必 반드시 필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心,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ヒツ | ||||||
일본어 훈독 | かなら-ず | ||||||
- | |||||||
표준 중국어 | bì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획순[1] |
[clearfix]
1. 개요
必자는 '반드시 필'로, '반드시', '꼭', '틀림없이'를 뜻하는 한자이다.2. 세부 정보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반드시 |
음 | 필 | |
중국어 | 표준어 | bì |
광동어 | bit1 | |
감어 | bit6 | |
객가어 | pit | |
진어 | bieh4 | |
민북어 | bĭ | |
민동어 | bék | |
민남어 | pit | |
오어 | piq (T4) | |
상어 | bi6 | |
일본어 | 음독 | ヒツ |
훈독 | かなら-ず | |
베트남어 | tất |
유니코드에는 U+5FC5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ㄅㄧ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PH(心竹)로 입력한다.
단독으로 쓰일 경우 부사로서 주로 사용된다.
3. 모양
마음 심(心)자에 삐침 별이 관통된 형상을 띠고 있다.글자의 기원은 불분명하다. 마음 심을 부수로 갖고 있지만 마음 심과는 자원적으로 관련이 없으므로 '마음이 파괴되었다' 등의 해석은 잘못된 것. 나뭇가지를 양쪽에 두고 그 사이에 부목의 파편을 덧대 늘이는 모습을 본땄다는 설이 있으나 확실하진 않다. 나무삭구의 모양을 본땄다는 설이 있으나 이 역시 상상일 뿐이고, 상형자일 것이라는 것은 확실시 되고 있지만 그 대상은 알 수 없다.
必자의 원시 형태로 추정 가능한 가장 오래된 형태는 금문에서 처음 나타나며 예서 때 되어서야 현재와 비슷한 모양을 갖추게 된다. 그후로 마음 심의 모양이 드러나는 양식을 이루게 된다.
4. 쓰는 방법
획순이 나라마다 개인마다 다 다르다. 일단 한국에서는 반드시 필의 획순을 맨위의 점(가운데 위치한 점)을 시작으로 삐침 → 몸체 → 왼쪽 점 → 오른쪽 점 순으로 긋는 것을 정석으로 삼지만, 모든 교재에서 이렇게 가르치는 것은 아니며 통일된 설명없이 중구난방이다.마음 심의 획순은 왼쪽 점 → 몸체 → 맨위의 점 → 오른쪽 점 순인데, 반드시 필의 획순 중 한국에서 주로 설명하는 획순을 보면 삐침을 제외한 나머지 획의 순서도 마음 심과는 확실히 다르다. 삐침과 맨 마지막 획인 오른쪽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획의 순서는 마음 심과 반대이다.
중국에서는 마음 심을 먼저 그린 다음 삐침을 긋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일본은 획순이 3가지로 나뉘어 있는데,
- 맨위의 점 → 삐침 → 몸체 → 왼쪽 점 → 오른쪽 점 [2]
- 왼쪽 점 → 몸체 → 맨위의 점 → 삐침 → 오른쪽 점 [3]
- 삐침 → 몸체 → 맨위의 점 → 왼쪽 점 → 오른쪽 점 [4]
5. 용례
5.1. 단어
- 미필적고의 (未必的故意)
- 불필요 (不必要)
- 생필품 (生必品)
- 필독 (必讀)
- 필사 (必死)
- 필살기 (必殺技)
- 필승기 (必勝技)
- 필수 (必須)
- 필승 (必勝)
- 필시 (必是)
- 필연 (必然)
- 필요 (必要)
- 하필 (何必)
5.2. 인명
- 김필립(金必立) : 한국계 노벨 물리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사람인데, 필립이 Philip이 아니라 한자 이름이라고 한다. 아래 안필립과 한자가 같다.
- 김필여(金必女)
- 아제쿠라 카나라(校倉 必)
- 안필립(安必立)
- 이필모(李必模): 배우이자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에 블링블링 해피뉴이어라는 가명으로 참가했던 출연자다.
- 이필옥(李必玉)
- 최필달(崔必達)
- 카노야 힛슈(鹿屋 必修)
5.3. 창작물
5.4. 기타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心(마음 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