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23:00:03

원나라


[[몽골 제국|
파일:몽골 제국 국기.svg
몽골 제국 · 원나라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4DAE,#004DAE><colcolor=#FFF> 역사 카마그 몽골 | 몽골 제국 (원나라 · 오고타이 칸국 · 차가타이 칸국 · 킵차크 칸국 · 일 칸국 · 동방 3왕가) | 북원
정치 쿠릴타이 | (대칸 · 역대 대칸) | 역대 몽골 제국 대칸 · 역대 오고타이 칸국 칸 · 역대 원 황제 | 역참
외교 여몽 관계
사법 · 치안 몽골 제국군 (천호제 · 케식) | 법률
도성 · 궁궐 카라코룸 (에르덴 조 사원) | 대도 | 상도
경제 교초
문화 몽골어 | 몽골 문자 (파스파 문자) | 원조비사
인물 야율초재
사회 색목인 }}}}}}}}}
대원대몽골국
ᠳᠠᠢ ᠦᠨ ᠶᠡᠬᠡ ᠮᠣᠩᠭᠣᠯ ᠤᠯᠤᠰ
다이온 예케 몽골 울루스
Dai-ön Yeke Mongɣol Ulus
대원
大元 | Yuan Dynasty
Dà Yuán
파일:Yuen_Dynasty_1294_-_Goryeo_as_vassal.png
쿠빌라이 칸 치세 원의 최대 영역
1271. 12. 18.~1368. 9. 14.
(96년 8개월 27일)
성립 이전 멸망 이후
몽골 제국 북원
남송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271년 건국
1274, 1281년 일본 원정
1275 ~ 1295년 마르코 폴로, 원 체류
1276 ~ 1282년 시리기[1]의 난
1279년 남송 멸망, 천하 통일
1280년 곽수경, 수시력 편찬
1284 ~ 1287년 대월 원정
1285 ~ 1301년 카이두의 난
1287년 나얀의 난
1292 ~ 1293년 자바 (인도네시아) 원정
1307년 화림행성 설치
1310년 오고타이 칸국 해체
1314년 과거제 실시
1323년 남파의 변
1328년 양도전쟁
1329년 천력의 변, 문종 즉위
1351년 홍건적의 봉기 시작
1361년 홍건적의 난
1368년 혜종이 수도 대도에서 피난, 제국 멸망
1635년 링단 칸 사망 후 단절, 북원 멸망
}}}}}}}}}
지리
<colcolor=#fff> 위치 <colbgcolor=#fff,#191919>동아시아, 중앙아시아, 북아시아
수도 대도(칸발릭), 상도(새너두)[2] (1271 ~ 1388)
면적 11,000,000km² (1310년 기준)[3]
13,720,000km² (1330년 기준)
인문 환경
인구 약 9,000만명(1341년) 출처
민족 몽골족, 한족, 한민족, 후이족, 티베트족, 색목인, 여진족, 거란족, 탕구트족, 그 외에 피지배층 민족들
언어 중세 몽골어, 중세 중국어, 티베트어
문자 몽골 문자, 파스파 문자, 한자, 아랍 문자
종교 텡그리, 티베트 불교, 대승 불교, 유교, 도교(정일도, 정명도), 백련교, 이슬람, 경교
정치
정치 체제 봉건군주제
국가원수 대칸(ᠬᠠᠭᠠᠨ)(황제)
국성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
주요 대칸 세조 쿠빌라이,(1260~1294),
성종 테무르,(1294~1307),
인종 아유르바르바다,(1311~1320),
혜종 토곤테무르,(1333~1368),
기타
이칭
[ 펼치기 · 접기 ]
예케 몽골 울루스
([ruby(ᠶᠡᠬᠡ ᠮᠣᠩᠭᠣᠯ ᠦᠯᠦᠰ, ruby=yeqe mongɣul ulus)])
대원이라 불리는 예케 몽골 울루스
([ruby(ᠳᠠᠢ ᠦᠨ ᠺᠡᠮᠡᠺᠦ ᠶᠡᠬᠡ ᠮᠣᠩᠭᠣᠯ ᠦᠯᠦᠰ, ruby=dai ön qemeqü yeqe mongɣol ulus)])
대원 예케 몽골 울루스
([ruby(ᠳᠠᠢ ᠦᠨ ᠶᠡᠬᠡ ᠮᠣᠩᠭᠣᠯ ᠦᠯᠦᠰ, ruby=dai ön yeqe mongɣul ulus)])
대칸의 울루스
(ûlûs-i qânî, ûlûs-i qâ’ân)
황원
([ruby(皇元, ruby=huángyuán)])
원조
([ruby(元朝, ruby=yuáncháo)])
통화 교초(交鈔) 등
현재 영토
[ 펼치기 · 접기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몽골|{{{#!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몽골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몽골}}}{{{#!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북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북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북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얀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얀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얀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태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태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태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4]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부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부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부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인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인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인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5]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카자흐스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카자흐스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개요2. 국호3. 정체성4. 역사
4.1. 배경4.2. 쿠빌라이 칸: 건국4.3. 쿠빌라이의 후계자들4.4. 쇠락과 민란의 시작4.5. 홍건적의 난과 멸망
5. 정치6. 군사7. 경제
7.1. 토지 수탈7.2. 농업의 발전7.3. 목축업의 과도화7.4. 교초의 도입7.5. 세금 징수7.6. 상업과 무역의 발전
8. 사회
8.1. 철저한 신분제8.2. 한족에 대한 탄압
9. 종교
9.1. 이슬람의 유입
10. 행정11. 문화
11.1. 자유로운 사상의 발전11.2. 문학과 예술의 발달
12. 의복13. 황실
13.1. 역대 황제13.2. 계보도13.3. 추존 황제
14. 미디어에서15. 여담16. 둘러보기

1. 개요

1271년부터 1368년까지 97년간 몽골 제국중국 대륙(중원)을 지배한 시기를 말하며, 수도는 칸발리크(대도)이다.

중세 몽골어로 다이온 예케 몽골 울루스라고 불렀으며, 이는 대원대몽골국(大元大蒙古國)이라는 뜻이었다. 황성은 보르지긴(ᠪᠣᠷᠵᠢᠭᠢᠨ, 孛兒只斤)이었다.

한족 왕조인 남송 등을 정복해 중국을 지배했고, 고려를 침공해 부마국으로 만들었다. 그 여세를 몰아 일본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지로 쳐들어갔다가 태풍과 현지인들의 격렬한 저항에 후퇴했다. 잘 안 알려졌지만 아이누가 살던 사할린을 침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14세기 말 전 세계를 강타한 중세 흑사병에 결정타를 먹었고, 뒤이은 농민반란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다가 결국 남경을 중심으로 성장한 군벌 주원장에 의해 멸망했다. 다만 흑사병이 유행하기 이전부터 원나라 자체의 사회모순으로 느리게 쇠락해가고 있었고, 이미 원나라가 세워질 무렵부터 몽골군의 잔혹한 살상으로 중원의 인구가 많이 감소한 상태였다.

명나라에 의해 중원에서 추방된 이후 만주 북부와 내몽골에서 북원으로 이어졌다. 북원은 20여년간 명나라와 다투다가 겨우 3대[6]에 이르러 쿠빌라이 황통의 천원제가 대칸위를 아리크부카의 후손인 조리그투 칸에게 찬탈당했다. 이때 실질적으로 "원나라"로서는 멸망한 것으로 간주된다. 북원은 이 20여 년간 이어진 원나라의 직접적인 연장선만 일컫기도 하고, 혹은 훗날 청나라가 몽골의 대칸위를 차지할 때까지 250여 년간 몽골 초원에 존재했던 모든 후계 정권을 통틀어 일컫기도 한다.[7]

일본 제국 다음갈 정도로 한민족 전체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간접적으로 통치했던 외세 국가이기도 하다.

존속기간이 97년으로 오래 가지는 못했다. 웬만한 다른 중원의 통일 왕조들보다도 못한 수준이다.[8] 원나라는 군사력만으로 세워진 나라여서 과거 로마 제국이나 다른 중화권 국가들과는 달리 소프트 파워가 부족했고, 지배계급 상당수가 문맹이었다. 쿠빌라이 칸 때까지는 원나라 황제들이 문맹이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원나라도 중국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적어도 황제들은 모두 한문에 능했다. 문종 같은 경우는 스스로 한시를 지을 정도로 문인이었다. 그래도 중원 한족의 역대 국가 군주에 비해서는 원나라 황제들은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해서 통치에는 한계가 있었다. 같은 이민족 통일 왕조인 청나라는 건국 초기부터 황제들이 한화되기 시작하면서 만주족 황제부터 만주족 관료들까지 전부 소프트파워가 생기게 되었고, 296년 동안 지속되었다. 단, 청나라 역시 말기까지 만주족과 한족의 결혼 금지, 한족의 만주 이주 금지, 한족의 고위직 진출 금지, 한족 여자의 황후 책봉 금지 등 어떤 면에서는 원나라보다 더한 면도 있었다.

2. 국호

大哉乾元 萬物質始 (대재건원 만물질시)
크도다 건원이여, 만물의 시작이로다.
원(元)은 몽골 제국의 한문 국호다. 한국에서는 원나라가 1271년 새로 세워진, 몽골 제국의 후계국이라는 인식이 더 강하지만 실제로는 몽골 제국이 중국에 진출하며 한문식 국호를 새로 취한 것에 가깝다. 몽골족들은 금나라 침공 이후부터 국호를 대조몽고국(大朝蒙古国), 몽고대조국(蒙古大朝国) 등으로 한문 표기하기 시작했는데 모두 몽골 제국의 공식 국호인 '예케 몽골 울루스'를 중국식으로 부른 것이었다.

그러다가 쿠빌라이 칸이 1271년 건국호조(建國號詔)를 하유해 국호를 대원이라 지정하게 된다. 쿠빌라이는 진나라한나라처럼 왕조가 발흥한 곳의 명칭을 취하거나, 수나라당나라처럼 수봉된 곳의 명칭을 따랐던 전례를 따를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몽골 제국이 전례없이 광대한 영토를 정복했다고 여겼기에 이전 왕조들과 똑같이 출신지의 이름을 따서 지으면 몽골 제국의 위엄이 살지 않는다고 여겼기 때문. 그래서 쿠빌라이는 주역의 구절 '대재건원 만물질시(大哉乾元 萬物質始)'에서 착안해 국명을 '대원'으로 지었다.

원나라의 공식 사서인 《경세대전(經世大典)》을 보면 "원(元)은 큼(大)과 같은 것으로, 커서 다함이 없는 것을 일컬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원나라라는 국호는 '크다'를 극도로 강조한 국명이라는 것이다. 원나라의 유학자들은 원(元)을 곧 인(仁)이라고 해석해 인이 즉 원나라가 천하를 정벌할 수 있었던 기초라고 풀이했다. 현대 학계의 풀이는 크게 3개가 있다. 첫째, 원의 본래 의미는 '시작'을 의미하며 더 나아가 우주적 힘과 원초적인 힘을 상징했다. 둘째, 경세대전을 근거로 '크다'를 의미하는 '원'이라는 국호는 중원 정복 이전 중국인들이 몽골 제국을 일컬을 때 흔히 쓰던 '대조(大朝)'를 더 문학적으로 다듬은 것이라는 설이다. 셋째, '대재(大載)'는 크다는 뜻을 지니며 '건원(乾元)'은 큰 하늘을 뜻한다. 즉 주역에서 저 구절을 따왔다는 것은 광활하고 영원한 하늘(텡그리)의 선택을 받았다는 몽골인들의 천신신앙을 강조했다는 설명이다.

'대원'이라는 새 국호가 지어졌지만 기존의 '예케 몽골 울루스'라는 국명도 계속 사용했다. 대원은 그저 몽골 제국의 여러 국명들 중 하나였던 것이다. 1335년에 한문과 몽골문으로 새긴 《장씨선영비(張氏先塋碑)》에서 한문 '황원(皇元)'은 몽골문 '예케 몽골 울루스'로 번역되어 있고, 1346년에 건립된 《칙건흥원각비(勅建興元閣碑)》에서 '원(元)'이 '예커 몽골 울루스'로 번역되어 있다. 1338년에 건립된 《다루가치 제운터이의 비》에는 '대원이라 불리는 예케 몽골 울루스'[9]라는 국호가, 1362년에 세워진 《지원22년추봉 서녕황흔도신도비》[10]에는 '대원 예케 몽골 울루스[11]'라는 국호가 나타나 있다. 즉 '예케 몽골 울루스'를 한자로 쓸 때는 '대원'으로, '대원'을 몽골어로 쓸 때는 '예케 몽골 울루스'로 썼을 뿐이라는 것.

원나라라는 국호는 1368년 혜종이 화북을 잃고 북쪽으로 쫒겨난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에센 타이시는 스스로를 '대원전성대가한(大元田盛大可汗)'이라고 칭했고 다얀 칸 역시 '대원'을 칸호로 삼아 명나라에 보내는 서한에 스스로를 '대원대가한(大元大可汗)'이라고 일컬었다. 북원의 대칸들은 계속 원나라의 계승의식을 주장했으며 6투멘 체제가 거의 붕괴한 시점에 편찬된 알탄 칸의 전기를 봐도 그를 따르던 3만 호의 노얀들이 스스로를 여전히 다윤 예케 울루스(Dayun yeqe ulus)라고 불렀다. 1636년 조선을 방문한 후금타타라 잉굴다이도 의주부윤 이준에게 "우리의 나라(후금)가 이미 대원(大元)을 얻었고 또 옥새를 차지했다.(我國旣獲大元又得玉璽)"고 말한 기록이 있는 것을 보아 후금의 지배층들도 차하르를 '대원'의 연장선으로 인식했던 것을 알 수 있다.

