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18:38:38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준4급

준4급 한자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국한자능력검정시험/배정한자
{{{#!wiki style="margin:-8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파일:logoHomeSc-removebg-preview (1).png '''''' }}}
급수별 배정한자
8급
50字
7급Ⅱ
100字
7급
150字
6급Ⅱ
225字
6급
300字
5급Ⅱ
400字
5급
500字
4급Ⅱ
750字
4급
1,000字
3급Ⅱ
1,500字
3급
1,817字
2급
2,355字
1급
3,500字
특급Ⅱ
4,650字
특급
5,978字
어문회에서 안내하는 준특급 배정한자 4,918字는
완성형중복 한자 268字를 중복 집계한 잘못된 수치임.
문제 유형
[ 펼치기 · 접기 ]

1. 개요2. 목록
2.1. ㄱ2.2. ㄷ2.3. ㄹ2.4. ㅁ2.5. ㅂ2.6. ㅅ2.7. ㅇ2.8. ㅈ2.9. ㅊ2.10. ㅋ2.11. ㅌ2.12. ㅍ2.13. ㅎ
3. 총합

1. 개요

한국어문회 배정 한자를 기준으로 준4급에 추가되는 한자 목록이다.
쓰기한자는 준5급까지 포함된다. 이 때부터 획순이 빡센 한자들이 많아진다.
이 레벨까지는 초등학생 수험생 비율이 높다. 초등학생 수준에서 만만한 시험은 절대 아니지만 한자에 관심이 많은 학생이라면 도전해볼만 하다고 생각된다. 성인이 이 시험을 치러 온다면 십중팔구는 준3급 취득의 전초전이다.
  • 독음 뒤에 ':'이 붙으면 무조건 장음, ''(:)'이 붙으면 경우에 따라 장음과 단음이 혼용되는 한자다. 고급 한자가 포함된 경우 볼드로, 굳이 외울 필요가 없는 경우 취소선으로 처리하였다.

2. 목록

2.1.

거짓 가: 거리 가(:)[1] 덜 감: 볼 감 욀 강:
편안 강 낱 개(:)[2] 검사할 검: 깨끗할 결 이지러질 결
지경 경 지날/글 경 깨우칠 경: 경사 경: 맬 계:
연고 고(:)[3] 벼슬 관 구할 구 글귀 구 연구할 구
집 궁 권세 권 다할/극진할 극 금할 금: 그릇 기
일어날 기
ㄱ: 26자

ㄴ: 4자

2.2.

끊을 단: 홑 단 박달나무 단 끝 단 통달할 달
멜 담 무리 당 띠 대(:)[4] 무리 대 인도할 도
독 독 감독할 독 구리 동 말 두[5] 콩 두
얻을 득 등 등
ㄷ: 17자

2.3.

벌릴 라 두 량: 고울 려 이을 련 벌릴 렬
기록할 록 논할 론 머무를 류 법칙 률
ㄹ: 9자

2.4.

滿 찰 만(:)[6] 줄기 맥 터럭 모 칠 목 힘쓸 무:
호반 무 아닐 미(:)[7] 맛 미: 빽빽할 밀
ㅁ: 9자

2.5.

넓을 박 막을 방 방 방 찾을 방: 절 배:
등 배: 나눌/짝 배: 벌할 벌 칠 벌 벽 벽
가 변 지킬 보(:)[8] 걸음 보: 갚을/알릴 보(:)[9] 보배 보:
회복할 복 | 다시 부:[10] 마을 부(:)[11] 부자 부: 버금 부: 며느리 부
부처 불 날 비 갖출 비: 아닐 비(:) 슬플 비:
가난할 빈
ㅂ: 26자

2.6.

절 사[12] 스승 사 사례할 사: 집 사 죽일 살 | 감할/빠를 쇄:[13]
항상 상 상 상 생각 상: 형상 상 | 문서 장:[14] 베풀 설
정성 성 소리 성 성할 성: 성인 성: 재 성
별 성 형세 세: 세금 세: 가늘 세: 웃음 소:
쓸 소(:)[15] 본디/흴 소(:)[16] 이을 속 풍속 속 보낼 송:
닦을 수 받을 수(:)[17] 지킬 수 줄 수 거둘 수
순수할 순 이을 승 시 시 시험 시(:)[18] 볼 시:
베풀 시: 이/옳을 시: 쉴 식 납 신 깊을 심
ㅅ: 40자

2.7.

눈 안: 어두울 암: 누를 압 진 액 양 양
남을 여 같을 여 거스릴 역 연기 연 갈 연:
펼 연: 영화 영 재주 예: 그르칠 오: 구슬 옥
갈 왕: 노래 요 얼굴 용 둥글 원 인원 원
지킬 위 하/할 위(:)[19] 고기 육 은혜 은 그늘 음
응할 응: 의논할 의(:)[20] 옳을 의: 옮길 이 더할 익
도장 인 끌 인 알 인
ㅇ: 33자

2.8.

