默 잠잠할 묵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黑, 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6획 | ||||
고등학교 | |||||||
黙 | |||||||
일본어 음독 | モク, ボク | ||||||
일본어 훈독 | だま-る, だんま-り, もだ-す | ||||||
- | |||||||
표준 중국어 | mò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默은 '잠잠할 묵'이라는 한자로, '잠잠하다', '말없다', '입을 다물다', '조용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잠잠하다 |
음 | 묵 | |
중국어 | 표준어 | mò |
광동어 | mak6 | |
객가어 | me̍t | |
민동어 | mĕk | |
민남어 | be̍k | |
오어 | meq (T5) | |
일본어 | 음독 | モク, ボク |
훈독 | だま-る, だんま-り, もだ-す | |
베트남어 | mặc |
유니코드에는 U+9ED8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田火戈大(WFI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黑(검을 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 과묵(寡默)
- 묵계(默契)
- 묵과(默過)
- 묵극(默劇)
- 묵낙(默諾)
- 묵념(默念)
- 묵독(默讀)
- 묵례(默禮)
- 묵묵(默默)
- 묵배(默拜)
- 묵비(默祕)
- 묵살(默殺)
- 묵상(默想)
- 묵시(默示)
- 묵식(默識)
- 묵약(默約)
- 묵언(默言)
- 묵연(默然)
- 묵음(默音)
- 묵인(默認)
- 묵주(默珠)
- 묵중(默重)
- 묵허(默許)
- 묵회(默會)
- 암묵(暗默)
- 적묵(寂默)
- 침묵(沈默)
- 함묵(含默/緘默)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강묵기(康默記)
- 강현묵(姜鉉默)
- 계용묵(桂鎔默)
- 곽묵(郭默)
- 김경묵(金炅默)
- 단묵(段黙)
- 묵거(默居)
- 묵철가한(默啜可汗)
- 민종묵(閔種默)
- 신상묵(辛相默)
- 연형묵(延亨默)
- 원창묵(元昌默)
- 윤묵(尹默)
- 조금묵(曹琴默)
- 조인묵(趙仁默)
- 조종묵(趙鍾默)
- 카미모쿠 네코(神黙 根子)
- 풍묵풍(馮默風)
- 황준묵(黃準默)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汱(물떨어질 견)
- 畎(밭고랑 견)
- 𩫈(두드릴 고)[1]
- 𩿁(새이름 대)
- 㺴(옥이름 발)
- 伏(엎드릴 복)
- 𩎓(수레앞가로대 비)
- 肰(개고기/그럴 연)
- 犾(개가싸울 은)
- 𤘲(바를 장)
- 枤(홀로서있을 체, 키 타)
- 紎(이색진깁 치)
- 𢗗(사치할 태, 익을 설)
- 䭾(실을 태, 말달릴 견)
- 䣭(프탈레인 태)
- 𩵥(물고기이름 폐)
- 吠(짖을 폐)
- 𣅤(새벽 허)
- 㧋(펼 현)
- 𡉩(포)
- 𤯂
- 𦨚
- 𧿡
- 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