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2 17:36:42

창힐수입법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한자/입력기
, 중국어/입력기
,
,
,
,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간체자 논쟁)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한문(교과)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파일:attachment/uploadfile/Keyboard_layout_Cangjie.png
창힐수입법 자판 배열

1. 개요2. 습득
2.1. 자판 배열2.2. 입력법
3. 장점4. 단점5. 사용
5.1. 설치
6. 기타

1. 개요

Cangjie (한어병음) / Tsang-chie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Changjie (한어병음, 변형) / Cang Jie (한어병음, 음절마다 띄어쓰기) / ChongKit (월어병음) input method

대만의 컴퓨터공학자 주방푸([주방복], 1937~)[1]1976년에 형의검자법(形意檢字法)으로 발명한 중국어 입력기다. 현재 쓰이는 이름인 창힐수입법은 전설 속 한자 창시자인 창힐에서 따왔는데, 1978년에 장제스의 차남이자 당시 대만 국방부장이던 장웨이궈가 붙였다.

현재 쓰이는 중국어 키보드 입력 방식 가운데 최초로 개발된 방식이며, 표음 기호(병음, 주음부호 등)를 입력하고 그에 맞는 한자를 선택하는 흔한 한자 입력법과 달리 창힐수입법은 한자 모양을 따라 입력한다. 주로 정체자가 통용되는 곳에서 사용한다. 간화자 역시 창힐수입법으로 입력할 수 있으나, 글자 형태 기반 입력 방식으로 간화자를 입력할 때는 오필자형수입법이 더 많이 쓰인다.

파일:attachment/uploadfile/cangjie.jpg

2. 습득

관련된 용어
  • 자근(): 키에 매핑된 간단한 한자나 한자의 일부분
  • 자두(): 한자 부수 분류에서 '방', '발', '제부수'를 제외. 부수가 아니어도 같은 위
  • 자신(): 자두 이외 부분
  • 차자두(): 자신 부분의 자두 부분
  • 차자신(): 자신 부분의 자신, 입력 시에는 이 부분 코드 중 마지막 코드만 입력한다.

2.1. 자판 배열

출처: 티스토리, 창힐수입법(倉頡輸入法)을 간단하게 배워보자 :: 早晨,香港。
분류 로마자 코드
(QWERTY 기준)
표시 코드
(기본 자근)
보조 자근
철학 A 巴의 윗부분, 曰
철학 B 豸와 冎의 윗부분, 目, 冂, 爫, 冖, ⺼
철학 C 丷, 八, 儿
철학 D 寸, 也의 처음 두 획, 力
철학 E 氵, 氺, 又
철학 F 灬, 小, ⺌
철학 G
필획 H ⺮, 丿, 𠂆
필획 I 丶, 广, 厶, ㅿ
필획 J
필획 K 犭의 처음 두 획, 乂, 𠂇, 疒, 〆
필획 L 丨, 衤, 肀
필획 M 厂, 工,丆, ㇀
필획 N 乙, 亅, 乛, ⺄, 𠂊
인류 O 兆의 마지막 두 획, 亻, 乀, 𠂉
인류 P 忄, ⺗, 七, 勹, 匕, 𫠠
인류 Q 扌, 㐄
인류 R
자연 S 長의 처음 네 획(ㅌ같은 부분), 匚, 𠥓, コ, 𠃌
자연 T 廿 廾, 卄, 丱, 艹, 䒑, 𠔀, 龷
자연 U 屮, 乚, 凵
자연 V く, 乚, ㄴ, 𧘇
자연 W 母의 처음 두 획, 囗
자연 Y 亠, 辶, ⺀
특수 X 복잡한 부분[2]을 입력 할 때에 쓰인다.
특수 Z 문장 부호를 입력할 때에만 쓰인다.[3]
자판 배열 자체는 쿼티의 영향을 받았다. 예를 들어 음양 오행을 나타내는 글자인 日, 月, 金, 木, 水, 火, 土의 배열이 불규칙한 이유는 쿼티 a, b, c, d, e, f, g 자리에 그 글자들을 넣었기 때문이다. 흔히 쓰는 주음부호 자판(다첸식) 배열이 주음부호 순서와 거의 비슷한 것과 대조된다. 주류는 아니지만 쿼티의 영향을 받은 주음부호 자판(이톈식)도 있다. 가령 ㄅ는 쿼티의 b 자리에 있다.

보조자근은 거의 기본자근에서 변형하거나 기본자근을 회전한 형태다.

2.2. 입력법

파자법은 일반적인 파자법이 아니라 도형의 개수를 묻는 수학 문제와 같은 방식인 파자법이다.

