空 빌 공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穴,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クウ | ||||||
일본어 훈독 | そら, あ-く, あ-ける, から, あな, うつ-ける, うつ-ろ, うろ, す-く, むな-しい | ||||||
- | |||||||
표준 중국어 | kōng, kò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空은 '빌 공'이라는 한자로, '비다', '하늘'을 뜻한다.2. 설명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비다 | |
음 | 공 | ||
중국어 | 표준어 | kōng | <colbgcolor=#fff,#1f2023>kòng |
광동어 | hung1 | hung1 | |
객가어 | khûng | khung | |
민북어 | kó̤ng | ko̤̿ng | |
민동어 | kŭng[文] / kĕ̤ng[白] | kóng[文] / káe̤ng[白] | |
민남어 | khong[文] / khang[白] | khòng[文] / khàng[白] | |
오어 | khon (T1) | khon (T2) | |
일본어 | 음독 | クウ | |
훈독 | そら, あ-く, あ-ける, から, あな, うつ-ける, うつ-ろ, うろ, す-く, むな-しい | ||
베트남어 | không | khống |
유니코드 상에는 U+7A7A에 배정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CM(十金一)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穴(구멍 혈)과 음을 나타내는 工을 합쳐서 만들어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구멍'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지만 이후 '비어 있다', '공간' 등의 뜻도 가지게 되었다. 또 이 글자에는 '하늘'이라는 뜻도 있는데, 옛 사람들은 하늘을 텅 빈 공간이라고 봤기 때문. 대표적인 예로 공항이나 공군이 있고, 그래서 항공자위대의 약자가 항자대가 아니라 공자대인 것. 일본어에서는 하늘을 뜻하는 단어 소라(そら)를 空으로 쓴다. 한국과 중국에서 하늘을 가리켜 자주 쓰이는 한자인 天은 훈독으로 あめ로 읽는데 이는 일본에선 고어가 아닌 이상 잘 안 쓰인다. 일본 신화 쪽에서 あめ를 많이 볼 수 있다.
이 글자는 중국어(특히 표준중국어)에서는 다음자(多音字)이다. '비어 있는 공간', '시간적 여유', '비우다'와 같은 의미를 가질 때는 거성(去聲, 표준중국어의 경우 4성)으로, 나머지 대다수의 경우는 평성(平聲, 표준중국어의 경우 1성)으로 읽는다.
한국에서는 과거에 宀+八+工의 형태로 썼지만, 요즘에는 다른 穴부수의 한자처럼 宀+儿+工의 형태로 쓴다.
0의 의미도 있다.
베트남어에서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거나 0이라는 뜻의 không을 쯔놈으로 표기하면 空이다.
3. 용례
3.1. 단어
- 가공(架空)
- 공간(空間)
- 공강(空講)
- 공군(空軍)
- 공극(空隙)
- 공기(空氣/空器)
- 공백(空白)
- 공복(空服)
- 공상(空想)
- 공석(空席)
- 공수(空輸)
- 공습(空襲)
- 공중(空中)
- 공차회송(空車回送)
- 공책(空冊)
- 공포(空砲/空包)
- 공허(空虛)
- 공항(空港)
- 대공(對空)
- 도심공동화(都心空洞化)
- 방공(防空)
- 시공(時空)
- 양공(陽空)
- 영공(領空)
- 육해공(陸海空)
- 진공(眞空)
- 창공(蒼空)
- 항공(航空)
- 허공(虛空)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𩣼(걷는모양 강)
- 啌(기침 강, 꾸짖을 항)
- 𩩝(미골 강)
- 腔/𤟄(속빌 강)
- 𧱡(속이빌 강)
- 椌(악기이름 강)
- 羫(양갈빗대 강)
- 㾤(인후병 강)
- 𢈵(텅빈골짜기모양 강)
- 𡲀(구멍 경)
- 埪(감실 공)
- 箜(공후 공)
- 𦁈(긴실 공)
- 躻(꾸짖을 공)
- 㸜/𤗇(담뚫을 공)
- 控(당길 공)
- 𧌆(매미허물 공)
- 涳(물곧게흐를 공)
- 䅝(볏짚 공)
- 𪔣(북소리 공)
- 𡹝(산높은모양 공)
- 崆(산높은모양 공/강)
- 鵼(새이름 공)
- 𧚬/𢃐(소매 공)
- 硿(약석이름 공)
- 倥(어리석을 공)
- 鞚(재갈 공)
- 悾(정성 공)
- 𢽦(칠 공)
- 㲁(칠 공, 다죽일 종)
- 𦱇(풀이름 공)
- 𩭴(흐트러진모양 공)
- 𤀢(없을 무)[10]
- 曌/瞾(비칠 조)[11]
- 聜(귀어두울 질)
- 𪍂(보리 혹)
- 谾(골휑할 홍, 골깊을 롱)
- 䆪(불모양 홍)
- 焢(화기 홍)
- 𣫝(강)
- 𠓯
- 𪥔
- 𣈞
- 𥨨
- 𥧪
- 𫁎
- 𫁔
- 𧸵
- 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