장수 장(:)[21] 막을 장 낮을 저: 대적할 적 밭 전
끊을 절 이을 접 정사 정 한도/길 정 정할 정
건널 제: 끌 제 절제할 제: 지을 제: 덜 제
즈음/가 제: 제사 제: 새 조 도울 조: 이를 조:
지을 조: 높을 존 마루 종 달릴 주 대 죽
준할 준: 무리 중: 더할 증 뜻 지 가리킬 지
지탱할 지 이를 지 직분 직 나아갈 진: 참 진
ㅈ: 35자

2.9.

버금 차 살필 찰 비롯할 창: 곳 처: 청할 청
다 총: 총 총 쌓을 축 모을 축 충성 충
벌레 충 가질 취: 헤아릴 측 다스릴 치 둘 치:
이 치 침노할 침
ㅊ: 17자

2.10.

쾌할 쾌
ㅋ: 1자

2.11.

모습 태: 거느릴 통: 退 물러날 퇴:
ㅌ: 3자

2.12.

물결 파 깨뜨릴 파: 대포 포: 쌀 포(:)[22] 베/펼 포(:) | 보시 보:[23]
사나울 폭 | 모질 포:[24] 표 표 풍년 풍[25]
ㅍ: 8자

2.13.

한할 한: 배 항: 항구 항: 풀 해: 시골 향
향기 향 빌 허 시험 험: 어질 현 피 혈
화할 협 은혜 혜: 좋을 호: 집 호: 도울 호:
부를 호 재물 화: 굳을 확 돌아올 회 마실 흡
일 흥(:)[26] 바랄 희
ㅎ: 22자

3. 총합

250자
[1] 街道(가:도), 街頭(가:두) 빼고 다 단음이다.[2] 個體(개:체) 같이 자립명사는 대부분 장음이지만 個人(개인)은 예외이다. 個當(개당)처럼 의존명사는 단음이다.[3] 故鄕(고향) 빼고 다 장음이다. '故로' 도 단음 처리되지만 문제엔 한자어로만 구성된 것만 나오니 전자만 기억해두자.[4] 帶狀(대상), 帶率(대솔) 빼고 대개 장음이다.[5] 두산(斗山), 김두한(金斗漢), 전두환(全斗煥), 북두칠성(北斗七星)에 이 한자를 쓴다.[6] 만 나이, 滿洲, 滿干, 滿期, 滿了, 滿滿, 滿腹, 滿朔, 滿살窓, 滿水, 滿員, 滿願, 滿點, 滿足, 滿幅, 滿喫, 滿溢, 滿艦食, 滿瑚臺, 滿瑚杯는 단음이고, 滿場, 滿面, 滿堂 등은 장음이다... 장음이 더 흔치 않은 쪽이므로 장단음을 외우려 한다면 예외로 장음만 외우는 쪽이 낫다.[7] 未安(미안)빼고 다 장음이다.[8] 보증서는거와 관련 되면 단음, 나머지는 장음이다.[9] '알리다'라는 뜻이면 단음이다.[10] '부'만 장음이다.[부:활\], 復[부:흥\][11] 여기에서 마을은 관청()이라는 뜻이다. (마을 서)도 같다. 府君(부:군), 府制(부:제)만 장음이다.[12] '내시 시'라는 독음도 있다.[13] '쇄'음 만 장음이다. 대표적으로 殺[쇄:도\][14] '장'음만 장음이다.[15] 掃除(소:제), 掃地(소:지), 掃天表(소:천표)만 장음이다.[16] 성씨나 꾸밈없다는 뜻, , 벼슬 이름, 책이름, 단위와 관련되면 장음, '본디'의 뜻이 담기면 단음이다.[17] 受苦(수:고)만 장음이다.[18] 試合(시합), 試驗(시험)빼고 장음이다.[19] '~를 위해'라는 뜻만 장음이다.[20] 議政府(의:정부)만 장음이나,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지명이든 한국사 중 기관명이든 단음으로 표기되어 있다.[21] 장수, 장군의 뜻은 將軍(장군)빼고 장음이고 나머지는 성씨를 포함해 단음이다.[22] 包絡, 包裝, 包藏, 包紙, 包皮, 包含, 包背裝, 包子, 包藏禍心, 包懷, 包匣, 包囊, 包袋, 包涵는 단음, 包攝, 包容, 包圍, 包有, 包領, 包莖, 包裹, 包括은 장음이다.[23] '베'의 뜻이면 단음, 벌인다는 뜻은 장음이다.[24] '포'음만 장음이다.[25] 본래는 (예도 례)의 옛 글자이다. 豊의 본자 은 특급에 속해 있다.[26] 즐거운 감정이라는 의미와 興亡(흥:망)만 장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