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크롱|{{{#!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닉네임이 크롱인 프로게이머}}}에 대한 내용은 [[남기철]]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기철#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남기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닉네임이 크롱인 프로게이머: }}}[[남기철]]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기철#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남기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등장인물 | |||
뽀뽀&삐삐 | 통통이 | ||
기타 등장인물 |
<colcolor=#fff> 크롱 Crong|クロン | |
| |
현재 모습(3기 이후) | |
| |
1~2기 시절의 모습 | |
<colbgcolor=#77d37e> 거주지 | 뽀롱뽀롱 마을 |
성별 | 남성 |
동거 | 뽀로로 |
상징색 | 연두색, 초록색, 빨간색[1] |
종족 | 공룡[2] |
별명 | 응가 대장, 귀염둥이, 말썽꾸러기, 낙서왕 |
성우 |
이미자[3][4]
카네다 토모코(후지 테레비), 나바타메 히토미(디즈니 주니어)
Tunde Skovran(1기~4기 전반[5], NEW 1기)Gillie Robic(뽀로로와 노래해요 구버전)[6] Grace Johnson(똑똑박사 에디)[7] Jacqueline Youn(뽀로로와 노래해요 NEW 1기)[8] Bob Edwards(뽀로로의 대모험) Weebz Herrera[9] Lexi Song[10] |
1. 개요
크롱! 크롱!
뽀요요!
뽀로로를 부를 때
뽀로로를 부를 때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의 서브 주인공.[11] 뽀로로와 같이 사는 아기 공룡이다.[12]
2. 특징
태어난 직후 뽀로로가 생각한 모습 | |
| |
1기[13] | New 1기[14] |
2.1. 성격
애답게 욕심도 많고 사리분별을 못해서 자주 싸움이 벌어지곤 하는데, 생각해 보면 아기니까 당연할지도 모른다. 특히 뽀로로와는 같이 살다 보니 왕창 싸우지만 그래도 뽀로로와는 가장 친하게 지낸다. 뽀로로 외에는 에디, 해리랑도 가끔씩 싸운다. 괜히 뽀로로와 같이 사는 것이 아니다.루피처럼 친구들 중 우는 일이 많은 편이다. 1기 때는 루피가 크롱보다 더 많이 울었지만 3기 이후로는 크롱이 더 많이 우는 편이다.
귀차니즘이 심하다. 특히 청소하는 것과 씻는 것을 상당히 귀찮아한다. 물론 그럴 때마다 뽀로로한테 혼나고 억지로라도 한다.
2.2. 언어장애?
크롱이 "크롱 크롱!"이라고만 말만 하고 말을 잘 못 하는 이유는 언어 장애가 아니라 아직 어려서 옹알이를 하는 것이다. 크롱은 이제 막 알에서 깨어난 아기 공룡이다.특히 2기에서 가장 말을 많이 했다. 그 이후로는 다시 말을 하는 모습을 보기 힘들어졌다. 후반에 들어 어설프지만 조금씩 말을 하기 시작한다. 시즌 2 17화 '크롱이 말을 했어요!' 편부터. 사실 그 전에 시즌 2 5화 '공룡이 나타났어요!'편에서도 한 번 말을 하긴 했다. "공룡?" 이라고. 단, 영어교육 목적의 스핀오프 프로그램인 뽀로로의 잉글리시 쇼를 보면 전 캐릭에 영어전담 성우가 있는데, 크롱만 영어 전담 성우가 없다. 특히 "뽀로로, 너!". 라고 말하는 것이 귀엽다. 2기 17화에서 말한 대사인데, 이때는 "뽀로로"라고 제대로 발음을 했다.[16]
해리에게 "고마워, 해리." 라고 말하거나 패티에게 "해도 돼?"라고 묻기도 했다. 또한 '뽀로로가 아파요' 회차에선 "크로로, 어디 아파?(뽀로로, 어디 아파?)", "기다려! (물을 가져오며) 물!", "많이, 아파?" 라는 말도 했다. '케잌 한 조각' 회차에선 "포비 집 가자" 라고 하기도 했다. 하지만 4기에서 "추워!" 라고 말하거나 7기에서 "구리구리 통통통! 구리구리 통통통!"라고 말하기까지 했다. 8기에서는 아주 조금씩 말을 한다.
