 김명자[12] 배우 | 2016 김덕용[13]† 희극인 | 2017 김남진[14] 가수 | |||||
| 2017 박근형 배우 | 2017 윤여정 배우 | 2018 이순재 배우 | 2018 김민기† 가수 | 2018 조동진† 가수 | |||||
| 2019 김혜자 배우 | 2019 양희은 가수 | 2019 봉준호 영화감독 | 2020 변인철[15]† 배우 | 2020 고두심 배우 | |||||
| 2020 유영기(1936)† 인간문화재 궁시장 | 2020 승효상 건축가 | 2021 김병기† 화가 | 2021 이장희 가수 | 2021 이춘연† 영화인 | |||||
| 2021 안숙선 국악인 | 2021 한석홍† 사진작가 | 2022 강수연† 배우 | 2022 박찬욱 영화감독 | 2023 원종철 삼원인쇄 대표 | |||||
| 2024 신순기[16] 배우 | 2024 강부자 배우 | 2025 김해숙 배우 | 2025 조성룡 건축가 | 2025 김화영 번역가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중업#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중업#|]]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청양종중 27세 김덕주(金德柱, 1933 ~ 2023)
{{{#!folding [대한민국 대법원판사, 대법관, 제11대 대법원장 김덕주(Kim Deok-ju)]
| 대한민국 대법원장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 |||||
| 초대 김병로 | 제2대 조용순 | 제3·4대 조진만 | 제5·6대 민복기 | 제7대 이영섭 | |
| 제8대 유태흥 | 제9대 김용철 | 제10대 이일규 | 제11대 김덕주 | 제12대 윤관 | |
| 제13대 최종영 | 제14대 이용훈 | 제15대 양승태 | 제16대 김명수 | 제17대 조희대 |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덕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덕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6.2. 21세기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보령종중 26세 김각영(金珏泳, 1943 ~ )
{{{#!folding [대한민국 제44대 법무부차관, 제32대 검찰총장(장관급) 김각영(Kim Gak-yeong)]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각영#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각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검찰총장 |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검찰총장 (1948~현재) | ||||
| <nopad> 이승만 정부 | |||||
| 초대 권승렬 | 제2대 김익진 | 제3대 서상환 | 제4대 한격만 | 제5대 민복기 |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nopad> 장도영 내각 | <nopad> 김현철 내각 | ||
| 제6대 정순석 | 제7대 박승준 | 제8대 이태희 | 제9대 장영순 | 제10대 정창운 | |
| <nopad> 박정희 정부 | |||||
| 제11대 신직수 | 제12대 이봉성 | 제13대 김치열 | 제14대 이선중 | 제15대 오탁근 | |
| <nopad> 최규하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
| 제16대 김종경 | 제17대 허형구 | 제18대 정치근 | 제19대 김석휘 | 제20대 서동권 | |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nopad> 문민정부 | |||
| 제21대 이종남 | 제22대 김기춘 | 제23대 정구영 | 제24대 김두희 | 제25대 박종철 | |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
| 제26대 김도언 | 제27대 김기수 | 제28대 김태정 | 제29대 박순용 | 제30대 신승남 | |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
| 제31대 이명재 | 제32대 김각영 | 제33대 송광수 | 제34대 김종빈 | 제35대 정상명 |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
| 제36대 임채진 | 제37대 김준규 | 제38대 한상대 | 제39대 채동욱 | 제40대 김진태 | |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nopad> 윤석열 정부 | |||
| 제41대 김수남 | 제42대 문무일 | 제43대 윤석열 | 제44대 김오수 | 제45대 이원석 | |
| <nopad> 윤석열 정부 | |||||
| 제46대 심우정 | |||||
| 미군정 대법원 검사총장 | |||||
어느 해 대학 입시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 만점자를 배출하기도 했다.
*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29세 김정원(金正元, 1965 ~ )
- [대한민국 제9대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제13대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김정원(Kim Jung-won)]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정원(법조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정원(법조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E4B47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조규광 소장 | <nopad> 김용준 소장 | <nopad> 윤영철 소장 | ||
| 초대 변정일 | 제2대 김용균 | 제3대 이영모 | 제4대 장응수 | 제5대 박용상 | |
| <nopad> 윤영철 소장 | <nopad> 이강국 소장 | <nopad> 박한철 소장 | |||
| 제6대 이범주 | 제7대 서상홍 | 제8대 하철용 | 제9대 김택수 | 제10대 김용헌 | |
| <nopad> 김이수 대행 | <nopad> 유남석 소장 | <nopad> 이종석 소장 | <nopad> 김상환 소장 | ||
| 제11대 김헌정 | 제12대 박종문 | 제13대 김정원 | 제14대 손인혁 | }}}}}}}}} | |
4. 다른 씨족과의 관계
4.1. 조상형제설
4.1.1.
강릉 김씨
강릉 김씨와 상조형제지간설(上祖兄弟之間說)이 있다. 강릉 김씨와 연안 김씨의 윗대 선조가 형제 사이라는 설인데, 위에서 언급했던 신라 종실 후예인 형제가 유배될 때 형과 아우가 각각 강릉과 연안으로 유배되었다는 이야기 때문에 생겨난 설로 연안으로 간 아우의 후손이 연안 김씨가 되었다면, 강릉으로 간 형의 후손은 강릉 김씨가 되지 않았겠느냐는 것이다.그러나 강릉 김씨 족보에 나오는 강릉 김씨의 시조 발상[90]이 연안 김씨의 시조 발상과는 차이가 있기에 옳다 그르다 말하기 어렵다.
4.2. 분적
4.2.1. 파평 김씨[?]
파평 김씨(坡平 金氏)의 시조 김장수(金長壽)는 고려 공민왕 때의 무신으로 최영과 함께 홍건적의 침입을 격퇴하였고, 흥왕사의 변 진압 과정에서 공을 세우고 전사한 인물이다. 김장수는 본래 연안 김씨로, 후손들이 본관을 파평(坡平)으로 바꾸었다.4.2.2. 평양 김씨[92]
평양 김씨(平壤 金氏)의 시조 김여하(金慮遐)는 조선 전기의 무신인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9세 장양공(莊襄公) 김만수(金萬壽)의 재종질(7촌 조카)이다. 조선왕조실록에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이 있고, 김여하가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양효공(襄孝公) 김효성(金孝誠)의 일족이라는 기사도 있다.(전략) '[ruby(孝, ruby=효)][ruby(誠, ruby=성)], [ruby(金, ruby=김)][ruby(慮, ruby=여)][ruby(遐, ruby=하)][ruby(之, ruby=지)][ruby(族, ruby=족)][ruby(也, ruby=야)]。' '김효성은 김여하(金慮遐)의 일가이다.' (후략) 《태종실록》 34권, 태종 17년(1417) 8월 26일 기유 4번째기사 |
(전략) [ruby(慮, ruby=여)][ruby(遐, ruby=하)][ruby(納, ruby=납)][ruby(招, ruby=초)][ruby(曰, ruby=왈)]: " … [ruby(隱, ruby=은)][ruby(於, ruby=어)][ruby(七, ruby=칠)][ruby(寸, ruby=촌)][ruby(叔, ruby=숙)][ruby(金, ruby=김)][ruby(萬, ruby=만)][ruby(萬, ruby=수)][ruby(家, ruby=가)], … " 김여하가 납초(納招)하기를, " … 7 촌숙(七村叔) 김만수의 집에 숨어서 … " (후략) 《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1418) 3월 23일 계유 1번째기사 |
- {{{#!folding [김병원(金秉元)→장철부(張哲夫)]
| 태극무공훈장 수훈자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02E3A, #D02E3A 20%, #D02E3A 80%, #D02E3A); color: #fff"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373a3c,#ddd><width=20%> 1950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더글러스 맥아더
미 육군원수 ||<width=20%> 1951
이근석
공군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백선엽
육군대장 ||<width=20%> 1951 1953중복수훈
정일권
육군대장 ||<width=20%> 1951
심일
육군소령 ||
| 1951 이명수 육군일등상사 | 1951 김용식 육군일병 | 1951 홍재근 육군일병 | 1951 김용배 육군준장 | 1951 박노규 육군준장 |
| 1951 김백일 육군중장 | 1951 김홍일 육군중장 | 1951 함준호 육군중장 | 1951 1953중복수훈 손원일 해군중장 | 1951 최용남 해병소장 |
| 1951 김성은 해병중장 | 1951 1952중복수훈 김정렬 공군중장 | 1952 이형근 육군대장 | 1951 권동찬 육군준장 | 1952 김종오 육군중장 |
| 1952 1953중복수훈 신현준 해병중장 | 1953 장덕창 공군중장 | 1953 최용덕 공군중장 | 1953 마크 클라크 미 육군대장 | 1953 김교수 육군대위 |
| 1953 김한준 육군대위 | 1953 김용배 육군대장 | 1953 민기식 육군대장 | 1953 임충식 육군대장 | 1953 한신 육군대장 |
| 1953 김점곤 육군소장 | 1953 이성가 육군소장 | 1953 이용문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임부택 육군소장 | 1953 1954중복수훈 강문봉 육군중장 |
| 1953 김동빈 육군중장 | 1953 김종갑 육군중장 | 1953 백인엽 육군중장 | 1953 1954중복수훈 송요찬 육군중장 | 1953 유재흥 육군중장 |
| 1953 최영희 육군중장 | 1953 함병선 육군중장 | 1953 최치환 총경 | 1954 김만술 육군대위 | 1954 허봉익 육군대위 |
| 1954 김경진 육군중령 | 1954 김웅수 육군소장 | 1954 송석하 육군소장 | 1954 엄홍섭 육군소장 | 1954 임선하 육군소장 |
| 1954 백재덕 육군이등상사 | 1954 최득수 육군이등상사 | 1954 김옥상 육군일병 | 1954 조재미 육군준장 | 1954 안낙규 육군중사 |
| 1954 박병권 육군중장 | 1954 이응준 육군중장 | 1954 이준식 육군중장 | 1954 장도영 육군중장 | 1954 최석 육군중장 |
| 1954 최창언 육군중장 | 1954 박옥규 해군중장 | 1954 김석범 해병중장 | 1955 김창룡 육군소장 | 1955 정긍모 해군중장 |
| 1956 서정학 이사관(치안국장) | 1960 미군무명용사 - | 1961 김금성 공군준장 | 1961 국군무명용사 - | 1964 박정희 대통령 |
| 1966 이종세 육군상사 | 1966 강재구 육군소령 | 1966 이인호 해병소령 | 1967 송서규 육군대령 | 1967 채명신 육군중장 |
| 1967 지덕칠 해군중사 | 1967 정경진 해병대위 | 1967 신원배 해병소위 | 1968 최규식 경무관 | 1968 이익수 육군준장 |
| 1968 최범섭 육군중령 | 1970 이세호 육군중장 | 1972 이무표 육군대위 | 1972 임동춘 육군대위 | 1975 찰스 B. 스미스 미육군중령 |
| 1980 육군대장 | 2002 장철부 육군중령 | 2006 김영옥 미 육군대령 | 2011 조달진 육군소위 | 2015 윌리엄 스피크먼 영 육군병장 |
| 2015 헥터 카페라타 미 해병대일병 | 2018 콘라도 디 얍 필리핀 육군대위 | 2021 에밀 카폰 미 육군대위 | 2023 랄프 퍼켓 미 육군대령 | 2024 찰스 J. 로링 주니어 미 공군소령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철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장철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계파와 종중
연안 김씨는 시조의 두 아들 가운데 누구의 후손인지에 따라 2개의 계(系)로 나누어지고[94] 그 아래에 시조의 7대손인 8세 23인을 시조로 하는 23개 파(派)가 있다. 다만 5개파는 자손이 끊기어 현존하는 파는 18개이다.[절손] 위의 18개 파 안에서 다시 종중(宗中)으로 갈라지고, 여기서 다시 분파하면 문중(門中)이라 부른다.종회는 파, 종중, 문중 단위로 구성하고 있으나, 파종이나 종중 안에서 특정한 조상의 후손을 구성원으로 해 선조의 봉사[96]와 묘역 수호를 위해 종회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는 '○○공종회'라 부르고 파, 종중, 문중과 구별한다.
계와 파, 공종회의 이름은 분종 조상의 관직명이나 시호를 쓰고, 종중, 문중의 이름은 조상의 낙향지나 자손들의 집단세거지의 지명을 쓴다.
- 호부원외랑공계(戶部員外郎公系)
-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
양양군, 평창시, 서귀포시, 가평군, 임실군에서 흔하다. 강원도와 제주도에 많다.
- 2007년 발행 병술대동보 기준 인구 현황
- 1.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40종중 7문중, 인구 약 3만, 연김 전체 인구 약 29%, 약 1/4)
- 2.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3종중 1문중, 인구 약 1만, 연김 전체 인구 약 12%, 약 1/8)
- 3.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4종중 5문중, 인구 약 1만, 연김 전체 인구 약 11%, 약 1/9)
… - 위의 세 종파가 인구가 가장 많으며 인구수 1만 이상이다.
- 위에 적힌 내자시윤공파, 도관찰사공파를 비롯해 문정공의 후손인 일곱 종파가 약 63%로 전체 연김 인구의 2/3 가량, 대장군공계 인구의 4/5 가량을 차지한다.
