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타이토의 1986년작 런앤건 게임}}}에 대한 내용은 [[육해공 최전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육해공 최전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육해공 최전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타이토의 1986년작 런앤건 게임: }}}[[육해공 최전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육해공 최전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육해공 최전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陸海空 / land, sea and air땅과 바다와 하늘을 가리키는 말. 일반적으로 군대를 구성하는 3대 군종인 육군과 해군과 공군의 앞 글자를 묶어서 부르는 표현이다.
'육해공'의 순서는 역사적 등장 순서와도 같다. 육군이야 인간이 직립보행을 시작하고 문명이 만들어지기 전 석기시대부터 존재해 왔고, 해군은 선박과 문명이 탄생한 뒤에 정규군 편성이 시작되었으며, 공군이 등장한 건 겨우 100년 정도에 불과하다. 3군 참모총장의 의전 서열 역시 육해공의 순서를 따른다.
육군, 해군, 공군이 함께 수행하는 작전을 육해공 합동작전이라고 한다.[1]
2. 육해공 외
3. 비유적 의미
- 전 방향적인 활동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쓰이기도 한다. 가령 육해공을 넘나드는 OOO의 활동! 같은 표현이 있다.
- 대한민국 영토, 영해, 영공에서 한꺼번에 인명사고가 터질 경우 육해공에서 대형사고가 났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1993년 김영삼 정부 시절 일어난 구포역 무궁화호 열차 전복 사고(육), 서해훼리호 침몰 사고(해), 아시아나항공 733편 추락 사고(공)를 묶어서 1993년 육해공 대형 사고라고 부르며 문민정부 시절 사고 공화국 소리를 듣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됐다.
- 종종 육상동물 고기(소고기, 돼지고기 등) / 해산물(생선 등) / 조류 고기(닭고기, 오리고기 등)를 먹는 것을 육해공이라고 부르곤 한다. 비슷한 뜻에서 공은 빼고 산에서 나는 식재와 바다에서 나는 식재를 모아 산해진미라고 한다. 가령 CU에서 백종원 이름을 걸고 육(간장불고기)/해(주꾸미볶음)/공(닭갈비) 삼각김밥 시리즈를 런칭한 바 있다.
4. 창작물에서
육, 해, 공의 개수가 딱 적당한 숫자인 3개이기도 하고, 땅과 바다와 하늘 각 영역을 담당한다는 균형잡힌 상징성 덕분에 대중매체에서 자주 차용되는 개념이다. 육해공이라는 개념을 직접 담지 않아도 땅/물/바람 등의 속성의 개념으로 등장하기도 하고, 특촬물이나 변신로봇물에서 변신폼 or 합체폼으로 세가지가 구현되기도 한다.일단 절대다수의 창작물에서 주인공은 땅을 밟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보통 땅(=육) 쪽이 주인공 포지션이 된다.
- 가면라이더 시리즈
-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 리쿠 트라이온(육), 우미 트라이온(해), 소라 트라이온(공)[3]
- 건담 시리즈 우주세기 - 육전형 건담(육), 수중형 건담(해), GT-FOUR(공)
- 강철전기 C21과 코즈믹 브레이크 - K 논나(육), A 미랄(해), F 류르(공)
- 겟타로보 - 겟타 2(육), 겟타 3(해), 겟타 1(공)
- 그리스 로마 신화 - 하데스(육), 포세이돈(해), 제우스(공)[4]
- 기갑함대 다이라가XV - 리쿠 라가(육), 카이 라가(해), 쿠우 라가(공)
- 닌자고 - 콜(육), 쟌, 니야(해), 카이, 제이, 로이드(공)
- 닌자전사 토비카게 - 흑사자(육), 폭룡(해), 봉뢰응(공)
- 네오카씬 - 터보카씬(육), 샤크카씬(해), 에어카씬(공)
- 도시/지하도시(육), 해저도시/해상도시(해), 공중도시/우주 거주구(공)
- 드래곤 퀘스트 다이의 대모험의 용기중 - 육전기 라하르트, 해전기 보라혼, 공전기 가루단디
- 디지캐럿 - 블랙 게마게마단 - 리쿠 하이젠베르크(육), 카이 슈바이처(해), 쿠우 에어하르트(공)
- 러브 라이브! - 코사카 호노카(육), 소노다 우미(해), 미나미 코토리(공)
- 록맨 클래식 시리즈 - 러시 코일(육), 러시 마린(해), 러시 제트(공)
- 마동왕 그랑조트 - 그랑조트(육), 아쿠아비트(해), 윈저트(공)
- 마리오 시리즈 - 키노피오(육), 요시(해), 헤이호(공)