뽀로로와 노래해요에서는 노래 부를때 말을 한다. 똑똑박사 에디에서도 말을 한다. 크롱크롱이라고 말해도 친구들은 알아먹는지, 통역을 해준다.
이러한 설정을 모르는 창작자들 입장에서는 언어장애로 밖에 보이지 않기 때문인지, 2차 창작물에서는 거의 언어장애인으로 설정된다. 일례로 네이버 웹툰에서 도전만화로 연재되었던 뽀로로를 의인화하여 그린 '노는 게 제일 좋아'가 꽤 유명한데, 여기서 크롱은 작중 최고 미남으로 의인화 되었고, 성격도 원작과 다르게 시니컬하다. 문제는 크롱크롱만 남발하는 언어장애인이다(...).
말을 못하고 "크롱 크롱"이라고만 말하기 때문에 대본에는 죄다 "크롱 크롱"만 있을 것 같지만, 뽀로로의 성우인 이선이 말하길 크롱 대본에는 "크롱 크롱!" 이라고 써있고 밑에 괄호가 있는데 그 안에 크롱이 하고 싶은 말이 써 있다고 한다. #
2.3. 낙서 대장
벽과 바닥에 낙서하는 것을 좋아한다. 심지어 몇번은 뽀로로의 배와 얼굴에도 낙서했다. 그래서 맨날 뽀로로에게 혼나며 특히 2기에서 이와 관련된 에피소드가 많다. 그런데 걸레질 한 번에 지워진다. 6기 12화 '우리들의 놀이터'편에서는 뽀로로네집 바닥, 루피네 집 앞에 있는 루피의 이불, 에디네 집 칠판에 낙서하여 뽀로로, 루피, 에디에게 혼나기도 하였다.아이러니하게도, 정작 2기 오프닝에서는 반대로 뽀로로가 크롱의 얼굴에 낙서해서 크롱이 화내며 쫓아갔다. 게다가 크롱뿐만 아니라 에디, 포비, 해리한테도 낙서를 했다. 기껏 본인이 수습해서 지운 걸 반대로 뽀로로가 더럽히는 웃지못할 상황도 벌어졌다.
아무데나 낙서하는 것과는 별개로 그림 실력이 뛰어난 편이다. 6기 12화 '우리들의 놀이터' 편에서 놀이터에 그려진 벽화가 크롱이 그린 것인데 친구들이 잘 그렸다고 칭찬해준다.
2.4. 그 외
요리치다. 본작의 패티가 워낙 요리치 캐릭터로 유명한데다가 크롱이 요리를 한 적은 손에 꼽을 정도로 적어서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일단 1기에서 친구들과 파티를 할 때 고춧가루와 소금을 잔뜩 넣은 주스를 대접했으며, 7기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뽀로로가 패티가 만든 케이크를 먹고는 크롱이 만들어도 이것보단 낫겠다며 둘을 동시에 디스하였다(...). 이 말은 즉슨 적어도 요리를 못하면서 자꾸 도전하는 패티보다는 낫다는 거지 크롱이 요리를 잘 한다는 소리는 아니다. 결국 열이 오른 패티가 크롱과 케이크 대결을 펼치게 되는데 결과는 망했어요.
그나마 맛은 끔찍해도 케이크의 비주얼이라도 좋은 패티와는 달리 크롱의 케이크는 무슨 다 터진 화산같은 외형에 사탕을 장식한 괴악한 비주얼이다. 뽀로로는 뭔 케이크가 이렇게 생겼냐면서, 맛을 보려다가 크롱의 요리 실력을 자각하고 "안돼! 뽀로로!"라며 본능적으로 거부한다. 그리고 에디의 회상에선 에디에게 빵을 대접했었는데 까맣게 태워먹은 빵이라 에디가 비명을 지르며 뛰쳐나간 것은 덤이다.
간간이 불을 뿜기도 한다. 뽀로로의 대모험에서도 한 번 나오는데, 초코레또 백작에게 잡혔을 때 제대로 한 번 뿜어서 초코레또에게 화상에 가까운 피해를 주고 도망쳤다. 결국 초코레또는 크롱이 뿜은 불을 식히기 위해 우유 속에 다이빙한다. 영화 초반부부터 친구들이 크리스마스 트리에 쓸 나무를 벨 때 크롱이 연기를 뱉어내기 시작했는데, 뽀로로와 친구들은 크롱이 감기에 걸렸다고 생각했지만 아니었던 것이다. 이후에도 크롱은 매운걸 먹거나 하면 불을 뿜는 편이다.