5.1. 계파
| [ruby(金, ruby=김)][ruby(暹, ruby=섬)][ruby(漢, ruby=한)] | 시조 | ||||||||||||||||||||||
| [ruby(戶, ruby= 호)][ruby(部, ruby= 부)][ruby(員, ruby=원)][ruby(外, ruby=외)][ruby(郎, ruby=랑)][ruby(公, ruby=공)][ruby(系, ruby=계)] | [ruby(大, ruby= 대)][ruby(將, ruby= 장)][ruby(軍, ruby=군)][ruby(公, ruby=공)][ruby(系, ruby=계)] | 계 | |||||||||||||||||||||
| [ruby(俊, ruby=준)][ruby(龜, ruby=구)] | [ruby(俊, ruby=준)][ruby(麟, ruby=린)] | 2세 | |||||||||||||||||||||
| [ruby(昴, ruby=묘)][ruby(成, ruby=성)] | [ruby(景, ruby=경)][ruby(成, ruby=성)] | 3세 | |||||||||||||||||||||
| [ruby(裕, ruby=유)][ruby(簡, ruby=간)] | [ruby(禆, ruby=비)] | [ruby(祐, ruby=우)] | 4세 | ||||||||||||||||||||
| [ruby(大, ruby=대)][ruby(義, ruby=의)] | [ruby(寬, ruby=관)][ruby(義, ruby=의)] | [ruby(光, ruby=광)][ruby(厚, ruby=후)] | 5세 | ||||||||||||||||||||
| [ruby(伯, ruby=백)] | [ruby(實, ruby=실)] | [ruby(彦, ruby=언)][ruby(忠, ruby=충)] | [ruby(濤, ruby=도)] | 6세 | |||||||||||||||||||
| [ruby(信, ruby=신)][ruby(劍, ruby=검)] | [ruby(勝, ruby=승)][ruby(碩, ruby=석)] | [ruby(粹, ruby=수)] | [ruby(自, ruby=자)][ruby(知, ruby=지)] | [ruby(汝, ruby=여)][ruby(知, ruby=지)] | [ruby(致, ruby=치)][ruby(知, ruby=지)] | [ruby(學, ruby=학)][ruby(知, ruby=지)] | 7세 | ||||||||||||||||
| [ruby(安, ruby=안)][ruby(柱, ruby=주)] | [ruby(安, ruby=안)][ruby(寶, ruby=보)] | [ruby(善, ruby=선)] | [ruby(乙, ruby=을)][ruby(珍, ruby=진)] | [ruby(貴, ruby=귀)][ruby(生, ruby=생)] | [ruby(偉, ruby=위)] | [ruby(俓, ruby=경)] | [ruby(仍, ruby=잉)] | [ruby(攸, ruby=유)] | [ruby(何, ruby=하)] | [ruby(侅, ruby=해)] | [ruby(備, ruby=비)] | [ruby(脩, ruby=수)] | [ruby(俱, ruby=구)] | [ruby(晙, ruby=준)] | [ruby(昫, ruby=구)] | [ruby(昇, ruby=승)] | [ruby(混, ruby=혼)] | [ruby(洵, ruby=순)] | [ruby(淑, ruby=숙)] | [ruby(漬, ruby=지)] | [ruby(滉, ruby=황)] | [ruby(泞, ruby=저)] | 8세 |
| 개성부윤공파 | 한림학사공파 | 공부전서공파 | 밀직제학공파 | 당진현감공파 | 경시서령공파 | 관찰사공파 | 재령군수공파 | 중추부사공파 | 정선공파 | 내자시윤공파 | 사정공파 | 도관찰사공파 | 좌군사정공파 | 고원군사공파 | 연안부사공파 | 직강공파 | 군수공파 | 교수공파 | 현감공파 | 사간공파 | 참판공파 | 구례현감공파 | 파 |
{{{#!folding [자세한 상계도 보기 ]
| 1세 | 2세 | 계(系)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파(派) |
| 김섬한 金暹漢 | 김준구 金俊龜 [102] | 호부원외랑공계 戶部員外郎公系 | 묘성 昴成 | 유간 裕簡 [103] | 대의 大義 [104] | 백 伯 [105] | 신검 信劍 [106] | 김안주 金安柱 [107] |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 김안보 金安寶 [108] | 한림학사공파 翰林學士公派 | ||||||||
| 실 實 [109] | 승석 勝碩 [110] | 김선 金善 [111] |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
| 김을진 金乙珍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
| 준룡 俊龍 [無] | |||||||||
| {{{#8A2BE2 김준린}}} {{{#8A2BE2 金俊麟}}} | {{{#8A2BE2 대장군공계}}} {{{#8A2BE2 大將軍公系}}} | 경성 景成 | 비 禆 | 관의 寬義 | 억 億 | 성철 成喆 [無] | |||
| 성흡 成洽 | 맹문 孟文 [無] | ||||||||
| 익문 益문 [無] | |||||||||
| [女] | |||||||||
| 언충 彦忠 | 수 粹 | 김귀생 金貴生 | {{{#9ACD32 당진현감공파}}} {{{#9ACD32 唐津縣監公派}}} | ||||||
| [女] | |||||||||
| [女] | |||||||||
| 우 祐 | 광택 光택 | 연 淵 | [女] | ||||||
| 손 遜 | 흥주 興霔 | 익신益新 | 중근仲斤[無] | ||||||
| 익보 益寶 [無] | |||||||||
| 흥우 興雨 | 구강 九江 [無] | ||||||||
| 흥달 興達 [無] | |||||||||
| 흥말 興末 | [女] | ||||||||
| 흥간 興潤 | 효동 孝僮 [無] | ||||||||
| [女] | |||||||||
| [女] | |||||||||
| [女] | |||||||||
| 광후 光厚 | 완 浣 | [女] | |||||||
| 도 濤 | 자지 自知 | {{{#00B4C8 김위}}} {{{#00B4C8 金偉}}} | {{{#00B4C8 경시서령공파}}} {{{#00B4C8 京市暑令公派}}} | ||||||
| 김경 金俓 | 觀察使公派 [절손] | ||||||||
| {{{#00B4C8 김잉}}} {{{#00B4C8 金仍}}} |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
| {{{#00B4C8 김유}}} {{{#00B4C8 金攸}}} | 중추부사공파 中樞府事公派 | ||||||||
| 김하 金何 | 靖宣公派 [절손] | ||||||||
| {{{#00B4C8 김해}}} {{{#00B4C8 金侅}}} [132]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
| {{{#00B4C8 김비}}} 金備 | 사정공파 司正公派 | ||||||||
| {{{#00B4C8 김수}}} 金脩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
| {{{#00B4C8 김구}}} 金俱 | 좌군사정공파 左軍司正公派 | ||||||||
| [女] | |||||||||
| 여지 汝知 | {{{#c00d45 김준}}} 金晙 | 고원군사공파 高原郡事公派 | |||||||
| {{{#c00d45 김구}}} 金昫 | 연안부사공파 延安府公派 | ||||||||
| {{{#c00d45 김승}}} 金昇 | 직강공파 直講公派 | ||||||||
| [女] | |||||||||
| 치지 致知 | 김혼 金混 | 郡守公派 [절손] | |||||||
| 김순 金洵 | 敎授公派 [절손] | ||||||||
| 김숙 金淑 | 縣監公派 [절손] | ||||||||
| {{{#2e8b57,#fedc89 김지}}} 金漬 | 사간공파 司諫公派 | ||||||||
| [女] | |||||||||
| [女] | |||||||||
| [女] | |||||||||
| [女] | |||||||||
| [女] | |||||||||
| 학지 學知 | {{{#0a50a1 김황}}} 金滉 | 참판공파 參判公派 | |||||||
| {{{#0a50a1 김저}}} 金泞 | 구례현감공파 求禮縣監公派 | ||||||||
| [女] | |||||||||
| [女] | |||||||||
| [女] | |||||||||
| [女] | |||||||||
| [女] | |||||||||
| [女][149] | |||||||||
}}}
5.2. 종중
- {{{#!folding [호부원외랑공계(戶部員外郎公系) 4파 보기 ]
- {{{#!folding [개성부윤공파(開城府尹公派) 4종중 5문중 ]
- {{{#!folding [한림학사공파(翰林學士公派) 4종중 ]
- 성덕종중(成德宗中)
- 죽성종중(竹城宗中)
- 사전종중(寺田宗中)
- 위미종중(爲美宗中)
}}} - {{{#!folding [공부전서공파(工部典書公派) 6종중 3문중 ]
- {{{#!folding [밀직제학공파(密直提學公派) 4종중 4문중 ]
}}}
}}}
}}}
- {{{#!folding [대장군공계(大將軍公系) 14파 보기 ]
- [당진현감공파(唐津縣監公派)]
- {{{#!folding [경시서령공파(京市暑令公派) 6종중 ]
- {{{#!folding [재령군수공파(載寧郡守公派) 6종중 3문중 ]
- {{{#!folding [중추부사공파(中樞府事公派) 5종중]
- {{{#!folding [내자시윤공파(內資寺尹公派) 40종중 7문중 ]
- 연백종중(延白宗中)
- 교하종중(交河宗中)
- 평산종중(平山宗中)
- 마정종중(馬井宗中)
- 임계종중(臨溪宗中)
- 원주종중(原州宗中)
- 평창종중(平昌宗中)
- 울진종중(蔚珍宗中)
- 신동종중(新東宗中)
- 구리종중(九里宗中)
- 해미종중(海美宗中)
- 용현종중(龍峴宗中)
- 반포종중(盤浦宗中)
- 선산종중(善山宗中)
- 덕안종중(德安宗中)
- 폐곡종중(폐谷宗中)
- 의령종중(宜嶺宗中)
- 원성종중(原城宗中)
- 귀래종중(貴來宗中)
- 월운종중(月雲宗中)
- 원읍종중(原邑宗中)
- 안성종중(安城宗中)
- 충주종중(忠州宗中)
- 송악종중(松岳宗中)
- 도일리종중(道日里宗中)
- 송원종중(松院宗中)
- 서천종중(舒川宗中) : 입향조는 15세 김난수(金亂守)이다. 연흥부원군 김제남(金悌男)의 손자이자 김제남의 장남 김래(金琜)의 3남으로, 계축옥사 당시 어렸던 김난수만 노비의 등에 업혀 전라도에 피신하였다가 이후 서천군 화양면 추동리에 터를 잡아 후손들이 세거하게 되었다. 디지털서천문화대전
- 대자리종중(大慈里宗中) : 김제남의 현손, 김호(金澔, 1634~1699)의 장남 17세 김상익(金相益)의 후손.
- 보령종중(保寧宗中) : 김제남의 현손, 김호의 차남 17세 김상윤(金相尹)의 후손.
- 덕산종중(悳山宗中) : 김제남의 현손, 김호의 3남 김상열(金相悅)의 후손.
- 약현종중(藥峴宗中)[150] : 김제남의 현손, 김호의 4남 김상석(金相奭)의 후손.
- 파주종중(坡州宗中)
- 청양종중(靑陽宗中)
- 송현종중(松現宗中)
- 호서종중(湖西宗中)
- 괴산종중(槐山宗中)
- 상주종중(尙州宗中)
- 연산공종중(連山公宗中)
- 신양문중(新陽門中) : 입향조는 18세 통덕랑(通德郞) 김형(金炯, 1704~1758)이다.
- 대흥문중(大興門中) : 입향조는 한성주부(漢城主簿)를 자낸 16세 김낙(金洛, 1648~1717, 자;光繼)이다.
- 오산문중(烏山門中)
- 순성문중(順城門中)
- 공주종중(公州宗中)
- 연천종중(蓮川宗中)
}}} - {{{#!folding [사정공파(司正公派) 2종중 ]
- {{{#!folding [도관찰사공파(都觀察使公派) 13종중 1문중 ]
- 태인종중(泰仁宗中)[152] : 도관찰사공파 11세 김근사의 후손들이다.
- 창원종중(昌原宗中)
- 부여종중(扶餘宗中)
- 광주종중(廣州宗中)
- 당진종중(唐津宗中)
- 음성종중(陰城宗中)
- 이천종중(利川宗中)
- 평택종중(平澤宗中)
- 용인종중(龍仁宗中)
- 예산종중(禮山宗中) : 충청남도 예산군 삽교읍 상하리에 집성촌이 있다.
- 벽성종중(碧城宗中)[153]
- 해남문중(海南門中)
- 철원종중(鐵原宗中)
- 전동종중(全東宗中)
- {{{#!folding [좌군사정공파(左軍司正公派) 2종중 ]
- 이산종중(伊山宗中)
- 부석종중(浮石宗中)
- {{{#!folding [고원군사공파(高原郡事公派) 3종중 ]
- {{{#!folding [연안부사공파(延安府事公派) 2종중 ]
- {{{#!folding [직강공파(直講公派) 13종중 5문중 ]
- 부안종중(扶安宗中)
- 순천종중(順天宗中)
- 흥양종중(興陽宗中)[154]
- 장산종중(莊山宗中) : 전라남도 영광군 백수읍 장산리 월계(月桂)마을, 입용(入龍)마을에 집성촌이 있다. 김빛내리 교수가 이 마을 출신이다.
- 나산종중(羅山宗中) :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나산리에 집성촌이 있다.