3. 정체성

파일:원세조출렵도.jpg
<rowcolor=#fff> 원세조출렵도
다른 왕조들과 달리 원나라는 현재도 후신을 자칭하는 민족이 독립국가를 유지한다. 바로 독립국인 외몽골의 할하 몽골족. 반면 내몽골중국, 투바부랴티아러시아의 소수민족으로 잔존하고 있는 형편이며 내몽골인과 부랴티아인의 경우 자치지역 내에서조차 소수이다.

한족 왕조인 송나라를 끝내 멸망시키진 못한 요나라금나라, 후반기 한족들에게 점점 동화되어 갔던 청나라와 달리 원나라는 한족을 노골적으로 노예 취급했다. 그런데 후대의 정복왕조인 청나라에 비해서는 한족들을 노예 취급하면서도 대단히 자유방임적이고 관대한 편이었다. 그들의 문화와 의식을 존중해주고, 한족들이 치르던 과거 시험 의례를 마치 현대의 코스프레 의식으로 보듯 몽골족들은 즐겨보면서 좋아했다. 그만큼 타민족의 문화에도 관심이 많으면서 관대한 나라가 원나라였다. 정확히 말하면 한족에 대한 취급이 대중에 의해서 과장된 것이 있다.

몽골의 할하 몽골인들은 원나라 시절의 중국몽골식민지로 평가한다. 그에 반해 중국칭기즈 칸을 세계를 지배한 중화 소수민족의 대영웅으로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쿠빌라이 칸이 원나라를 세우면서 본인을 몽골 제국의 대칸이자 중화 황제라고 칭했던 것은 사실이나, 그것이 쿠빌라이 칸이 추존한 칭기즈 칸이 중국인이거나 중화 황제인 것은 아니니, 현대 중국중국인이거나 중화 영웅이라는 주장의 설득 요인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쿠빌라이 칸보다 더 일찍 칭기즈 칸을 자국의 군주로 추존한 나라도 없지 않다.

또한 중국 내몽골 지역의 차하르 몽골족도 원나라를 몽골족이 중심이 된 중국 왕조라는 중국의 주장을 따르고 있다 내몽골인 입장에선 당연한 것이, 아무리 내몽골인이 중국 내에서 (심지어 내몽골 자치구 안에서도) 다수 민족이 아니라고 한들, 내몽골 자치구의 몽골족 인구가 민족 불문 외몽골 전체 인구보다 많다. 외몽골 단독으로 몽골 제국의 계승자가 되면 그 외몽골을 압도하는 내몽골 몽골족을 투명인간 취급하는 것이 된다. 게다가 내몽골의 몽골족인 차하르인은 몽골의 할하인 및 러시아의 부랴트인, 오이라트인과 원래 사이가 나빴다. 유목민에게 부족이 다르단 건 그냥 다른 나라라는 것이다. 현재도 내몽골인과 외몽골인의 키배는 살벌하다.

다만 원나라 지배층이 한족화되었다는 일반적인 인식은 사실과 다르다. 원나라 지배층은 계속 변발과 자신들의 관습 및 문화를 유지했다. 심지어 그들은 새로운 수도에 중국식 궁궐을 지었지만 이는 한족들에게 과시하기 위해서였으며, 실제로 원나라 황제들과 지배층들은 여전히 게르에서 생활했다. 원나라 황제의 경우 궁성에 게르를 설치하고, 거기서 살았다. 물론 원나라를 세운 후 몽골 지배층들의 생활도 많이 변했다. 하지만 이는 한족화라기보다는 정복 이후 사치에 탐닉했기 때문이었다. 원래부터 유목민족은 토지, 건물같은 부동산에 투자하는게 불가능해 화려한 장신구를 몸에 주렁주렁 다는 것이 보편적이라서 사치스럽다는 느낌을 받기 쉽다.

문화적으로 그들은 유교, 도교 등 중국 고유의 사상과 문화를 접하기는 했지만 이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오히려 중국 정복 이후 접하게 된 티베트 라마교에 심취하는 등 중국 한족 문화와는 다른 방향으로 변해갔다.

몽골 제국의 제5대 쿠빌라이 칸이 국명을 중국식인 대원(大元)으로 선포하면서 시작되었다. 이 국호는 《주역》의 '건원'(乾元)을 설명하는 '대재건원 만물질시'라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었다. 비슷한 이유로 북위를 세운 선비 탁발부도 한화 개혁을 추진할 때 황족의 성을 원씨로 선택했다. 그러나 이것이 완전한 중원 왕조로서의 전환은 아니었고, 서역의 4대 칸국[12]을 포함한 몽골 제국의 명목상 대칸으로서의 정체성도 계속 유지했다. 이는 명목상으로만 몽골 제국을 아우르는 대칸이었고 실질적으로는 제2대 오고타이 칸의 붕어 이후 몽골 제국은 4개의 칸국으로 분열되어 사실상 독립되거나 분열되어 떨어져나갔고, 각자 멸망하는 시기도 다르다. 킵차크 칸국은 현대 러시아의 전신이 되는 모스크바 공국에게, 일 칸국은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와 전쟁을 벌이다가 국력을 소진하여 내부 분열로 멸망했고, 티무르 제국에게 흡수되었으며, 차가타이 칸국은 이슬람 세력과 몽골족의 기득권 간의 대립으로 혼란이 발생한 와중에 티무르 제국에게 역시 흡수, 멸망당했다. 원나라도 명나라에 의해 북방으로 축출되었는데, 북원 때문에 몽골 제국의 멸망을 청나라의 만주족 황제들이 대원전국옥새를 가져간 17세기로 보긴 하지만 이미 그 이전에 실질적으로 멸망했다고 봐야 한다. 그래도 원나라 우위의 몽골 제국 연대는 유지되었다. 각 칸국이 붕괴되기 전까지 지배층 간의 교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4. 역사

4.1. 배경

파일:800px-YuanEmperorAlbumGenghisPortrait.jpg 파일:Mongol_Empire_map.gif
<rowcolor=#fff> 칭기즈 칸 [[몽골 제국|{{{#fff 몽골 제국}}}]]의 확장
오랫동안 분열되어 있던 몽골 부족들은 혜성처럼 등장한 칭기즈 칸 아래 통일됐다. 칭기즈 칸은 1206년 대칸의 지위에 등극했고, 칭기즈 칸과 그 후계자들은 인류 역사상 유례없는 속도의 확장 전쟁을 펼쳐나갔다. 칭기즈 칸의 삼남이자 제2대 대칸 오고타이 칸은 1234년 약화된 금나라를 무너뜨렸고, 북중국 일대를 장악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귀위크 칸을 이어 1251년 즉위한 제4대 대칸 헌종 몽케 칸은 동생 쿠빌라이에게 중국 방면의 대총독을 맡겼다.[13] 쿠빌라이는 농업과 상업을 진흥하고 중국식 문화를 받아들이는 등 훌륭한 통치를 펼쳐 한족들의 지지를 얻어냈다. 내몽골의 상도를 자신의 수도로 정한 것도 바로 이 시기.

금나라를 정복한 몽케 칸은 남중국의 송나라를 노렸다. 몽케 칸은 대군을 이끌고 남송을 침공했으나 원정 도중 1259년 조어성 전투에서 사망하고야 말았다. 몽케 칸이 붕어하자 그의 동생들인 쿠빌라이아리크부카가 다음 대칸위를 두고 툴루이 가문 내전을 벌였다. 아리크부카는 카라코룸에서, 쿠빌라이는 1260년 상도에서 각자 쿠릴타이를 열고 서로 대칸을 칭했다. 정통성에서는 아리크부카가 앞섰으나 중원의 풍부한 물자와 인력을 장악한 쿠빌라이가 결국 1264년 내전에서 승리하며 정식으로 제5대 대칸이 되었다.[14] 하지만 이 대규모 내전의 여파로 몽골 제국은 일 칸국, 오고타이 칸국[15], 차가타이 칸국, 킵차크 칸국과 같은 4칸국, 그리고 쿠빌라이의 원나라로 분열되어 나간다.[16]

쿠빌라이 칸의 초창기 통치는 불안정한 편이었다. 오고타이의 손자 카이두오고타이 칸국을 세워 쿠빌라이에게 복종하기를 거부하고 서쪽 국경을 위협했다. 약화됐으나 명백한 적국인 남송은 여전히 멀쩡히 살아사 남쪽 국경의 최대 위협으로 남아있었다. 쿠빌라이는 국경 안정을 위해 1259년 인질로 잡아왔던 원종고려의 국왕으로 앉혔고, 고려를 조공국으로 만든 다음 딸 중 하나를 원종에게 시집보내어 북동쪽 국경을 안정화시키려 노력했다. 내부도 썩 좋은 상황은 아니었다. 1262년 한인 제후 이단(李璮)이 반란을 일으키기도 했고, 반란은 곧 진압되었으나 쿠빌라이는 한인들이 남송과 결탁하는 것을 우려해 한인들의 영향력을 축소시킬 수 밖에 없었다.

쿠빌라이의 정책은 몽골 우선 정책과 한족의 불만 억누르기의 절묘한 줄타기였다. 그는 정통 중국 왕조의 예를 본받아 중앙집권적인 관료제를 수용했고, 지폐 유통을 확대했으며 한인 관료들의 조언을 받아들여 조정이 소금과 철을 독점하는 염철 전매제를 유지했다. 지방행정구조 역시 옛 중국 왕조의 제도가 그대로 유지됐다. 그러나 유교식 과거제는 폐지됐고, 근본적으로는 대놓고 몽골인 우선 정책을 펼쳤다. 그는 사회를 3개의 계층으로 나누고 남송 유민들을 비롯한 한인들에게는 3~4등급의 최하위 계급을 매겼다. 쿠빌라이가 등용한 한인 관료들은 칸의 총애를 받아 궁정에서 큰 권세를 누렸으나 이들은 결코 한인이라는 태생적인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4.2. 쿠빌라이 칸: 건국

파일:external/i.epochtimes.com/1601310718331695-600x381.jpg 파일:쿠빌라이.jpg
<rowcolor=#fff> 대도의 복원도 쿠빌라이 칸
쿠빌라이 칸은 1264년 수도를 몽골의 카라코룸에서 대륙으로 천도하기로 결심한다. 2년 후에는 옛 금나라의 수도였던 중도(中都), 즉 현재의 베이징에 새로운 수도인 대도(大都)를 건설한 뒤 1271년 공식적으로 천도했다. 이와 동시에 자신이 천명을 이었음을 선포하고 1271년 건국호조를 하유해 국호를 중국식인 대원(大元)으로 지정했다. 이를 공식적인 원나라의 시작으로 본다. 연호도 역시나 중국식인 지원(指元)으로 새롭게 바뀌었고 쿠빌라이는 이로써 원나라를 중화의 공식 계승국으로 만들고자 했다.

쿠빌라이 칸의 치세는 원나라의 전성기였다. 역참 제도를 확장하고 대운하를 대도까지 연결하는 등 인프라를 개선하는 한편, 문화와 경제 발전에도 힘을 쏟아 대상인들에게 자금을 지원해 경제를 발전시켰다. 또한 지폐인 교초를 발행하여 실크로드 무역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하기도 했다. 1260년대부터 1290년대까지 약 40년 동안 원나라는 대내적으로 평화로운 편이었으며, 강력한 군사력 덕분에 평화가 찾아오자 서양과의 문화교류가 활발히 일어났다. 베네치아의 상인 마르코 폴로가 중국을 방문한 것도 이 시대였다. 학계에서는 이 시기를 '몽골 아래의 평화', 즉 '팍스 몽골리카'라고 부르기도 한다.

쿠빌라이는 선대들의 정복 활동도 꾸준히 이어갔다. 특히 전대 칸이었던 몽케 칸이 다 못이루고간 송나라 정복을 1267년부터 다시 재개했다. 1268년부터 1273년까지 양쯔강 삼각주의 핵심 요충지인 양양성을 포위공격했고 결국 피터지는 공성전 끝에 함락했다. 쿠빌라이는 곧 1276년 남송의 수도이자 중국에서 가장 부유한 대도시였던 임안마저도 함락하고 공제의 항복을 받아냈다.[17] 일부 잔당들이 도망쳐 끝까지 저항했지만 1279년 벌어진 애산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면서[18] 중원을 완전히 정복하는 데에 성공한다. 북송 이래로 남북으로 분열되어 있던 중국을 300년 만에 통일한 업적이자, 특히 순수 이민족 왕조로서는 역사상 최초로 중국 대륙을 통일한 것이다.

그러나 쿠빌라이의 모든 원정이 송나라 정벌처럼 성공적이지는 못했다. 쿠빌라이는 1274년, 1281년에 2차례나 일본을 공격했으나 2번의 원정 모두 태풍이 불어닥쳐 실패로 돌아갔다. 그리고 베트남 일대에도 군대를 보냈으나 베트남의 명장 쩐흥다오의 영웅적인 활약으로 박당 전투에서 패배하여 철수하게 되었다. 그외 참파자바섬에도 원정군을 투입했으나, 토착 세력의 격렬한 저항에 막혀 정복에 실패했다. 결국 쿠빌라이는 조공 관계를 맺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그나마 미얀마바간 왕조에게 피로스의 승리를 거두었으며 크메르 제국에게 치명타를 입히는 데 성공했으나, 역병과 무더운 날씨, 몽골의 기마전에 부적합한 열대 기후를 이기지 못하고 퇴각해야만 했다. 막대한 전비로 국고가 고갈되었고 부정부패와 취약한 행정 탓에 원나라는 어려움을 겪었다.

