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 버금 차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欠, 2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6획 |
중학교 | 준4급 | ||
次[A] | |||
일본어 음독 | ジ, シ | ||
일본어 훈독 | つ-ぐ, つぎ | ||
次[A] | |||
표준 중국어 | cì | ||
1. 개요
次는 '버금 차'라는 한자로, '버금', '둘째', '다음', '순서'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는 U+6B2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MNO(戈一弓人)로 입력한다.왼쪽부터 순서대로 간체자, 정체자, 일본 신자체, 한국식 표기
왼쪽의 부수(변)가 일견 이수변(冫)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뜻을 나타내는 欠(하품 흠)과 소리를 나타내는 二(두 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단 중국과 일본에서는 二 부분을 冫로 바꿔서 쓴다. 대만에서는 二 부분을 그대로 쓰며, 한국에서는 二 부분의 아래쪽 획을 비스듬하게 쓴다.
원래는 '마음대로'라는 의미였으나 이것이 恣(마음대로/방자할 자)로 가차되었다.
이 한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들은 '자'로 소리난다. 資(재물 자), 姿(모양 자), 恣(마음대로/방자할 자), 瓷(사기그릇 자) 등이 대표적이다.
3. 용례
3.1. 단어
- 차(次)
- 장차(將次)
- 차관(次官)
- 차기작(次期作)
- 차례(次例)
- 차선(次善)
- 차원(次元)
- 차장(次長)
- 차제(次第)
- 차남(次男)
- 차녀(次女)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바야시 요시쓰구(小林 快次)
- 나카바야시 히로츠구(中林 洋次)
- 단건차(檀健次)
- 도미나가 교지(富永 恭次)
- 목리문차(木刕文次)
- 박연차(朴淵次)
- 박차정(朴次貞)
- 벳키 나츠미(戸次 菜摘)
- 본도 코지로(凡戸 固次郎)
- 사카이 타다츠구(酒井 忠次)
- 스에츠구 토오루(末次 トオル)
- 아바라이 렌지(阿散井 恋次)
- 아유카와 테츠지(鮎川 鉄次)
- 에비사와 켄지(海老澤 健次)
- 요지로 츠기하(与次郎 次葉)
- 우로코다키 사콘지(鱗滝 左近次)
- 이토 히데츠구(伊藤 秀次)
- 존 만지로(ジョン 万次郎)
- 츠기야 산노스케(次屋 三之助)
- 츠기하기 후란(次萩 不乱)
- 카와이 켄지(川井 憲次)
- 코제니가타 헤이지(小銭形 平次)
- 하리미야 토우지(針宮 藤次)
- 하카리 킨지(秤 金次)
- 헤비타니 츠기오(蛇谷 次雄)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盗(도둑 도)[3]
- 𠸆[⿱次吉](넉넉할 섬)
- 羡(고을이름 이, 부러워할 선)
- 𢫴[⿱次手](끌어당길 자)
- 茨(남가새 자)
- 𥿩[⿱次糸](다듬을 자)
- 栥(대공 자)
- 𨦠(도끼 자)[4]
- 𢙊[⿰忄次](마음대로 자)
- 恣(마음대로/방자할 자)
- 趑/𨀥[⿰𧾷次]/𨒮[⿺辶次](머뭇거릴 자)
- 姿(모양 자)
- 瓷/𦈱[⿱次缶](사기그릇 자)
- 粢(서직/젯밥 자)
- 餈(인절미 자)
- 資(재물 자)
- 䨏(큰비 자)
- 秶(피 자)
- 𣧸[⿰歹次]/𣣌[⿰死次]/𣣰[⿱次⿰歺几](회생할 자)
- 垐(흙돋울 자)
- 楶(쪼구미 절)
- 𩶲[⿱次魚](갈치 제)[5]
- 佽(도울 차)
- 䯸(빗질할 차)
- 䳐(새이름 차)
- 絘(삼삼을 차)
- 𨋰[⿰車次](옷칠한수레 차)
- 栨(처마 차)
- 乲(음역자 찰)
- 䅆(빽빽할 치)
8. 여담
- 次를 세 개 합치면 𱤺[⿱次⿰次次]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