- 재동문중(齋洞門中)
- 정읍종중(井邑宗中)
- 남원종중(南原宗中)
- 연동종중(淵洞宗中)
- 순창종중(淳昌宗中)
- 고창종중(高敞宗中)
- 외간종중(外澗宗中)
- 박천종중(博川宗中)
- 평택종중(平澤宗中)
- {{{#!folding [사간공파(司諫公派) 3종중 ]
- [참판공파(參判公派)]
- {{{#!folding [구례현감공파(求禮縣監公派) 6종중 ]
}}}
}}}
}}}
}}}
}}}
}}}
}}}
}}}
}}}
}}}
6. 항렬자
연안 김씨는 크게 두 가지의 항렬 체계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장파계통인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에서 쓰고 있는 항렬체계이고, 다른 하나는 호부원외랑공계 일부와 대장군공계에서 쓰고 있는 대종 항렬체계이다. 이 외에 제주도의 한림학사공파등도 항렬체계를 가지고 있다.6.1. 개성부윤공파 항렬
| 공통 항렬 | ||||||
| 대수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
| 항렬자 | ○漢(한) | 俊○(준) | ○成(성) | 示边[示] | ○義(의) | 光○(광) |
| … | ||||||
| 호부원외랑공계 항렬 | ||||||
| 대수 | 6세 | 7세 | 8세 | 9세 | 10세 | 11세 |
| 항렬자 | - | - | 安○(안) | ○壽(수) | - | 休(휴) |
|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항렬 (17世 ~ 28世) | ||||||
| 대수 | 17세 | 18세 | 19세 | 20세 | 21세 | 22세 |
| 항렬자 | 大○(대) | 鼎○(정) | 世○(세) | 是○(시) | 南○(남) | 泰○(태) |
| 대수 | 23세 | 24세 | 25세 | 26세 | 27세 | 28세 |
| 항렬자 | 宗○(종) 致○(치) | ○燮(섭) ○喆(철) | ○煥(환) ○默(묵) | 持○(지) | ○銓(전) ○周(주) ○鎭(진) | ○濟(제) ○起(기) |
|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항렬 (29世 ~ 43世) | ||||||
| 오행 | 대수 | 항렬자 | 대수 | 항렬자 | 대수 | 항렬자 |
| 土 | 31세 | ○在(재) 基○(기) ○均(균) 埻○(준) | 41세 | ○坤(곤) 垠○(은) ○垣(원) 堯○(요) | ||
| 金 | 32세 | ○錫(석) 鍵○(건) ○鎬(호) 鎔○(용) | 42세 | ○鈺(옥) 銘○(명) ○鉉(현) 鏡○(경) | ||
| 水 | 33세 | ○淳(순) 漸○(점) ○泳(영) 洙○(수) | 43세 | ○鴻(홍) 潤○(윤) ○準(준) 泰○(태) | ||
| 木 | 34세 | ○杓(표) 相○(상) ○采(채) 東○(동) | ||||
| 火 | 35세 | ○燾(도) 焄○(훈) ○薰(훈) 烈○(열) | ||||
| 土 | 36세 | ○圭(규) 墩○(돈) ○培(배) 孝○(효) | ||||
| 金 | 37세 | ○鎭(진) 鏞○(용) ○鍾(종) 欽○(흠) | ||||
| 水 | 38세 | ○濬(준) 洽○(흡) ○源(원) 淵○(연) | ||||
| 木 | 29세 | ○植(식) 楫○(즙) ○奎(규) 秉○(병) | 39세 | ○槿(근) 棹○(도) ○模(모) 椿○(춘) | ||
| 火 | 30세 | ○煕(희) 炳○(병) ○燁(엽) 炯○(형) | 40세 | ○燦(찬) 熔○(용) ○爀(혁) 炅○(경) | ||
6.2. 대종 항렬
| 공통 항렬 | 대장군공계 항렬 | |||||||||
| 대수 | 1세 | 2세 | 3세 | 4세 | 5세 | 6세 | 7세 | 8세 | ||
| 항렬자 | ○漢(한) | 俊○(준) | ○成(성) | 示边[示] | ○義(의) 光○(광) | 水边(氵) | ○知(지) | 人边(亻) 日部(⺜) 水边(氵) | ||
| … | ||||||||||
| 대종 항렬 (17世 ~ 39世) | ||||||||||
| 오행 | 대수 | 항렬자 | 오행 | 대수 | 항렬자 | 오행 | 대수 | 항렬자 | ||
| 金 | 25세 | 鍾○(종) | 金 | 35세 | ○鎭(진) | |||||
| 水 | 26세 | ○泳(영) | 水 | 36세 | ○澤(택) | |||||
| 木 | 17세 | 相○(상) | 木 | 27세 | ○柱(주) | 木 | 37세 | ○根(근) | ||
| 火 | 18세 | 火边[邊] | 火 | 28세 | ○性(성) | 火 | 38세 | ○熙(희) | ||
| 土 | 19세 | 載○(재) | 土 | 29세 | ○重(중) | 土 | 39세 | ○培(배) | ||
| 金 | 20세 | 金边[邊] | 金 | 30세 | ○鉉(현) | |||||
| 水 | 21세 | ○淵(연) | 水 | 31세 | ○源(원) | |||||
| 木 | 22세 | ○秀(수) | 木 | 32세 | ○植(식) | |||||
| 火 | 23세 | 思○(사) | 火 | 33세 | ○憲(헌) | |||||
| 土 | 24세 | ○基(기) | 土 | 34세 | ○圭(규) | |||||
| 대종 항렬 (40世 ~ 44世) | ||||||||||
| 대수 | 40세 | 41세 | 42세 | 43세 | 44세 | |||||
| 항렬자 | ○鈞(균) ○鎬(호) | ○澈(철) | ○杓(표) | ○桓(환) ○容(용) | ||||||
| 오행 | 金 | 水 | 木 | 火 | 土 | |||||
7. 인물
| 이름 | 이명 | 생몰년도 | 계파 | 비고 |
| 분파 이전 | ||||
| 6세 | ||||
| 김도 金濤 | ? ~ 1379 | _ | 고려의 문신 [김유연_직가계][의친왕비_직가계][김안로_직가계] | |
| 7세 | ||||
| 김자지 金自知 | [시호] 문정(文靖) | 1367 ~ 1435 | _ | 여말선초의 문신 도의 장남 [김유연_직가계][의친왕비_직가계][김안로_직가계] |
| 김여지 金汝知 | [시호] 문익(文翼) | 1370 ~ 1425 | _ | 여말선초의 문신 도의 차남 |
| 분파 이후 | ||||
| 8세 | ||||
| 김승 金昇 | ?~1464 | 직강공파 直講公派 | 직강공파 파조, 진남군의 맏사위 여지의 3남 | |
| 9세 | ||||
| 김로 金輅 | [군호] 연성군(延城君) [시호] 공희(恭僖) [172]↓[173] 공경(恭頃) | 1355 ~ 1416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여말선초의 문신 [개국공신][정사공신] |
| [작호] 덕원군부인 德源郡夫人 ↓[177] 양원군부인 梁源郡夫人 | 1429 ~ 1482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조선 세종의 며느리, 의창군의 부인 自知의 손녀[178] | |
| 10세 | ||||
| 김효성 金孝誠 | [군호] 연산군(延山君) [시호] 양효(襄孝) | 1385 ~ 1454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조선의 무신 [정난공신] |
| 김흔 金訢 | [시호] 문광(文匡) | 1448 ~ 1492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自知의 증손 [김안로_직가계] |
| 김전 金詮 | [시호] 충정(忠貞) | 1458 ~ 1523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 自知의 증손 [김유연_직가계][의친왕비_직가계] |
| 김감 金勘 | [군호] 연창부원군 延昌府院君 [시호] 문경(文敬) | 1466 ~ 1509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조선의 문신[정국공신] 自知의 증손[191] |
| 11세 | ||||
| 연성부부인 延城府夫人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조선 세종의 며느리, 영응대군의 부인 로의 손녀[192] | ||
| 김처의 金處義 | | ? ~ 1465 | 밀직제학공파 密直提學公派 | 조선의 무신 효성의 차남 |
| 김근사 金謹思 | 1466 ~ 1539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 自知의 현손(玄孫, 4대손)[198] | |
| 김안로 金安老 | 1481 ~ 1537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 흔의 3남 [김안로_직가계] | |
| 12세 | ||||
| 김희 金禧 | [위호] 연성위(延城尉) | ? ~ 1531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 중종의 부마, 효혜공주의 부군 안로의 차남 |
| 김시 金禔 | 1524 ~ 1593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화가 안로의 4남 | |
| 김개국 金蓋國 | 1548 ~ 1603 | 좌군사정공파 左軍司正公派 | 조선의 문신[서원배향][203], 만취선조관동일록, 만취선조예조일기의 저자 自知의 내손(來孫, 5대손)[204] | |
| 13세 | ||||
| 김제남 金悌男 | [군호] 연흥부원군 延興府院君 [시호] 의민(懿愍) | 1562 ~ 1613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전의 증손 [김유연_직가계][의친왕비_직가계] |
| 14세 | ||||
| [시호] 인목왕후 仁穆王后 [존호] 소성대비 昭聖大妃 | 1584 ~ 1632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 선조의 계비, 광해군의 계모, 영창대군의 친모 제남의 차녀 | |
| 김규 金珪 | 1596 ~ 1613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정신옹주의 맏사위 제남의 차남 [의친왕비_직가계][김유연_직가계] | |
| 15세 | ||||
| 16세 | ||||
| 17세(相○) | ||||
| 18세(火边) | ||||
| 김익 金熤 | [시호] 문정(文貞) | 1723 ~1790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 제남의 내손(來孫, 5대손) [김유연_직가계] |
| 19세(載○) | ||||
| 김재찬 金載瓚 | [시호] 문충(文忠) | 1746 ~ 1827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종묘배향] 익의 장남 [김유연_직가계] |
| 20세(金边) | ||||
| 김려 金鑢 | 1766 ~ 1822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학자 제남의 잉손(仍孫, 7대손)[221] | |
| 김로 金鏴 | [시호] 문헌(文獻) | 1783 ~ 1838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종묘배향] 익의 손자[224] |
| 21세(○淵) | ||||
| 김유연 金有淵 | [시호] 정익(貞翼) | 1819 ~ 1887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상신] 제남의 운손(雲孫, 8대손) [김유연_직가계] |
| 22세(○秀) | ||||
| 김기수 金綺秀 | 1832 ~ 1894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제남의 이손(耳孫, 9대손)[228] | |
| 23세(思○) | ||||
| 金思轍 | 1847 ~ 1935 | 직강공파 直講公派 ↓[229]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귀족] | |
| 김사준 金思濬 | 1855 ~ 1917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제남의 10대손[의친왕비_직가계] | |
| 24세(○基) | ||||
| 金奭基 | 1874~1956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조선의 문신, 대한제국의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조선귀족] 사철의 아들 | |
| 김숙 金淑 / 김덕수 金德修 | [작호] 연원군부인 延原郡夫人 ↓ 의친왕비 義親王妃 | 1880 ~ 1964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의친왕의 비 사준의 장녀[의친왕비_직가계] |
| 김원기 金元基 | 1924 ~ 2001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대한민국의 경제관료[장관][238] | |
| 김봉기 金鳳基 | 1929 ~ 1990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대한민국의 기업인, 언론인, 정치인[국회의원] | |
| 25세(鍾○) | ||||
| 김의준 金意俊 | [보명] 김종환(金鍾煥) | 1909 ~ 1985 |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법조인(판사, 검사), 정치인(제2·3·4대 국회의원) |
| 김종운 金鍾云 | 1929 ~ 2000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교수, 영문학자 | |
| 김종성 金鍾星 | 1956 ~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교수, 건축가 사준의 손자 | |
| 26세(○泳) | ||||
| 김중업 金重業 [業] | 1922 ~ 1988 |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교수, 건축가 | |
| 김인영 金仁泳 | 1939 ~ | 경시서령공파 京市暑令公派 | 기업인, 정치인(제13·14·15대 국회의원) | |
| 김각영 金珏泳 | 1943 ~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법조인(검사, 변호사) 제44대 법무부차관 제32대 검찰총장 | |
| 27세(○柱) | ||||
| 김우전 金祐銓 [銓] | 1922 ~ 2019 |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독립유공자, 기업인 | |
| 김덕주 金德柱 | 1933 ~ 2023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법조인(판사, 변호사), 대법원판사, 대법관 제11대 대법원장 | |
| 김성주 金成柱 | 1964 ~ |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기업인, 정치인(제19·21대 국회의원) | |
| 김도아 金鍍我 | 2003 ~ | 도관찰사공파 都觀察使公派 | FANATICS 출신 가수, 배우 | |
| 28세(○性) | ||||
| 김은제 金恩濟 [濟] | [보명] 김은제(金殷濟) | 1906 ~ 1936 |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독립유공자 |
| 김빛내리 金- | 1969 ~ | 직강공파 直講公派 | 교수, 생명과학자 | |
| 김현아 金賢雅 | [예명] 김정난(金靜暖) | 1971 ~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배우 |
| 김보민 金甫珉 | [예명] 쓰복만 | 1990 ~ | 경시서령공파 京市暑令公派 | 성우 |
| 김인성 金仁性 | [예명] 인성 | 1993 ~ |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가수(SF9의 멤버), 배우 |
| 29세(○重) | ||||
| 김용담 金龍潭 [龍] | 1947 ~ | 공부전서공파 工部典書公派 | 법조인(판사), 제19대 법원행정처 차장, 대법관 제18대 법원행정처장 | |
| 김정원 金正元 | 1965 ~ | 개성부윤공파 開城府尹公派 | 법조인(판사), 제9대 헌법재판소 사무차장, 제13대 헌법재판소 사무처장 | |
| 김현중 金賢重 | 1986 ~ | 재령군수공파 載寧郡守公派 | 가수(SS501의 멤버), 배우 | |
| 김유빈 金○○ | [예명] 김예원(金叡園) | 1987 ~ | 내자시윤공파 內資寺尹公派 | 배우 |
| 30세(○鉉) | ||||
| 31세(○源) | ||||
| 32세(○植) | ||||
| 33세(○憲) | ||||
| 34세(○圭) | ||||
7.1. 계보 불명
8. 여담
- 장원 급제 출신 정승
- 형제 문과 동방
- 3형제 사마시 동방
- 창씨개명#
- 보쌈-운명을 훔치다
- 양평군 연안김씨 묘역
삼정승 문서의 여담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조선 시대 관료제는 능력주의가 깊게 베어 있어 음서로 관직에 나가면 높은 관직 승진이 제한되기도 했는데, 비슷한 이유로 대과 1위로 출사한 관리가 정승에 임명되는 일도 드물었다. # 시험 성적이 좋다고 해서 실무 능력이 좋다고 할 수 없고, 실무 능력이 좋다고 상신의 자리에 오르는 것도 아니기 때문.
연김이 배출한 정승[상신] 6명 중 장원 급제자는 두 명으로, 꽤 많다고 할 수 있다. 이 두 명의 장원 급제 출신 재상은 김전과 김안로인데 각각 성종 21년(1489) 문과 식년시, 중종 원년(1506) 문과 별시에 32세, 26세의 나이로 장원급제했다. 김전은 중종조에 영의정을, 김안로는 중종조에 좌의정과 우의정을 지냈다. 두 사람은 작은 아버지-조카 사이(3촌)이기도 하다.
동방(同榜)은 과거 시험에서 같은 해에 합격한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다. 형제가 한 해 대과에서 급제한 일이 두 번 있었다. 문과 형제 동방은 조선 왕조 통틀어 98회(삼형제 동방 포함시 101회)있었다. 인조 17년(1639) 기묘 식년시에서 김집(金㙫)[252]의 아들 김운장(金雲長)과 김수장(金壽長)이 각각 장원(갑과 1위), 탐화랑(갑과 3위)로 급제했다. 영조 39년(1763) 계미 증광시 문과에서는 김형(金炯)[253]의 두 아들 김재천(金載天)과 김재인(金載人)이 각각 문과 병과 12위, 문과 병과 13위로 급제하기도 했다.
삼형제가 같은 해 사마시에서 모두 급제한 일도 두 번 있었다. 김흔(金訢)의 아들 삼형제가 같은 해 사마시에서 동시에 급제한 일이 있었는데, 3형제 사마시 동방 급제는 조선 왕조 통틀어 44번 있었다. 연산군 7년(1501)에 치러진 식년시에서 장남 안정(安鼎)과 차남 안세(安世)는 진사시에 응시해 각각 2등 10위, 2등 22위로 급제했고, 3남 안로(安老)는 생원 3등 12위로 급제했다. 참고로 이 삼형제 모두 대과에 급제했다.
조선총독부가 조선식 성명을 일본식 씨명으로 바꾸고 사용할 것을 요구하자, 조상과 가문을 지키고 싶었던 조선인들은 문중 회의를 열어 씨를 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관을 그대로 쓰거나[254], 성과 본관에서 한 글자씩 따와 씨를 만들기도 했다. 정씨나 장씨, 최씨 등은 성에 쓰는 글자를 파자하기도 했고, 가문의 유래를 담은 글자들을 조합해 창씨한 가문들도 있었다.
연안 김씨 대종회는 이 중 성과 본관에서 한 글자씩 따오는 방식을 택해 성인 김씨와 관향인 연안을 씨에 담고자 했다. 대종회에서 정한 씨는 가네노부(金延)이다.
2021년 방영한 MBN 토일 드라마 보쌈-운명을 훔치다의 주인공 바우가 연안 김씨다. 김제남의 손자라는 설정으로, 극중 본명은 김대석이다. 실제로 김제남에게는 장남 김래가 낳은 김천석(金天錫), 김군석(金君錫)과 차남 김규가 낳은 김홍석(金弘錫), 이렇게 석자 돌림의 세 손자가 있었는데 이들에게서 이름을 따온 것으로 보인다.
| 연안 김씨 단령형 원삼[257] |
| 연안 김씨 묘 출토 승자총통 |
- 이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에 의하면, 조선조 문과 급제자를 100명 이상 배출한 성관 중 연안 김씨의 현대 인구 대비 조선조 문과 급제율이 5번째라고 한다.