획수 순이 아니라 위치 순으로 입력하며,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둘러싼 바깥 부분에섯 둘러싸인 부분으로인 순서로 입력한다.

획수가 많은 자근을 우선한다.

5타를 넘으면:
  • (듬성해) 자두와 자신으로 양분할 수 있으(기 쉬우)면 자두 초일종일, 자신 초이종일로, 자두에 처음과 끝 2개, 자신에 처음 2개와 마지막 한개인 3개로 입력한다. 이 때에 '에움' 안이 제외된다.
  • (촘촘해서) 자두와 자신으로 양분하기 어려우면 첫 3개 코드를 입력하고 마지막 코드를 입력한다.

단, 尚자가 포함된 일부 형성자나 養와 같이 입력법을 반대로 적용하는 것도 있다. 거기다가 형의검자법 시절에 일부러 일부를 생략하고 입력하는 방법이 남은 경우나, 완전히 답이 안 나와서 아예 자의적으로 조자법을 정해놓은 글자도 몇자 있다. 이 가운데 획 수가 너무 많고 파자환원이 안되는 부분을 難획으로 퉁친 것도 있다. 아래는 그 예와 입력법이다.
한자 창힐 코드 비고
표시 코드 로마자 코드
竹難竹山  HXHU 절구臼형태를 竹難으로 쓰는 게 정형화되어 있다.
水中難中  ELXL
水卜難  EYX
月山  BU 月一(로마자 코드: BM)은 且로 조합, 막음획을 山으로 쓰는 것이 맞으므로 원칙에 부합한 예시
中難  LX 형이검자법 시절에 구분을 위해 코드를 다르게 정함
𣶒 水中難中  LXL
廿人土難  TOGX 절구臼형태를 竹難으로 쓰는 게 정형화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원칙에 부합한 예시
竹難竹  HXH 형태 상 竹尸木竹(로마자코드: HSDH)으로 창힐식 파자가 충분히 가능하지만 과거 잔재로 변경
戈中尸  ILS 정체자와 다르게 원칙에 부합한 예시
日弓  AN 日中日弓(로마자 코드: ALAN)을 생략
竹戈  HI 竹山戈(로마자 코드: HUI)에서 생략
卜難  YX
弓難山  HXU

각 한자 및 문장부호 입력법은 창힐수입법/목록 문서 참조.

3. 장점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 같은 발음기호에 의존하는 입력방식보다 단연 빠르다. 한 글자가 최대 5타를 넘어가지 않고, 중복자가 최다 6자로 나열된 중복자의 위치를 암기하여 숫자키로 입력할 수 있어 속도로 압도할 수 있다. 드보락과 마찬가지로, 속도가 중시되는 작업 환경이라면 익혀둘 만하다.

다만 독음을 입력하는 방식인 중국어 입력기가 자체 학습과 빅데이터를 결합하며 발전했기 때문에 현재도 이 방법이 여전히 빠른지는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옛날에 中国한어병음으로 입력할 때 zhong, (1성)[4], 中자 고르기, guo, (2성), 国자 고르기 식으로 했으니 당연히 느렸다. 그러나 지금은 zg만 쳐도 바로 후보로 中国이 뜰 정도다. 한어병음보다 중국어 표기에 더 일찍 도입된 주음부호로 입력할 때도 마찬가지였다. 臺灣, 台灣을 입력하기 위해 ㄊㄞˊ 입력, 臺자 또는 台자 고르기, ㄨㄢ 입력, 灣자 고르기 식으로 해야 했으나 요즘은 ㄊㄨ만 입력해도 추천 단어 상위에 臺灣과 台灣이 표시된다. 자주 쓰지 않는 단어는 이 방법이 어려우나 말 그대로 자주 쓰지 않기 때문에 이런 일은 중국어 타자에서 잘 안 일어난다. 또한 이런 방식 때문에 已經이라는 두 글자를 입력하는 것이 已 한 글자만 입력하는 것보다 빠른, 붓으로 글을 쓰던 시기엔 있을 수 없는 일도 일어난다. 한어병음이라면 전자는 yj를 치면 바로 추천 단어가 나오나 후자는 yi를 치고 음 똑같은 많은 글자들 중에서 已를 찾아서 골라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도 자주 쓰이지 않는 글자는 창힐수입법이 더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中国이라는 자주 쓰이는 단어를 입력할 때 zg만으로도 입력할 수 있는 병음수입법이 단연 편하다. 하지만 자주 쓰이지 않는 단어, 예를 들어 유명하지 않은 일반인 인명을 입력할 때에 창힐수입법이 훨씬 더 빠르다. 만약 수백 명 중국인명 목록을 작성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해 보자. 그걸 다 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으로 올바른 글자를 하나하나 골라가며 입력하려면 상당한 고역이겠으나 창힐로는 일반 문장을 입력하는 속도와 다를 바 없다.