4.3. 쿠빌라이의 후계자들

파일:올제이투칸.jpg 파일:카이샨.jpg 파일:아유르바르와다.jpg
<rowcolor=#fff> 성종 무종 인종
쿠빌라이 칸은 차남 칭김을 황태자로 임명했으나 칭김이 사망하면서 그의 3남인 테무르를 황태손으로 세웠다. 쿠빌라이는 말년으로 갈수록 정사를 내팽겨쳤고, 나라는 다시 부정부패와 혼란의 기미가 보이기 시작했다. 결국 1294년 쿠빌라이가 사망하자 그의 뒤를 이어 테무르가 원나라 제2대 황제인 성종으로 즉위했다. 성종은 오고타이 칸국을 정복해 서북 국경의 위협을 막았고 막대한 자금이 필요했던 대외원정을 대부분 중단시켰다. 서부의 3칸국들과 베트남, 일본 등과는 다시 평화를 맺었으며 베트남은 원나라의 명목상 종주권을 인정했다. 성종은 아들 테이슈를 황태자로 임명했지만 테이슈가 요절해버리고 1년 뒤인 1307년 성종도 붕어하면서 이후 원나라는 25년 동안 9명의 황제가 연달아 즉위하는 혼란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성종이 죽자 그의 황후였던 불루간이 성종의 사촌동생이었던 안서왕 아난다를 다음 후계자로 지목했으나, 이에 불만을 가진 세력들이 지방에 가있었던 성종의 조카들인 카이산과 그의 동생 아유르바르와다에게 거사를 일으킬 것을 부추겼다. 수도 대도에 먼저 도착한 아유르바르와다가 불루간과 안서왕을 제거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황족들 대부분이 카이산을 지지했고, 그의 군사력도 막강했기에 결국 아유르바르와다가 형인 카이산에게 제위를 양보하여 1307년 카이산이 원나라 제3대 황제인 무종으로 즉위했다. 무종은 동생 아유르바르와다를 황태제로 책봉하고, 자신이 붕어하면 제위를 물려주기로 약속했다. 무종은 짧은 재위 동안 원나라의 무너져가는 재정을 다잡고자 상서성을 설치하고 재정개혁에 나섰으나, 결국 실패로 돌아갔고 그가 사망할 무렵 조정은 엄청난 양의 부채에 시달렸으며 민심은 날로 악화됐다.

4년 뒤 무종이 붕어하자 1311년 아유르바르와다가 원나라 제4대 황제인 인종으로 즉위했다. 인종은 유능한 황제였다. 그는 쿠빌라이 이래로 몽골 지배층들의 불만에도 불구하고 한족 문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수용한 최초의 황제였다. 그는 상서성을 폐지하고 부정부패를 저지른 최고위 관료 5명을 숙청해 기강을 다잡는 등 개혁을 단행했고, 1313년에는 중국식 과거제를 재도입했다. 법률을 체계화하고 옛 고서들을 재출판한 것도 인종 시기였다. 중앙정치는 혼란스러웠으나 원나라에게는 상당히 안정적인 세월이었다. 인종은 제위를 이어받는 조건으로 자신이 죽으면 제위는 형 무종의 아들이 잇기로 약조했으나 마음을 바뀌었다. 인종은 모후인 다기와 결탁하여 무종의 장남인 쿠살라와 차남 투그테무르를 추방하고, 자신의 아들이었던 시다발라를 황태자로 책봉했다.

1320년 인종이 붕어하고, 시다발라가 원나라 제5대 황제인 영종(英宗)으로 즉위했다. 영종은 선제인 인종 때부터 전횡을 일삼던 할머니 다기와 그녀의 세력들을 숙청하고, 한화정책 추진으로 황권 강화에 힘썼으니 이를 '영종신정'이라고 부른다. 그는 바이주를 중용해 유교적 정부 개혁을 이어갔다. 아버지 인종대부터 만들기 실시했던 원나라의 법전 대원통제《大元通制》를 공식 반포한 것 역시 업적이었다. 그러나 영종의 개혁에 위협을 느낀 다기의 일파 중 하나였던 테시가 이순테무르[19]와 결탁해 남파의 변을 일으켰고 결국 영종은 1323년 시해당하고 말았다.

4.4. 쇠락과 민란의 시작

영종이 시해당하자 반란군들은 이순테무르를 새 황제로 옹립하니 그가 원나라 제6대 황제인 태정제였다. 태정제는 제위를 찬탈했다는 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란군 일파를 죄다 숙청했다. 큰 업적도, 큰 실책도 남기지 않은 황제였던 태정제는 몽골 지상주의자로서 몽골적 생활방식을 중시했고 한인들의 병장기 소지를 금지했다. 또한 최측근 다울라트 샤 등 색목인과 몽골인들에게 권력을 한껏 실어줬기에 영종때까지 조정의 실세였던 한인 관료들의 불만이 엄청났다고 한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민란이 발발하기 시작한 시기가 바로 이 태정제의 치세였기도 하다. 쿠빌라이 이래로 원나라는 대체적으로 평화를 구가하고 있었는데, 소수민족들을 중심으로 서서히 전국적인 난이 터져나오기 시작한 것이다. 원나라는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막대한 돈이 필요했고, 이는 필연적으로 증세로 이어져 민심 악화의 악순환을 불러왔다.

1328년 태정제가 상도에서 갑작스럽게 붕어하자 장남인 라기바흐가 8세의 나이로 원나라 제7대 황제인 천순제로 즉위했다. 그러나 이를 두고 원 조정은 천순제를 지지하는, 다울라트 샤를 주축으로 하는 상도파와 제위를 무종(제3대)의 후손이 이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킵차크계 권신 엘테무르를 주축으로 한 대도파로 나뉘었다. 대도파는 무종의 차남인 투그테무르를 따로 제8대 황제인 문종으로 추대했다.

상도파와 대도파 양대 세력은 양도(兩都) 전쟁을 벌여 정면으로 충돌했다. 결국 상도가 점령되고 천순제가 실종됨으로써 문종의 대도파가 승리하게 된다, 그러나 문종의 형인 쿠살라가 차가타이 칸국을 등에 업고 군대를 이끌고 오자 위기감을 느낀 문종은 쿠살라에게 제위를 양보하여 1329년 쿠살라가 원나라 제9대 황제인 명종으로 즉위했다. 명종은 부황인 무종처럼 자신이 죽으면 동생에게 제위를 물려준다고 약조했으나, 불과 6개월 뒤 명종이 붕어하자 문종이 복위하게 된다. 이때 명종은 황태제 문종과 연회를 가진지 4일만에 목숨을 잃었는데, 학계에서는 사실상 엘테무르가 명종을 독살했다고 보아 이를 '천력의 변'이라고 부른다.

문종이 다시 황제에 복위했지만 실권은 엘테무르가 꽉 휘어잡고 있었다. 문종은 킵차크 칸국일 칸국 등지에 사절을 파견하여 원나라의 몽골 세계 내에서의 종주권을 다시금 확인받았으나, 엘테무르가 전대 황제인 명종의 세력을 숙청하고 군벌들에게 막대한 자치권을 부여하며 황권은 날로 약화됐다. 문종은 문화 면에서 더 많은 업적을 남겼다. 원 황제들 중 가장 학문을 사랑한 호학군주였던 문종은 유교추숭(儒教推崇)을 목적으로 1329년 규장각학사원(奎章閣學士院)을 세우고 대법전 경세대전(經世大典)을 편찬한 업적을 남겼다. 1332년 문종은 붕어하면서 형인 명종의 아들로 하여금 대를 이으라는 유언을 남겼으나 엘테무르는 이를 무시하고 문종의 아들을 다음 황제로 지목하려고 했다. 하지만 황후의 반발로 결국 명종의 차남인 6세의 린친발이 원나라 제10대 황제인 영종(寧宗)으로 즉위했다.

하지만 영종이 2개월만에 붕어하면서 고려의 대청도로 유배를 가있었던 명종의 장남 토곤테무르가 1333년 원나라 제11대 황제이자 마지막 황제인 혜종으로 즉위했다.

4.5. 홍건적의 난과 멸망

파일:attachment/Toghon_Temur.jpg 파일:Red_Turban-1.png
<rowcolor=#fff> 혜종 원말명초 세력도[20]
혜종이 즉위했지만 나이가 너무 어렸기에 바로 친정할 수는 없었다. 엘테무르가 죽자 당시 고작 13살에 불과했던 황제를 대신해 메르키트 부족 출신의 장군 바얀이 국정을 운영했다. 혜종은 장성하면서 바얀의 권력 독점에 불만을 품었다. 그는 바얀의 조카 토크토아와 합심해 친위 쿠데타를 일으켜 바얀을 쫒아냈고, 토크토아가 새 실세로 부상했다. 이 시기 주요 사건으로는 1345년 오랫동안 미뤄왔던 요나라, 금나라, 송나라의 공식 역사서를 편찬해냈다는 것. 그러나 토크토아도 곧 실각했고 1349년까지 복직하지 못했다.

혜종이 즉위하며 여러 황제들이 몇 개월 간격으로 교체되는 혼란기는 종식되었지만, 이미 원나라는 흑사병의 창궐, 홍건적과 같은 한족들의 대규모 반란, 권신들간의 권력 다툼 등으로 점점 쇠락하고 있었다. 중원의 몽골인들은 점차 한족에 동화되며 몽골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었고 원나라의 영향력은 날로 약해졌다. 이미 혜종이 즉위하기 전부터 황제와 조정이 권력싸움과 사치에 골몰하며 부정부패가 횡행했고 사회적 불안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었던 것. 전국에서 반란군들과 도적떼들이 나라를 들쑤시고 다녔고 원나라 군대는 더이상 이를 진압할 힘이 없었다.

1340년대 후반부터 가뭄과 홍수, 연이은 기근이 일어나 조정에 대한 불만이 폭발했다. 안그래도 취약한 원나라의 행정력은 백성들을 구제해줄 힘이 없었다. 결국 백련교를 중심으로 1351년 홍건적의 난이 일어났다. 그나마 유능한 장수 토크토가 대군을 이끌어 홍건적들을 막아냈으나 그의 위세가 지나치게 커질 것을 두려워한 혜종이 토크토를 해임했다. 이로 인해 혜종은 일시적으로 조정 내 주도권을 회복할 수 있었으나 원나라의 멸망은 막을 수 없는 일이 되어버렸다. 홍건적 중 두각을 드러낸 주원장이 1368년 명나라의 건국을 선언했고, 직후 대규모 북벌를 단행하여 원의 수도 대도를 함락시켰다. 수도를 빼앗긴 혜종와 원나라 조정은 북쪽의 몽골 고원으로 달아나면서 북원을 건립했다.

북원은 중원을 되찾기 위해 명나라와 전쟁을 끊임없이 벌였지만 큰 성과는 없었고, 북원의 제3대 황제인 천원제로부터 제위를 찬탈한 조리그투 칸이 원나라의 황제위를 버리고 몽골 대칸의 지위만 잇기로 하면서 1388년 원나라는 완전히 멸망해버리고 말았다. 다만 다얀 칸알탄 칸 등 꾸준히 명나라를 압박하며 원나라의 부활을 노린 것은 물론, 원나라의 칭호를 부활시키려고 시도한 칸들도 더러 있어 청나라에게 내몽골이 정복당한 1635년을 멸망으로 보기도 한다.

5. 정치

파일:2020_0902_5805d5c7j00qg1djj0023c000u000jvm.webp
<rowcolor=#fff> 원나라 황궁 정전인 대명전을 복원한 건축물[21]
맨 꼭대기에는 황제가 있었고, 그 아래 최고정무기관으로 중서성(中书省)이 있었다. 중서성은 휘하 6부를 총괄하고 황제를 보좌했다. 중서성의 책임자는 중서령(中书令)으로 현재로 따지면 황제의 비서실장 격이었다. 그러나 중서령은 황태자가 맡는 자리인데다가 명예직이다보니 그 아래에 실질적인 재상 업무를 맡아보던 좌승상과 우승상을 두었다. 좌승상과 우승상 아래에는 평장사, 우좌승, 참지정사 등을 두어 실무를 보좌했다. 6부는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 이렇게 6개의 부서로 이뤄졌고 각각 상서와 시랑을 두어 관리했다. 기존 3성 6부제는 상서성, 중서성, 문하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개중 재정을 담당하던 상서성은 폐지됐다 신설됐다를 반복했으며 문하성은 아예 사라졌기에 중서성의 중요도가 크게 높아졌다. 중서성은 단순 의결기구였을 뿐만 아니라 수도 대도 근처를 직접 관할하기까지 했다.

원나라의 최고감찰기관은 어사대였다. 종1품인 대부 2명, 종1품인 중승 2명, 정2품인 시어사 2명, 종2품인 치서시어사 2명 등으로 이뤄졌고 이들은 문무백관들을 감시하고 감찰하는 역할을 맡았다. 어사대 산하에는 전중사(殿中司), 도찰원(都察院), 내팔도엄정염방사(内八道肃政廉访司)가 있었다. 전중사는 관리들의 출퇴근과 휴가를 관리했으며, 도찰원은 24명의 도찰어사로 이뤄져 관료와 시민들을 감독했고 내팔도엄정염방사는 대도 인근의 8개 지역, 즉 현재의 베이징, 톈진, 허베이, 산둥, 산시, 요동, 양회 일대를 따로 관리했다.

원나라는 그 방대한 영토를 다스리기 위해 1급 행정구역인 행성(行省) 제도를 도입했다. 원나라의 지방행정은 크게 중서성이 직접 관할하는 수도 대도 인근 지역인 복리(腹里), 선정원이 관할하는 티베트 일대, 그리고 전국 10개의 행중서성으로 나뉘었다. 쿠빌라이 칸무종 때 잠시 행정을 관장하는 상서성이 설치되어 행성들이 '행중서성'에서 '행상서성'으로 잠시 바뀐 적도 있다. 행성은 관할 내 재정, 군사, 수송, 경제 등 모든 사무를 담당했다. 당시 원나라 사람들은 이를 두고 '도성악천하지궤, 십성분천하지치(都省握天下之机, 十省分天下之治)' 즉 '중앙이 천하의 권력을 쥐고 10개 행성이 천하를 나누어 다스린다'라고 말했다.