[1] 연백(延白)이라는 지명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연안군(延安郡)과 배천군(白川郡)이 통합되며 두 군의 앞 글자 한 자씩을 따와 만들어진 지명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당시에는 대한민국이 연백군 대부분의 지역을 지배하고 있었으나 6.25 전쟁 중에 북한으로 넘어갔고, 그 후 북한은 연백을 연안과 배천으로 다시 분리했다. 비록 연안은 대한민국이 연백평야 일대를 실효 지배하던 6.25 전쟁 직전에는 경기도에 속했던 지역이지만, 광해군 때 해주목의 벽성현 강등으로 황해도가 황주와 연안에서 이름을 딴 황연도(黃延道)로 개칭되는 등 전통적으로 황해도로 분류되는 지역이고, 연안이 경기도에 속하게 된 연유도 헌법 상 대한민국의 영토를 무력으로 점거한 군벌 때문에 연백을 황해도에 잔류시키기 어려웠던 상황에 있으며 대한민국은 북한의 행정구역을 인정하지 않는만큼, 여기서는 황해도로 적는다.[2] 연흥부원군 김제남의 묘도 이곳 안창리에 있다.[3]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160907).pdf (10.18MB) 104쪽 3행 4열 성씨 및 본관 연안, 인구 93,382[4] 연안 김씨 대종회 인터넷 신문[5] [ruby(경, ruby=敬)][ruby(원, ruby=源)][ruby(재, ruby=齋)]는 1999년 경기도 양평군 강하면 왕창리의 양자산 기슭에 건립된 시조와 상세조를 모신 재실이다. 00:13에 보이는 문은 [ruby(영, ruby=永)][ruby(흠, ruby=欽)][ruby(문, ruby=門)], 00:36에 보이는 건물은 [ruby(현, ruby= 顯)][ruby(덕, ruby= 德)][ruby(사, ruby= 祠)]이고, 00:54에 보이는 건물들이 왼쪽부터 [ruby(조, ruby=肇)][ruby(연, ruby=延)][ruby(사, ruby=祠)], [ruby(경, ruby=敬)][ruby(원, ruby=源)][ruby(재, ruby=齋)], [ruby(현, ruby= 顯)][ruby(덕, ruby= 德)][ruby(사, ruby= 祠)]이다. 참고로 현판은 으레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는다. 자세한 것은 현판 문서로.[6] 중화인민공화국의 산시성에 있는 도시 옌안과 한자 표기가 延安으로 같지만, 우연일 뿐이고 연안 김씨는 중국에서 유래한 씨족이 아닌 신라계 가문이다. 인터넷에 올라온 이런 글들은 모두 근거 없는 날조에 지나지 않는다. 사족으로, 정말 시조가 대륙에서 한반도로 귀화해 온 연안 이씨(시조 이무李茂, 당나라 출신, 신라 귀화)와 연안 인씨(시조 인후印侯, 원나라 출신, 고려 귀화)의 연안 역시 [ruby(延安, ruby=Yán'ān)]이 아닌 [ruby(延, ruby=연)][ruby(安, ruby=안)]이다.[7] 통계에 의하면 전체 성본 인구 수 99위 안에 든 김씨 본관인
김해 약 445만 7천,
경주 약 188만 8천(경주 김씨 약 180만 1천, 월성 김씨 약 8만 7천),
광산 약 92만 6천,
안동(선) 안동 김씨 약 51만 2천,
김녕 약 62만(김녕 김씨 약 29만, 금녕 김씨 약 28만 7천, 김영 김씨 약 3만, 금영 김씨 약 1만 4천),
의성 약 28만 7천,
강릉 약 18만,
청풍 약 11만 1천,
선산(일선) 약 18만 5천(선산 김씨 약 13만 9천, 일선 김씨 약 4만 6천),
삼척 약 9만 3천,
연안 약 9만 3천,
청도 약 9만 1천
12본 가운데 두번째로 적은 본(本)으로 전체 김씨의 약 0.87%를 차지해 인구가 그리 많은 김씨 씨족은 아니다.
본관은 S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 본관(本貫) 인구분포→인구수 순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했고, 각 본관별 인구수는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를 따른 것이다. 강조 표기한 본관은 인구 10만 이상의 본관들이다.[8] 두 자료의 값에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은 별칭을 본관으로 한 경우(경주-월성), 같은 한자를 다르게 읽은 경우([ruby(金, ruby=김)][ruby(寧, ruby=녕)], [ruby(金, ruby=금)][ruby(寧, ruby=녕)], [ruby(金, ruby=김)][ruby(寧, ruby=영)], [ruby(金, ruby=금)][ruby(寧, ruby=영)]), 관향이 같지만 다른 가문인 경우(선/신 안동 김씨, 김선궁계/김추계 선산 김씨)를 어떻게 처리했느냐의 문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91,558명의 상산 김씨가 91,293명의 청도 김씨보다 많아 삼척 김씨 - 연안 김씨 - 상산 김씨 - 청도 김씨 순서가 되기도 한다. 이건 이 네 가문의 인구 차가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아 생긴 일인 것으로 추정된다.[9] 무오공신(戊午功臣). 차송우가 김준(金俊)이 최의(崔竩)와 별장 최양백(崔良伯), 대제학 선인렬(宣仁烈)·유능(柳能) 그리고 거성원발 등 최의의 일파를 제거한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한 공이 있다 하여 공신에 봉해진 것이다. 이로써 우봉 최씨 정권은 4대 62년으로 막을 내리고 김준 정권으로 이어진다.[10] 북한지역정보넷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건국의 위업을 달성하는데 이 지역이 크게 기여하여 끝없이(延) 안전한(安) 고장이 되었다는 뜻에서 연안부(延安府)라 하였다 한다. 이후 이 이름을 구한말 부군면 통폐합 전까지 유지하며, 북한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지금도 '연안'이 정식 행정구역명으로 남아있다.[11] 白은 흰 백자이지만 白川은 활음조 현상에 의해 〔배천〕으로 읽고 '배천'이라 쓰는 것이 맞다.[12] 서울-연안 직선 거리와 서울-천안 직선 거리는 약 80km로 비슷하다.[오류] 오류가 조금 있다.
· 시조 김섬한이 연안으로 유배간 것이 아니라 김섬한의 선조인 신라 김씨 왕족이 시염성으로 유배온 것이다.
· 11세 김근사는 10세 김전의 직계 후손이 아니며 두 사람은 칠촌 숙질간이다.
· 11세 김안로 또한 김전의 직계 후손이 아닌 조카고, 영의정이 아닌 우의정·좌의정을 지냈다.
· 10세 김감은 김전의 육촌 형제로 후손이 될 수 없다.[14] 안락당(顔樂堂)은 조선 초의 문인인 김흔(金訢)의 당호이고, 《안락당집》은 아들 희락당 김안로가 부친 사후에 아버지 안락당의 시, 전, 소, 차 등을 수록해 편집한 시문집이다. 희락당은 이 문집의 부록 끝에 집안의 세계도 붙여놓았다. 서문에 희락당이 적은 바에 의하면 희락당 자신은 고조부 이상의 조상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여 보고 들은 바와 고보서(古譜書)를 방증으로 삼아 세계록을 적었다고 한다.[15] 이 때문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를 관향으로 하는 강릉 김씨와 조상이 형제 사이가 아니냐는 설도 있다. 하단의 조상형제설 참고.[16] 김섬한이 경순왕의 12대손이라 기록된 채로 세상에 나도는 사서가 더러 있는데, 상술한 문헌들에서 처음부터 "김섬한 이상의 세계는 세월이 오래된데다가 아무 기록이 없어 알 도리가 없다"라고 박아놓았고 경순왕의 12대손이 김섬한이라는 주장도 근거를 찾을 수 없으므로 김섬한과 그 자손이 경순왕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창작으로 보는 것이 옳다.[17] 공민왕 대에 순유박사(諄諭博士)로 개칭됐다. 명종 당시에는 사문박사가 맞다.[18] 시조 김섬한이 과거에 급제했다 전해지고 그의 후손들도 여럿 관직에 올랐으므로 과거에 급제한 인물이 더 있을 것으로 보이나 전해지는 문과 방목이나 기록이 없어 배제했다.
대장군공계 4세 김우(金祐) : 충렬왕 미상년 급제,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8세 김을진(金乙珍) : 공민왕 2년(1353) 계사방(癸巳榜) 동진사(同進士) 23위(33/33),
대장군공계 6세 김도(金濤) : 공민왕 11년(1362) 임인방(壬寅榜) 을과(乙科) 2위(2/33),
대장군공계 7세 김자지(金自知) : 우왕 11년(1385) 을축방(乙丑榜) 동진사(同進士) 9위(19/33),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 창왕 1년(1389) 기사방(己巳榜) 을과(乙科) 1「壯元」위(1/33).[壯元] 연김 최초의 장원 급제자 김여지(金汝知)는 고려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 고려 창왕 1년(1389) 기사방(己巳榜) 을과(乙科) 1「壯元」위(1/33)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 : 성종 2년(1471) 신묘 별시 갑과 (辛卯 別試 甲科) 1「壯元」위(01/09),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 성종 20년(1489) 기유 식년시 갑과(己酉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3),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연산군 12년(1506) 병인 별시 갑과(丙寅 別試 甲科) 1「壯元」위(01/17),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반포종중 15세 김운장(金雲長) : 인조 17년(1639) 기묘 식년시 갑과(己卯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3),
대장군공계 직강공파-나산종중-재동문중 17세 김상옥(金相玉) : 숙종 35년(1709) 기축 알성시 갑과(己丑 謁聖試 甲科) 1「壯元」위(01/05),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0세 김필(金釒弼) : 순조 29년(1829) 기축 정시 갑과(己丑 庭試 甲科) 1「壯元」위(01/42),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2세 김민수(金民秀) : 철종 11년(1860) 경신 정시 갑과(庚申 庭試 甲科) 1「壯元」위(01/19),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2세 김의수(金懿秀) : 고종 25년(1888) 무자 식년시 갑과(戊子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4).[?] 김장수는 고려사에 연안의 옛이름인 염주(鹽州)가 본관으로 기록되어 있고, 김언수는 연안 김씨라고 전해지지만, 이 두 사람과 김섬한 사이의 혈연 관계를 찾을 수 없어 김섬한의 후손이 아니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김장수와 김언수가 연안에 거주하던 김섬한의 윗대에서 갈라진 후손이라고 추측하는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두 사람은 간언하다 유배간 동생의 후손인 것은 맞지만, 김섬한의 후손은 아니다.
사족으로, 김장수 외에도 관향이 황해도 연안 지역인 김씨를 조선 무과 방목에서 찾을 수 있다. 한양에 살다 숙종(조선) 39년(1713) 계사(癸巳) 대증광시(大增廣試) 무과에서 병과(丙科) 20위(30/168)로 급제한 김정걸(金鼎傑)의 본관은 석주(碩州)였는데, 석주 역시 연안의 옛이름이다.[21] 고려사 김장수 열전에 [ruby(金, ruby=김)][ruby(長, ruby=장)][ruby(壽, ruby=수)][ruby(塩, ruby=염)][ruby(州, ruby=주)][ruby(人, ruby=인)]이라 기록되어 있다. 염주 사람이란 뜻인데, 본관을 기록할 때 흔히 ○○人이라 기록했고, 연안군은 고려 초에 염주(鹽州)였다가 충선왕 때부터 연안이라 불렸다. 김장수는 연안 김씨 을해보(乙亥譜), 을유양보(乙酉兩譜)에 등재되었다. 참고로 塩은 鹽의 속자이다.[22] 검교직은 실직이 아닌 산직이다. 전시에 무장이 집에 있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23] 중랑장(中郞將)-장군(將軍)-대장군(大將軍)-상장군(上將軍) 순서로 올라간다. 말하자면 장군과 대장군을 건너뛴 셈. 자세한 내용은 고려군 참고.[24] 어대(魚袋)는 관등에 따라 옥·금·동으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어부(魚符)를 넣어 차던 자루를 말한다. 당 고종 2년(651)에 3품 이상에게 금식(金飾), 5품 이상에게 은식(銀飾)의 어대를 지급한 것이 시작이었다. 당 예종 2년(711)에 자의(紫衣)를 입은 관리에게 금어대를, 비의(緋衣)를 입은 관리에게 은어대를 패용하게 하였는데, 이에 따라 어대와 공복이 결합하여 자금어대(紫金魚袋)·비은어대(緋銀魚袋)라는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25] 상호군은 공민왕 대에 상장군을 개칭한 이름이다. 그 사이에 직위가 바뀌거나 한 것은 아니다.[26] 목은 이색(李穡)의 《상찰찬(上札讚)》에 따르면, 명, 자, 호 모두 이색이 지어주었다고 한다.[27] 기록마다 말이 조금씩 다르다. 관직을 고사했다는 말도 있고, 몇 해 머물다가 돌아왔다는 말도 있다. 하술할 명 태조실록에는 김도와 다른 고려인 2명이 돌아가기를 청해 배에 태워 돌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므로 전자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28] 나복산인(蘿蔔山人 혹은 蘿葍山人)은 김도의 호, 장원(長源)은 김도의 자이고, 나복산(蘿蔔山)은 오늘날의 순천, 화순 일대에 있는 모후산을 가리킨다는 말도 있고, 개경에 있던 산이라는 말도 있다. 뒤에 나오지만 모후산에 김도와 관련된 전승이 내려온다는 점에서 전자가 더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29] 이 동네는 개경에 있다. 이 지명은 구한말까지 개성군 동부면(東部面) 팔자동리(八字洞里)로 남아 있었고, 동부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북부면, 남부면, 서부면과 함께 송도면으로 병합, 팔자동리는 원정과 동본정으로 쪼개졌다. 해방 후 일본식 지명인 원정과 동본정은 각각 선죽동과 동흥동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국사편찬위원회 고려개경지리정보 '팔자동'을 검색하면 김도제, 팔자동, 나복산을 볼 수 있다.[30] 공민왕이 순천으로 피난왔을 때 나복산의 산세를 보고 '[ruby(덕, ruby= 德)][ruby(여, ruby=如)][ruby(모, ruby=母)][ruby(후, ruby=后)]'(산의 큰 덕이 어머니 같다.)라 말한 것에서 모후산(母后山)의 이름이 비롯했다는 이야기인데, 여기 김도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모후산 참고.[31] 한 구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지면 오언, 한 수가 12구 이상이면 배율이라 한다. 아래의 시는 한 수가 22구로 이루어져있고, 각 구는 5자로 이루어져있다.[壯元] [33]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4세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14대 국왕 선조의 계비.[34]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3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 조선 14대 국왕 선조의 장인.[35]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2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 조선 11대 국왕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부군.[36] 양원군부인은 덕원군부인(德源郡夫人)이었다가 고종 9년(1872) 개봉되었고, 연원군부인은 대한제국 수립 후인 융희 원년(1907) 의친왕비(義親王妃)로 책봉되었다.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 4대 국왕 세종의 10남 의창군(義昌君)의 부인,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 4대 국왕 세종의 15남 영응대군(永膺大君)의 부인,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4세 연원군부인(延原郡夫人) 26대 국왕 고종의 5남 의화군(義和君)의 부인.[종묘배향] 김로의 경우 고종 12년(1875) 고종에 의해 추배(追配, 추가 배향)되었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정전 14실 순조 묘정 배향,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20세 김로(金鏴) : 정전 15실 문조 묘정 배향.[38] 김한려의 군호와 이름은 족보에서만 찾을 수 있고, 김계한은 개성부윤공파 파조 김안주(金安柱)의 6대손이라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9세 연성군(延城君) 김로(金輅),
대장군공계 연안부사공파-홍원종중 9세 연성군(延城君) 김한려(金漢礪),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연산군(延山君) 김효성(金孝誠),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김감(金勘),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안군(延安君) 김처의(金處義),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13세 연양군(延陽君) 김계한(金繼韓),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3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상신] 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원래 품계가 2품 이상인 신하를 재상이라 불렀는데, 조선조에는 재상이 너무 많아져 삼정승을 따로 가리켜 상신이라 불렀다. 아래의 인물들 중 삼정승을 모두 역임한 인물은 김근사, 김재찬 두 명이고, 좌,우의정을 역임한 인물은 김안로이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 중종조의 제56대 영의정, 중종조의 제86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 중종조의 제61대 영의정, 중종조의 제81대 좌의정, 중종조의 제93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중종조의 제82대 좌의정, 중종조의 제9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 정조조의 제208·210대 영의정, 정조조의 제321·323·32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순조조의 제219·222대 영의정, 순조조의 제314·316대 좌의정, 순조조의 제345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21세 김유연(金有淵) : 고종조의 제378대 우의정.[40]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과 성균관의 지사(=지성균관사) 혹은 대사성을 겸하면 문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대장군공계 사정공파(파조) 8세 김하(金何) : 수문전(修文殿) 대제학,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김감(金勘) : 연산군조의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문형(文衡)」,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중종조의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문형(文衡)」,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순조조의 홍문관 대제학.[淸] 청백리(淸白吏). 두 형제는 중종조에 청백리가 되었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廉] 염근리(廉謹吏). 김확은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로 재직하던 명종 7년(1552)에 염근리로 선발되었다.