또한 현대 중국어가 아닌 한문을 입력할 때 병음/주음부호와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빠르다. 병음/주음부호수입법은 어디까지나 다음절 어휘 위주인 현대 중국어에 최적화되었기 때문에 단음절 어휘 위주인 한문을 쓰려면 앞서 말한 已 한 글자를 입력하는 것처럼 상당한 글자 고르기가 요구된다. 그러나 창힐로 입력하면 현대 중국어를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속도를 낼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한자는 잘 알지만 그 중국어 독음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익히기가 편하다는 것이다. 발음에 상관없이 그냥 한자를 '써서' 입력함과 같기 때문이다. 진정 필담이나 파자 놀이라고 해도 될 듯하다. 마찬가지로 한자를 많이 입력해야 하는 작업 환경인데 중국어는 잘 모르는 한국인도 사용할 수 있다. 대만 정체자는 한국 정체자와 몇 개 빼고 같으니까.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한어병음이나 주음부호 입력에 비해 소프트웨어적으로도 이점이 있었다.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은 일단 독음을 입력하고 그 독음에 해당하는 한자를 후보군으로 띄운 뒤에 선택하는 방식인데, 컴퓨터 성능이 딸렸던 과거에는 수많은 한자 후보군을 띄우고 선택하는 프로세스를 처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에 비해 창힐수입법은 로마자 몇 개만 입력하면 바로 한자 하나에 대응되니 소프트웨어적 처리가 훨씬 간편했다. 물론 오늘날에는 한어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 프로세스가 크게 빨라져서 눈에 띄는 장점은 아니다.

장기간 사용되었기 때문에 교육 노하우와 교재가 풍부하다. 단 번역은 거의 없다.

4. 단점

그 많은 한자들을 발음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파자하며 조자법을 익혀야 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다. 병음수입법이나 주음부호수입법을 쓰던 사람이 창힐수입법으로 평소 자주 쓰는 你 같은 글자마저 못 치게 되어 당혹스러워 한다. 그마저도 LinuxBSD에서 일부 명령어가 다르고, macOS 버전마다 일부 명령어가달라라지듯이 버전마다 달라지며, 같이 Windows 내장 입력기에 기존 입력 방식과 다르게 입력한는 한자가 약간 있다. 기존 예컨대 面은 3대창힐에서 一田卜中(MWYL)이지만 5대창힐에서 一田尸中(MWSL)이고, 非는 3대창힐에서 中一卜卜卜(LMYYY)이지만 5대창힐에서 中一尸卜(LMSY)이며, 考는 3대창힐에서 十大卜尸(JKYS)지만 5대창힐에서 十大卜女尸(JKYSV)다.

형의검자법 시절에 로마자 26자만으로 구별하기 위해, 부수나 구성자로 쓸 때와 한자 그대로 쓸 때 입력법이 달라질 수 있다. 예로 麻자는 '戈十金金 '(IJCC)으로 입력하나 부수(엄으)로 쓰일 때에 '戈木- '(ID-)로 입력한다. 儿(어진사람 인) 자체는 中山(LU)으로 입력하나 부수(발)로 쓰일 때에 -(竹)山(-(H)U)으로 입력하는 경우가 많고, 에움 안에 있는 것은 金(C)으로 입력한다. 另자는 '口大尸'(RKS)로 입력하나 구성자(변, 방)일 때에 '口尸(竹)'(RS(H))으로 입력한다.

상기 자근표의 보조자근란에 있는 한자 대부분도 마찬가지다.

七 十山 (JU )
勹 竹尸 3(HS 3)
匕 山竹 1(UH 1)
儿 中山 1(LU 1)
𣁬 尸中 3(LS 3)
冂 中尸 1(LS 1)
宀 戈月 2(IB 2)
爪 竹中人 (HLO )

艹 十十 3(JJ 3)
卄 十十 2(JJ 2)
廾 十十 1(JJ 1)
𥫭𧘇𣀭

어렵기 때문에 창힐수입법을 사용하는 홍콩이나 마카오 사람들은 어렸을 적부터 창힐수입법을 시험 봐 가며 배운다고 한다. 다만 홍콩/마카오에서조차 가장 많이 쓰이는 입력기는 아니며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속성(速成)수입법으로, 창힐수입법과 원리는 같지만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를 입력하여 그 중 택일한다. 예를 들면 韓을 입력할때 창힐로 十十木一手이지만, 속성으로 十手만 입력하여 가능한 후보 중 韓을 선택한다.