원나라는 지방행정에서는 옛 한족의 것을 거의 그대로 차용했다. 초기에는 중앙정부의 중서성에서 관리를 파견해 지방업무를 처리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지방의 업무가 많아지면서 사실상 지방정부에도 따로 승상을 두는 꼴이 되었다. 지방마다 승상들이 들어서자 중앙정부는 1286년 각 행성마다 도, 국, 성, 부의 관리를 선출하고 지방의 승상직을 폐지해 오직 대도의 중앙정부에만 승상을 두도록 했다. 그러나 사무가 날로 늘어나자 일부 지방에서는 다시 승상들이 임명되었는데, 1320년 인종이 다시 지방의 승상들을 모조리 평정사로 강등시켰다. 태정제 이후부터는 다시 필요에 따라 지방에도 승상을 두기 시작했다. 행성의 지방정부는 일반적으로 중앙정부와 똑같이 평장정사 2명, 우승과 좌승 1명씩, 참지정사 2명으로 이뤄졌고 이들의 품계는 중앙정부의 그것과 동일했다. 좌사와 우사를 합쳐 낭중, 원외랑, 도사를 두었으며 이들의 품계는 중앙정부의 그것보다 낮았다. 행중서성 아래에는 도, 로, 부, 주, 현 등 하위 행정구역을 두었으며 지나치게 멀리 떨어진 곳에는 따로 선위사(宣慰司)를 두어 관리했다.

선정원(宣政院)은 종1품의 높은 기관으로 티베트의 불교 사무를 맡아보았다. 하지만 막강한 티베트 불교의 영향력 덕에 티베트의 정치, 경제, 군사를 총괄하는, 사실상 티베트를 지배하는 자치기구나 다름없었다. 원래 이름은 총지원으로 황제의 스승이라는 명예를 가진 국사(國師)가 총지원의 최고책임자였다. '선정'이라는 이름으로 바뀐 이유는 1288년에 티베트가 원나라 황궁 선정전에서 조공을 바쳤기 때문에 이를 기념하기 위한 것. 이들은 티베트를 자체적으로 맡아 다스리며 구성원들도 스스로 뽑았다.

명나라의 대명률, 조선의 경국대전처럼 원나라에도 법전인 대원성정국조전장, 즉, 원전장이 있었다. 조령, 성정, 조강, 대강, 이부, 호부, 예부, 병부, 형부, 공부 의 10문으로 총 373목(目)으로 구성되어 매 목이 약간의 조격으로 나눠진다. 원 세조 쿠빌라이 칸 때부터 5대 황제 영종(英宗) 때 까지의 조령, 판례 등 전장제도를 기록했다. 원 축출 이후 명태조 주원장이 대명률을 만들 때 당률과 함께 참조하였다.

1271년 이전 중국에서는 보통 사법 문제를 처리할 때 진나라의 '태화율(泰和律)'을 참고해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1271년 11월부터 태화율의 사용이 금지됐고 대신 판결자들이 과거 판례들을 참고해 자의적으로 판결하는 방향으로 바뀌어버렸다. 원나라는 역대 중화 왕조들 가운데 가장 사법형량의 기준이 애매모호한 나라들 중 하나였다. 입법과 행정도 황명이나 중서성의 칙령을 근거로 이뤄졌을 정도로 취약했던 원나라의 행정력을 생각해보면 놀라운 일은 아니었다. 원나라도 이를 알고 있었기에 반포된 각종 규정과 법령들을 모아 편찬해 관청에 복사전달했다.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생기면 선례를 찾아보고 선례도 없으면 대충 유추해서 판결하는 식이었는데, 이런 식이었으니 시간이 지날 수록 판례 간 모순이 쌓여갔고 복잡해졌다. 원나라 조정도 아예 법 분야를 방치한 것은 아니라서 여러 차례 과거 판례와 칙령들 중 참고할만한 것들을 모아 법전을 엮었는데, 가장 대표적인 것이 대원통지와 유명한 지정조격이다.

6. 군사

파일:d1a20cf431adcbef1c85b499a6af2edda2cc9ff8.webp 파일:a686c9177f3e6709579962dc36c79f3df8dc5573.webp 파일:Yuan_Dynasty_Military_Banners.jpg
<rowcolor=#fff> 원나라 군사
원나라 군대는 크게 몽골군, 탐마치, 한군(汉军), 신부군(新附军)으로 이루어졌다. 몽골군은 청나라의 팔기군처럼 최상위 엘리트 계급으로, 중원 정복 이전 몽골 초원에서 내려온 명문계급이었다. 탐마치 역시 몽골 남부 초원부족들 사이에서 가려뽑은 정보를 수집하고 정복지를 관리하기 위한 소규모 정예병들이었다. 한군은 1250년대 이전에 항복한 금나라 출신 여진족들, 그리고 북중국의 한족들로 이뤄져 있었다. 마지막 신부군은 멸망한 옛 남송 출신 한족들로 구성된 군대였다.

계급에 따라 대우와 봉급 등을 철저히 차등화했고, 잠재적 불순분자나 다름없던 신부군의 대우는 매우 좋지 않았다. 원 군대는 병제 단위인 '오로'를 통해 작동했는데 오로의 역할은 장정 모집, 부족한 병사 채우기, 안장, 말, 무기, 식량 등 군수품 조달 등 다양했다. 몽골군과 탐마치의 오로는 만호나 천호가 관리했고, 한군의 오로는 지역의 문관이 관리했으며 신부군은 오로가 없었다.

원나라는 그 넓은 영토를 관리하기 위해 대규모의 병사들이 필요했다. 극소수의 몽골인들로 이를 채우는 것은 불가능했기에 어쩔 수 없이 한인들 사이에서도 병사를 뽑아야했는데, 군대가 한족 불순분자들에게 장악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일부러 군사들을 배출하는 집안들을 '군호(军户)'로 가려뽑고 그 집안들에서만 장정들을 데려갔다. 1252년에 대규모 호적사업을 실시하면서 일반 민호와 병사를 배출하는 군호의 구분이 확실해졌다. 대륙에 정착한 몽골 가문들과 옛 금나라와 송나라의 군대 출신 가문들은 대부분 군호로 편입됐다. 일부 배경이 확실한 중산층 출신 한족 가문들을 군호에 추가해 병력을 채우기도 했다. 군호들은 병역을 지는 대가로 세금이 면제되는 4헥타르 규모의 토지인 섬군지(赡军地)를 얻을 수 있었다.

원나라의 군대는 크게 황제와 수도를 지키는 근위대와 지방을 방비하는 지방군으로 나뉘었다. 근위대에는 케식과 시위친군(侍卫亲军)이 있었다. 케식은 우리가 생각하는 친위대의 이미지로 황제와 황족들을 직접 호위하는 최정예군이었다. 칭기즈 칸이 처음 창설한 이래로 전성기 시절에는 그 규모가 10,000여 명에 달했다. 시위친군은 수도의 치안을 관리했으며 원 말기에는 30여 대에 달하는 시위친군이 수도를 방비했다. 시위친군은 대마다 추밀원 직속으로 도지휘사를 두어 관리했는데 계급은 3품인 만호와 같았다.

지방군은 주로 몽골군과 탐마치가 요새를 방비하는 형식이었다. 북중국, 산시성, 쓰촨성 등의 몽골군은 각 지역의 도방호부(都万户府)의 지휘를 받았고, 남중국의 몽골군과 한군, 신부군 등은 평시에는 행중서성, 비상시에만 추밀원의 지휘를 받았다. 다만 평시에도 군사 이동 같은 중요한 사무들은 행중서성이 아닌 추밀원이 관리했다. 이들은 주로 노란색이나 짙은 청록색 군복을 입었는데 대접이 좋지 않았으며 규율도 엉망이었던지라 쿠빌라이 사후 이들의 탈영과 민간에 끼치는 피해가 큰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군사 관련 정보는 철저히 기밀로 부쳐져 오직 황제와 추밀원의 관리들만이 전국 병사들의 수와 배치를 알고 있었고, 지방의 몽골 관리만이 해당 지방의 병사와 군마 수를 알고 있었다.

원나라군은 대포, 폭탄, 핸드 캐논 같은 화약무기들을 유용하게 써먹었다. 원나라가 송나라를 정벌하던 양양 공방전에서 이미 대포와 화약을 미친 듯이 발사해 도시를 불바다로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고, 제작 연도가 확실하게 증명된 것들 중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핸드 캐논이 원나라의 상도 유적에서 발견됐다. 상도에서 발견되었기에 이를 '제너두 건'이라고 부른다. 길이 34.7cm, 무게 6.2kg으로 제작 연호와 날짜 뿐만 아니라 일련번호와 제조정보까지 새겨져 있기에 당시 원나라에서 이미 핸드 캐논의 생산이 체계화되어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그보다 더 오래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헤이룽장 손포, 무위동포 등이 연달아 발견되며 원나라 군대가 화약무기를 적극적으로 이용했다는 점을 짐작 가능하다. 1353년에는 장사성의 군대에 맞서 화통(火筒)을 사용했다고 하며, 14세기 중반에는 화약의 최대 폭발력을 끌어내기 위해 질산염 농도를 12%에서 91%로 높이고 무려 6가지 다른 제작공식을 사용해 무기를 만들었다고. 이렇게 만든 질산염 화약을 속이 빈 포탄에 채워 폭발상 원형 산탄을 제작하기도 했다.

7. 경제

파일:1573607282004032155.jpg
<rowcolor=#fff> 원나라 경제의 중심지였던 취안저우
원나라의 경제는 농업 중심 경제로, 옛 송나라에 비해서 생산성이 떨어졌다. 몽골이 중원에 처음 진출했을 당시 무자비한 약탈과 학살로 북중국 일대 경제는 어마어마한 피해를 입었다. 유목민족 출신인 몽골족들은 주로 목축업에 종사했고 단순한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었던 데다가 제대로 된 토지 제도마저도 없었기 때문에 중원의 복잡한 경제 구조를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웠다. 오죽하면 몽골 제국금나라를 정복할 당시 농부들을 모두 죽여버리고 밭을 목초지로 바꿔버리자는 해괴한 주장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칭기즈 칸의 최측근이자 명재상이었던 야율초재가 차라리 농부들을 살려두고 거기서 세수를 확보하는 것이 더 나을 것이라고 말려서 간신히 초토화만은 면했다.

그러나 오고타이 칸 이후 몽골도 이전의 무식한 학살에서 벗어났다. 중원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생산을 장려하고 피정복민들을 달래기 위한 일부 조치들이 시행되면서 중원의 농업 생산력은 조금씩 회복됐다. 특히 주요 상품 작물인 목화의 재배가 크게 늘어났고, 남송과 강남 지방을 중심으로 강남 지역의 면화와 면직물의 재배와 판매가 증가했다. 삼품작물의 생산이 증가하며 자급자족에 머무르던 농촌에 상품-화폐경제의 요소가 일부 도입됐다. 그러나 원 조정이 수많은 수공예업자들을 정부 아래에 묶어두고 수공예품 생산을 통제하면서 국영 수공업만이 발전했고 사설 수공업은 크게 발전하지 못했다는 한계도 있었다.

유교는 근본적으로 상업을 천시했기에 역대 중원 왕조들도 상업을 좋게 보지 않았지만 유교의 제약에서 자유로웠던 몽골인 주도의 원나라는 반대로 상업을 장려했다. 몽골은 옛날부터 상품 교환에 의존했고 상업에 아무 거부감이 없었다. 그 덕에 상품경제가 형성되어 당시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경제대국이 되었으며, 수도 대도는 세계 최고의 경제 중심지들 중 하나였다. 경제활성화를 위해 교초를 발행함으로써 중국 역사상 최초로 지폐를 유일한 유통화폐로 사용한 왕조기도 하다. 물론 과도한 지폐 발행으로 인해 말기에는 막대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으나 그 의의는 무시할 수 없다. 이렇게 원나라는 교초를 비롯한 여러 상업진흥정책을 통해 운송업, 무역, 농업, 수공업, 상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다.

7.1. 토지 수탈

몽골 제국은 중원을 정복할 때 금나라와 남송의 관 소유 농장들을 모조리 압수했다. 게다가 주인 없는 공유지나 황무지는 물론 개인의 사유지나 새로 개간한 둔전도 강제로 빼앗은 것은 덤이었다. 농장, 둔전, 목초지 등은 모조리 몽골 왕공과 귀족들, 귀족들을 중심으로 한 관료들이 통제했다. 원나라 초기까지만 해도 몽골 귀족들이 억지로 농경지를 빼앗아 멀쩡한 밭을 목초지로 만들어버리는 일이 흔했다. 오죽 상황이 심각했으면 쿠빌라이 칸 시절 동평 출신 조천린(赵天麟)이 상소를 올려 '오늘날 왕공 가문들이 백성들에게서 거의 1천 경에 달하는 농지를 빼앗았습니다... 그들은 이 땅을 경작하거나 농사를 짓지 않고, 방목지라고 부르며 오로지 가축을 기르는 데에만 사용합니다...' 라고 한탄할 정도였다. 산시성에서는 권력을 이용해 농민들에게 빼앗은 농지가 10만 경에 달했다.