대장군공계 사간공파 10세 김확(金擴).[43] 당상관은 조선의 정3품상(上) 이상의 고위 관리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서 38이라는 수는 정1품(上,下) 8인(앞의 삼정승 6인, 부원군 2인), 종1품(上,下) 7인, 정2품(上,下) 23인을 합한 수이다.[44] 전체 성본 중 21위. 위의 정보는 여기서 볼 수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에 따른 것으로, 연안김씨세사(延安金氏世史)를 기준으로 하면 175명,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171명이다.[45] 마찬가지로 위의 정보는 여기서 볼 수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에 따른 것이나, 271이라는 수의 출처는 알 수 없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연안(延安)김씨(金氏)의 무과 목록에 의하면 연김 무과 급제자는 44명이지만, 일반적으로 한번에 뽑는 무과 급제자 수가 문과 급제자 수보다 많기에 연김 무과 급제자 수가 연김 문과 급제자 수보다 적은 것은 이상하고, 다수가 장원한 김세공, 김암 부자처럼 본관 미상인 채로 기록에 남거나 방목이 실전된 것으로 보인다.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무과 급제자 수는 174명이다.[46]
대장군공계 구례현감공파 횡성종중 12세 김덕부(金德溥) : 선조 34년(1601) 신축 식년시 3등(辛丑 式年試 三等) 2위(5/6)[47] 296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시스템의 연김 생원시 입격자 132명(이 중 김심金諶과 김광이金光頤 2명의 방목은 실전), 진사시 입격자 164명(이 중 김흔의 방목은 실전)을 더한 수이다.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사마시 입격자 수는 342명이다.[48] 광해군 5년(1613) 계축 증광시 생원 2등 11위(16/100)로 입격한 이사람은 본관 연안(延安), 성은 전(全), 이름이 헌(巘), 자는 백고(伯高)이며 계유년癸酉年(선조 6년, 1573)생으로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경상도수군절도사(慶尙道水軍節度使)를 지낸 세공(世功), 형은 강(岡), 립(岦), 순(峋)이다. 한편 연안 김씨 족보에는 [ruby(折, ruby=절)][ruby(衝, ruby=충)][ruby(將, ruby=장)][ruby(軍, ruby=군)][ruby(慶, ruby=경)][ruby(尙, ruby=상)][ruby(左, ruby=좌)][ruby(道, ruby=도)][ruby(水, ruby=수)][ruby(軍, ruby=군)][ruby(節, ruby=절)][ruby(度, ruby=도)][ruby(使, ruby=사)]를 지낸 [ruby(世, ruby=세)][ruby(功, ruby=공)]의 아들이자, 형으로 [ruby(巖, ruby=암)]·[ruby(嶻, ruby=절)], 아우 [ruby(屹, ruby=흘)]·[ruby(崗, ruby=강)]·[ruby(岦, ruby=립)]·[ruby(峋, ruby=순)]을 둔 [ruby(巘, ruby=헌)]이 기록되어 있다. 같은 기록에 의하면 김헌의 자는 [ruby(伯, ruby=백)][ruby(高, ruby=고)]이며, [ruby(癸, ruby=계)][ruby(酉, ruby=유)][ruby(生, ruby=생)]으로 [ruby(光, ruby=광)][ruby(海, ruby=해)]5[ruby(癸, ruby=계)][ruby(丑, ruby=축)][ruby(增, ruby=증)][ruby(廣, ruby=광)][ruby(生, ruby=생)][ruby(員, ruby=원)]이다. 그러니까 이 사람은 본관이 연안인 김(金)씨인데, 오기로 전(全)씨가 되어 버린 것이다.[壯元] [武魁]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자를 '무괴(武魁)'라고 부른다.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1세 김세공(金世功) : 명종 7년(1552) 임자 식년시 갑과(壬子 式年試 甲科) 1「壯元」위(1/30)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2세 김암(金巖) : 선조 15년(1582) 임오 식년시 갑과( 壬午 式年試 甲科) 1「壯元」위(1/?)
----
두 사람 모두 본관이 미상이라 적혀있지만, 연안 김씨가 맞다. 먼저 김세공의 경우 연안 김씨 족보에 [ruby(明, ruby=명)][ruby(宗, ruby=종)][ruby(壬, ruby=임)][ruby(子, ruby=자)][ruby(式, ruby=식)][ruby(武, ruby=무)][ruby(科, ruby=과)][ruby(壯, ruby=장)][ruby(元, ruby=원)]이라 적혀있는데, 명종실록에 명종 7년에 치러진 무과 시험에서 김세공 등 30명을 뽑았다는 기사가 있다. 명종실록13권, 명종 7년(1552) 4월 10일 임술 1번째기사 문과 합격자 36인·무과 합격자 30인을 뽑다 명종 임자년은 명종 7년(1552)이므로 족보의 기록과 실록의 기사가 교차검증되고, 족보의 연안인(延安人) 김세공과 방목의 본관 미상의 김세공이 동일인물임이 확인된다. 김암은 김세공의 아들이므로 자연히 연안 김씨다. 한국학자료센터 - 인물관계정보 김암(金巖) 가계도 김암 역시 족보에 [ruby(宣, ruby=선)][ruby(祖, ruby=조)][ruby(壬, ruby=임)][ruby(午, ruby=오)][ruby(武, ruby=무)][ruby(科, ruby=과)][ruby(壯, ruby=장)][ruby(元, ruby=원)]이라는 기록이 있다.[51] 부원군은 국구에게 주는 봉작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정1품의 친공신에게도 줬다. 예를 들어 보자면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경우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잘 알려져 있는데,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孝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에 봉해지며 받은 덕흥부원군(德豐府院君)이라는 군호도 있다. 마찬가지로 선무공신 1등에 책록된 진주 목사 김시민도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졌다.[52] 어디까지나 주로 그랬다는 거지, 모든 연김 관인들이 서인, 노론에 속했다는 것은 아니다. 김개국은 동인이었고 동인이 갈라진 후로는 북인, 그 중에서도 소북이었다. 참고로 소북은 주로 영창대군 지지파였다.[53] 의민공의 세 아들 김래(金琜), 김규(金珪), 김선(金瑄)과 마찬가지로 계축옥사 때 끌려와 국문받고 죽었다. 동생 청운군(靑雲君) 충경공(忠景公) 심명세(沈命世)는 인조반정에 가담, 정사공신 1등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謀立紀明倫靖社功臣)에 책록되었다.[54] 문충공의 어머니 정경부인 연안김씨가 의민공의 손녀이자 의민공의 맏아들 김래(金琜)의 장녀다.[55] 조선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이듬해인 1393년부터이다.[56]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6대조이다.[57] 김자지는 이방원의 유일한 동복동생이자 위화도 회군을 전후해서 요절한 이방연(李芳衍)의 동방(과거 급제 동기)이기도 하다. 이 과거에서 급제한 다른 인물들로는 권우(權遇, 권근의 동생), 함부림(咸傅霖), 한상덕(韓尙德, 한명회의 종조부), 정도복(鄭道復, 정도전의 동생), 변계량(卞季良), 박석명(朴錫命) 등이 있고, 시험의 동지공거(과거의 부감독관)는 정몽주(鄭夢周)였다. 김자지의 과거 방목.[58] 실제로 영주에 있는 류빈의 묘는 종릉(種陵)으로 불리며, 이 무덤은 왕릉의 격식에 준하는 형태라고 한다. 영주시 공식 블로그의 종릉 소개 포스트[59] 관리 폭행, 동료 갑사 구타, 관리의 첩 성폭행 등등. 심지어 명나라 황궁까지 가서 광폭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 시호 문서의 한국사 문단에 권희달의 행적이 나와 있으니 위려공의 행적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문서로.[60] 김자지의 손자인 김원신의 처 진주강씨의 형제다. 김원신에게는 처남이 된다.[61] 당연히 장은 엉덩이에 치는 것이 법이다. 등에 치지 말라는 말을 한 것이다. 등골에 맞으면 더 아픈 것은 물론이고 죽는다. 실제로 다른 지역으로 간 우홍수(禹洪壽)는 황거정(黃居正)에 의해 장살당했다.[62] 뒷이야기를 더 해보자면, 이종학은 이렇게 문생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나 했으나 장사현(長沙縣)으로 옮겨지던 중 밤을 틈탄 손흥종이 보낸 사람에게 무촌역(茂村驛)에서 교살당한다.[壯元] [淸] [壯元] [右] 우의정(右議政) 6인
중종조의 제86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중종조의 제93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중종조의 제9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정조조의 제321·323·32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순조조의 제345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고종조의 제378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21세 김유연(金有淵).[領] 영의정(領議政) 4인
중종조의 제56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중종조의 제61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정조조의 제208·210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순조조의 제219·222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淸] [廉] [右] [左] 좌의정(左議政) 3인
중종조의 제81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중종조의 제82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순조조의 제314·316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領] [壯元] [右] [左] [76] 족보에 이렇게 기록돼 있는데, 선조 치세에는 병진년이 없다.[武魁] [武魁] [?] [金彦壽]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속고 권7에는 [ruby(金, ruby=김)][ruby(彦, ruby=언)][ruby(壽, ruby=수)]로 기록되어 있다.[81] 기자(상)에게 제사지내던 사당이다.[82] 소성은 선조 37년(1604)에, 정의는 광해군 2년(1610)에, 명렬은 인조 2년(1624)에, 정숙은 고종 29년(1892)에 올린 것이다.[壯元] [右] [領] [右] [左] [領] [右] [90] 신라 왕족이었던 김주원이 진골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후사 없이 죽은 선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려 했으나, 수도 금성(현 경상북도 경주시) 북쪽의, 홍수로 범람한 알천을 건널 수 없어 화백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왕위는 원성왕 김경신에게 돌아갔고, 원성왕은 김주원을 달래기 위해 명주(溟州, 현 강원도 강릉군)를 봉토로 주며 명주군왕에 봉했다. 강릉 김씨 시조 김주원의 윗대 세계와 그의 봉호 명주군왕은 다른 기록과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 불명확하긴 하나, 어쨌든 이상이 강릉 김씨의 시조 발상이다.[?] [92] 당연하지만 김일성 일가가 아니다. 이 사람들은 전주 김씨다.[위키백과] [94] 남양 홍씨 토홍계, 당홍계처럼 서로 다른 집안인 것은 아니다.[절손] [96] 奉祀. 조상의 제사(祀)를 받들어(奉) 모시는 것을 말한다.[절손] [절손] [절손] [절손] [절손] [102] 고려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郎)[103] 고려 금자광록대부[산계] 지문하성사(金紫光祿大夫 知門下省事)[104] 고려 밀직부사(密直府事)[105]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106] 고려 좌우위중랑장(左右衛中郞將)[107] 고려 봉익대부[산계] 개성부윤 상호군(奉翊大夫 開城府尹上護軍), 시호 신효(愼孝).[108]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 여말선초 사람인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의 충절을 지키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제주도로 낙향했다. 현대에도 많은 김안보의 후손들이 제주에 세거하고 있고, 이 때문에 제주도는 연안 김씨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109] 고려 호군(護軍)[110] 고려 정순대부대호군(正順大夫大護軍)[111] 음력 1359년공민왕 8년, 기해년 생. 고려 봉익대부[산계] 공부전서(奉翊大夫工部典書), 조선 태종조 정헌대부 공조판서. 음력 1419년 10월 21일세종 1년, 기해년 졸. 향년 61세.[無] 무후. 후손이 없음.[無] [無] [無] [女] 딸. 이름이 족보에 오르지 않아 전해지지 않음.[女] [女] [女] [無] [無] [無] [無] [女] [無] [女] [女] [女] [女] [절손] [절손] [132] 조선 통정대부[산계] 행[行] 내자시윤(通政大夫 行內資寺尹). 증[贈] 숭정대부[산계]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贈 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女] [女] [절손] [절손] [절손]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149] 정필(鄭弼)의 처[150] 중림동 일대의 옛이름이 바로 약현이다. 오늘날의 만리동 입구에서 충정로3가로 넘어가는 고개에 약초를 재배하는 밭이 있어 이 고개를 약전현(藥田峴)이라 불렀는데 이 이름이 줄어 ‘약현’이 되고 점차 고개 부근의 지명으로 쓰였다고 한다. 이 지명은 약현성당에 남아 있기도 하다.[151]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152] 태인현은 오늘의 정읍시 태인면이 되었다. 이에 정읍종중이라고도 부른다.[153] 벽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碧波里) 벽성포(碧城浦)에서 온 것이다. 대동여지도에 세로로 [ruby(碧, ruby=벽)][ruby(波, ruby=파)][ruby(亭, ruby=정)], [ruby(碧, ruby=벽)][ruby(城, ruby=성)][ruby(浦, ruby=포)]가 적혀 있는 것이 보인다.[154] 흥양은 1441년부터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가까지 불렸던 고흥의 옛이름이다.[示] 보일시(示)변은 두 가지의 형태(⺬, 礻)를 가지며, 두 형태가 병용된다. 한국의 인명용 한자표에는 표에 따로 실려 있지 않더라도 礻/⺬ 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조항이 있기도하다.[示] 보일시(示)변은 두 가지의 형태(⺬, 礻)를 가지며, 두 형태가 병용된다. 한국의 인명용 한자표에는 표에 따로 실려 있지 않더라도 礻/⺬ 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조항이 있기도하다.[邊] 항렬이 '○边'이라 적혀있는 것은 항렬자에 맞춰 이름을 쓰려면 ○자를 변(边/邊, 한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으로 삼는 글자를 정해 외자 이름을 쓰라는 의미이다. 즉, 부수를 항렬자로 여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목변(木边) 항렬이라면 校(교), 樹(수), 林(림), 板(판), 橋(교), 村(촌) 權(권), 柳(류), 송(松)등의 글자를 이름으로 쓸 수 있다.[邊] [서원배향]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나산서원과 삼봉서원은 훼철되어 각각 유허비, 강당만 남아있다.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나산리 나산서원
김도
김자지
김여지
평안남도 시주시 노강서원
김제남
경상북도 영주시 삼봉서원
김개국[김유연_직가계]
김유연의 아버지 김형이 5촌 당숙 김재옥에게 출계했다. 족보상으로 계대하느냐 혈통상으로 계대하느냐에 따라 조상이 조금 다르지만 어떻게 계대하든 김상석의 현손이고 김제남의 8대손이다.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전(詮)→안도(安道)→오(祦)→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석(相奭)
족보상 : 상석(相奭)→구(煹)→재옥(載玉)→형(鑅)→유연(有淵)
혈통상 : 상석(相奭)→익(熤)→재찬(載瓚)→형(鑅)→유연(有淵)[의친왕비_직가계]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전(詮)→안도(安道)→오(祦)→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익(相益)→엽(燁)→재항(載恒)→용(鎔)→석연(石淵)→덕수(德秀)→사준(思濬)→숙(淑)[김안로_직가계]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흔(訢)→안로(安老)[시호] [서원배향] [김유연_직가계] [의친왕비_직가계] [김안로_직가계] [시호] [서원배향] [군호] [시호] [172] 족보에는 공희(恭禧)로 적혀있다.[173] 중종(조선) 승하 후 명에서 내린 시호 공희(恭僖)와 같음을 이유로 선조 37년(1604)에 개봉하였다.[개국공신] 1392년 조선개국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 추충익대개국공신(推忠翊戴開國功臣)
공양왕의 양위 후 이성계에게 왕위에 오를 것을 권한 공으로 봉해졌다.[정사공신]
1398년 무인정사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 추충협찬정난정사공신(推忠協贊靖難定社功臣)[작호] [177] 1872년 개봉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의창군파 약사[178] 自知→수(脩)→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군호] [시호] [정난공신]
1453년 계유정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김효성(金孝誠)
1453년 계유정난 정난공신(靖難功臣) 3등 수충정난공신(輸忠靖難功臣)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김처의(金處義)[시호] [김안로_직가계] [시호] [상신] [김유연_직가계] [의친왕비_직가계] [군호] [시호] [정국공신] 중종 14년(1519)에 조광조가 위훈삭제를 건의하여 삭훈되었지만 얼마 안 가 조광조가 탄핵당했고, 이듬해인 중종 15년(1520)에 복권되었다.