5. 사용

개발국인 대만에서는 한때 널리 쓰였으나 주음부호수입법이 개발되고 성능이 향상되면서 현재는 대세에서 밀려버렸고, 대신 홍콩마카오에서 많이 쓰인다. 대만 키보드를 사보면 각 키마다 로마자, 주음부호, 창힐이 같이 적혔는데 창힐이 대세였음을 나타낸다. 일부 대만 키보드에는 창힐과 비슷한 대이()수입법 자근도 적혀 있으나 거의 안 쓰인다.

그러나 어려워서 홍콩이나 마카오에서도 제일 많이 쓰는 입력기가 아니며 창힐을 쓰는 사람은 홍콩과 마카오에서도 10%가 채 안된다.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속성수입법(速成輸入法)이라는, 일종의 간략화된 창힐수입법인데, 창힐과 파자 원리는 동일하나 첫 글자와 마지막 글자만 입력하고 대응하는 한자들 중 택일하는 형식으로, 배우기 쉬운 대신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다.

5.1. 설치

주방푸는 중국어 전산화에 기여하기 위해 이 입력법의 특허를 포기하고 퍼블릭 도메인으로 배포했다. 덕분에 어느 컴퓨터에서든지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Microsoft Windows 기준으로 중국어(번체) 언어팩을 설치 후 언어 설정에서 Microsoft ChangJie를 선택하면 이용이 가능하다.

LG 스마트폰 입력기에서 중국어(홍콩)을 선택하면 창힐수입법이 기본. 삼성 스마트폰의 삼성 키보드에서도 번체중문(홍콩)을 깔면 바로 이 창힐수입법이 깔려져서 나온다. 일부분만 쳐도 후보가 좌르륵 나오니 창힐을 못 쓰는 사람도 그나마 몇 개는 칠 수 있다.

창힐수입법에 관심이 있다면 이 프로그램이 도움이 될 것이다. 실행시키면 트레이 아이콘으로 활성화되는데, 한자를 하이라이트한 뒤 Ctrl+C를 누르면 그에 대응하는 창힐수입법 키 입력을 보여준다. 또는 창힐수입법 입력기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이 웹 페이지에서 입력해 볼 수 있다.

6. 기타

창힐수입법 개발은 중국어 기계화 및 전산화 역사의 전환점 중 하나이다. 중국어는 수많은 한자를 쓰기 때문에 100개 남짓한 글쇠를 가진 키보드로 중국어를 입력할 방법은 마땅치 않았다. 창힐수입법은 최초로 개발된 중국어 입력기로서, 한자 수천 자를 IME로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중국어 전산화가 가능함을 보였고, 후에 개발된 한어병음수입법, 주음부호수입법과 함께 중국어 전산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개발자 주방푸는 창힐수입법을 문자 입력 체계뿐만 아니라 문자 인코딩 체계로도 활용하고자 했다. 예로 JJOMN을 치면 輸가 나온다고 했는데, 초기 창힐수입법에서는 저게 한자에 대응하는 코드로 변환되는 게 아니라 한자가 저 로마자 다섯 글자로 저장되었다. 또한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창힐수입법으로 만들어진 문자는 일정하기 때문에, 라틴 문자를 아무거나 쓰면 거기에 맞춰서 한자를 재구성하려고 시도했다고 한다. 이렇게 해야 글꼴 메모리를 절약할 수 있었다고 한다. 당연하게도 이렇게 만들어진 문자들 중에는 유니코드에도 없는 게 산적해 있다고 한다. 주방푸는 이런 식의 인코딩 방식을 대만 정부에 제안하여 5만 개 이상의 한자를 싣고자 했으나, 대만 정부가 1983년에 Big5 인코딩 체계를 선택하여 무산되었다.


[1] 중국 후베이성 황강에서 태어나 국부천대 때에 대만에 왔다. 1990년대부터 중국과 홍콩, 마카오를 오가며 활동하여 중국어 소프트웨어 발전에 기여했다.[2] 齊, 龜, 肅, 廌, 慶의 일부분 등[3] Mac OS 등 일부 IME만 입력 시에 '重'으로 표시하고 이외 IME에서 Z로 표시한다. 형의검자법 시절에 중복자를 구분하여 입력하는 키였다.[4] 한어병음수입법 입력기는 성조 입력 기능이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