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18:52:55

두 재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サイ, (サ)
일본어 훈독
ふたた-び
-
표준 중국어
zài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再는 '두 재'라는 한자로, '둘', '다시' 등을 뜻한다.[1]

2. 상세

파일:dujae.gif
再의 획순
파일:dujae2.jpg
再의 자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두, 다시
중국어 표준어 zài
광동어 zoi3
감어 zai4
객가어 chai
진어 zai3
민북어 cuo̿i
민동어 cái
민남어 chài
오어 tse (T1)
상어 zai4
일본어 음독 サイ, (サ)
훈독 ふたた-び
베트남어 tái

유니코드는 U+518D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GB(一土月)로 입력한다. 주음부호로는 ㄗㄞˋ로 입력한다.

冓(짤 구)의 아랫부분인 나아갈 염(冉)과 (한 일)로 이루어져 있다.

冉은 나무토막을 위로 쌓아놓은 모습인데, 그것 위에 하나씩(一) 더 얹어놓는다는 데서 '다시', '거듭'을 뜻한다.

이 한자의 훈은 '둘'이지만 2라는 뜻으로는 거의 (두 이)가 쓰이고 再는 주로 '다시'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또한 어떤 단어 앞에 붙어서 그것을 다시 한다는 의미를 나타낼 수도 있다. (예:재활용, 재시험 등) 이때는 영어의 re와 용례가 거의 같다.[2] 그래서 再는 '다시 재'라는 훈음으로 불리기도 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다시 갱, 고칠 경)
  • (두 량)
  • (다시 복)
  • (회복할 복, 다시 부)
  • (또 역)
  • (또 우)
  • /(두 이)
  • (또 차)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클 보)
  • (구레나룻 염)
  • (나아갈 염)
  • (풀 우거질 염)
  • 𥬕(대약한모양 염)
  • (들 칭)

[1] 그래서 '다시 재'라고도 한다.[2] 이로 인해 re가 접두사로 붙는 단어들의 역어는 대부분 재로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