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5:27:32

바다 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7획
총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0획
중학교
[1]
일본어 음독
カイ
일본어 훈독
うみ
-
표준 중국어
hǎi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2. 상세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4. 용례
4.1. 단어, 고사성어4.2. 인명4.3. 지명
4.3.1. 시설, 기관명
4.4. 고유명사4.5. 캐릭터명, 작품명 등
4.5.1. 작품명4.5.2. 캐릭터명
4.6. 기타
5. 유의자6. 상대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海는 '바다 해'라는 한자로, '바다'를 뜻한다.

2. 상세

한자 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fff,#1c1d1f>바다
중세훈 바닿
중세음 ᄒᆡ
중국어 표준어 hǎi
광동어 hoi2
객가어 hói
민북어 huǒi
민동어 hāi
민남어 hái
오어 he (T2)
일본어 음독 カイ
훈독 うみ, わた
베트남어 hải
유니코드에는 U+6F22에 배당되어 있고,[2] 창힐수입법으로는 水廿中人(ETLO)으로, 주음부호로는 ㄏㄢˋ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매양 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한자이다. 바다와 관련된 단어에 이 글자가 일반적으로 쓰이며, 인명·지명 등의 고유 명사에도 많이 쓰인다.

일본어 고유 명사에 쓰일 때는 かい, うみ뿐만 아니라 み 등으로 읽기도 한다. うな나 わた로도 읽는데 따로 사전에서 낱말로 실려 있지 않고 그저 다른 낱말에 붙어서만 나온다.

옛 문헌에서는 바다란 뜻이 아니라 아주 먼 곳이란 뜻으로도 쓰이는데 그래서 海가 나올 적에 이걸 곧이곧대로 바다로 해석하지 말고 먼 곳이라고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춘추좌씨전에 실린 예문으로 여기 나온 北海와 南海는 북해남해로 해석할 게 아니라 원북(遠北)과 원남(遠南)으로 해석해야 한다. 해외라든가 반의어지만 잘 안 쓰이는 해내도 바다라기보다 먼 곳이란 뜻에 더 가깝다.

파일:小臣𧫻簋 海.svg

이 글씨는 상나라에서는 안 나왔고 서주에서 처음 나온 글씨인데 이것이 상나라와 주나라가 바다를 인지하지 못한 것의 증거인지는 알 수 없다.

3. 언어·지역별 자형 차이

파일:attachment/u6D77.png
(G: 중국, T: 대만, J: 일본어, K: 한국어, V: 베트남어)

보다시피 일본어에서는 삼수변 오른쪽 "매양 매" 부분이 每가 아니라 毎이다. 즉 일본어에서는 水부 6획, 총 9획이다.

4. 용례

4.1. 단어, 고사성어

4.2. 인명

4.3. 지명

4.3.1. 시설, 기관명

4.4. 고유명사

4.5. 캐릭터명, 작품명 등

4.5.1. 작품명

4.5.2. 캐릭터명

4.6. 기타

5. 유의자

  • (바다 명)
  • (큰바다 양)
  • (바다 영)

6. 상대자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매양 매)의 아랫부분이 (어미 모)가 아닌 (말 무)이다.[2] 汉은 U+6C49, 신자체 漢은 따로 유니코드가 없다.[3] (이랑 무/묘)의 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