女 계집 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ジョ, ニョ, (ニョウ) | ||||||
일본어 훈독 | おんな, め, なんじ, むすめ, めあ-わせる | ||||||
- | |||||||
표준 중국어 | nǚ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 |
[clearfix]
1. 개요
女는 '계집 녀'라는 한자로, '계집', '여자(女子)', '딸' 등을 뜻한다."계집"이라는 단어가 현대에는 비칭으로 사용되면서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일각에서 생기고 있다. 그러나 한자의 뜻 풀이는 순 우리말+한자어로 표기하며 순 우리말이 없는 경우나 뜻이 겹치는 경우가 많을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한자어+한자어"를 쓰는데, 원칙상 일반적으로 용인되지는 않는다. 또, 놈 자(者)의 경우처럼 평칭이었던 순우리말이 현대에는 비칭으로 변한 경우에도 오랫동안 그렇게 옛 명칭으로 불러 온 영향으로 이 원칙을 다르게 적용하지 않으며 굳이 바꾸어 부르지 않고 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계집 |
음 | 녀 | |
중국어 | 표준어 | nǚ |
광동어 | neoi5, neoi5-2[1] | |
객가어 | ńg | |
민북어 | nṳ̌ | |
민동어 | nṳ̄ | |
민남어 | lú | |
오어 | nyy (T3) | |
일본어 | 음독 | ジョ, ニョ, (ニョウ) |
훈독 | おんな, め, なんじ, むすめ, めあ-わせる | |
베트남어 | nữ |
유니코드에는 U+597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女)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ㄋㄩˇ로 입력한다.
가슴을 드러내며 무릎을 꿇고 앉아있는 여성의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혹은 두 손을 모으고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여성의 모습으로 보기도 한다. 母(어미 모)와 기원이 같은데, 母와의 차이는 중간에 젖꼭지를 상징하는 점 두 개의 유무이다.
초기의 한문에서는 汝(너 여)의 통자로 쓰여, '너'라는 2인칭 지시대사를 나타내는 용도로 가차되기도 하였다. 예시로는 어머니가 아들에게 하는 말로 "女還, 顧反爲女殺彘"("너는 돌아가라, 돌아가면 너를 위해 돼지를 잡아주겠다.)가 있다.[2]
유니코드 상 계집 녀는 "女"(U+5973)과 "女"(U+F981) 2개가 존재한다. 전자는 '녀'를 한자로 변환했을 때, 후자는 '여'를 한자로 변환했을 때의 글꼴이다. 나무위키에서 볼 때 위 두 한자는 서로 같아 보이지만 유니코드상 이 둘은 서로 다른 문자다. 네이버 검색창에 입력해 보면 미묘하게 모양이 다른 걸 알 수 있다. 물론 Chrome 검색 엔진을 포함해 구글, 네이버 등 검색 엔진은 위 두 문자를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지만 유니코드 넘버는 엄연히 다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완성형/중복 한자 문서를 참조할 것.
女(계집 녀)가 두 개면 奻(송사할 난)이고, 세 개면 姦(간음할 간)이 된다. 같은 한자를 두 개 합친 한자와 세 개 합친 한자가 모두 존재하는 사례이다.
초서로 쓰면 め 모양이 되고, 이것이 그대로 히라가나에 편입되었다. 다만 음독으로 음가가 정해진 다른 대부분의 가나들과 달리 훈독으로 음이 정해졌다.
카타카나 meメ 또한 마찬가지로 여기서 유래하였다.
林(수풀 림) 사이에 男(사내 남)과 女(계집 녀)를 나란히 넣어서 '뻔할 뻔'이라는 한자를 만들기도 했다.
3.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3.1. 女가 들어가는 한자는 안 좋은 의미?
女가 부수인 글자 중에는 안 좋은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이 꽤 있다. 위 두 번째 짤이 여성시대에서 지하철에 게재한 여성혐오 근절 포스터 중 이를 지적하는 내용이다. 대표적으로 嫌(싫어할 혐), 奸(간사할 간), 妨(방해할 방) 등이 있고, 계집 녀를 무려 3개나 쓴 姦은 '간음할 간'이라는 뜻이다.[3] 위 이미지 중에서는 안 나와 있지만 奴(종 노), 妄(망령될 망), 妓(기생 기) 등도 있다. 부수가 아닌 글자에도 肗(썩을 여) 같은 예가 있다. 심한 예로, 妥(타당할 타)의 자원은 손으로 여자를 누르는 모습이다.