원나라 정부는 국영 농장, 즉 관전(官田)을 직접 소유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관전을 왕족과 귀족, 공신과 사찰에 하사했다. 쿠빌라이는 사지시 이두에게 1,000경의 관전을 하사했고 문종은 안시왕에게 300경의 관전을, 혜종 시기 실권을 휘둘렀던 재상 바얀은 2만 경의 관전을 하사받았다. 티베트 불교 사찰과 도교 사찰 역시 많은 토지와 부동산들을 직접 소유하고 있었다. 대호국인왕사(大护国仁王寺), 대승천호성사(大承天护圣寺) 등 유력한 사찰들은 수십만 경에 달하는 토지를 경영했다.

그와중에 금나라와 남송의 한족 지주들은 상당수가 재빠르게 몽골에 항복해 제 재산을 지켜내는 데에 성공했다. 몽골의 행정력이 상대적으로 약했던 강남 지방에서는 한족 대지주들이 여전히 부를 틀어쥐고 꾸준히 빈농들에게서 땅을 사들여 재산을 늘려나갔다. 일부 대가문들은 무려 2,000 ~ 3,000가구에 달하는 소작농들을 휘하에 두었고 매년 20만~30만 석의 임대료를 받았다. 예를 들어 송강의 대지주 조맹연은 수 천무에 달하는 호전(湖田)을 소유했으며 또다른 대지주 구정발은 개인 농장은 물론이고 수백만 무에 달하는 관전을 경영했다.

몽골인이고 한족이고 가리지 않고 지배층들이 잔혹하게 수탈했던 탓에 대다수 일반 민초들의 삶은 극도로 비참했다. 개중 가장 밑바닥 인생들은 바로 노예 계급인 구구(驅口)였다. 구구들 대부분은 원나라의 정복 전쟁 도중 사로잡힌 포로들이었고, 빚을 갚지 못해 팔려나간 사람, 가난을 이기지 못해 스스로 몸을 판 사람, 범죄를 저질러 노예로 전락한 사람 등 출신도 다양했다. 구구는 관노와 사노가 있었는데 국가 소유의 관노는 주로 수공업에 종사했다. 더 비참한 것은 개인 소유의 사노로, 후손들마저 노예가 되었으며 주인의 사유재산으로 취급받아 자유롭게 사고팔 수 있었다.

토지를 빌려 경작하는 농민, 즉 전호(佃户)는 크게 국가 소유 밭을 경작하는 관전과 개인 소유 밭을 경작하는 사전으로 나뉘었다. 사전의 임대료는 일반적으로 수확의 50~60%, 높으면 80%에 달했다. 원나라 초기에는 관전의 임대료가 사전에 비하면 낮았지만 말기로 갈수록 부정부패가 심해지며 역전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전호들은 지주들에게 거의 종속된 수준이었다. 전호들이 마치 재산처럼 땅과 함께 사고팔리는 일은 빈번한 일이었고, 아예 지주 소유의 노비처럼 취급되어 전호가 아들을 낳으면 일꾼으로, 딸을 낳으면 지주의 하녀나 첩으로 쓰이곤 했다.

자영농들은 그 수도 적은 데다가 소유한 땅도 매우 적었다. 기껏 있던 자영농들조차 지주의 횡포와 과도한 세금을 견디지 못해 전호로 전락하는 경우가 넘쳐났다. 귀족과 관리들은 토지를 약탈했고, 지주들은 땅을 헐값으로 사들이며 빈부격차는 날로 심해졌다. 지주들은 소작인들에게 높은 임대료를 받았으나 정작 세금은 거의 내지 않았다. 원나라 말기 푸젠성의 경우, 지주들은 전체 조세 인구의 9분의 1 밖에 되지 않았지만 전체 토지의 6분의 5를 독차지했다. 정부는 지주들의 노역을 빈민들에게 떠넘겼다. 빈민들은 수시로 강제노역에 끌려갔고 소작농들은 파산해 아내, 자식, 가축들을 팔아넘기거나 노예가 되거나 집에서 쫒겨나는 경우가 흔했다.

7.2. 농업의 발전

파일:Longji_Terraces.jpg
<rowcolor=#fff> 원나라 시절에 처음 만들어진 용성제전(龙脊梯田)[22]
원나라 초기에는 정복 전쟁의 여파로 북중국의 경작지가 심각할 정도로 황폐해졌다. 다만 남중국은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기 때문에, 국가 재정이나 군량을 책임지는 둔전은 주로 남중국과 허베이, 산둥, 산시, 강회, 쓰촨 일대에 집중되어 있었다. 예를 들어 추밀원 관할 허베이성의 둔전은 1만 4천 경에 달했고 홍택 만호 관할의 둔전은 무려 3만 5천 경에 달했다. 국경 지대에도 둔전이 활발하게 이뤄졌다. 원사의 기록을 보면 확실하지는 않으나 전국에 17만 7,800경의 둔전이 있었다. 원나라는 꾸준하게 저지대에 제방을 쌓아만든 위전(围田), 습지에 흙담을 쌓아만든 궤전(柜田), 뗏목을 물에 띄워 그 위에서 작물을 재배하는 가전(架田), 해안가 모래지역에 만든 도전(涂田), 모래밭에 만든 사전(沙田), 계단식 농업인 제전(梯田)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황무지를 개간해나갔다.

송나라 진종 때부터 들여온 인디카 품종의 참파쌀은 원나라 시대에 전국으로 보급되었다. 농업 생산은 착실하게 증가했다. 1329년 무려 350만 석 이상의 쌀이 비옥한 강남에서 중원으로 운송되었는데, 이는 원나라의 수탈이 심각하다는 뜻이기도 했지만 반대로 강남에 그만큼의 생산력이 있었다는 소리기도 했다. 차, 면화, 사탕수수 등 현금작물들도 생산량이 증가했다. 강남 지방은 남송 시대부터 이미 주요 면화 생산지였으며 서쪽에서 새로운 면화 품종이 북부 산시성과 간쑤성 일대로 유입되며 면화의 생산량은 갈수록 늘어났다. 1289년 원나라 조정은 절동, 강동, 장시, 호광, 복건성 일대에 목면제거사(木棉提举司)를 설치해 연간 목면포 10만 필씩을 징수해갔다. 1296년부터는 강남 지방에 매기는 세금에 목면포가 공식 추가됐다. 당시 강남 지방이 전쟁의 피해에서 벗어나 정상적으로 면화가 생산되기 시작했다는 증거였다.

농경에 필수적인 수리 시설의 경우, 화중, 화남 지역이 비교적 발달했다. 원초에는 도수감(都水監)과 하거사(河渠司)를 설립하여 수리를 전담했고, 전쟁 과정에서 파괴된 수리시설들을 복구하였다. 산시성에서 이뤄진 삼백거 공사 사업 덕에 원나라 후기까지 7만 경 이상의 논에 물을 댈 수 있었다. 저장성에서는 방파제를 복원하여 농경지를 보호했다. 원나라 농업 기술은 송나라를 계승하여 남쪽에서는 저전, 궤전, 가전, 도전, 모래밭, 계단식 논 등 경작지를 확장하는 재배 방법을 사용했으며, 농기구들도 점차 개선됐다.[23] 송나라에 비해 괭이, 등자괭이 등이 개량되었고 낫의 종류가 늘어났으며 메밀을 수확하는데 사용할 밀어쓰는 낫이 발명됐다. 물레방아, 탈곡기, 수력 제분기 등이 기술적으로 개량됐으며 를 이용한 회전수레를 이용하여 탈곡과 제분을 했다.

원세조 쿠빌라이는 토지에 세금을 징수하기 위하여 토지 소유자가 자신의 토지를 신고하게하는 제도를 시행하려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고, 1314년 인종이 다시 관리들을 장쑤, 저장, 장시, 허난 등 지방 각지에 보내 강제로라도 시행하려 들었지만 지주와 귀족들의 극렬한 반발로 결국 실패했다. 인종은 3개 행성에서 2년간 면세 혜택을 주면서까지 불만을 잠재우려 시도했으나 결국에는 실패했다. 원 조정은 농궤구형사를 설치해 전국의 농업 생산을 감독했고 농상집요《农桑辑要》를 편찬했다. 원나라 초기에는 민가를 목초지로 강제점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농업 장려 정책을 편 덕에 생산량이 날로 늘어나는 성과를 거두었다. 원나라의 농경지 1무당 생산량은 송나라에 비해 9.4% 높았다.

원나라의 토지는 크게 관전과 사전으로 나누었다. 나라 소유 토지인 관전은 옛 금나라와 송나라 정부의 관전, 왕공족과 귀족들의 토지, 백성들에게 약탈한 토지, 전쟁으로 인해 주인이 사라진 황무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원나라 조정은 관전의 일부를 둔전으로, 일부는 왕공족과 귀족, 사찰에게 하사하고, 일부는 직접 경작해 세금을 걷었다. 국가재정과 군량미를 담당하는 둔전은 전국 각지에 퍼져 있었고 그 수도 엄청나게 많았다. 개중 허베이성과 허난성에 가장 둔전이 많았다. 둔전은 한족이 경작하는 민둔(民屯), 군호가 경작하는 군둔(军屯)으로 나뉘었다. 이들은 강제로 둔전을 경작하고 소작료를 내도록 강요받았는데 사실상 노예나 마찬가지였다. 사전은 민간 소유의 땅으로 몽골 귀족, 한족 대지주, 소수의 자영농들이 소유한 땅이었다. 사찰도 사전을 가졌다. 1316년 인종은 상두 개원사에 토지 200경을, 화엄사에 100경을 하사했을 정도로 황실이 사찰에 땅을 뿌렸기 때문. 반면 자영농들은 신분도 낮았고 목구멍에 풀칠하기도 어렵게 살았다.

원나라 중기 이후 극심한 부정부패, 지주계급의 착취 심화, 잦은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농업 생산은 침체됐다. 성종 이후로 농업을 장려하는 기관 농궤구형사(农机构形同)는 유명무실해져버렸다. 수리 공사는 날로 쇠퇴해서 물난리가 자주 일어났으며 둔전은 점점 버려졌다. 세금과 부역은 갈수록 증가했지만 정작 이를 맡을 농민들은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도망치거나 파산했다.

7.3. 목축업의 과도화

유목민족 출신답게 목축업을 가장 중요한 산업들 중 하나로 여겼다. 원나라는 새 목초지를 개척하고 방목 가축 수, 특히 말 개체수를 늘리는 데에 진심이었다. 그러나 목축업 역시 불안정했다. 쿠빌라이 칸 시절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후임 황제들로 갈수록 각종 자연재해와 민란 등으로 쇠퇴했다. 원나라는 체계적인 말 사육 시스템을 갖추고자 태복사, 승사, 군목도환적사 따위를 설치하고 매마제를 도입해 안정적인 말 공급을 꾀했다.

전국에는 14개의 관마도가 설립됐고 좋은 물과 풀이 풍부한 곳은 모조리 말을 방목할 목초지로 활용했다. 상도, 대도, 옥니백아, 절련주둔아 등 대도시 인근 수천 리는 모조리 목초지였다. 강남과 요동 반도에도 목초지가 만들어지며 '북쪽에서는 말을 키우고 남쪽에서는 키우지 않는다'라는 오랜 경계가 깨졌다. 내륙의 여러 곳에도 목초지가 있었는데, 상당수가 개인들에게 빼앗아서 목초지로 만들어버린 곳이었다.

말을 키울 목장은 국영목장과 개인목장으로 나뉘었다. 국영목장은 12세기 형성된 몽골식 가축소유제도가 거대하게 발전한 형태로, 황제와 몽골 귀족들의 소유였다. 몽골 황실과 귀족들은 전쟁을 벌여 가축들을 빼앗거나, 유목민들에게서 조공을 뜯어내거나 주인잃은 가축들을 압류하는 형식으로 무자비하게 재산을 늘려나갔다. 왕공들도 하사받은 사유목장에다가 말을 마음껏 풀어놓았다. 안시왕은 근처 백성들의 밭 30만 경을 빼앗아 말을 방목했고, 윈난성의 후고치는 궁궐 주위에 말을 풀어놓는 바람에 말들이 농작물을 밟아놓고 말을 관리하는 목동들이 민가를 침탈해 원성이 자자했다.

몽골 제국이 발원한 영북행성은 왕조가 태어난 용흥지지였기에 신성하게 여겨졌다. 청나라 시절 만주 일대가 신성하게 여겨졌던 것과 같은 이치였다. 영북행성의 주요 산업은 바로 축산업과 목축업이었다. 영북행성에서 큰 재해가 나면 원 조정은 중원에서 막대한 곡물과 비단 등을 조달해 구호하거나 은화와 지폐, 옷 등을 구입해 무상으로 나눠주곤 했다. 황제는 이 곳을 본거지로 하는 수많은 왕공족들과 귀족들에게 아낌없이 선물들을 뿌렸는데 이는 안그래도 취약한 원나라의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려는 시도였다. 또한 영북행성에 막대한 투자를 통해 목축업 생산을 증대시키려는 의도도 있었다.

7.4. 교초의 도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교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교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1280px-Yuan_dynasty_banknote_with_its_printing_plate_1287.jpg 파일:Da_Yuan_Tong_Bao_(1308-1311).jpg
<rowcolor=#fff> 지원통행보초[24] 대원통보[25]
원나라는 경제 장악력을 높이기 위해 주로 종이 화폐 교초를 발행했고 전대 왕조들에 비해 동전 주조량을 줄였다. 1260년 쿠빌라이 칸은 교초나 중통초 등의 지폐를 발행해 유통시켰다. 지폐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법정 환율에 따라 이를 금이나 은으로 교환할 수 있었다. 잠시간 폐지된 적도 있었지만 교초는 원나라가 멸망할 때까지도 계속 쓰이며 원나라의 주요 통화로 자리잡았다. 전국 각지에 환전기관인 평준고(平準庫)를 설치해 2~3점의 수수료를 붙여 교초를 현금화할 수 있도록 했다.

