理 다스릴 리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玉, 7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1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リ | ||||||
일본어 훈독 | おさ-める, ことわり, すじ | ||||||
- | |||||||
표준 중국어 | l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理는 '다스릴 리'라는 한자로, '다스리다'를 뜻한다.2. 상세
좌측의 玉(구슬옥)이 형부(形符)로 부수를 이루고 里(마을 리)가 성부(聲符)를 이루는 형성자이다. 옥을 가공할 때 옥의 결을 따라 다루지 않으면 안되므로 옥을 결대로 다스린다는 것이 본래의 뜻이다. 설문해자에서는 '옥을 다스리는 것(治玉也)'이라 하였다.'다스리다'외에도 '까닭'이나 '이치'를 나타내는 한자이기도 한다.
이세계어입문의 리팔라인어를 나타내는 한자이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 계리사(計理士)
- 관리(管理)
- 공리(公理)
- 교리(敎理)
- 궁리(窮理)
- 논리(論理)
- 대리(代理)
- 도리(道理)
- 무리(無理)
- 물리(物理)
- 배리(背理)
- 법리(法理)
- 변리사(辨理士)
- 병리(病理)
- 비리(非理)
- 사리(事理)
- 생리(生理)
- 성리학(性理學)
- 수리(修理/數理)
- 순리(順理)
- 심리(心理/審理)
- 약리학(藥理學)
- 요리(料理)
- 원리(原理)
- 윤리(倫理)
- 의리(義理)
- 이공계(理工系)
- 이과(理科)
- 이념(理念)
- 이론(理論)
- 이발(理髮)
- 이사(理事)
- 이상(理想)
- 이성(理性)
- 이유(理由)
- 이해(理解)
- 일리(一理)
- 이치(理致)
- 절리(節理)
- 정리(整理/定理)
- 조리(條理/調理)
- 지리(地理)
- 진리(眞理)
- 처리(處理)
- 총리(總理)
- 추리(推理)
- 합리(合理)
3.2. 고사성어/숙어
- 거경궁리(居敬窮理)
- 만불근리(萬不近理)
- 무리난제(無理難題)
- 비익연리(比翼連理)
- 사리명백(事理明白)
- 성쇠지리(盛衰之理)
- 영음찰리(聆音察理)
- 이기합일(理氣合一)
- 이로정연(理路整然)
- 이상향(理想鄕)
- 이판사판(理判事判)
- 흑백논리(黑白論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