1506년 중종반정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191] 自知→수(脩)→원신(元臣)→감(勘)[192] 로(輅)→영철(永轍)→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군호] [삭훈] 역모죄로 삭훈[정난공신] [삭훈] [상신] [198] 自知→수(脩)→원신(元臣)→면(勉)→근사(謹思)[상신] [김안로_직가계] [위호] [서원배향] [203] 여담으로, 삼봉서원에는 퇴계 이황의 형 온계 이해도 배향되었는데, 이해는 김개국의 고모부이다.[204] 自知→구(俱)→세형(世衡)→복흥(復興)→몽득(夢得)→개국(蓋國)[군호] [시호] [서원배향] [김유연_직가계] [의친왕비_직가계] [시호] [존호] [의친왕비_직가계] [김유연_직가계] [시호] [상신] [김유연_직가계] [시호] [상신] [종묘배향] 종묘 배향공신(宗廟 配享功臣)[김유연_직가계] [221] 제남(悌男)→래(琜)→군석(君錫)→은(溵)→상정(相丁)→희(熺)→재칠(載七)→려(鑢)[시호] [종묘배향] [224] 익(熤)→재련(載璉)→로(鏴)[시호] [상신] [김유연_직가계] [228] 제남(悌男)→래(琜)→군석(君錫)→은(溵)→상정(相丁)→희(熺)→재칠(載七)→선(䥧)→준연(駿淵)→기수(綺秀)[229] 내자시윤공파 22세 김관수(金觀秀)에 입양되었다. 본생가는 직강공파 평택종중으로서 생부는 직강공파 22세 김봉수(金鳳秀)이다.[조선귀족]
1910년 - 김사철,김사준 조선귀족 남작 작위 수작.
1915년 - 김사준의 고종 망명 시도 발각, 남작 작위 박탈, 투옥
1935년 - 김사철의 사망, 아들 김석기(1874)의 조선귀족 남작 작위 승작.[조선귀족] [박탈] 1915년 고종 망명 시도 발각으로 작위 박탈. 이후 투옥되었고, 이듬해에 옥사했다.[의친왕비_직가계] [조선귀족] [작호] [의친왕비_직가계] [장관] [238] 제26대 재무부장관,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국회의원] [보명] 족보에 올라간 이름[業]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평양종중(平壤宗中) 26세 ○業(업) 항렬[銓]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27세 ○銓(전) 항렬[濟]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28세 ○濟(제) 항렬[보명] [예명] [예명] [예명] [龍]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평양종중(平壤宗中)-강서문중(江西門中) 29세 龍○(용) 항렬[예명] [250] 본명은 김지영으로, 연안 김씨라고 밝혔다.[상신] [252] 김안로의 아들 김시(金禔)의 손자로, 김안로에게는 증손이 된다. 동생은 식(埴)인데, 동생과 함께 선비 화가로서 할아버지의 화풍을 이어받았다. 한편 진사시에 입격한 기록도 있다. 광해군(光海君) 5년(1613)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25위(55/100)[253] 이 사람, 생원시 1위 출신이다. 경종 1년(1721) 신축 식년시 생원 1등 1위(1/100)로 입격했고, 대과 급제 기록은 없다. 김 생원의 사마시 방목[254] 광산 김씨([ruby(光, ruby=광)][ruby(山, ruby=산)] [ruby(金, ruby=김)][ruby(氏, ruby=씨)]→[ruby(光, ruby=みつ)][ruby(山, ruby=やま)], 미쓰야마), 하동 정씨([ruby(河, ruby=하)][ruby(東, ruby=동)] [ruby(鄭, ruby=정)][ruby(氏, ruby=씨)]→[ruby(河東, ruby=かわひがし)], 가와히가시), 안동 권씨([ruby(安, ruby=안)][ruby(東, ruby=동)] [ruby(權, ruby=권)][ruby(氏, ruby=씨)]→[ruby(安東, ruby= あんどう)], 안도), 배천 조씨([ruby(白, ruby=배)][ruby(川, ruby=천)][ruby(趙, ruby=조)][ruby(氏, ruby=씨)]→[ruby(白川, ruby=しらかわ)]), 달성 서씨(達城 徐氏)→다쓰시로(達城、たつしろ) 등등 이에 해당하는 사례는 성과 본을 가리지 않고 많으며, 여기 외에도 평산 신씨, 창원 황씨, 남평 문씨가 본관을 그대로 한자로 써 창씨한 사례가 있다. 일본인의 성씨는 뒷 글자가 木, 本, 村, 林, 田, 川, 井, 山, 城인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중 川, 山, 城은 한국의 지명에서도 흔히 찾을 수 있는 글자다. 본관을 한자로 적었을 때 川, 山, 城등이 뒷글자인 가문들은 근본을 남길 수 있고 위화감도 덜하니 본관으로 창씨한 것으로 보인다.[255] 명종(明宗) 19년(156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1위(61/100)[256] 김부(金溥)의 딸. 김부는 김근사의 양자와 이름이 같지만, 김근사의 며느리는 홍씨가 아니므로 이 무덤의 주인은 김근사의 며느리가 아니다. 김부가 누구인지는 현재로서는 불명.[257] 2000년도에 경기도 양평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남양 홍씨 예사공파 홍몽남(1534-1574)의 부인 연안 김씨의 옷이다. 직금(織金)에 공작 흉배가 부착되어 있는 화문라(花文羅: 꽃무늬의 얇고 가벼운 직물) 홑 단령이다.
김해 약 445만 7천,
경주 약 188만 8천(경주 김씨 약 180만 1천, 월성 김씨 약 8만 7천),
광산 약 92만 6천,
안동(선) 안동 김씨 약 51만 2천,
김녕 약 62만(김녕 김씨 약 29만, 금녕 김씨 약 28만 7천, 김영 김씨 약 3만, 금영 김씨 약 1만 4천),
의성 약 28만 7천,
강릉 약 18만,
청풍 약 11만 1천,
선산(일선) 약 18만 5천(선산 김씨 약 13만 9천, 일선 김씨 약 4만 6천),
삼척 약 9만 3천,
연안 약 9만 3천,
청도 약 9만 1천
12본 가운데 두번째로 적은 본(本)으로 전체 김씨의 약 0.87%를 차지해 인구가 그리 많은 김씨 씨족은 아니다.
본관은 SGIS 통계지리정보서비스 본관(本貫) 인구분포→인구수 순에 따라 내림차순으로 나열했고, 각 본관별 인구수는 2015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집계결과 보도자료를 따른 것이다. 강조 표기한 본관은 인구 10만 이상의 본관들이다.[8] 두 자료의 값에 약간 차이가 있는 것은 별칭을 본관으로 한 경우(경주-월성), 같은 한자를 다르게 읽은 경우([ruby(金, ruby=김)][ruby(寧, ruby=녕)], [ruby(金, ruby=금)][ruby(寧, ruby=녕)], [ruby(金, ruby=김)][ruby(寧, ruby=영)], [ruby(金, ruby=금)][ruby(寧, ruby=영)]), 관향이 같지만 다른 가문인 경우(선/신 안동 김씨, 김선궁계/김추계 선산 김씨)를 어떻게 처리했느냐의 문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된 원인은 알 수 없지만,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91,558명의 상산 김씨가 91,293명의 청도 김씨보다 많아 삼척 김씨 - 연안 김씨 - 상산 김씨 - 청도 김씨 순서가 되기도 한다. 이건 이 네 가문의 인구 차가 수천 명에 지나지 않아 생긴 일인 것으로 추정된다.[9] 무오공신(戊午功臣). 차송우가 김준(金俊)이 최의(崔竩)와 별장 최양백(崔良伯), 대제학 선인렬(宣仁烈)·유능(柳能) 그리고 거성원발 등 최의의 일파를 제거한 무오정변(戊午政變)에 참여한 공이 있다 하여 공신에 봉해진 것이다. 이로써 우봉 최씨 정권은 4대 62년으로 막을 내리고 김준 정권으로 이어진다.[10] 북한지역정보넷에 따르면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건국의 위업을 달성하는데 이 지역이 크게 기여하여 끝없이(延) 안전한(安) 고장이 되었다는 뜻에서 연안부(延安府)라 하였다 한다. 이후 이 이름을 구한말 부군면 통폐합 전까지 유지하며, 북한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지금도 '연안'이 정식 행정구역명으로 남아있다.[11] 白은 흰 백자이지만 白川은 활음조 현상에 의해 〔배천〕으로 읽고 '배천'이라 쓰는 것이 맞다.[12] 서울-연안 직선 거리와 서울-천안 직선 거리는 약 80km로 비슷하다.[오류] 오류가 조금 있다.
· 시조 김섬한이 연안으로 유배간 것이 아니라 김섬한의 선조인 신라 김씨 왕족이 시염성으로 유배온 것이다.
· 11세 김근사는 10세 김전의 직계 후손이 아니며 두 사람은 칠촌 숙질간이다.
· 11세 김안로 또한 김전의 직계 후손이 아닌 조카고, 영의정이 아닌 우의정·좌의정을 지냈다.
· 10세 김감은 김전의 육촌 형제로 후손이 될 수 없다.[14] 안락당(顔樂堂)은 조선 초의 문인인 김흔(金訢)의 당호이고, 《안락당집》은 아들 희락당 김안로가 부친 사후에 아버지 안락당의 시, 전, 소, 차 등을 수록해 편집한 시문집이다. 희락당은 이 문집의 부록 끝에 집안의 세계도 붙여놓았다. 서문에 희락당이 적은 바에 의하면 희락당 자신은 고조부 이상의 조상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여 보고 들은 바와 고보서(古譜書)를 방증으로 삼아 세계록을 적었다고 한다.[15] 이 때문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를 관향으로 하는 강릉 김씨와 조상이 형제 사이가 아니냐는 설도 있다. 하단의 조상형제설 참고.[16] 김섬한이 경순왕의 12대손이라 기록된 채로 세상에 나도는 사서가 더러 있는데, 상술한 문헌들에서 처음부터 "김섬한 이상의 세계는 세월이 오래된데다가 아무 기록이 없어 알 도리가 없다"라고 박아놓았고 경순왕의 12대손이 김섬한이라는 주장도 근거를 찾을 수 없으므로 김섬한과 그 자손이 경순왕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창작으로 보는 것이 옳다.[17] 공민왕 대에 순유박사(諄諭博士)로 개칭됐다. 명종 당시에는 사문박사가 맞다.[18] 시조 김섬한이 과거에 급제했다 전해지고 그의 후손들도 여럿 관직에 올랐으므로 과거에 급제한 인물이 더 있을 것으로 보이나 전해지는 문과 방목이나 기록이 없어 배제했다.
대장군공계 4세 김우(金祐) : 충렬왕 미상년 급제,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8세 김을진(金乙珍) : 공민왕 2년(1353) 계사방(癸巳榜) 동진사(同進士) 23위(33/33),
대장군공계 6세 김도(金濤) : 공민왕 11년(1362) 임인방(壬寅榜) 을과(乙科) 2위(2/33),
대장군공계 7세 김자지(金自知) : 우왕 11년(1385) 을축방(乙丑榜) 동진사(同進士) 9위(19/33),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 창왕 1년(1389) 기사방(己巳榜) 을과(乙科) 1「壯元」위(1/33).[壯元] 연김 최초의 장원 급제자 김여지(金汝知)는 고려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했다.
대장군공계 7세 김여지(金汝知) : 고려 창왕 1년(1389) 기사방(己巳榜) 을과(乙科) 1「壯元」위(1/33)
----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 : 성종 2년(1471) 신묘 별시 갑과 (辛卯 別試 甲科) 1「壯元」위(01/09),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 성종 20년(1489) 기유 식년시 갑과(己酉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3),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연산군 12년(1506) 병인 별시 갑과(丙寅 別試 甲科) 1「壯元」위(01/17),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반포종중 15세 김운장(金雲長) : 인조 17년(1639) 기묘 식년시 갑과(己卯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3),
대장군공계 직강공파-나산종중-재동문중 17세 김상옥(金相玉) : 숙종 35년(1709) 기축 알성시 갑과(己丑 謁聖試 甲科) 1「壯元」위(01/05),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0세 김필(金釒弼) : 순조 29년(1829) 기축 정시 갑과(己丑 庭試 甲科) 1「壯元」위(01/42),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2세 김민수(金民秀) : 철종 11년(1860) 경신 정시 갑과(庚申 庭試 甲科) 1「壯元」위(01/19),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2세 김의수(金懿秀) : 고종 25년(1888) 무자 식년시 갑과(戊子 式年試 甲科) 1「壯元」위(01/34).[?] 김장수는 고려사에 연안의 옛이름인 염주(鹽州)가 본관으로 기록되어 있고, 김언수는 연안 김씨라고 전해지지만, 이 두 사람과 김섬한 사이의 혈연 관계를 찾을 수 없어 김섬한의 후손이 아니라고 보는 시각도 있다. 김장수와 김언수가 연안에 거주하던 김섬한의 윗대에서 갈라진 후손이라고 추측하는 것이다. 이게 사실이라면 두 사람은 간언하다 유배간 동생의 후손인 것은 맞지만, 김섬한의 후손은 아니다.