1276년 원나라가 부유한 남송을 정벌하며 대대적인 약탈전을 벌이고, 교초를 남발하는가 하면 각지의 금은보화들을 수도 대도로 쓸어갔다. 그러자 물가가 상승하고 교초의 가치가 하락하는 부작용이 일어났고 1280년에는 지폐 가치가 원래의 10분의 1로 추락하는 참사가 일어났다. 1287년 원나라의 물가는 교초에 표기된 금액과 몇 십배 이상 차이가 났다. 원나라는 부랴부랴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하여 지원보초와 중통초를 병행발행했다. 1350년에는 혜종이 지정교초(至正交钞)를 새로 발행하기 시작했지만 이마저도 이 역시 곧 가치가 폭락했고 물가가 급등했다. 상인들은 대출, 가격 표기, 민간 거래에서 믿을 수 없는 교초 대신 을 주로 사용했다.

고대 로마 제국의 금화들이 인근 수많은 지역들로 흘러들어갔듯이, 당대 세계 최고경제대국이었던 원나라의 지폐와 물산들도 인근 국가들로 활발히 퍼져나갔다. 당장 고려만 봐도 바다 아래에서 발견된 침몰선 신안선에서 원나라산 도자기 수 만점과 동전 800만 개가 발견됐을 정도. 일본과도 교역이 활발해 일본 상인들이 종종 복건성이나 저장성으로 와서 교역을 하곤했고, 중국 선박들도 일본과 왕래했다. 동남아시아와도 교류가 많아 도이지략《岛夷志略》을 보면 원나라 상인들이 바다를 건너 베트남, 참파와 교역을 했다고 썼으며, 주달관의 진랍풍토기《真腊风土记》에는 크메르 제국에도 원나라의 화폐, 금은, 청동, 칠기, 청자, 삼베, 우산 따위가 수출되고 있었다고 한다. 1294년에는 태국의 람캄행 왕이 직접 2차례나 원나라를 방문했고, 이븐 바투타마르코 폴로는 원나라 상인들이 스리랑카몰디브까지 배를 타고와 무역하는 모습을 글로 남겼다.

같은 몽골 제국에서 갈라져나온 자매국 킵차크 칸국일 칸국과도 당연히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수많은 원나라 동전들이 킵차크 칸국과 일 칸국에서 발견된 것이 그 증거들 중 하나. 원세조 30년인 1293년에 원나라가 일 칸국에 보낸 재상 보로가 페르시아에 원나라의 화폐 제도를 도입하고 지폐를 발행하도록 도왔다는 기록도 있다. 이 칸국들은 원나라의 예를 본떠 전국에 지폐창고를 만들어 지폐의 발행과 교환을 담당시켰다. 이들의 지폐 제도와 지폐 모양은 전반적으로 원나라의 것을 본따 만들어졌다.

원나라와 활발히 교류를 한 것까지는 아니지만, 저멀리 아프리카와 유럽까지도 원나라의 물화가 닿았다. 1253년 몽케 칸훌라구를 시리아, 이집트까지 파견했고 그 뒤를 이은 쿠빌라이는 마다가스카르탄자니아잔지바르까지 사절을 보냈다. 모로코의 여행가 이븐 바투타는 원나라의 화폐는 손바닥 크기의 지폐로 한 쪽 면에 황제의 인장이 찍혀있다고 적기도 했다. 1275년에는 네스토리우스파에게 편지, 선물 따위를 들려 예루살렘으로 보내 성지를 순례하도록 했는데, 이들은 일 칸국의 부탁을 받아 콘스탄티노폴리스, 나폴리, 로마를 방문했고 나중에는 프랑스의 필리프 4세와 영국의 에드워드 1세를 만났다. 1290년에는 그 유명한 마르코 폴로가 원나라를 방문한 뒤 베네치아로 귀국해 동방견문록을 작성, 원나라의 지폐, 시장, 물산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남겨 유럽인들에게 원나라를 알렸다.

7.5. 세금 징수

파일:The_David_Vases.jpg 파일:574e9258d109b3dedd6b8761c3bf6c81810a4ce6.webp
<rowcolor=#fff> 청화백자[26] 금으로 짠 비단 납석시(纳石矢)
원나라는 북중국과 남중국에서 세금을 다르게 걷었다. 원사《元史》를 보면 '원나라의 세금은 당나라의 것을 본땄다. 북부에서 징수하는 세금은 정세와 지세라고 하며 당나라의 조세 제도를 따온 것이다... 남부에서 징수하는 세금은 추세와 하세라고 한다'라고 하여 북부에서는 세량과 과차 제도를, 남부에서는 추세와 하세를 걷는 양세제를 활용했다. 원래 몽골 제국은 제대로 된 조세 제도조차 없었지만 명재상 야율초재 이후부터 중원에서 제대로 세금을 거둬들이기 시작했고, 특히 강남 지방에서는 처음에 문탄세를 실시하려 했으나 일률적인 과세로 엄청난 반발이 잇따르자 옛 송나라의 양세제를 따랐다. 원나라의 백성들은 이 세금 외에도 부역을 또 맡아야했기에 부담이 엄청났다.

북중국에서는 옮겨다니는 이민족들의 특성 때문에 1236년 오고타이 칸 이래부터 세량(税粮)과 과차(科差)로 된 이원체제의 세금을 걷었다. 여기서 세량이란 토지세와 인두세가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세금 제도로, 장정 수 혹은 보유 농지면적 비율로 세금을 할당하되 두 가지 중 세액이 더 많은 쪽으로 세금을 과세하는 것이었다. 세량은 인두세인 정세와 토지세인 지세로 나뉘었다. 과차는 가옥 등급에 따라 호별로 현물을 납부하는 제도로, 집별로 등급을 매겨 차등을 두어 과세한 이전의 공물 제도를 이어받은 것이었다.

지세는 일반 밭은 1무 당 3되, 논은 1무 당 5되씩 부과했고 나중에는 일률적으로 1묘 당 3되, 1정 당 2석의 쌀을 납부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모든 백성들은 정세든 지세든 둘 중 하나는 반드시 납부해야했다. 관리나 상인들은 주로 정세를 냈고, 장인, 사찰, 도교 사원 등은 토지조사를 거쳐 지세를 냈다. 둔전을 경작하는 가구들 중에서는, 4경 이하의 농지를 경작하는 군호나 민호들은 면세되었으나 4경 이상의 농지를 경작하는 이들은 지세를 냈다. 일반 백성들은 대부분 정세를 납부했지만 원 중기 이후부터는 양회나 허난성 일대에서도 정세가 지세로 바뀌었고 토지 매매, 탈세, 부정부패 등 다양한 이유로 한 가구가 정세와 지세 둘다를 모두 납부하는 일들이 많았다.

공물에 해당하는 과차는 현물을 납부하는 것이었는데 그 대상은 비단을 바치는 사료(絲料), 은을 바치는 포은(包银), 관리들에게 줄 월급을 백성들에게 따로 거둬들이는 봉차(俸钞) 등 다양했다. 사료의 경우, 비단을 생산하는 가구들은 가구들마다 1근 6냥 4전의 비단을 세금으로 물었다. 백성들이 바친 모든 비단들은 정부 소유로 일부는 국고로 들어갔으며, 일부 왕공과 귀족들의 몫으로 지정된 것들은 정부를 거쳐 지방 권력자에게 전달됐다. 이 몫은 보통 5가구 당 2근의 비율로 계산됐기 때문에 이를 '계관오호사호(系官五户丝户)'라고 불렀다. 포은은 열 가구당 40냥의 은전을 바쳐야 했으며, 거기에 추가로 봉차라 하여 매 4냥 마다 한 냥씩 관리들에게 월급으로 줄 돈까지 백성들이 따로 바쳐야했다. 조세 기준과 납부액은 호적 등록 순서, 성인 남녀의 수, 가계의 재산 및 기타 상황 등에 따라 정해졌다.

남중국에서는 조세 제도가 완전히 달랐다. 송나라를 멸망시킨 원나라는 북중국에서 쓰는 세량과 과차 제도를 도입하지 않았다. 대신 남송의 옛 관례를 따라 여름과 가을에 세금을 징수했으니 이를 각각 하세와 추세라 한다. 개중 추세가 더 중요했는데 기본적으로 곡물을 바치는 것이었지만 현금을 내게 하기도 했다. 추세를 걷는 통일된 기준은 없었고 지역마다 편차가 상이했다. 하세는 추세에 거둬들인 세액을 기준으로 했으며 역시 곡식으로 냈지만 일정 비율로 현물이나 현금으로 받았다. 처음에는 추세만을 거둬들였다가, 쿠빌라이 때부터 강동과 저장성 서부 일대에서 하세도 추가로 걷기 시작했고 저장성 동부, 복건성, 호광성은 1296년이 되어서야 하세를 걷었다. 강남에도 사료나 포은 제도를 시행하긴 했지만 그 범위도 국소적이었고 시행기간도 짧았다.

염세, 즉 소금세는 국가 세수의 절반을 차지했다. 소금 생산은 국가가 독점했으며 정부는 제염업자들에게 생산비를 지불하고 그 대가로 전국의 모든 소금들을 통제했다. 소금밭과 근처 일대는 식염지(食盐区)로 지정해 따로 관리했고, 정부는 소금을 판매하는 기관을 만들어[27] 가구 수에 따라 돈을 받고 소금을 판매했다. 소금 상인들은 소금 판매 허가를 받기 위해 나라에 세금을 바치고, 염전에 가서 소금을 가져온 다음 소금 판매를 하도록 정해진 구역에 가서 소금을 팔았다. 소금이 가장 주요한 독점품이었지만 원 조정은 소금 말고도 여러 자원들을 독점했다. 금과 은, 구리, 옥, 철, 초산, 알칼리, 대나무, 목재 등 지방 특산품들은 모조리 정부가 생산을 통제했다. 개중 벌목 분야에서는 총괄부, 공제부 등의 부서를 만들어 민간 업자에게 돈을 받고 용역을 주거나 민간이 자체적으로 생산하게 냅두고 일부를 징수해가는 방법으로 세금을 걷었다.

기타 세입에는 차에 물리는 차세, 술과 식초에 물리는 주초세, 그리고 온갖 잡다한 것들에게 물리던 액외세 등이 있었다. 상업세도 중요한 국고 수입원들 중 하나였다. 노동력을 강제로 징발하는 부역도 빼놓을 수 없었다. 주로 건설, 치수, 운송 등등 온갖 사업에 백성들을 갈아넣었다. 원 초기에는 둔전을 경작하는 민간인들만을 대상으로 부역을 물리다가 나중에는 점점 확대되었다. 부역을 배정할 때에는 해당 가구의 재산에 따라서, 부유한 사람들 먼저 부역을 배정하고 가난한 사람들이 마지막이었다. 성종 때 부역법이 개정되며 부역 대상자들과 노역범위가 크게 확대되어 백성들의 부담은 갈수록 늘어났다.

7.6. 상업과 무역의 발전

파일:42a98226cffc1e178a82d61233c7e103738da97743c2.webp 파일:중국 운하.jpg
<rowcolor=#fff> 원나라의 대운하 대운하 실제 모습
원나라가 오랫동안 분열되어 있던 중국을 통일하면서 대운하가 다시 뚫렸고, 바닷길이 다시 열렸으며 전국에 역참이 설치되면서 중국의 운송업과 무역은 빠른 속도로 발전했다. 300년 간 남북으로 갈라져있던 중국이 하나로 통일되며 남북 간의 경제적 교류가 더욱 확대되었다. 수도 대도에 필요한 식량과 물자 대부분은 장강 이남의 풍요로운 강남 지방에서 수입해왔다. 육로는 너무 시간이 많이 걸려 수로를 통해 물자를 이동시켰는데, 이전 운하들은 너무 구불구불해서 비용과 노동력이 많이 들었다. 이를 인지한 쿠빌라이가 수도 대도와 항저우를 직통으로 잇는 대운하를 재개통하고 바닷길을 다시 열기로 결정했다.

원나라는 옛 수나라의 대운하를 일부 재사용하고, 새로운 구간을 뚫어 빠르게 강남의 물산을 대도로 끌어올 수 있게 만들었다. 또한 바닷길은 근해를 이용한 해상운송을 의미했다. 재상 바얀이 남송의 수도 임안으로 가서 황실 보물고에서 지도와 책을 가져오면서 처음 해상운송을 이용했고, 30년 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완전한 수송루트를 뚫어내는 데에 성공했다. 운하와 해로의 사용은 상업의 발전, 수도 대도의 번영, 남북 교통 원활화, 조선업의 확대, 항해 기술의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운하가 개통된 후 매년 500만 석 이상의 쌀이 대도로 운송되었고 수많은 사람들이 남쪽에서 대도로 올라왔다. 원나라 중기에는 해상으로 운송된 쌀의 양이 200만 ~ 300만 석에 이르렀고 1329년에는 3,522,163석에 달했다. 운하를 통한 운송은 육로에 비해 30~40% 저렴했고 바닷길을 통한 운송은 육로에 비해 70~80% 저렴했다.