- 마법기사 레이어스 - 시도우 히카루/염신 레이어스(육), 류자키 우미/해신 세레스(해), 호우오우지 후/공신 윈덤(공)
- 모탈 컴뱃 - 리우 캉(육), 서브제로(해), 라이덴(모탈 컴뱃)(공)
- 몬스터 헌터 3G - 브라키디오스(육), 라기아크루스(아종)(해), 리오레우스(아종)(공)
- 미국 애니메이션의 고양이 캐릭터들 대표 먹잇감 쥐(육), 금붕어(해), 새(공)[5]
- 미니언즈 - 스튜어드(육), 케빈(해), 밥(공)
- 바벨 2세 - 로뎀(육), 포세이돈(해), 로프로스(공)
- 붕괴: 스타레일[6] - 테라복스(육), 히실렌스(해), 히아킨(공)
- 별의 커비 시리즈 - 릭(육), 카인(해), 쿠우(공)
- 뽀롱뽀롱 뽀로로 - 크롱, 에디(육), 포비, 루피, 패티(해), 뽀로로, 해리(공)
- 샤이닝스타 - 양송이(육), 윤시아(해), 채나라(공)
- 슈퍼전대 시리즈
- 태양전대 선발칸 - 발 팬서(육), 발 샤크(해), 발 이글(공)
- 초수전대 라이브맨 - 옐로 라이온(육), 블루 돌핀(해), 레드 팔콘(공)
- 인풍전대 허리케인저 - 허리케인 옐로(육), 허리케인 블루(해), 허리케인 레드(공)
- 수권전대 게키레인저의 삼권마 - 대지의 권마 마크(육), 바다의 권마 라게크(해), 하늘의 권마 카타(공)
- 염신전대 고온저의 만기족 가이아크 3대신 - 요고슈타인(육), 케가레시아((해), 키타네이더스(공)
- 천장전대 고세이저[7]
- 랜딕족(육) - 아그리, 모네
- 시익족(해) - 하이드, 마지스
- 스카익족(공) - 아라타, 에리
- 악의 조직 - 우주학멸군단 워스타(공), 지구희옥집단 유마수(육), 기계어오제국 마트린티스(해), 라비린델(육해공)[8]
- 동물전대 쥬오우저
- 쥬오우킹 - 큐브 라이온(육), 큐브 샤크(해), 큐브 이글(공)
- 레드의 변신모드 - 쥬오우 고릴라(육), 쥬오우 웨일(해), 쥬오우 이글(공)
- 염라대왕(육), 용왕(해), 옥황상제(공)
- 우주대제 갓시그마 - 육진왕(육), 해명왕(해), 공뢰왕(공)
- 우주삼총사 - 제이크 록웰(육), 맥스 레이(해), 에이스 맥클라우드(공)
- 육상방위대 마오 - 오니가와라 마오 & 미 군(육), 마루야마 실비아 & 나쨩(해), 츠키시마 미소라 & 하야테(공)
- 육해공 최전선 - 타이토의 1986년작 런앤건 게임. 말 그대로 주인공이 맨몸으로도 싸우고 탱크(육), 전함(해), 헬기(공)도 타는 등 육해공을 넘나들며 전투를 벌인다.
- 일본의 요괴 - 오니(육), 캇파(해), 텐구(공)
- 킹덤하츠 시리즈 - 리쿠(육), 카이리(해), 소라(공)
- 킹덤 하츠 Birth by Sleep - 테라(육), 아쿠아(해), 벤투스(공)
- 쥬라기 공원(프랜차이즈)
- 파이널 판타지 7의 웨폰 - 다이아몬드 웨폰(육), 사파이어 웨폰(해), 알테마 웨폰(공)[9]
- 포켓몬스터의 타입 - 땅 타입(육), 물 타입(해), 비행 타입(공)
- 포켓몬스터 - 그란돈(육), 가이오가(해), 레쿠자(공)[10]
- 현실주의 용사의 왕국 재건기의 엘프리덴 3공 - 게오르그 카마인(육), 엑셀 월터(해), 카스토르 바르가스(공)
- 환상마 - 유니콘(육), 켈피(해), 페가수스(공)
- 히브리 전설 - 베헤모스(육), 리바이어던(해), 지즈(공)[11]
- Grand Theft Auto V - 프랭클린 클린턴(육), 마이클 드 산타(해), 트레버 필립스(공)
[1] 다른 국가와 같이 다국적군으로서 작전을 하는 것을 연합, 같은 국가 내에서 군종 별로 협조하여 작전을 수행하는 것을 합동이라고 한다.[2] 다른 가면라이더 시리즈에 비해 육해공 성격이 제일 강하다.[3] 리쿠(陸), 우미(海), 소라(空)는 일본어로 각각 육, 해, 공이다.[4] 하데스의 경우, 정확히는 지하세계(저승).[5] 당장 톰과 제리만 해도 고양이 톰이 쥐 제리는 물론이고, 금붕어, 새(카나리아, 새끼오리, 딱다구리 등)까지 잡아먹으려는 에피소드가 존재하며 가필드에서도 가필드가 새를 사냥하려는 에피소드가 있다.[6] 황금의 후예이자 기둥의 티탄의 권능을 이어 받은 반신들이다.[7] 다른 전대들에 비해 육해공 성격이 제일 강하다. 그에 걸맞게 악의 조직들도 육해공 컨셉으로 3개나 등장하며, 최종보스인 구성주의 브라지라는 육해공의 힘을 전부 사용한다.(원래는 공에만 해당되었으나 나중에 다른 둘도 추가된 것.)[8] 다크 헤더 3마리가 각각 하늘, 땅, 바다의 3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수령인 브라지라는 아예 3가지를 모두 다룰 수 있다.[9] 루비, 에메랄드 웨폰은 숨겨진 보스이므로 제외.[10] 모티브가 바로아래의 히브리 전설의 괴수들이다.[11] 하늘을 상징하는 지즈의 비중이 성경에서의 언급이 굉장히 적은 편이고 히브리 신화에서만 주로 등장하기에 대중의 인지도가 둘에 비해 처참한 신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