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17 14:55:57

본뜰 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11획
총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5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モ, ボ
일본어 훈독
かた, のっと-る
-
표준 중국어
mó, mú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模는 '본뜰 모'라는 한자로, '본뜨다', '모양(模樣)', '모호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fff,#1c1d1f>본뜨다
중국어 표준어 mó, mú
광동어 mou4
객가어
민동어 muò[文] / mè̤[白]
민남어 bô͘
오어 mu (T3)
일본어 음독 モ, ボ
훈독 かた, かたぎ, かたど-る, のっと-る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6A2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木廿日大(DTAK)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소리를 나타내는 (없을 막)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HSK 4급한자이다. 현대중국어에서는 '모형, 방식, 템플릿, 모방하다, 모델'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모형, 거푸집'이라는 뜻일 때에는 mú로 발음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모양
    • (모양 모)
    • (모양 상)
    • 姿(모양 자)
    • (모양 양)
    • (얼굴 용)
    • (모습 태)
    • (모양 형)
  • 본뜨다
    • (본뜰 방)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文] 문독[白] 백독[3] (모양 모)를 써서 貌樣으로 쓰기도 한다.[4] (장막 막)의 동자[5] (말먹이 말)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