2기 3화에서 친구들과 바다에 들어갈 때 혼자만 튜브를 낀 걸로 봐서는 옛날에는 수영을 못했던 걸로 보인다.
3. 작중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롱/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크롱/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대인 관계
뽀로로: 함께 사는 동거인이자 베스트 프렌드. 가끔 말썽 때문에 뽀로로의 속을 썩이지만 그래도 뽀로로를 형처럼 여기며 잘 따른다. 또한 소중한 친구이기에 뽀로로한테 무슨 일이 생기면 크게 걱정하며, 한 번은 뽀로로가 너무 멀리 헤엄쳐서 크게 오열한 적이 있었다.
에디: 접점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에디도 크롱처럼 뽀로로랑 자주 싸우고 성격이 비슷하다. 그러나 3기 7화에서 크롱과 로디가 에디의 자동차를 망가뜨려서 에디가 크롱과 로디에게 화를 내었고, 5기 12화에서는 크롱이 에디의 헬리콥터를 망가뜨려서 에디가 크롱에게 화를 내었다. 3기 27화, 7기 23화에서 에디랑 2번 싸웠다.
루피: 뽀로로랑 같이 루피의 그림이나 요리를 망치거나 놀리는 행동으로 루피를 화나게 하는 경우가 많다. 3기 27화에서는 크롱과 에디가 루피의 인형 토토를 가지고 싸우다가 토토를 망가뜨렸고, 3기 31화에서는 크롱이 자신의 인형 토토의 모자를 잃어버린 줄 알고 오해해 크롱에게 화를 내었다가 사실이 아닌 게 밝혀져 크롱에게 사과를 하고 빵을 주었다. 4기 7화에서는 크롱이 자신의 집에 들어와 그림을 망쳐놓고 도망가서 화를 내었고[17], 6기 12화에서는 크롱이 빨래해놓은 이불에 낙서를 하자 화를내며 말렸고, 6기 13화에서는 뽀로로와 크롱이 자꾸 말썽을 피우자 둘에게 화를 내었다.
포비: 접점이 많지는 않지만 크롱의 장난을 이해해주고, 크롱의 책을 꺼내주거나 정리해주는 등 크롱을 많이 도와줘서 크롱이 고마워한다. 다만 4기 7화에서는 크롱이 자신의 집에 들어와 물건을 망가뜨려서 크롱에게 화를 내었다.
패티: 다른 친구들처럼 크롱을 귀여워하며, 칭찬도 자주하는 편이다. 다만 3기 13화에서 크롱이 패티에게 눈덩이를 던져서 화가난 패티가 크롱을 쫒아가자 포비의 중재로 멈추었고, 5기 8화에서는 상어와 수박으로 피해를 입을 뻔하자 크롱이 장난친줄 착각해 크롱에게 화를 내었다. 3기 9화에서는 뽀로로와 에디가 크롱과 로디에게 화를 내자 패티가 뽀로로와 에디를 말리기도 하였다. 4기 25화에서는 뽀로로와 크롱이 화해한 모습을 보고 반성하고[18], 루피와[19] 화해하였다. 친구들이 크롱에게 화를 내면 앞장서서 말리고, 크롱을 위로해준다.
해리: 같이 사는 포비와 다르게 잘 엮인다. 크롱이 뽀로로와 자주 싸우는 것처럼, 해리도 포비와 자주 싸운다. 그래서 크롱이 해리랑 같이 가출하지만 둘 다 장난기가 심해 마찰이 생겨서 자주 싸운다.
로디: 3기 7화에서 크롱이 뽀로로의 장난감을 뺏은 뒤 로디랑 둘이서 에디의 자동차를 망가뜨리기도 하였다. 5기 1화에서 에디와 크롱이 뽀로로와 로디에게 시합에서 자꾸 지고, 팀을 바꾸자 해도 안 바꾸자 화를 내며 하루 넘게 싸우기도 하였다. 이후 로디가 자신을 구해주자 로디에게 미안하다고 사과하며 화해하였다. 또한 크롱과 로디는 성우가 같기 때문에 둘이 대화하는 장면은 이미자 성우의 자문자답이다.[20]
5. 여담
- 4기 엔딩에서 묘사 된 장래희망은 슈퍼 영웅이다. 정작 하는 짓은 악동에 가깝지만.
