爾 너 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爻,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ジ, ニ | ||
일본어 훈독 | そ-の, なんじ | ||
尔 | |||
표준 중국어 | ěr | ||
1. 개요
爾는 '너 이'라는 한자로, '너'[汝], '그'[其] 등의 뜻을 나타낸다. 한문에서는 爾로 '너', 특히 아랫사람을 칭할 때 많이 쓰이며, 승정원일기에서도 주로 임금이 신하를 가리킬 때 많이 쓰였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儞의 형태가 주로 쓰이며 간체자인 你의 형태로 굉장히 많이 쓰인다. 가장 많이 쓰는 글자 중 하나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다.昭儉, 列朝盛事。 爾若有意, 夫何難乎? 華美非吾好也。 從此宮中可以不高髻, 可以不廣袖, 又可以衣不曳地。 咨! 中外臣庶, 咸體此意, 俾民如影之惟形。
검약(儉約)을 나타내신 것은 열조(列朝)의 성대한 일이다. 네[1]가 뜻이 있으면 대저 무엇이 어려우랴? 화려한 것은 내(영조)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영조실록 127권
검약(儉約)을 나타내신 것은 열조(列朝)의 성대한 일이다. 네[1]가 뜻이 있으면 대저 무엇이 어려우랴? 화려한 것은 내(영조)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영조실록 127권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fff,#1c1d1f>너 |
음 | 이 | |
중국어 | 표준어 | ěr |
광동어 | ji5 | |
객가어 | ngì | |
민북어 | ě̤ | |
민동어 | ī | |
민남어 | nī | |
오어 | hher (T3) | |
일본어 | 음독 | ジ, ニ |
훈독 | しか, しか-く, そ-の, なんじ | |
베트남어 | nhi |
갑골문에 대한 해석이 분분한데, 예쁜 꽃의 모습을 본땄다거나 쇠뇌의 모습을 본땄다거나 고치를 치는 누에의 모습을 본땄다는 등 다양한 설이 있다.
한국에서는 별로 쓰이지 않는 글자이나, 한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
- '너'(2인칭 지시대사≒汝 등).
- '이'(근칭 지시대사≒此 등),[2] '그'(원칭 지시대사≒此 등)
- '~할 따름이다'(≒耳, 而已)
- '~하다', '~하게'(≒然)
또한 현대 중국어에서는 '-l', '-r' 따위의 유음 받침을 음역할 때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중국어 표기인 首爾(首尔). 한어병음으로 적으면 ěr이지만 앞의 음절과 결합할 때는 r만 적으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얼'이라고 적는다.
가타카나 ン 의 유래인 한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이만년(古爾萬年)
- 고이왕(古爾王)
- 이이첨(李爾瞻)
- 노이합적(努爾哈赤)
- 니노마에 이나니스(一伊那尓栖)
- 다이곤(多爾袞)
- 마이태 약희(马尔泰 若曦)
- 박이제길특(博爾濟吉特)
- 아이혜(阿爾兮)부인 - 나해 이사금의 딸
- 오자와 세이지(小澤 征爾)
- 우르사(爾姝)
- 이주영(爾朱榮)
- 이주조(爾朱兆)
- 후시구로 토우지(伏黒 甚爾)
- 후지나미 타츠미(藤波 辰爾)
3.4. 지명
몽골제국(원나라)부터 한국어 받침 ㄹ 같은 -r 음운을 음차(음역(번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카타르을 음역한 가탑이(卡塔爾, 한어병음: Kǎtǎ'ěr, 국어원 한글 표기: 카타얼)
- 중국 신강 위구르 자치구 파음곽릉 몽골 자치주 고이륵시(庫爾勒市, 한어병음: Kù'ěrlè Shì, 국어원 한글 표기: 쿠얼러 스) - 위구르어 지명 (아랍 문자: كورلا, 로마자: Korla) 및 오이라트 몽골어 지명인 코를(몽골 문자: ᠬᠣᠷᠣᠯ, 키릴 문자: Хорл, 로마자: Korla)를 음역
- 중국 내몽골자치구 통료시 과이심구(科爾沁區, 한어병음: Kē'ěrqìn Qū, 국어원 한글 표기: 커얼친 취) - 몽골어 지명인 코르친(몽골 문자: ᠬᠣᠷᠴᠢᠨ, 키릴 문자: Хорчин, 로마자: Qorčin)을 음역
- 중국 신강 위구르 자치구 박이탑랍 몽골 자치주(博爾塔拉蒙古自治州), 한어병음 :) - 오이라트 몽골어 지명
- 서울특별시를 음역한 수이(首爾, 한어병음: Shǒu'ěr, 국어원 한글 표기: 서우얼)
- 중국 신강 유오이 자치구(新疆維吾尔自治區, 한어병음: Xinjiang, 국어원 한글 표기: 신장 웨이우얼 쯔즈취)
- 중국 내몽골자치구 악이다사시(鄂爾多斯市, 한어병음: È'ěrduōsī Shì, 국어원 한글 표기: 어얼둬쓰 스) - 몽골어 지명인 오르도스를 음역
- 중국 흑룡강성 제제합이시(齊齊哈爾市, 한어병음: Qíqíhā'ěr Shì, 국어원 한글 표기: 치치하얼 스) - 만주어 지명 치치가르(만주 문자: ᠴᡳᠴᡳᡤᠠ, 로마자: Cicigar)를 음역
- 중국 흑룡강성 합이빈시(哈爾濱市, 한어병음: Hā'ěrbīn Shì, 국어원 한글 표기: 하얼빈 스) - 만주어 지명 하르빈(만주 문자: ᡥᠠᠠᠪᡳᠨ, 로마자: Harbin)/할빈(만주 문자: ᡥᠠᠯᠪᡳᠨ, 로마자: Halbin)을 음역
- 중국 내몽골자치구 호륜패이시 해랍이구(海拉爾區, 한어병음: Haila1'er3 Qu4, 국어원 한글 표기: 하이라얼 취) - 차하르 몽골어 지명 하일라르(몽골 문자: ᠬᠠᠶᠢᠯᠠᠷ, 키릴 문자: Хайлаар, 로마자: Qayilar)를 음역
- 중국 내몽골자치구 호륜패이시(呼倫貝爾市, 한어병음 Hūlúnbèi'ěr Shì, 국어원 한글 표기: 후룬베이얼 스)- 차하르 몽골어 지명인 훌룬 부이르(Хөлөн Буйр)를 음역
3.5. 창작물
- 이아(爾雅)
- 加爾基 精液 栗ノ花(락스 정액 밤꽃)
- 爾今の洋洋この蛍光にあり(이금의 양양 이 형광에 있으리)
- 연극 <爾>: 영화 <왕의 남자>의 원작이 되는 연극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