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대륙 | ||||
亞 | 歐 | 阿 | 美 · 米 | 濠 · 澳 | |
아시아 | 유럽(구라파) |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오스트레일리아 |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中 · 漢 唐[1] | 華 · 臺 · 台 | 日 和[2] | |
남한(한국) | 북한(조선) | 중국 | 중화민국(대만)[3]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몽고) | 미국 | 영국 | 캐나다(가나다) | 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불란서) | 독일 | 오스트리아(오지리) | 이탈리아(이태리) | 네덜란드(화란)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尼 | |
스페인(서반아) | 포르투갈(포도아) | 러시아(노서아·아라사) | 인도 | 인도네시아(인니) | |
末 · 馬 · 馬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비율빈) | 베트남(월남) | 이집트(애급)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파란) | 아일랜드(애란) | 덴마크(정말) | 스웨덴(서전) | 노르웨이(나위·낙위) | |
希 | 芬 | 南阿共 | 白 | 匈 | |
그리스(희랍) | 핀란드(분란) | 남아프리카공화국 | 벨기에(백이의) | 헝가리(흉아리) | |
瑞西 | 土 | ||||
스위스(서서) | 튀르키예(토이기) | ||||
사라진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 고구려 · 고려 | 백제 | 신라 | 조선 | |
蘇 | 普 | 倭 | 琉 | ||
소련 | 프로이센 | 왜 | 류큐 | ||
지명 | |||||
亞太 | 滿 | 加州 | 羅城 | 桑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 캘리포니아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琉 | |||||
류큐 |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 || 加 더할 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力,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くわ-える, くわ-わる | ||||||
- | |||||||
표준 중국어 | jiā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더할 가(加) 가하다,더하다, 들어가다, 보태다, 미치다 등을 뜻하는 한자다.1.1. 상세
유니코드는 U+52A0에 배당되었다.力(힘 력)과 口(입 구)가 합한 회의자로, 嘉와 관련된다. 힘을 쓰는 것을 입으로 장려한다, 또는 입으로 악기를 불어 힘을 다해 칭찬하는 것으로 해석해 본의는 '예찬'으로 추측한다. 금문에는 口 대신 龠(피리 약)이 들어간 이체자도 있다. 여기에서 '무고하다', '더하다' 등의 뜻이 도출되었다.
2. 용례
2.1. 단어
- 가감(加減)
- 가공(加工)
- 가맹(加盟)
- 가비의 리(加比-理)
- 가산(加算)
- 가속(加速)
- 가수분해(加水分解)
- 가습기(加濕器)
- 가압(加壓)
- 가열(加熱)
- 가입(加入)
- 가중(加重)
- 가학(加虐)
- 가해(加害)
- 가호(加號/加護)
- 배가(倍加)
- 증가(增加)
- 참가(參加)
- 첨가(添加)
2.2. 고사성어/숙어
- 가상존호(加上尊號)
- 난상가란(卵上加卵)
- 납속가자(納粟加資)
- 노기상가(怒氣相加)
- 문불가점(文不加點)
- 삼밀가지(三密加持)
- 설상가상(雪上加霜)
- 설상가설(雪上加雪)
- 세가월증(歲加月增)
- 악언상가(惡言相加)
- 인상가서(印上加書)
- 일가월증(日加月增)
- 자행가지(自行加持)
- 주마가편(走馬加鞭)
2.3. 인명
2.4. 지명
- 가리왕산(加里旺山)
- 가지산(加智山)
- 경기도 가평군(加平郡)
- 경기도 이천시 모가면(暮加面)
- 경기도 포천시 가산면(加山面)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加北面)과 가조면(加祖面)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加山洞)
-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加陽洞)
- 충청북도 충주시 금가면(金加面)
- 가주(加州): 캘리포니아주의 한자식 음역.
- 가나다(加那陀): 캐나다의 한자 음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