可 옳을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べ-し | ||||||
- | |||||||
표준 중국어 | kě, k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可는 '옳을 가'라는 한자로, '옳다', '진실로', '대략' 등을 뜻한다.2. 상세
可의 획순 |
可의 자형 |
현재 자형은 口(입 구)와 丁(고무래 정)이다. 그러나 丁 자의 갑골문은 현재와 전혀 다른 모양으로 생겼기 때문에, 可 역시 丁 자와 무관한 글자이다. 따지자면 可 자의 오른쪽 부분은 丂 자와 더 닮았다. 워낙 자형이 단순해서인지 자원(字源)을 파악하기 어렵다.
성적이나 등급 따위를 평점하는 기준 중 하나인 수우미양가의 '가'이다. 가능성이 있다는 뜻.
카간의 음역어 '可汗'(가한)을 읽을 때 한정으로, 중국어에서는 독음이 달라진다.
유니코드는 U+53EF에 배정되어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귀여운 상사를 난처하게 만들고 싶어(可愛い上司を困らせたい)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모양자
8. 여담
- 可를 두 개 합치면 哥(성씨 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