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5:36:29

너 이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4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ジ, ニ
일본어 훈독
そ-の, なんじ
표준 중국어
ěr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

爾는 '너 이'라는 한자로, '너'[汝], '그'[其] 등의 뜻을 나타낸다. 한문에서는 爾로 '너', 특히 아랫사람을 칭할 때 많이 쓰이며, 승정원일기에서도 주로 임금이 신하를 가리킬 때 많이 쓰였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의 형태가 주로 쓰이며 간체자인 你의 형태로 굉장히 많이 쓰인다. 가장 많이 쓰는 글자 중 하나라고 보아도 무리가 없다.
昭儉, 列朝盛事。 若有意, 夫何難乎? 華美非吾好也。 從此宮中可以不高髻, 可以不廣袖, 又可以衣不曳地。 咨! 中外臣庶, 咸體此意, 俾民如影之惟形。
검약(儉約)을 나타내신 것은 열조(列朝)의 성대한 일이다. [1]가 뜻이 있으면 대저 무엇이 어려우랴? 화려한 것은 내(영조)가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영조실록 127권

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fff,#1c1d1f>너
중국어 표준어 ěr
광동어 ji5
객가어 ngì
민북어 ě̤
민동어 ī
민남어 nī
오어 hher (T3)
일본어 음독 ジ, ニ
훈독 しか, しか-く,
そ-の, なんじ
베트남어 nhi
유니코드에는 U+723E에 배당되어 있고, 정체자는 창힐수입법으로는 一火月大(MFBK)로 입력하며, 간체자는 창힐수입법으로 弓火(NF)로 입력한다.

갑골문에 대한 해석이 분분한데, 예쁜 꽃의 모습을 본땄다거나 쇠뇌의 모습을 본땄다거나 고치를 치는 누에의 모습을 본땄다는 등 다양한 설이 있다.

한국에서는 별로 쓰이지 않는 글자이나, 한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
  • '너'(2인칭 지시대사≒汝 등).
  • '이'(근칭 지시대사≒此 등),[2] '그'(원칭 지시대사≒此 등)
  • '~할 따름이다'(≒耳, 而已)
  • '~하다', '~하게'(≒然)

또한 현대 중국어에서는 '-l', '-r' 따위의 유음 받침을 음역할 때 쓰이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서울의 중국어 표기인 首爾(首尔). 한어병음으로 적으면 ěr이지만 앞의 음절과 결합할 때는 r만 적으며,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얼'이라고 적는다.

가타카나 의 유래인 한자이기도 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몽골제국(원나라)부터 한국어 받침 ㄹ 같은 -r 음운을 음차(음역(번역))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3.5. 창작물

3.6. 기타


[1] 여기서 너는 당시의 홍문관 관원을 의미하며, 본문에는 승지(承旨)·옥당(玉堂)이라고 지칭하고 있다.[2] 본래 '자기의 입장에서 상대방을 지칭'하는 표현이었기에, 此와도 대응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