이는 초기 한자가 형성되던 고대 사회의 문해층 대부분이 지배층 남성이었기 때문에, 女가 부수인 한자들의 자원을 보면 성역할 고정관념을 가진 타자적 입장에서 여성적으로 여긴 특성에서 뜻을 따 만들어진 것이 많아진 것이다.
물론 女가 들어가는 한자가 다 안 좋은 의미만 가진 것은 아니다. 뜻부터가 '좋다'인 好 (좋을 호)를 비롯하여 始 (비로소 시), 姜 (성씨 강), 如 (같을 여, 말 이을 이), 妙 (묘할 묘), 姓 (성씨 성), 委 (맡길 위), 姿 (맵시 자), 威 (위엄 위), 娛 (즐길 오), 妖/姚 (예쁠 요), 嬉 (아름다울/즐길 희), 妟/侒 (편안할 안)[4], 釹(네오디뮴)등 중립적이거나 긍정적인 의미의 한자도 많다. 진짜로 좋지 않은 뜻의 한자만 몰려있는 부수라면 죽을사변부로 나오고, 기본적으로 나쁨이란 뜻을 가진 歹이나[5] 병듦을 의미하고 질병의 부수로 쓰는 疒 정도이다.[6]
다만 이 중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한자들도 당대의 성 역할 및 여성의 현실에서 만들어진 단어가 많다.[7] 예를 들어 如 (같을 여) 자는 "(남자의) 말에 따르는 여자"를 상형화한 것이며, 威 (위엄 위)자 역시 도끼로 여성을 위협하는 모습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설이 있다. [8]
4. 용례
4.1. 단어
- 공녀 (貢女/公女/工女)
- 광녀 (狂女)
- 궁녀 (宮女)
- 기녀 (妓女)
- 남녀 (男女)
- 남녀평등 (男女平等)
- 마녀 (魔女)
- 모녀 (母女)
- 무남독녀 (無男獨女)
- 무녀 (巫女/舞女)
- 미녀 (美女)
- 부녀 (婦女/父女)
- 부녀자 (婦女子)
- 비녀 (婢女)
- 삼녀 (三女)
- 석녀 (石女)
- 선녀 (仙女/善女)
- 성녀 (聖女)
- 소녀 (少女)
- 손녀 (孫女)
- 수녀 (修女)
- 수녀원 (修女院)
- 숙녀 (淑女/熟女)
- 시녀 (侍女)
- 신녀 (信女)
- 악녀 (惡女)
- 약혼녀 (約婚女)
- 양녀 (養女)
- 여고 (女高)
- 여고생 (女高生)
- 여군(女軍)
- 여대(女大)
- 여대생(女大生)
- 여색 (女色)
- 여성 (女性)
- 여성지 (女性誌)
- 여승(女僧)
- 여식(女息)
- 여신 (女神)
- 여왕 (女王)
- 여의 (女醫)
- 여인(女人)
- 여자 (女子)
- 여장 (女將/女牆/女裝)
- 여주 (女主)
- 여중(女中)
- 여중생(女中生)
- 여황 (女皇)
- 열녀(烈女)
- 왕녀 (王女)
- 요녀 (妖女)
- 용녀 (傭女/龍女)
- 우녀 (愚女/牛女)
- 유녀 (幼女/猶女/遊女)
- 유부녀 (有夫女)
- 의녀 (義女/醫女)
- 자녀 (子女)
- 장녀 (長女)
- 직녀 (織女)
- 직녀성 (織女星)
- 차녀 (次女)
- 창녀 (娼女)
- 처녀 (處女)
- 추녀 (醜女)
- 하녀 (下女)
- 해녀 (海女)
- 효녀(孝女)
4.2. 고사성어/숙어
- 갑남을녀 (甲男乙女)
- 남남북녀 (南男北女)
- 남녀노소 (男女老少)
- 남녀칠세부동석 (男女七歲不同席)
- 남존여비 (男尊女卑)
- 무남독녀 (無男獨女)
- 선남선녀 (善男善女)
- 여존남비 (女尊男卑)
- 요조숙녀 (窈窕淑女)
4.3. 인명
- 고키덴 뇨고(弘徽殿 女御)
- 김필여(金必女)
- 메기시마 토스케(女木島 冬輔)
- 박술녀(朴述女)
- 선우용여(鮮于龍女)
- 아부라메 토루네(油女 トルネ)
- 여리(女裏): 요나라의 인물
- 오나가와 타로(女川 太郎)
- 이길여(李吉女)
- 조행녀(曹行女)
- 주증녀(朱曾女)
- 천관녀(天官女)
4.4. 지명
4.5. 창작물
4.6. 기타
- 건어물녀(乾魚物女)
- 경단녀(經斷女)
- 군삼녀(軍三女)
- 김여사(金女史)
- 냉미녀(冷美女)
- 여소(女紹): '여자 소개'의 준말
- 여휴(女休)
- 부녀자(腐女子)
- 분기창녀(分期娼女)
- 상폐녀(上廢女)
- 설녀(雪女)
- 소녀경 (素女經)
- 숙녀검 (淑女劍)
- 여농(女籠)
- 여배(女排)
- 여성시대 (女性時代)
- 여자어(女子語)
- 여적여(女敵女)
- 여주(女主)
- 여축(女蹴)
- 여친(女親)
- 여혐(女嫌)
- 웅녀 (熊女)
- 육식녀(肉食女)
- 음식남녀 (飮食男女) - 이안 감독의 1995년 영화.