NC 다이노스 No. 7 크롱 <colbgcolor=#315288><colcolor=#ffffff> 소속팀 NC 다이노스 (2014~2017) 포지션 좌익수
NC 다이노스에서 밀고 있는 스토리로 FA를 통해 NC가 크롱을 좌익수로 영입했다. NC 다이노스 입단식 그래서 등번호도 7번이다. NC 다이노스와 뽀롱뽀롱 뽀로로의 제작사인 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가 콜라보레이션을 체결하여 다이노스의 크롱 관련 상품을 만나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주말 마산 야구장 홈경기 중 '주니어 다이노스 데이' 한정으로 크롱의 응원을 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맞춰 NC 다이노스 선수들의 환영인사와 크롱의 시구가 있었다.
- 식품 업계에도 진출했는데, 베지밀로 유명한 정식품에서 2010년 12월에 출시한 바나나맛 두유팩에 뽀로로와 함께 인쇄되어 팔고 있다.
- 뽀로로 내의 인기 캐릭터로, 의외로 성인들에게도 인기가 좋다. 아이들을 돌보며 뽀로로를 같이 보다가 귀여워서 팬이 된 여성들이 많다.
- 사실상 마법 쓰는 마녀고 뭐고 성장하면 먼치킨이 되어서 친구들을 잡아먹는다는 말이 오간다. 그도 그럴 것이 귀여움을 상징하는 동물들[21]이 존재하는 뽀로로 세계다. 크롱도 아기인지라 정말 귀엽지만 적어도 약 5년만 지나면 그러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세계관 최강자로 꼽힌다.[22]
사실상 최강자 투톱 사람도 맹수도 찢는 포비vs불 뿜는 미친 공룡 크롱[23]
- 크롱처럼 말을 잘 못하는 캐릭터로는 이는 애코와 친구들에 나오는 디용 정도가 있다.[24] 주 시청층인 어린이들보다도 더 어린 아기, 동생을 대변하는 캐릭터로, 실제로 아이들이 가장 좋아한다.[25]
위에 두번째에 있는 귤색깔 썸네일이 창모 영상
유튜브에 말 안 듣게 생긴 크롱을 치면 창모가 나오기도 한다.[26]흥해라흥은 왜있지?
- 저글링을 잘 한다. 현재는 많이 나오지 않지만, 1, 2기 때만 해도 저글링하는 장면이 많이 나왔다. 같이 사는 뽀로로 역시 저글링을 잘 하는 편.
- 7기 18화에서 무려 15년만에 1~2기때 처럼 옷을 입지 않았다! #
- 2021년 5월 17일부터 "크크롱"이라는 이름으로 개인 인스타그램 계정을 개설하였다. 최근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를 패러디한 게시물이 여럿 업로드되어 크게 화제를 모아, 현재 팔로워 수가 무려 2만명을 넘게 되었다.
- 좋아하는 색은 본인의 피부색이 초록색, 연두색임에도 정작 초콜릿과 같은 갈색을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 2차 창작에서는 거의 뽀로로와 엮인다. 음흉하게 웃는 초창기 크롱의 모습에 "뽀로로를 덮칠거야. 씰룩대는 엉덩이가 요염하기 짝이 없어"라는 자막을 입힌 고전 짤방이 꽤 유명하다. 본편은 아니지만 극장판 뽀로로 극장판 슈퍼썰매 대모험에서는 비록 실수긴 하지만 키스(...)한 적도 있다... 물론 뽀로로의 부리 때문에 딱히 키스하는 것처럼 보이진 않지만, 쪼옥하는 효과음이 들어가 있고, 친구들이 태연하게 바라보는 것이 포인트.
- 가장 작은 해리를 제외하면 친구들 중 키가 해리 다음으로 작다.