육상 교통도 잘 갖추어진 편이었다. 전국에는 1,500개가 넘는 역참이 있었고 개중에는 일부 수참(水站)[28]도 있었다. 역참에는 역참꾼들이 근무했다. 역참을 보조하는 것이 바로 급송포(急递铺)로 매 10리, 15리, 혹은 20리마다 설치되어 조정과 군현의 문서들을 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이 역참로는 북쪽으로는 키르기스스탄, 동북쪽으로는 아무르강, 남서쪽으로는 티베트대리국, 서쪽으로는 킵차크 칸국일 칸국까지 뻗어있었다. 역참은 그야말로 원나라 곳곳에 뻗어있는 혈관으로서, 행정효율화와 함께 제국 내부 다양한 민족과 문화들이 하나로 섞이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원나라의 상업은 정부와 귀족, 관료와 색목인들이 꽉 휘어잡고 통제했다. 정부는 금, 은, 구리, 철, 소금 따위를 독점해 직접 운영했고 차, 납, 주석은 상인들에게 판매해 이득을 봤다. 술, 식초, 대나무, 목재 등 지역 특산품들은 유통과 판매를 민간인들에게 위탁하는 대신 이윤 일부를 징수해갔다. 유교 성향이 약하고 옛날부터 중원과 교역해온 터라 상업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몽골인들이 주축이 된 원나라였기에, 황실과 귀족, 관리, 사찰들도 저마다 부여받은 특권을 활용해 직접 장사에 뛰어들었다. 특히 색목인들은 자본이 충분하고 사업수완이 능숙해 수많은 대상인들을 배출했다.[29]
파일:42-63421204_1024x1024.webp 파일:Marco_Polo_Mosaic_from_Palazzo_Tursi.jpg
<rowcolor=#fff> 쿠빌라이를 알현하는 마르코 폴로 마르코 폴로
정부가 직접 해외 무역을 통제했다. 1277년 취안저우, 상하이, 원저우, 항저우, 광저우 등 해안도시들에 시박사(市舶司)를 설치했고 외국 상선들이 입항할 때에는 반드시 시박사에서 공식 증명서를 발급받아야했다. 주로 생사, 비단, 금은, 삼베, 면포, 화병, 도자기,[30] 철기, 칠기, 약재 따위를 수출했고 해외 특산품, 상아, 코뿔소 뿔, 다이아몬드, 향신료, 목재 따위를 수입해왔다. 전반적으로 원나라의 해외 무역은 크게 번영했다. 대도는 중국에서 가장 거대한 대도시로 마르코 폴로 '칸발리크는 도시 안팎으로 인구가 많고, 여러 개의 성문과 교외가 있어 전세계에서 온 외국인들이 이 교외에 살고 있다... 이들은 궁궐에 조공을 바치거나 물건을 팔러왔다. 도시 안팎에는 웅장한 저택들이 있어 어떤 것들은 귀족의 집, 어떤 것들은 상인들의 집이었다. 각 나라마다 고유한 주거구역이 있었다...' 라고 감탄어린 후기를 남겼을 정도.

당시 원나라는 전세계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풍부한 물산이 밀려들어오는 교역의 중심지였다. 각지에서 온 화물이 끊임없이 오갔고 비단만 해도 매일 수 천대의 수레가 도시를 드나들었다.[31] 수도 대도는 물론 항저우, 쑤저우, 광저우, 취안저우, 양저우, 전장, 카이펑 등 대도시들은 호황을 누렸다. 정부와 황실, 귀족과 대상인들이 상업을 주도했다. 정부는 금, 은, 구리, 철, 소금, 차, 수은, 명반, 납, 주석, 술, 식초 등을 전매해 짭짤하게 이윤을 챙겼고 사찰, 도관도 상업에 뛰어들었으며 왕공, 후궁들, 공주, 부마, 대신들도 하인들을 시켜 장사꾼 노릇을 했다. 당시 만호(萬戶)[32]가 되는 것보다 회화 서쪽에서 소금을 팔아 돈을 버는 것이 낫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였으니 얼마나 대상인들이 부귀영화를 누렸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쌀, 밀, 비단, 면포,[33] 도자기 따위가 강남에서 북쪽으로 옮겨왔고 반대로 서쪽의 진귀한 특산물, 북방의 토산물 등이 강남으로 내려갔다. 원나라는 소금, 술, 차, 대나무, 목재 등 대다수 일용품들을 전매해 엄청난 이윤을 올리며 국내 무역을 활성화시켰지만, 반대로 해외 무역에도 소홀하지 않았다. 원나라 시대에 대외 무역이 크게 번창했는데, 정부가 해외무역을 주도했고 한족은 해외무역이 금지됐다.[34] 원나라의 수출입 상품들은 송나라의 것과 거의 비슷했는데, 딱 하나 노예무역만이 달랐다. 당시 원나라에서는 노예무역이 꽤 성행했고 흑인 노예나 한반도 출신 노예들까지 사고팔았다고.

생산력 증가를 토대로 상업 대도시들이 발전을 거듭했다. 옛 남송의 수도 임안은 이때 항저우로 개칭되었는데, 남송 멸망 이후에도 항저우의 성세는 사라지지 않았다. 북쪽의 사람들이 항저우로 이주해오면서 오히려 인구가 늘어났고 강절행성의 성도로 번영을 누렸다. 항저우 일대는 역참이 가장 많은 지방에 속했고 해로와 육로 운송이 편리하여 가장 중요한 해외무역항 중 하나로 꼽혔다. 강절행성은 전국의 행성들 가운데에서도 단연 세입 1위의 부유한 지방이었다. 수많은 외국인들이 모여들었고 심지어 이집트인과 튀르크인들도 있었다. 항저우 다음으로 부유했던 곳이 취안저우였다. 동양 최대의 항구였던 취안저우는 항저우에 이은 세입 2위의 대항으로 유명했다.[35] 수도였던 대도 역시 정치, 군사 중심지이자 북중국 최고의 경제 중심지로 세계적으로 거대한 대도시였다.

8. 사회

8.1. 철저한 신분제

파일:몽골 카스트.png
<rowcolor=#fff> 원나라 사회 계급도[36]
원나라의 통치는 영주분봉제로 기본적으로 봉건적인 신분제 사회였다. 원나라는 몽골인 → 색목인 → 한인 → 남인 이렇게 계급순으로 구성된 신분 제도를 실시했는데, 이때 한족들은 3~4 등급의 피지배층으로 분류되어 생활했다. 여진인이나 고려인은 한인 계급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원나라에서는 호적상 이들의 신분층을 계관호(係官戶)와 투하호(投下戶)로 나누었는데, 투하호는 귀족에게 사적으로 배속된 백성들이었다. 이들은 모두 양민층이었으며 노예층은 '구구'라고 따로 불리었다. 원나라는 세수를 늘리기 위해 이런 노예들을 해방시켜 양민층으로 만들려고 했다. 이 외에는 대략 다음과 같다.
  • 원나라의 법률은 "'노예(구구 驅口)는 물건과 같다"'라고 규정했는데, 주인은 임의로 노예를 매매하거나 증여할 수 있었다. 또한 원나라에는 인시(人市)라는 이름의 노예시장이 존재했는데, 여기서 노예들을 사고 팔 수 있었다. 원나라의 중급 관리는 100명 이상의 구구(노예)를 보유했고, 대사장(大使長, 노예주)의 구구는 수천, 수만 명이었다. 쿠빌라이 칸의 총신인 아하마의는 구구 7천여 명을 보유하고 있었다.
  • 20가구를 1갑(甲)으로 편성했으며, 각 갑마다 한 명의 갑주(甲主)를 두었다. 갑주는 몽골인으로, 20가구가 1명의 몽골인을 먹여살려야 했다. 이 갑주는 반란이 일어났을 때 최우선적으로 즉결 처분되었다.
  • 새로 결혼하는 한족 여성에 대한 초야권, 즉 여자 노예가 결혼할 경우 영주가 먼저 여자와 동침하는 권리가 실존했는지에 대해서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 반란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조치를 취했다.
  • 여러 사람이 모여서 집회를 열지 못하도록 했다. 열더라도 대부분 어용 집회였다.
  • 한족은 무기류를 일체 가질 수 없었다. 10가구에 하나의 부엌칼을 가질 수 있게 했다. 중국 요리들 중에서, 커다란 밀가루 반죽 덩어리를 칼로 조금씩 잘라가면서 나온 조각을 삶아서 면을 만드는 방식인 도삭면이 이때 처음 나왔다. 요리용이라도 함부로 칼을 소지했다가는 목이 달아났으므로, 굴러다니는 쇳조각으로 밀가루 반죽을 잘라서 면을 만들어 먹던 것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무술을 배우거나 사냥을 하는 것은 금지되었다.
  • 아궁이에 불을 지피는 것은 몽골족의 동의를 받은 후에 가능했다.
  • 노예는 사유물로 그 재산은 주인 마음대로 언제든지 빼앗을 수 있었다.
  • 전부는 아니지만 노예인 한족에 한해 전통적인 한족 성명을 가질 수 없었다. 이는 원나라의 몽골인 관리들이 한자를 잘 몰랐기 때문인데, 한 예로 어느 몽골인 관리는 한자로 숫자 칠의 획을 왼쪽으로 쓰는 바람에 주변으로부터 무식하다고 비웃음을 받았던 일화도 있었다(...). 그래서 몽골인들은 출생 일자를 가지고 이름을 삼은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주중팔이었다. '중팔'(重八)은 8이 중복된다는 뜻으로, 즉 88을 의미했다. 주원장의 출생 당시 아버지가 46세, 어머니가 42세였으며 이를 합하면 88이기 때문에 중팔이라는 아명을 받았다.주팔팔
  • 과거제도에 있어서도 계급별로 할당량을 정해두어 최하 계급인 남인의 경우는 과거에 급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다 이런 현실로 인해 원나라 시대의 남인들 중에서 문인들은 과거시험을 공부하지 않고, 대신 생계를 위해 희곡 대본을 썼다. 그래서 원나라 시대에 잡극(雜劇)이라 불리는 희곡들이 줄을 지어 나왔다.
  • 《몽올아사기》(蒙兀兒史記)에서도 4등인제가 언급되고, 서방 수도사 오도릭의 글에도 한족을 차별하는 정책적인 도구인 보갑제가 등장한다. 또한 직종에 따라서 10등급으로 나누었다. 관리, 아전, 도사, 승려, 의사, 기술자, 목공, 창녀, 유생, 거지가 그 순서다. 이것은 정사초의 《대의략서》란 글에서 나온다. 그런데 이 정사초가 반몽감정을 아주 강하게 가졌던 전형적인 인종차별주의자라 《대의략서》란 글 자체에 차별주의적인 논조가 스며들어 단지 제색호의 나열에 불과한 것이 사회적 신분의 서열로 탈바꿈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출처: 몽골제국과 세계사의 탄생-김호동). 또 원대 중기부터 과거가 시행되었는데 이전에 비해 유학적 지식보다 실무행정이 중시되었다. 이러한 실무 중시 경향은 원나라뿐만 아니라 금나라와 신법 이후의 송나라에서도 그랬다.잡과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당시 원나라의 인구비를 살펴보면 몽골인 100만 명, 색목인 수백만 명, 한인 1천만 명, 남인 6천만 명가량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아무리 몽골군이 강하다고는 해도 몽골인만으로 6천만 명을 지배하기란 너무 힘든 일이라 제2계급인 색목인을 활용했다.

고려인은 원나라 초반에는 지위가 높은 편이 아니었으나 고려가 부마국이 되고 난 뒤 세월이 지날수록 지위가 나아졌다. 때문에 고려인만을 대상으로 뽑는 과거제도인 괴과(魁科)를 시행하기도 했고, 여기서 장원급제한 전원발같은 경우는 병부상서까지 오르는 일도 있었다. 나중에 벼슬을 그만두고 고려로 귀국할 때 당시 황제인 원혜종이 소원을 들어주겠다고 하자 고려의 공물을 줄여달라고 답했고, 황제가 이를 들어주어 고려의 공물 상납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 밖에 이곡, 최해 같은 이들이 원나라 과거에 급제하는 등 고려인 관리도 드물지 않게 있었다.

사서를 보면 몽골인들이 군사 부문 외엔 행정에서 별로 한 것이 없는 나라다. 그래서 본질적으로 점령지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 상당히 위태로웠다. 비유하면 군대는 있으나 경찰이 없어서 몽골인이 적대적인 점령지에 소수로 여행을 다니기에는 매우 위험했다. 조공을 바치면서도 자기들끼리는 대놓고 몽골인을 '타타르'라고 부르며 경멸한 러시아 같은 지역들은 몽골인을 죽이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겼기 때문에 안전책도 없이 갔다가는 사망 확정이었다. 몽골 제국을 고평가하는 학자들은 "처녀가 금화 자루를 갖고 홀로 카라코룸에서 사라이까지 여행해도 아무 일이 없었다."라는 기록만 갖고 몽골의 치안이 좋았다고 주장하나, 이 기록은 몽골 제국 측에서 기록한 것이고 역참들이 지키고 있는 대로에만 해당한 것이다. 유목민이 선조인 나라들을 봐도 특이한 케이스다. 물론 농경국가적 성격이 있는 경우다. 몽골의 경우도 해당되는 것처럼 보이나 구체적인 예를 들어 만주족몽골인을 비교하면 몽골인 쪽이 밀리는데 사실 묶어서 분류하기에 원나라는 너무 특이한 나라다.

명목상으로는 몽골인이 중요한 행정적 위치를 가지고 있었으나 몽골 제국에서 여러모로 우대를 받던 색목인들의 기록에서는 잉여다. 물론 페르시아인처럼 몽골인들에게 털린 사람들도 있어서 폄하로 볼 수도 있으나 거란족인 야율초재의 기록에서도 마찬가지다. 더구나 반론을 하려고 해도 몽골 출신의 학자나 심지어는 글을 제대로 알던 사람도 극히 적기 때문에 반론도 거의 불가능하다. 학문적 스펙이 뛰어나지 않았던 사람들도 좋은 결과를 낸 적이 있다고 주장할 수도 있으나, 일단 학문을 알아서 학문적 능력을 기른 사람들이나 그렇고 몽골인들은 학문 자체를 모르니 답이 없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학적 업적을 남기려면 일단 학벌이 좋지는 않아도 수학을 배워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몽골인은 자기가 직접 학문하는 것보다 다른 민족들을 이용하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에 통수를 맞을 위험이 항상 있었다. 이런 문제점 때문이라도 메이저 민족들 중에서 유목민 출신 선조들을 가진 경우를 살피면 유목민들도 본인들이 어느 정도 학문에 관심을 갖고 국가를 운영한다. 중국의 후대 유목민계 왕조인 청나라도 지배민족인 만주족이 적극적으로 학문을 연구했다. 인도의 무굴 제국과 유럽 및 중동의 오스만 제국도 마찬가지였으며, 원나라가 특이한 케이스였다. 원나라는 특이하게도 세계를 정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으면서도 자기가 직접 공부하는 것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사람들이 운영하던 국가였다. 다만 각 지역에 동화된 이후에는 지역문화에 능통해진 몽골인들도 많았으니 일반화는 다소 위험하다.