- 이대녀(二代女)
- 이번녀(二番女)
- 일번녀(一番女)
- 지뢰녀(地雷女)
- 천녀유혼 (倩女幽魂)
- 철벽녀(鐵壁女)
- 초식녀(草食女)
- 치녀 (癡女)
- 한녀(韓女), 한녀충(韓女蟲)
- 低燃費少女(저연비소녀): 일본의 걸그룹
5. 유의자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丈(어른 장)
8. 여담
- 여성가족부(女性家族部)의 '여'가 女가 아닌 如(같을 여)라는 루머가 돈 적이 있는데, 이 如가 남녀가 '동등하다'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이는 如가 '동등하다'라는 의미가 아닌 '마치 ~와 같다'라는 의미임을 모르는 데서 나온 낭설이다. 자세한 내용은 여성가족부/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자.
- 女를 분해하여 く(히라가나 '쿠'), ノ(가타카나 '노') + 一('한 일'의 일본어 음독 '이치')로 일컫는 '쿠노이치'가 있다.
- 다음은 안중근 의사의 하얼빈 의거로 이토 히로부미가 사망할 당시의 풍자화로, 그림자가 女의 형상을 하고 있다.
女ずき者の最後 호색한의 최후 |
[1] '딸', '소녀' 등의 뜻을 나타낼 때[2] 출처: 《한비자》 외저설 (좌상). 증자의 아내가 아들에게 한 말이다. 여담으로 아내는 애를 달래려고 그냥 했던 말인데, 증자는 '애한테 농담을 함부로 하면 안 된다. 부모를 따라 배우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면서 진짜로 아이에게 돼지를 잡아준다.[3] 다만 위의 포스터에서 예시로 든 한자는 벽자인 경우가 많고 같은 뜻의 다른 한자가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시로 嬻(더럽힐 독), 娸(미워할 기), 婬(음탕할 음), 㜜(거만할 오) 자는 거의 쓰이지 않고 각각 같은 뜻의 瀆(도랑/더럽힐 독), 忌(꺼릴 기), 淫(음란할 음), 傲(거만할 오) 자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4]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편안할 안' 자는 安인데 이 한자는 女 부수가 아니고 宀(집 면) 부수이다.[5] 이 부수를 쓰는 한자 중에서 대표적인 한자로 死(죽을 사), 殘(남을/잔인할 잔), 殆(거의/위태할 태) 등이 있으며 그나마 긍정적인 뜻의 한자로 殖(불릴 식)이 있지만 殖 자도 원래는 '뼈에서 발라낸 뒤 오래되어 썩은 지방(脂肪)'이라는 음산한 뜻이었다.[6] 이 부수를 쓰는 한자 중 긍정적인 뜻의 한자는 치유(治癒), 쾌유(快癒) 등에 쓰이는 '병 나을 유(癒)'와 치료(治療) 등에 쓰이는 '병 고칠 료(療)' 정도밖에 없다.[7] 아름다운 모습에 남을 도와주거나 보살피는 역할.[8] 단, 도끼라는 것이 힘 또는 권력을 상징하는 만큼, 권력과 여자를 둘다 가지고 있기에 위엄이 있다고도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