사족으로, 김장수 외에도 관향이 황해도 연안 지역인 김씨를 조선 무과 방목에서 찾을 수 있다. 한양에 살다 숙종(조선) 39년(1713) 계사(癸巳) 대증광시(大增廣試) 무과에서 병과(丙科) 20위(30/168)로 급제한 김정걸(金鼎傑)의 본관은 석주(碩州)였는데, 석주 역시 연안의 옛이름이다.[21] 고려사 김장수 열전에 [ruby(金, ruby=김)][ruby(長, ruby=장)][ruby(壽, ruby=수)][ruby(塩, ruby=염)][ruby(州, ruby=주)][ruby(人, ruby=인)]이라 기록되어 있다. 염주 사람이란 뜻인데, 본관을 기록할 때 흔히 ○○人이라 기록했고, 연안군은 고려 초에 염주(鹽州)였다가 충선왕 때부터 연안이라 불렸다. 김장수는 연안 김씨 을해보(乙亥譜), 을유양보(乙酉兩譜)에 등재되었다. 참고로 塩은 鹽의 속자이다.[22] 검교직은 실직이 아닌 산직이다. 전시에 무장이 집에 있었던 것은 이 때문이다.[23] 중랑장(中郞將)-장군(將軍)-대장군(大將軍)-상장군(上將軍) 순서로 올라간다. 말하자면 장군과 대장군을 건너뛴 셈. 자세한 내용은 고려군 참고.[24] 어대(魚袋)는 관등에 따라 옥·금·동으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어부(魚符)를 넣어 차던 자루를 말한다. 당 고종 2년(651)에 3품 이상에게 금식(金飾), 5품 이상에게 은식(銀飾)의 어대를 지급한 것이 시작이었다. 당 예종 2년(711)에 자의(紫衣)를 입은 관리에게 금어대를, 비의(緋衣)를 입은 관리에게 은어대를 패용하게 하였는데, 이에 따라 어대와 공복이 결합하여 자금어대(紫金魚袋)·비은어대(緋銀魚袋)라는 용어가 생겨나게 되었다.[25] 상호군은 공민왕 대에 상장군을 개칭한 이름이다. 그 사이에 직위가 바뀌거나 한 것은 아니다.[26] 목은 이색(李穡)의 《상찰찬(上札讚)》에 따르면, 명, 자, 호 모두 이색이 지어주었다고 한다.[27] 기록마다 말이 조금씩 다르다. 관직을 고사했다는 말도 있고, 몇 해 머물다가 돌아왔다는 말도 있다. 하술할 명 태조실록에는 김도와 다른 고려인 2명이 돌아가기를 청해 배에 태워 돌려보냈다는 기록이 남아있으므로 전자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28] 나복산인(蘿蔔山人 혹은 蘿葍山人)은 김도의 호, 장원(長源)은 김도의 자이고, 나복산(蘿蔔山)은 오늘날의 순천, 화순 일대에 있는 모후산을 가리킨다는 말도 있고, 개경에 있던 산이라는 말도 있다. 뒤에 나오지만 모후산에 김도와 관련된 전승이 내려온다는 점에서 전자가 더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29] 이 동네는 개경에 있다. 이 지명은 구한말까지 개성군 동부면(東部面) 팔자동리(八字洞里)로 남아 있었고, 동부면은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북부면, 남부면, 서부면과 함께 송도면으로 병합, 팔자동리는 원정과 동본정으로 쪼개졌다. 해방 후 일본식 지명인 원정과 동본정은 각각 선죽동과 동흥동으로 개칭되어 현재에 이른다.국사편찬위원회 고려개경지리정보 '팔자동'을 검색하면 김도제, 팔자동, 나복산을 볼 수 있다.[30] 공민왕이 순천으로 피난왔을 때 나복산의 산세를 보고 '[ruby(덕, ruby= 德)][ruby(여, ruby=如)][ruby(모, ruby=母)][ruby(후, ruby=后)]'(산의 큰 덕이 어머니 같다.)라 말한 것에서 모후산(母后山)의 이름이 비롯했다는 이야기인데, 여기 김도가 등장한다. 자세한 내용은 모후산 참고.[31] 한 구가 다섯 글자로 이루어지면 오언, 한 수가 12구 이상이면 배율이라 한다. 아래의 시는 한 수가 22구로 이루어져있고, 각 구는 5자로 이루어져있다.[壯元] [33]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4세 인목왕후(仁穆王后), 조선 14대 국왕 선조의 계비.[34]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3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 조선 14대 국왕 선조의 장인.[35]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2세 연성위(延城尉) 김희(金禧), 조선 11대 국왕 중종의 장녀 효혜공주의 부군.[36] 양원군부인은 덕원군부인(德源郡夫人)이었다가 고종 9년(1872) 개봉되었고, 연원군부인은 대한제국 수립 후인 융희 원년(1907) 의친왕비(義親王妃)로 책봉되었다.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9세 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 4대 국왕 세종의 10남 의창군(義昌君)의 부인,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 4대 국왕 세종의 15남 영응대군(永膺大君)의 부인,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24세 연원군부인(延原郡夫人) 26대 국왕 고종의 5남 의화군(義和君)의 부인.[종묘배향] 김로의 경우 고종 12년(1875) 고종에 의해 추배(追配, 추가 배향)되었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정전 14실 순조 묘정 배향,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20세 김로(金鏴) : 정전 15실 문조 묘정 배향.[38] 김한려의 군호와 이름은 족보에서만 찾을 수 있고, 김계한은 개성부윤공파 파조 김안주(金安柱)의 6대손이라 전하나 확실하지 않다.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9세 연성군(延城君) 김로(金輅),
대장군공계 연안부사공파-홍원종중 9세 연성군(延城君) 김한려(金漢礪),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연산군(延山君) 김효성(金孝誠),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연창부원군(延昌府院君) 김감(金勘),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1세 연안군(延安君) 김처의(金處義),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13세 연양군(延陽君) 김계한(金繼韓),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3세 연흥부원군(延興府院君) 김제남(金悌男).[상신] 相臣.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 원래 품계가 2품 이상인 신하를 재상이라 불렀는데, 조선조에는 재상이 너무 많아져 삼정승을 따로 가리켜 상신이라 불렀다. 아래의 인물들 중 삼정승을 모두 역임한 인물은 김근사, 김재찬 두 명이고, 좌,우의정을 역임한 인물은 김안로이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 중종조의 제56대 영의정, 중종조의 제86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 중종조의 제61대 영의정, 중종조의 제81대 좌의정, 중종조의 제93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중종조의 제82대 좌의정, 중종조의 제9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 정조조의 제208·210대 영의정, 정조조의 제321·323·32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순조조의 제219·222대 영의정, 순조조의 제314·316대 좌의정, 순조조의 제345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21세 김유연(金有淵) : 고종조의 제378대 우의정.[40] 홍문관, 예문관 대제학과 성균관의 지사(=지성균관사) 혹은 대사성을 겸하면 문형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대장군공계 사정공파(파조) 8세 김하(金何) : 수문전(修文殿) 대제학,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10세 김감(金勘) : 연산군조의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문형(文衡)」,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 중종조의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 「문형(文衡)」,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 순조조의 홍문관 대제학.[淸] 청백리(淸白吏). 두 형제는 중종조에 청백리가 되었다.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흔(金訢)[廉] 염근리(廉謹吏). 김확은 강릉대도호부사(江陵大都護府使)로 재직하던 명종 7년(1552)에 염근리로 선발되었다.
대장군공계 사간공파 10세 김확(金擴).[43] 당상관은 조선의 정3품상(上) 이상의 고위 관리를 말하는 것인데, 여기서 38이라는 수는 정1품(上,下) 8인(앞의 삼정승 6인, 부원군 2인), 종1품(上,下) 7인, 정2품(上,下) 23인을 합한 수이다.[44] 전체 성본 중 21위. 위의 정보는 여기서 볼 수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에 따른 것으로, 연안김씨세사(延安金氏世史)를 기준으로 하면 175명,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171명이다.[45] 마찬가지로 위의 정보는 여기서 볼 수 있는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자료에 따른 것이나, 271이라는 수의 출처는 알 수 없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연안(延安)김씨(金氏)의 무과 목록에 의하면 연김 무과 급제자는 44명이지만, 일반적으로 한번에 뽑는 무과 급제자 수가 문과 급제자 수보다 많기에 연김 무과 급제자 수가 연김 문과 급제자 수보다 적은 것은 이상하고, 다수가 장원한 김세공, 김암 부자처럼 본관 미상인 채로 기록에 남거나 방목이 실전된 것으로 보인다.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무과 급제자 수는 174명이다.[46]
대장군공계 구례현감공파 횡성종중 12세 김덕부(金德溥) : 선조 34년(1601) 신축 식년시 3등(辛丑 式年試 三等) 2위(5/6)[47] 296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 시스템의 연김 생원시 입격자 132명(이 중 김심金諶과 김광이金光頤 2명의 방목은 실전), 진사시 입격자 164명(이 중 김흔의 방목은 실전)을 더한 수이다. 연안 김씨 대종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사마시 입격자 수는 342명이다.[48] 광해군 5년(1613) 계축 증광시 생원 2등 11위(16/100)로 입격한 이사람은 본관 연안(延安), 성은 전(全), 이름이 헌(巘), 자는 백고(伯高)이며 계유년癸酉年(선조 6년, 1573)생으로 아버지는 절충장군(折衝將軍) 경상도수군절도사(慶尙道水軍節度使)를 지낸 세공(世功), 형은 강(岡), 립(岦), 순(峋)이다. 한편 연안 김씨 족보에는 [ruby(折, ruby=절)][ruby(衝, ruby=충)][ruby(將, ruby=장)][ruby(軍, ruby=군)][ruby(慶, ruby=경)][ruby(尙, ruby=상)][ruby(左, ruby=좌)][ruby(道, ruby=도)][ruby(水, ruby=수)][ruby(軍, ruby=군)][ruby(節, ruby=절)][ruby(度, ruby=도)][ruby(使, ruby=사)]를 지낸 [ruby(世, ruby=세)][ruby(功, ruby=공)]의 아들이자, 형으로 [ruby(巖, ruby=암)]·[ruby(嶻, ruby=절)], 아우 [ruby(屹, ruby=흘)]·[ruby(崗, ruby=강)]·[ruby(岦, ruby=립)]·[ruby(峋, ruby=순)]을 둔 [ruby(巘, ruby=헌)]이 기록되어 있다. 같은 기록에 의하면 김헌의 자는 [ruby(伯, ruby=백)][ruby(高, ruby=고)]이며, [ruby(癸, ruby=계)][ruby(酉, ruby=유)][ruby(生, ruby=생)]으로 [ruby(光, ruby=광)][ruby(海, ruby=해)]5[ruby(癸, ruby=계)][ruby(丑, ruby=축)][ruby(增, ruby=증)][ruby(廣, ruby=광)][ruby(生, ruby=생)][ruby(員, ruby=원)]이다. 그러니까 이 사람은 본관이 연안인 김(金)씨인데, 오기로 전(全)씨가 되어 버린 것이다.[壯元] [武魁] 무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자를 '무괴(武魁)'라고 부른다.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1세 김세공(金世功) : 명종 7년(1552) 임자 식년시 갑과(壬子 式年試 甲科) 1「壯元」위(1/30)
대장군공계 직강공파 12세 김암(金巖) : 선조 15년(1582) 임오 식년시 갑과( 壬午 式年試 甲科) 1「壯元」위(1/?)
