容 얼굴 용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宀,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0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ヨウ | ||||||
일본어 훈독 | い-れる, かたち, ゆる-す | ||||||
- | |||||||
표준 중국어 | r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容은 '얼굴 용'이라는 한자로, '얼굴', '모양', '받아들이다', '넣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얼굴 |
음 | 용 | |
중국어 | 표준어 | róng |
광동어 | jung4 | |
객가어 | yùng | |
민동어 | ṳ̀ng | |
민남어 | iông | |
오어 | hhion (T3) | |
일본어 | 음독 | ヨウ |
훈독 | い-れる, かたち, た, ゆる-す | |
베트남어 | dung |
유니코드에는 U+5BB9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JCOR(十金人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宀(집 면)과 소리를 나타내는 公(공변될 공)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현재의 자형은 公이 변형되어 宀 + 谷(골 곡)의 형태를 하고 있다. 원래는 '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였으나, 이후 의미가 파생되어 '포용하다', '얼굴' 등의 뜻도 가지게 되었다.
항렬에 많이 쓰이는 글자 중 하나이다.
중국에서는 穴 부수에 속해 있다.
3. 용례
3.1. 단어
- 용공(容共)
- 용납(容納)
- 용량(容量)
- 용모(容貌)
- 용서(容恕)
- 용의자(容疑者)
- 용이(容易)
- 용인(容認)
- 용적(容積)
- 용태(容態)
- 용훼(容喙)
- 관용(寬容)
- 내용(內容)
- 미용(美容)
- 수용(受容/愁容/羞容/瘦容)
- 수용(收容)
- 의용(儀容)
- 포용(包容)
- 허용(許容)
- 형용(形容)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권락용(權樂容)
- 김용만(金容萬)
- 김용선(金容仙)
- 김용식(金容植): 축구인
- 김용의(金容儀)
- 나용균(羅容均)
- 마츠다이라 카타모리(松平 容保)
- 모용(慕容)씨 인물 전부
- 박성용(朴聖容)
- 박용하(朴容夏)
- 부찰 용음(富察 容音)
- 염용석(廉容錫)
- 이용규(李容圭)
- 장용준(張容准)
- 처용(處容)
- 조용필(趙容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