掃 쓸 소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手, 8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고등학교 | 준4급 | ||||||
掃[1] | |||||||
일본어 음독 | ソウ | ||||||
일본어 훈독 | は-く, はら-う | ||||||
扫 | |||||||
표준 중국어 | sǎo, sào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掃는 '쓸 소'라는 한자로, '(빗자루로) 쓸다', '소탕(掃蕩)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쓸다 |
음 | 소 | |
중국어 | 표준어 | sǎo, sào[2] |
광동어 | sou3 | |
객가어 | so | |
민동어 | suā[文] / sáu[白] | |
민남어 | sò[文] / sàu[白] | |
오어 | sau (T2) | |
일본어 | 음독 | ソウ |
훈독 | は-く, はら-う | |
베트남어 | tảo |
유니코드에는 U+638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QSMB(手尸一月)로 입력한다.
手(손 수)와 帚(비 추)가 합쳐진 회의자로, 손으로 빗자루를 들고 쓰는 모습에서 '쓸다'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특이하게도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이면서도, 두 발음 사이에 의미차이가 없다. 즉 중고음 상에서 상성(上聲)으로 발음하든 거성(去聲)으로 발음하든 똑같이 '쓸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에서는 '사라질 소'(消)와 의미가 유사하면서도 발음이 같아 두 개로 모두 쓰이는 한자어가 많다. '일소'(一掃/一消), '소거'(掃去/消去), '소멸'(掃滅/消滅) 등. 다만 '쓸 소'는 '쓸다'라는 의미 특성상 능동적으로 없애는 것에만 쓸 수 있고, 저절로 사라지는 것에는 쓸 수 없어서 의미 폭이 좀 더 좁다. 그런 이유에서인지 보통 '消'가 쓰인 한자어가 더 많이 쓰인다. 일본어/중국어로 '消'는 개음 [j]가 남아있어 각각 しょう/xiāo이기에 掃와는 발음이 다르다.
3. 용례
3.1. 단어
- 소거(掃去)
- 소제(掃除) : 한국어로는 '청소'를 더 자주 쓰지만 일본어에서는 掃除(そうじ)가 꽤 자주 쓰인다. 한국어 사전에도 일단 '소제'가 실려는 있다.
- 소탕(掃蕩)
- 소해(掃海)
- 일소(一掃)
- 청소(淸掃)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𢱥[⿰扌⿱帚又](U+22C65)
5. 유의자
- 蕩(쓸어버릴 탕)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歸/㱕/𨺔[⿰阜帚]/𨺜[⿰⻖帚]/𡚖[⿰⿱𠂤大帚]/𨓼[⿰⿱彡止帚](돌아갈 귀)
- 婦(며느리 부)
- 𪂋[⿰鳥帚](뱁새 부)
- 𧌈[⿰虫帚](쥐며느리 부)
- 𠴵[⿰口帚](많은새의소리 소)
- 𨧪[⿰金帚](쇳가루 소)
- 埽(쓸 소)
- 㫶(밝을 주)
- 鯞(쏘가리 추)
- 㴆(잠길 침)[7]
- 𥇳[⿰目帚](귀)
- 㷌(부)
- 𢅜[⿰帚帚](사)
- 𡹙[⿰山帚]
- 𢃞[⿰巾帚]
- 𭘺[⿰益帚]
- 𫃲[⿰糸帚]
- 𬖥[⿰米帚]
- 𱞨[⿰忄帚]
- 𰯳[⿰臣帚]
- 𱀠[⿰𠂤帚]
- 𲉕[⿰⿱㠯廾帚]