----
두 사람 모두 본관이 미상이라 적혀있지만, 연안 김씨가 맞다. 먼저 김세공의 경우 연안 김씨 족보에 [ruby(明, ruby=명)][ruby(宗, ruby=종)][ruby(壬, ruby=임)][ruby(子, ruby=자)][ruby(式, ruby=식)][ruby(武, ruby=무)][ruby(科, ruby=과)][ruby(壯, ruby=장)][ruby(元, ruby=원)]이라 적혀있는데, 명종실록에 명종 7년에 치러진 무과 시험에서 김세공 등 30명을 뽑았다는 기사가 있다. 명종실록13권, 명종 7년(1552) 4월 10일 임술 1번째기사 문과 합격자 36인·무과 합격자 30인을 뽑다 명종 임자년은 명종 7년(1552)이므로 족보의 기록과 실록의 기사가 교차검증되고, 족보의 연안인(延安人) 김세공과 방목의 본관 미상의 김세공이 동일인물임이 확인된다. 김암은 김세공의 아들이므로 자연히 연안 김씨다. 한국학자료센터 - 인물관계정보 김암(金巖) 가계도 김암 역시 족보에 [ruby(宣, ruby=선)][ruby(祖, ruby=조)][ruby(壬, ruby=임)][ruby(午, ruby=오)][ruby(武, ruby=무)][ruby(科, ruby=과)][ruby(壯, ruby=장)][ruby(元, ruby=원)]이라는 기록이 있다.[51] 부원군은 국구에게 주는 봉작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정1품의 친공신에게도 줬다. 예를 들어 보자면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의 경우 충무(忠武)라는 시호가 잘 알려져 있는데, 1604년(선조 37)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 효충장의적의협력선무공신(孝忠仗義迪毅協力宣武功臣)에 봉해지며 받은 덕흥부원군(德豐府院君)이라는 군호도 있다. 마찬가지로 선무공신 1등에 책록된 진주 목사 김시민도 상락부원군(上洛府院君)에 봉해졌다.[52] 어디까지나 주로 그랬다는 거지, 모든 연김 관인들이 서인, 노론에 속했다는 것은 아니다. 김개국은 동인이었고 동인이 갈라진 후로는 북인, 그 중에서도 소북이었다. 참고로 소북은 주로 영창대군 지지파였다.[53] 의민공의 세 아들 김래(金琜), 김규(金珪), 김선(金瑄)과 마찬가지로 계축옥사 때 끌려와 국문받고 죽었다. 동생 청운군(靑雲君) 충경공(忠景公) 심명세(沈命世)는 인조반정에 가담, 정사공신 1등 분충찬모입기명륜정사공신(奮忠贊謀立紀明倫靖社功臣)에 책록되었다.[54] 문충공의 어머니 정경부인 연안김씨가 의민공의 손녀이자 의민공의 맏아들 김래(金琜)의 장녀다.[55] 조선이라는 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이듬해인 1393년부터이다.[56]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6대조이다.[57] 김자지는 이방원의 유일한 동복동생이자 위화도 회군을 전후해서 요절한 이방연(李芳衍)의 동방(과거 급제 동기)이기도 하다. 이 과거에서 급제한 다른 인물들로는 권우(權遇, 권근의 동생), 함부림(咸傅霖), 한상덕(韓尙德, 한명회의 종조부), 정도복(鄭道復, 정도전의 동생), 변계량(卞季良), 박석명(朴錫命) 등이 있고, 시험의 동지공거(과거의 부감독관)는 정몽주(鄭夢周)였다. 김자지의 과거 방목.[58] 실제로 영주에 있는 류빈의 묘는 종릉(種陵)으로 불리며, 이 무덤은 왕릉의 격식에 준하는 형태라고 한다. 영주시 공식 블로그의 종릉 소개 포스트[59] 관리 폭행, 동료 갑사 구타, 관리의 첩 성폭행 등등. 심지어 명나라 황궁까지 가서 광폭한 행동을 하기도 했다. 시호 문서의 한국사 문단에 권희달의 행적이 나와 있으니 위려공의 행적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문서로.[60] 김자지의 손자인 김원신의 처 진주강씨의 형제다. 김원신에게는 처남이 된다.[61] 당연히 장은 엉덩이에 치는 것이 법이다. 등에 치지 말라는 말을 한 것이다. 등골에 맞으면 더 아픈 것은 물론이고 죽는다. 실제로 다른 지역으로 간 우홍수(禹洪壽)는 황거정(黃居正)에 의해 장살당했다.[62] 뒷이야기를 더 해보자면, 이종학은 이렇게 문생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나 했으나 장사현(長沙縣)으로 옮겨지던 중 밤을 틈탄 손흥종이 보낸 사람에게 무촌역(茂村驛)에서 교살당한다.[壯元] [淸] [壯元] [右] 우의정(右議政) 6인
중종조의 제86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중종조의 제93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중종조의 제9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정조조의 제321·323·324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순조조의 제345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
고종조의 제378대 우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21세 김유연(金有淵).[領] 영의정(領議政) 4인
중종조의 제56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0세 김전(金詮),
중종조의 제61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정조조의 제208·210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8세 김익(金熤),
순조조의 제219·222대 영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淸] [廉] [右] [左] 좌의정(左議政) 3인
중종조의 제81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도관찰사공파 태인종중 11세 김근사(金謹思),
중종조의 제82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11세 김안로(金安老),
순조조의 제314·316대 좌의정 대장군공계 내자시윤공파 약현종중 19세 김재찬(金載瓚).[領] [壯元] [右] [左] [76] 족보에 이렇게 기록돼 있는데, 선조 치세에는 병진년이 없다.[武魁] [武魁] [?] [金彦壽]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속고 권7에는 [ruby(金, ruby=김)][ruby(彦, ruby=언)][ruby(壽, ruby=수)]로 기록되어 있다.[81] 기자(상)에게 제사지내던 사당이다.[82] 소성은 선조 37년(1604)에, 정의는 광해군 2년(1610)에, 명렬은 인조 2년(1624)에, 정숙은 고종 29년(1892)에 올린 것이다.[壯元] [右] [領] [右] [左] [領] [右] [90] 신라 왕족이었던 김주원이 진골 귀족들의 추대를 받아 후사 없이 죽은 선덕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려 했으나, 수도 금성(현 경상북도 경주시) 북쪽의, 홍수로 범람한 알천을 건널 수 없어 화백회의에 참석하지 못했다. 왕위는 원성왕 김경신에게 돌아갔고, 원성왕은 김주원을 달래기 위해 명주(溟州, 현 강원도 강릉군)를 봉토로 주며 명주군왕에 봉했다. 강릉 김씨 시조 김주원의 윗대 세계와 그의 봉호 명주군왕은 다른 기록과 교차검증이 되지 않아 불명확하긴 하나, 어쨌든 이상이 강릉 김씨의 시조 발상이다.[?] [92] 당연하지만 김일성 일가가 아니다. 이 사람들은 전주 김씨다.[위키백과] [94] 남양 홍씨 토홍계, 당홍계처럼 서로 다른 집안인 것은 아니다.[절손] [96] 奉祀. 조상의 제사(祀)를 받들어(奉) 모시는 것을 말한다.[절손] [절손] [절손] [절손] [절손] [102] 고려 호부원외랑(戶部員外郎)[103] 고려 금자광록대부[산계] 지문하성사(金紫光祿大夫 知門下省事)[104] 고려 밀직부사(密直府事)[105]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106] 고려 좌우위중랑장(左右衛中郞將)[107] 고려 봉익대부[산계] 개성부윤 상호군(奉翊大夫 開城府尹上護軍), 시호 신효(愼孝).[108] 고려 한림학사(翰林學士). 여말선초 사람인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불사이군(不事二君, 두 임금을 섬기지 아니함)의 충절을 지키기 위해 벼슬을 버리고 제주도로 낙향했다. 현대에도 많은 김안보의 후손들이 제주에 세거하고 있고, 이 때문에 제주도는 연안 김씨가 상대적으로 많은 지역 중 하나이다.[109] 고려 호군(護軍)[110] 고려 정순대부대호군(正順大夫大護軍)[111] 음력 1359년공민왕 8년, 기해년 생. 고려 봉익대부[산계] 공부전서(奉翊大夫工部典書), 조선 태종조 정헌대부 공조판서. 음력 1419년 10월 21일세종 1년, 기해년 졸. 향년 61세.[無] 무후. 후손이 없음.[無] [無] [無] [女] 딸. 이름이 족보에 오르지 않아 전해지지 않음.[女] [女] [女] [無] [無] [無] [無] [女] [無] [女] [女] [女] [女] [절손] [절손] [132] 조선 통정대부[산계] 행[行] 내자시윤(通政大夫 行內資寺尹). 증[贈] 숭정대부[산계]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贈 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兼判義禁府事).[女] [女] [절손] [절손] [절손]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女] [149] 정필(鄭弼)의 처[150] 중림동 일대의 옛이름이 바로 약현이다. 오늘날의 만리동 입구에서 충정로3가로 넘어가는 고개에 약초를 재배하는 밭이 있어 이 고개를 약전현(藥田峴)이라 불렀는데 이 이름이 줄어 ‘약현’이 되고 점차 고개 부근의 지명으로 쓰였다고 한다. 이 지명은 약현성당에 남아 있기도 하다.[151]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상왕도리[152] 태인현은 오늘의 정읍시 태인면이 되었다. 이에 정읍종중이라고도 부른다.[153] 벽성은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벽파리(碧波里) 벽성포(碧城浦)에서 온 것이다. 대동여지도에 세로로 [ruby(碧, ruby=벽)][ruby(波, ruby=파)][ruby(亭, ruby=정)], [ruby(碧, ruby=벽)][ruby(城, ruby=성)][ruby(浦, ruby=포)]가 적혀 있는 것이 보인다.[154] 흥양은 1441년부터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가까지 불렸던 고흥의 옛이름이다.[示] 보일시(示)변은 두 가지의 형태(⺬, 礻)를 가지며, 두 형태가 병용된다. 한국의 인명용 한자표에는 표에 따로 실려 있지 않더라도 礻/⺬ 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조항이 있기도하다.[示] 보일시(示)변은 두 가지의 형태(⺬, 礻)를 가지며, 두 형태가 병용된다. 한국의 인명용 한자표에는 표에 따로 실려 있지 않더라도 礻/⺬ 변은 서로 바꾸어 쓸 수 있다는 조항이 있기도하다.[邊] 항렬이 '○边'이라 적혀있는 것은 항렬자에 맞춰 이름을 쓰려면 ○자를 변(边/邊, 한자의 왼쪽에 있는 부수)으로 삼는 글자를 정해 외자 이름을 쓰라는 의미이다. 즉, 부수를 항렬자로 여기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무목변(木边) 항렬이라면 校(교), 樹(수), 林(림), 板(판), 橋(교), 村(촌) 權(권), 柳(류), 송(松)등의 글자를 이름으로 쓸 수 있다.[邊] [서원배향]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나산서원과 삼봉서원은 훼철되어 각각 유허비, 강당만 남아있다.
전라남도 담양군 수북면 나산리 나산서원
김도
김자지
김여지
평안남도 시주시 노강서원
김제남
경상북도 영주시 삼봉서원
김개국[김유연_직가계]
김유연의 아버지 김형이 5촌 당숙 김재옥에게 출계했다. 족보상으로 계대하느냐 혈통상으로 계대하느냐에 따라 조상이 조금 다르지만 어떻게 계대하든 김상석의 현손이고 김제남의 8대손이다.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전(詮)→안도(安道)→오(祦)→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석(相奭)
족보상 : 상석(相奭)→구(煹)→재옥(載玉)→형(鑅)→유연(有淵)
혈통상 : 상석(相奭)→익(熤)→재찬(載瓚)→형(鑅)→유연(有淵)[의친왕비_직가계]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전(詮)→안도(安道)→오(祦)→제남(悌男)→규(珪)→홍석(弘錫)→호(澔)→상익(相益)→엽(燁)→재항(載恒)→용(鎔)→석연(石淵)→덕수(德秀)→사준(思濬)→숙(淑)[김안로_직가계]
도(濤)→자지(自知)→해(侅)→우신(友臣)→흔(訢)→안로(安老)[시호] [서원배향] [김유연_직가계] [의친왕비_직가계] [김안로_직가계] [시호] [서원배향] [군호] [시호] [172] 족보에는 공희(恭禧)로 적혀있다.[173] 중종(조선) 승하 후 명에서 내린 시호 공희(恭僖)와 같음을 이유로 선조 37년(1604)에 개봉하였다.[개국공신] 1392년 조선개국 개국공신(開國功臣) 3등 추충익대개국공신(推忠翊戴開國功臣)
공양왕의 양위 후 이성계에게 왕위에 오를 것을 권한 공으로 봉해졌다.[정사공신]
1398년 무인정사 정사공신(定社功臣) 2등 추충협찬정난정사공신(推忠協贊靖難定社功臣)[작호] [177] 1872년 개봉 전주 이씨 대동종약원 의창군파 약사[178] 自知→수(脩)→양원군부인(梁源郡夫人)[군호] [시호] [정난공신]
1453년 계유정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 수충위사협찬정난공신(輸忠衛社協贊靖難功臣) 호부원외랑공계 밀직제학공파 10세 김효성(金孝誠)
1506년 중종반정 정국공신(靖國功臣) 2등 병충분의익운정국공신(秉忠奮義翊運靖國功臣)[191] 自知→수(脩)→원신(元臣)→감(勘)[192] 로(輅)→영철(永轍)→연성부부인(延城府夫人)[군호] [삭훈] 역모죄로 삭훈[정난공신] [삭훈] [상신] [198] 自知→수(脩)→원신(元臣)→면(勉)→근사(謹思)[상신] [김안로_직가계] [위호] [서원배향] [203] 여담으로, 삼봉서원에는 퇴계 이황의 형 온계 이해도 배향되었는데, 이해는 김개국의 고모부이다.[204] 自知→구(俱)→세형(世衡)→복흥(復興)→몽득(夢得)→개국(蓋國)[군호] [시호] [서원배향] [김유연_직가계] [의친왕비_직가계] [시호] [존호] [의친왕비_직가계] [김유연_직가계] [시호] [상신] [김유연_직가계] [시호] [상신] [종묘배향] 종묘 배향공신(宗廟 配享功臣)[김유연_직가계] [221] 제남(悌男)→래(琜)→군석(君錫)→은(溵)→상정(相丁)→희(熺)→재칠(載七)→려(鑢)[시호] [종묘배향] [224] 익(熤)→재련(載璉)→로(鏴)[시호] [상신] [김유연_직가계] [228] 제남(悌男)→래(琜)→군석(君錫)→은(溵)→상정(相丁)→희(熺)→재칠(載七)→선(䥧)→준연(駿淵)→기수(綺秀)[229] 내자시윤공파 22세 김관수(金觀秀)에 입양되었다. 본생가는 직강공파 평택종중으로서 생부는 직강공파 22세 김봉수(金鳳秀)이다.[조선귀족]
1910년 - 김사철,
1915년 - 김사준의 고종 망명 시도 발각, 남작 작위 박탈, 투옥
1935년 - 김사철의 사망, 아들 김석기(1874)의 조선귀족 남작 작위 승작.[조선귀족] [박탈] 1915년 고종 망명 시도 발각으로 작위 박탈. 이후 투옥되었고, 이듬해에 옥사했다.[의친왕비_직가계] [조선귀족] [작호] [의친왕비_직가계] [장관] [238] 제26대 재무부장관, 제15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국회의원] [보명] 족보에 올라간 이름[業]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평양종중(平壤宗中) 26세 ○業(업) 항렬[銓]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27세 ○銓(전) 항렬[濟] 호부원외랑공계 개성부윤공파 28세 ○濟(제) 항렬[보명] [예명] [예명] [예명] [龍] 호부원외랑공계 공부전서공파-평양종중(平壤宗中)-강서문중(江西門中) 29세 龍○(용) 항렬[예명] [250] 본명은 김지영으로, 연안 김씨라고 밝혔다.[상신] [252] 김안로의 아들 김시(金禔)의 손자로, 김안로에게는 증손이 된다. 동생은 식(埴)인데, 동생과 함께 선비 화가로서 할아버지의 화풍을 이어받았다. 한편 진사시에 입격한 기록도 있다. 광해군(光海君) 5년(1613) 계축(癸丑)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 25위(55/100)[253] 이 사람, 생원시 1위 출신이다. 경종 1년(1721) 신축 식년시 생원 1등 1위(1/100)로 입격했고, 대과 급제 기록은 없다. 김 생원의 사마시 방목[254] 광산 김씨([ruby(光, ruby=광)][ruby(山, ruby=산)] [ruby(金, ruby=김)][ruby(氏, ruby=씨)]→[ruby(光, ruby=みつ)][ruby(山, ruby=やま)], 미쓰야마), 하동 정씨([ruby(河, ruby=하)][ruby(東, ruby=동)] [ruby(鄭, ruby=정)][ruby(氏, ruby=씨)]→[ruby(河東, ruby=かわひがし)], 가와히가시), 안동 권씨([ruby(安, ruby=안)][ruby(東, ruby=동)] [ruby(權, ruby=권)][ruby(氏, ruby=씨)]→[ruby(安東, ruby= あんどう)], 안도), 배천 조씨([ruby(白, ruby=배)][ruby(川, ruby=천)][ruby(趙, ruby=조)][ruby(氏, ruby=씨)]→[ruby(白川, ruby=しらかわ)]), 달성 서씨(達城 徐氏)→다쓰시로(達城、たつしろ) 등등 이에 해당하는 사례는 성과 본을 가리지 않고 많으며, 여기 외에도 평산 신씨, 창원 황씨, 남평 문씨가 본관을 그대로 한자로 써 창씨한 사례가 있다. 일본인의 성씨는 뒷 글자가 木, 本, 村, 林, 田, 川, 井, 山, 城인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중 川, 山, 城은 한국의 지명에서도 흔히 찾을 수 있는 글자다. 본관을 한자로 적었을 때 川, 山, 城등이 뒷글자인 가문들은 근본을 남길 수 있고 위화감도 덜하니 본관으로 창씨한 것으로 보인다.[255] 명종(明宗) 19년(156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31위(61/100)[256] 김부(金溥)의 딸. 김부는 김근사의 양자와 이름이 같지만, 김근사의 며느리는 홍씨가 아니므로 이 무덤의 주인은 김근사의 며느리가 아니다. 김부가 누구인지는 현재로서는 불명.[257] 2000년도에 경기도 양평군에서 출토된 것으로, 남양 홍씨 예사공파 홍몽남(1534-1574)의 부인 연안 김씨의 옷이다. 직금(織金)에 공작 흉배가 부착되어 있는 화문라(花文羅: 꽃무늬의 얇고 가벼운 직물) 홑 단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