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26 20:32:59

가릴 선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2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중학교
[1]
일본어 음독
セン
일본어 훈독
えら-ぶ, え-る, すぐ-る, よ-る
표준 중국어
xuǎ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모양 및 기원4. 약자5. 용례6. 유의자7. 모양이 비슷한 한자8. 여담

[clearfix]

1. 개요

選은 '가릴 선'이라는 한자로, '가려내다', '뽑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가리다
중국어 표준어 xuǎn
광동어 syun2
객가어 sién
민북어 sṳ̌ing
민동어 sōng
민남어 soán
오어 xi (T2)
일본어 음독 セン
훈독 えら-ぶ, え-る, すぐ-る, よ-る
베트남어 tuyển

유니코드에는 U+9078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山金(YRUC)으로, 주음부호로는 ㄒㄩㄢˇ로 입력한다.

3. 모양 및 기원

책받침()으로 (부드러울 손)을 받친 모양을 하고 있는 형성자이다.

간체자에서는 选으로 바뀌었는데, 巽과 같지만 더 간단한 형태를 띤 (먼저 선)을 소리글자로 채택한 듯하다.

신자체는 이다. 신자체 변화 규칙에 의해 책받침(⻍)의 점 두 개를 한개로(⻌) 고쳐졌고, 구성요소 (뱀 사) 부분이 (자기 기)로 바뀌었다. [2] 결과적으로 1획이 줄어 15획이 되었다.

4. 약자

한국에선 選을 약자로 () 또는 파일:⿺辶⿱並八.svg(⿺辶⿱並八)로 쓰기도 한다. ()는 원래 '달아날 병'이라는 별개의 글자이지만, 한국에선 選(가릴 선)의 약자로 쓰고 있다.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비망록에 迸任이라고 흘려 쓴 메모를 남겼는데, 이를 한때 逆任(역임)이라고 해석했었으나, 서울대 성낙인 총장이 選任(선임)이라고 해명했다. 기사 다른 이체자인 파일:⿺辶⿱並八.svg(⿺辶⿱並八) 역시 일본과 중국에선 거의 찾아볼 수 없다.(사용례1, 사용례2)

일본에서는 選의 대용한자로 (지을 찬)을 쓰기도 한다. 新選組/新撰組 두 표기로 적히는 신센구미가 대표적이다.

5. 용례

민주주의 체제는 공직자를 투표로 뽑는 제도이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이 글자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졌다. 아래 용례의 대다수는 선거 관련 표현이다.

5.1. 단어

5.2. 고사성어/숙어

5.3. 인명

5.4. 지명

5.5. 창작물

6. 유의자

  • (가릴 간)
  • (가릴 률)
  • (뽑을 발)
  • (가릴 택)
  • (베낄 초/뽑을 초)

7. 모양이 비슷한 한자

8. 여담

  • 훈이 '가리다'인 한자들 중 의미가 다른 것들이 있다. (가릴 간), 選(가릴 선), (가릴 택)은 '선택하다, 가려내다'라는 의미이며, (가릴 엄), (가릴 차)는 '차단하다'라는 뜻의 '가리다'를 뜻한다.
  •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비망록에 迸任이라고 흘려 쓴 메모를 남겼는데, 이를 한때 逆任(역임)이라고 해석했었으나, 서울대 성낙인 총장이 選任(선임)이라고 해명했다. 기사

[1] 위 두개의 (뱀 사) 부분이 (몸 기)의 형태이며, (책받침)의 점이 2개가 아닌 1개이다.[2] 참고로 㔾(병부 절)도 같은 규칙에 의해 己로 바꾼다. 하지만 이 두 구성자는 방(旁)에 올 경우엔 변화시키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