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模 본뜰 모 |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木, 11획 | 총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5획 |
| 고등학교 | |||
| - | |||
| 일본어 음독 | モ, ボ | ||
| 일본어 훈독 | かた, のっと-る | ||
| - | |||
| 표준 중국어 | mó, mú | ||
1. 개요
模는 '본뜰 모'라는 한자로, '본뜨다', '모양(模樣)', '모호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본뜨다 |
| 음 | 모 | |
| 중국어 | 표준어 | mó, mú |
| 광동어 | mou4 | |
| 객가어 | mù | |
| 민동어 | muò[文] / mè̤[白] | |
| 민남어 | bô͘ | |
| 오어 | mu (T3) | |
| 일본어 | 음독 | モ, ボ |
| 훈독 | かた, かたぎ, かたど-る, のっと-る | |
| 베트남어 | mô | |
유니코드에는 U+6A2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廿日大(DTA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木(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莫(없을 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HSK 4급한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는 '모형, 방식, 템플릿, 모방하다, 모델'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모형, 거푸집'이라는 뜻일 때에는 mú로 발음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모한(高模翰)
- 구병모(具竝模)
- 김건모(金健模)
- 김성모(金城模)
- 더☆모케이다 무벤베(ザ☆模型田 ムベンベ)
- 리근모(李根模)
- 모코야마 츠요시(模糊山 剛)
- 박준모(朴埈模)
- 박충모(朴忠模)
- 사가미(相模)
- 성굉모(成宏模)
- 성윤모(成允模): 관료
- 신성모(申性模)
- 신좌모(申佐模)
- 안재모(安在模)
- 양용모(梁龍模)
- 양정모(梁正模): 1921년생
- 양준모(梁俊模): 모델
- 정한모(鄭漢模)
- 제춘모(諸春模)
- 조성모(曺誠模)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蟆(두꺼비 마, 파리매 막)
- 𩌧(가죽신 막)
- 嗼(고요할 막)
- 縸(그물친모양 막)
- 𦟦(꺼풀 막)
- 膜(꺼풀/막 막)
- 漠/𥕓(넓을 막)
- 䮬(말이름 막)
- 𪍤(밀기울 막)
- 㷬(불타는모양 막)
- 暯(어둘 막)
- 幙(장막 막)[4]
- 𣩎(죽어쓸쓸할 막)
- 饃(찐빵 막, 떡 마)
- 鏌(칼이름 막)
- 塻(티끌 막)
- 瞙(흐릴 막)
- 𥡸(말먹이 말)[5]
- 𡻟(빽빽한모양 맥)
- 貘(짐승이름 맥)
- 獏(개이름 모)
- 謨(꾀 모)
- 摸(더듬을 모)
- 𨢢(맛좋은음료 모)
- 糢(모호할 모)
- 嫫(추녀 모)
- 慔(힘쓸 모)
- 𪏟(막)
- 𪝡
- 𧷸
- 𩐻
- 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