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4:43:46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문어조사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어조사'가 들어간 한자 명칭
, 㞐, 䢎, , 䢋, 凥, 㝒(어조사 기) · (어조사 내) · (어조사 랍/라) · (어조사 륵) · (어조사 리) · 嘛, 嚰, 㕰(어조사 마) · 唦(어조사 사) · (어조사 아) · , (어조사 야) · 喲(감탄하는 어조사 약) · , 扵 (어조사 어) · (어조사 여) · (어조사 완) · , 亏, 亐(어조사 우) · (어조사 월) · (어조사 의) · , 㢤, 䢎, 䢋, 㦲(어조사 재) · (어조사 저) · , 㞢(어조사 지) · (어조사 형) · , (어조사 혜) · , 虖(어조사 호)
그 외
, 卻, 㕁(물리칠 각) · , , 㐰(낱 개) · , 亓(그 기) · (몸 기) · (머리 두) · 唻(노래하는 소리 래) · 咧(새소리 렬) · (마칠 료) · (애오라지 료) · (시끄러울 루) · , 麼, 么, 尛(작을 마) · 丕, 㔻(클 비) · , 恖(생각 사) · 些, 㱔(적을 사) · ·(죽일 살) · 胥, 縃(서로 서) · (사랑할 아) · (같을 약/반야 야) · (그런가 야) · (줄 여) · 殹(앓는 소리 예) · 繇, 䌛(역사 요) · (이를 운) · 攸(바 유) · (생각할 유) · (오직 유) · (있을 유) · , 肀(붓 율) · 憖, 憗(억지로 은) · 猗(불깐 개 의) · , 尒, 尔, 厼(너 이) · , (아들 자) · (공경스러울 저) · 聻(부적 적) · 㫋, 旃, 旜(기 전) · 軹(굴대 끝 지) · , 祗(다만 지) · , 恉, 㫖, 㫑(뜻 지) · (알 지) · (가질 취) · (거짓 탄/낳을 탄) · (아이 다툴 파) · (허락할 허) · (쉴 휴) · (일 흥) }}}}}}}}}
갈 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丿,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この, これ, の, ゆ-く
-
표준 중국어
zh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파일:之획순.gif
획순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之는 '갈 지'라는 한자로, '가다'라는 뜻을 가진다. 그 외에 3인칭 지시 대명사[1], 어조사[2] 등의 의미가 있다. 주로 한국어 조사 ''에 대응하는 속격 어조사로 많이 쓰였는데, 현대에는 흔히 쓰이지는 않으며[3] 문어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중국 남북조시대에 인명으로 흔히 쓰이던 한자이기도 했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갈
중국어 표준어 zhī
광동어 zi1
객가어 chṳ̂
민동어
민남어 chi
오어 tsr (T1)
일본어 음독
훈독 この, これ, , ゆ-く
베트남어 chi

유니코드에는 U+4E4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戈弓人(INO)으로 입력한다.

갑골문 상에서는 발을 나타내는 (그칠 지)자 밑에 가로선 하나()가 그어져 있는 모습인 로 나타난다. 가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로 볼 수 있고, 止에 一을 하나 그은 지사자로도 볼 수 있다.

본래 뜻은 '가다'이지만 후에 이 글자는 문법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글자로 훨씬 더 많이 쓰인다. 상용하는 之 자의 용법은 주로 다음과 같다.

  • 동사: 가다

    • 之南之北。

        남쪽으로 갔다가 북쪽으로 가는 둥 갈팡질팡하다.

      孟子之平陸。

        맹자가 제나라의 고을인 평륙으로 가다.

  • 3인칭 목적격 대사(代詞): 그것을, 그 사람을

    • 子貢問曰:“孔文子何以謂之文也。”

        자공이 물었다. "공문자는 어째서 그의 시호를 문(文)이라고 합니까?"

      佰牛有疾,子問之。自牖執其手,曰:“亡之,命矣夫!”
      백우에게 병이 있어 공자가 그에게 문병을 갔다. 창문을 통해 그의 손을 잡고 말했다. "그를 잃었구나, 천명이로구나!"