[1] 빨간색은 3기 이후.[2] 일단 공식 설정은 공룡이 맞지만 정확히 무슨 종인지는 불명이며, 극장판 드래곤 캐슬 대모험에서는 아서에게 공룡도 아닌 악어 녀석이라는 멸칭으로 불리기도 했다.[3] 3~7기 한정으로 로디와 중복이지만, 톤이 달라서 같은 성우가 맡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크롱과 로디가 대화하는 장면은 성우의 자문자답이다.[4] 영어 더빙판에서도 이 성우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데, 5기에선 아예 이 성우의 음성을 그대로 썼고, 6기에선 아예 이 성우가 영어 목소리도 연기했다.[5] 시즌별로 음색이 다른 편이다.[6] 패티와 중복이며 이쪽은 영국인 성우이다.[7] 루피와 중복이다.[8] 패티와 중복이다. 타요의 씽씽극장에선 토토와 포코를 맡았으며 플라워링 하트에선 우수하를 맡았다.[9] 한영 성우 모두 로디와 중복이다.[10] 띠띠뽀 띠띠뽀에선 가니를 맡았다.[11] 크롱은 공식적으로 서브 주인공이 맞다. 공식 사이트 등에서 뽀로로 다음으로 소개되는 캐릭터가 크롱이며 뽀로로와 친구들의 단체샷에서 뽀로로, 패티와 함께 중앙을 차지하는 빈도가 높다. 특히, 크롱은 뽀로로와 같은 집에서 살고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뽀로로와 함께 나온다.[12] 외형은 공룡보다는 악어에 가깝고 공식적으로는 종을 언급하지도 않는다. 확실한 것은 수각류에 속한다는 것 뿐이다. '공룡이 나타났어요!' 편에서는 에디가 읽어준 공룡책 때문에(땅, 하늘, 바다에 공룡이 살고 있었는데 날씨가 추워져 공룡이 사라졌다는 내용) 좋아하는 쿠키도 먹지 않고 슬퍼했다. 이후 친구들이 이후 공룡 흉내를 내면서 크롱을 위로해 줬다. 참고로 뽀로로와 패티, 해리도 공룡이다. 새는 수각류 공룡의 일종이기 때문이다.[13] 이쪽은 2기 단역 드래곤과 비슷하다.사실 모델링 복붙 맞다[14] 전반적으로 원판보다 느낌이 상당히 부드려워졌다. 통통이와 비슷해 보일 텐데, 애초에 모델링이 거대한 모습인 통통이에다가 초록색으로 바꾼 모습이다.[15] 뽀로로는 알을 발견하고 후라이를 해먹으려고 했다.[16] 원래는 뽀로로를 "뽀요요"라고 발음하지만 이 회차에서는 뽀요요라고 안하고 뽀로로라고 했다. 또한 2기 22화에서도 뽀로로라고 제대로 발음한다.[17] 크롱을 제외한 모든 친구들이 낚시를 간 상황이었다.[18] 지붕에서 물이 새어 루피네 집에서 하룻밤을 머물렀으나 루피와 싸우고 루피집을 나와 뽀로로네 집으로 들어왔다. 뽀로로와 크롱이 패티가 루피네 집에 간걸 알고 있었는데 아마 에디와 로디가 뽀로로네 집으로 놀러온걸로 추정된다.[19] 루피도 패티를 찾으러 포비네 집으로 갔고, 포비와 해리가 서로 사과하고 화해한걸 보고 반성하여 패티와 화해하게 된다.[20] 3~7기 한정이며, 8기부터는 로디의 성우가 김은아로 바뀌었다.[21] 펭귄, 사막여우, 비버 등.[22] 굳이 따지자면 마법을 쓰는 용인 통통이가 최강이지만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생물이기 때문에 비교가 안되므로 제외.[23] 그런데 아직도 성장이 없는걸 봐선 소형종 공룡일 가능성이 있다. 그럼 알크기가 설명이 안되는데[24] 크롱과 디용이는 모두 자신의 이름을 말하면서 옹알이를 한다. 따라서 크롱은 "크롱 크롱~" 식으로, 디용이는 "디용 디용~" 식으로 옹알이를 한다.[25] 옆동네 자동차 애니메이션의 승합차도 아기 캐릭터지만 말을 잘한다.[26] 가운데에 있는 영상은 뭔가 이상한 뽀로로다.[27] 아마 종교적 중립을 위해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