  • 서술어 표지: 뜻이 없고, 단지 앞의 글자가 서술어임을 나타냄

    • 左之右之。

        왼쪽으로 했다가 오른쪽으로 하는 둥 제 마음대로 한다.

      手之舞,足之蹈
      손은 춤추고 발은 뛴다.

  • 근칭 지시 대사: '이', '이렇게', '이러한' 등등

    • 之二蟲又何知。

        이 두 벌레가 또 무엇을 알겠는가?

      之子于歸,宜其室家。

        그 아가씨가 시집 가니, 그 집안이 화목하도다.


  • 조사: 조사의 뜻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1) 앞의 말은 뒤의 체언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의, ~하는.

    • 漁夫之利

        어부의 이익

      黃巢之亂

        황소의 난

      十分之一
  • (2) 뒤의 형용사는 앞의 체언을 꾸미는 역할을 한다. ~한.

    • 蚓無爪牙之利,筋骨之强。

        지렁이에게는 예리한 손톱이나 어금니도 없고, 강한 근골도 없다.
  • (3) 목적어와 서술어가 도치된 문장에서, 목적어와 서술어 사이에 들어가는 표지이다.

    • 何罪之有。

        무슨 죄가 있습니까?

      德之不修、學之不講、聞義不能徒、不善不能改,是吾憂也。

        덖을 닦지 않는 것, 배움을 추구하지 않는 것, 의로운 일을 듣고 못 따르는 것, 잘못을 못 고치는 것, 이게 내 근심이다.
  • (4) 주어와 서술어 사이에 들어가 그 절(節)이 다른 더 큰 문장의 일부분임을 표시한다.

    • 人性之善也,猶水就下也

        사람의 선함은 물이 아래로 내려가는 것 같다.

      說之,故言之;言不足,故長言之;長言不足,故嗟嘆之;嗟嘆不足,故不知手舞之足蹈之也。

        즐거워서 말을 하고, 말로도 부족하면 길게 말하고, 길게 말해도 부족하면 탄식하고, 탄식해도 부족하면 손이 춤추고 발이 뛰는 것을 모른다.
  • 네 글자로 된 한자어에 이 글자가 나온다면 대부분 세번째에 위치한다. ABC 같이 표현된다.

止자와 기원이 같다 보니 어떤 글자 내에 자나 자가 들어가 있을 경우 之로 뭉개 쓰는 경우도 흔하며, 이런 예는 비교적 오래된 문헌이나 건축물 등에서 많이 발견된다. 이 뭉개 쓰는 형태에서 히라가나 し와 가타카나 シ가 유래되었으며, 뭉개쓰는 형태 중에는 じ(心에서 맨 왼쪽 점이 빠진 것)도 있다.

일본 사자성어에서는 之를 뜻이 같은 조사 の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아무래도 '~의'의 뜻으로 쓰이는 한자이니 사자성어에 쓰임새가 많으며, 특히 셋째 글자로 자주 등장한다.

3.3. 인명

3.4. 지명

3.5. 기타

  • 갈지자를 그리다
    갈 지 자를 쓸 때 좌우로 왔다갔다 하는 필순에서 착안한 말로, 이리저리 비틀거리며 걷는다는 뜻의 관용 표현이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어떤 일에 대해 방향성 없이 갈팡질팡한다는 의미로도 쓰인다.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새 을)
  • (모자랄 핍)

[1] '그것'[2] '~의', 아무 의미 없이 말이 끊어지지 않았음을 표시하는 용법(而와 비슷하다.) 등[3] 현대 중국어에서는 소유격, 관형격 조사를 통합해 모두 '과녁 적' () 자를 쓴다. 한국어에서도 '물리적인', '화학적인' 같은 관형격 단어를 사용할 때 그 '적' 이라는 접미사가 바로 과녁 적 자다.[4] [math(\dfrac1{10})][5] 무협물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로, 무협물에선 "십분'지'일"이라고 읽는다.[6] 양수교지(兩手交之)가 변한 말이다.[7] 새발의 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