한편 유복형은 고려인 홍다구와 함께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 선봉장으로 섰기도 하였다. 또한 중국 중세사의 권위자로 손꼽히는 프린스턴대의 Frederick W. Mote 교수에 의하면 부유하고 영향력 있는 몽골인들이 다수 존재한 반면 가난하고 착취당하는 몽골인들도 더 많이 존재했다고 한다. #

8.2. 한족에 대한 탄압

중국의 기록에 따르면 정복활동 초기에 몽골 제국은 한족들을 모두 죽이고 그 땅을 빼앗아 논밭을 목장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그러자 야율초재의 "근데 얘들 죽이면 세금은 어디서 걷는단 말입니까?" 이 한마디에 그만두었다고 한다. 이를 통해 당시 몽골 제국에는 세금이라는 개념이 없었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스기야마 마사아키(杉山 正明) 같은 학자들은 이 기록이 거짓일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한다. 몽골족들도 세금의 중요성을 알고 있었고, 도시 한두 곳도 아니고 화북의 그 많은 사람들을 다 죽인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는데 그런 계획을 했을 리가 없었다고 한다. 칭기즈 칸은 생전에 몽골족이 아닌 이민족이라도 자신을 따른다면 관대하게 받아주었다. 이는 단순히 창업군주로서의 비범함뿐만 아니라 건국 초기에 국력을 키우기 위한 방법이기도 했다. 야율초재가 칭기즈 칸에게 임관했을 때는 엄연히 남송이 건재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한족을 모두 죽이고 비옥한 농토를 목초지로 바꾼다는 것은 그야말로 알아서 멸망을 자초하는 것이었고, 몽골족들은 그런 것을 모를 정도로 무식한 사람들은 아니었다. 목초지 발언은 몰라도, 일단 야율초재에게 거란족의 나라를 멸망시킨 여진족들을 모두 죽여주겠다고 한 말은 진심으로 보인다.

《진여록》(燼餘錄)에 의하면, '원나라가 개국한 뒤에 20가구를 ‘갑’으로 개편하고, 젊고 튼튼한 사람을 ‘갑주’로 하였으며 의복, 음식을 하고자 하는 대로 다 하였다. 동자나 소녀들도 마찬가지였다.' 《칠경록》에 의하면 '몽골인과 색목인의 포로 중 남자는 '노'라 하였고 여자는 '비'라 하였다. 이들을 통칭하여 구구라 하였다.' 왕서노의 《중국창기사》에 의하면 원나라 때 거의 모든 한인이 노예였고 외족(몽골/색목인 등)에 의한 한족 여성 수탈은 전 중국에 두루 퍼졌다고 한다.

일부 중국 학자들은 초야권이라는 법령이 시행되었다는 기록이 없고, 원나라 통치 기간 동안 대칸들은 오히려 순결을 강력하게 장려했다고 한다. 당시 중원 지역에 온 몽골인은 겨우 30만 명에 불과했고, 이들은 주로 군인인지라 편제 유지에 집중해야만 했으며 나머지 지역으로 흩어진 몽골인들의 숫자도 매우 적었다고 한다. #1 #2

강남에서는 남송대부터 터를 잡은 일부 지주층들이 원대에 통제를 받지 않아 사실상의 자치를 행했다. 이들은 관할 구역 내에서 봉건 영주처럼 군림하면서 몽골 정부에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영달을 위해 주민을 농업 생산이나 산업 일꾼으로 부리는 한편 향촌 사회를 유지하며 과거제를 시행하기도 하였다. 이들 중 일부는 훗날 원말 한족 군웅으로 궐기하여 원나라 붕괴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중국 역사의 영어권 권위자인 미카엘 딜런 교수에 의하면 명나라가 건국된 이후 한족들이 얼마나 치를 떨었는지 몽골 문화의 영향력을 낮추기 위해 몽골인 남성들과 색목인 남성들 수백만 명을(Israeli, Raphael (2002). Islam in China.) 한족 여성과 강제결혼을 시켰을 정도라고 한다. # 반대로 몽골인 여성들과 색목인 여성들 또한 한족 남성과 강제결혼을 당했다. 서울대학교 김호동 교수의 논문 《팍스 몽골리카와 중국》에 의하면 일본학자 후나다 요시유키(舩田善之)가 '색목인'이라는 명칭을 연구하면서 색목인이라는 명칭은 한족을 차별하기 위한 구분이 아닌 구별을 하기 위함이라 하면서 나아가 4등인제에 오해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김호동 교수는 이 설에 호의를 보이면서도 '이러한 견해는 이제까지 색목인에 대한 이해가 몽골 지배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의 영향을 받은 것을 극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동시에 몽골인, 색목인, 한인, 남인이라는 구분이 처음부터 민족 차별을 위해서 도입된 분류는 아니었지만, 현실적으로 한인이나 남인에 비해 색목인들에 대해 우대정책을 폈던 것은 부인할 수 없다'라고 말하며 한족이 차별받았음을 언급하고 있다.

원말, 주원장을 비롯한 여러 실력자들이 강남에서 자기들끼리 싸우느라 원나라를 칠 여력을 확보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유복형이나 조양필 등 한족 간부들도 원나라 황실을 위해 많이 봉사하곤 했다. 특히 유복형은 고려인인 홍다구와 함께 원나라의 일본 원정에 선봉장으로 섰다.

한족을 정복왕조 내의 다른 백성들처럼 대하지 않고 하층 계급으로 강제편입시킨 것은 원나라가 유일하다. 그런데 의외로 원명교체기때 원나라에게 끝까지 충성을 다한 한인 사족들도 굉장히 많았다. 중앙의 조정이 몽골인과 색목인 위주로 구성되었던 것과 달리 사실 원나라의 지배체제는 기본적으로 향촌 자치적인 성격이 매우 강했다. 즉, 자신들에게 바칠 것을 바치면 향촌 세력가들이 그들이 장악하고 있는 향촌을 어찌 다스리든지 방관하는 자유방임적인 통치체제였던 것이다. 즉 향촌의 사족들이 사실상 동네 왕 노릇을 할 수 있는 구조였던 것이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원나라가 대도를 버리고 막북의 초원으로 후퇴한 시점에서도 끝까지 따라가서 충절을 지킨 한인 관료들이 많았고, 원나라의 통치를 그리워하는 사족들이 많았다. 게다가 몽골인들이 자기들 마음에 든 사람들에겐 대우를 해줘서 그렇다. 그래서 뭔가를 받은 사람들은 의외로 충성했다. 몽골은 고작 병졸들의 첩을 마련해주기 위한 목적으로 결혼도감 외에 과부처녀추고별감이라는 관청도 두었는데, 훗날 귀부군행빙별감(歸附軍行聘別監)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원(元)에서 양중신(楊仲信)을 파견하여 폐백(幣帛)을 가지고 와 귀부군(歸附軍)(몽골에 귀부한 남송군) 500인의 아내를 구하게 했다. 왕이 과부처녀추고별감(寡婦處女推考別監)인 정랑(正郞), 김응문(金應文) 등 5인을 여러 도(道)로 파견했다. > ㅡ 《고려사》 <세가> , 충렬왕 2년(1276), 3월 29일 ㅡ
【《고려사》 <세가> 기사 】
한족들 중에서 원나라를 그리워한 사람들이 의외로 많았던 또다른 이유는 비록 원나라가 한족들이 오랑캐라고 혐오하던 몽골족이 세운 나라이기는 했지만, 한족들이 배운 유교 문화에 의하면 어쨌든 원나라는 중국을 통치했고, 원나라 황제는 중국의 군주였기 때문에 충성해야 한다고 가르쳤기 때문이다. 그래서 훗날 원나라를 북쪽으로 쫓아낸 명나라의 태조 홍무제 주원장과 서달조차 "원나라의 마지막 황제는 비록 오랑캐에 불과하지만, 어쨌든 우리의 황상이었던 사람이다. 중원을 오랫동안 통치해왔다. 즉, 그는 합법적인 통치자였다. 어찌 체면을 살려주지 않을 수 있겠는가. 만일 정말 그를 붙잡는다면, 어떻게 그를 처리해야 할 것인가? 이 전임 황제에게 땅을 하나 떼주어야 하는가? 아니면 죽여버려야 하는가? 그를 풀어주는 것이 가장 좋다."라고 말했을 정도였다. #

9. 종교

파일:yuan_emperor_tibetan_buddhism.jpg 파일:yuan_concubines_tibetan_buddhism.jpg
<rowcolor=#fff> 티베트 불화에 그려진 명종 황제와 후궁들[37]
국교는 티베트 불교였는데 라마교라고 불리기도 했다. 티베트 불교는 동아시아 국가들인 대한민국, 중국, 일본에서 성행한 밀교와는 전혀 다른 후기 밀교였고, 탄트라 좌도 밀교였다. 티베트 불교(후기 탄트라 좌도 밀교)는 한국, 중국, 일본에는 전파된 적이 없는 종교였는데, 딱 원나라 시기에만 중국인들에게 전파되었다. 원나라의 경우, 중국 대륙에 존재한 몽골계 국가였기 때문에 당시 중국에 티베트 불교(좌도 밀교)가 성행했고, 원나라가 사라지자 중국에서도 티베트 불교가 사라졌다가, 나중에 청나라가 들어서면서 몽골인티베트인이 중요한 대접을 받다 보니 다시 중국에 티베트 불교가 활성화되었다. 다만 몽골 초원에 본격적으로 티베트 불교가 전파된 것은 원나라의 붕괴 이후인 알탄 칸 시기였다.

티베트 불교는 모든 종교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대접을 받았다. 황제들은 대도에 선정원(宣政院)을 세워 전국의 티베트 승려들을 감독하도록 했고, '황제의 스승'이라는 뜻의 제사(帝师)를 따로 두어 극진하게 모셨다. 쿠빌라이가 라마교 4대 종파들 중 오직 사캬파에만 관심을 가졌기에 다른 3대 종파들은 그에 비해 취급이 좋지 못했다. 총 14명의 사캬파 지도자들이 제사의 지위를 거쳐갔고 이들은 황실의 총애를 등에 업고 엄청난 권력과 사치를 누렸다. 1300년대 이후부터는 몽골 귀족들의 후원으로 수많은 티베트 원문 경전들이 몽골어로 번역됐고, 티베트 사찰들은 몽골 황실과 귀족들의 엄청난 기부 덕택에 날로 몸집을 불려나갔다.

기본적으로 종교에 대해 자유방임적인 입장을 취했던 원나라였지만 티베트 불교에 대해서는 유독 더 그 관용도가 심했다. 원나라는 승려들에게 병역과 세금 면제 혜택을 부여했다. 하지만 이는 범죄자들이 승려로 출가해 처벌을 회피하고, 민가로 내려와 행패를 부리는 부작용을 낳았으며 이는 원나라 말기 사회 불안정에 크게 일조했다. 티베트 승려들은 무기를 소지할 권한이 일부 인정되어 1278년 금정(鎭定)에서 열리던 법회에서 백성들을 죽도로 패서 원성이 자자하다는 기록이 있었고, 오죽 이런 사례가 많았으면 원 조정이 수시로 티베트 승려들에게 여행 중 주민들을 괴롭히지 말라고 경고해야 할 정도였다. 티베트 승려들은 나라 소유의 역참 제도를 사사롭게 쓰는 경우가 많았다.

티베트 승려들을 관리하는 기관 선정원은 1309년 승려를 때린 자는 손을 자르고, 승려를 모욕한 자는 혀를 자른다는 엄청난 내용의 칙령을 반포했다. 지나치게 과도한 법이라 황제마저 우려를 제기해 곧 폐지되었으나 당시 티베트 승려들의 위세를 짐작가능케 한다. 티베트 승려들은 같은 불교도들 사이에서도 특별한 위치였던지라 황궁에 입궁할 때에도 마치 왕처럼 무례하게 위세를 부린다고 불평이 많았다. 중국의 기존 대승불교 종단들은 티베트 불교를 불쾌하게 여겼는데, 이는 티베트 불교 특유의 성적인 탄트라 의식 때문이었다. 티베트 불교는 성적 결합이 깨달음으로 가는 방편이라 여겨 성적인 탄트라 의식을 거행했는데, 대승불교 입장에서는 이는 전혀 이해할 수 없는 타락한 행위였기 때문.[38] 심지어 황제의 스승이라는 황사(皇師)가 마하칼리 여신에게 인간의 심장을 바치는 의식을 거행하자 대승불교계가 직접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9.1. 이슬람의 유입

파일:The_South_Mosque_of_Jinan_2009-03.jpg 파일:pax-mongolica-2.jpg
<rowcolor=#fff> 지난의 대모스크[39] 실크로드로 이동하는 무슬림 상인들
원나라 시기는 서쪽과의 교류로 수많은 종교들이 흥성하던 시대였다. 유교불교 같은 기존 종교들은 물론이고 심지어 이슬람교마니교, 기독교 등 다소 생소했던 종교들도 원나라 아래에서 교세를 떨쳤다. 특히 이슬람의 확장이 눈여겨볼만 했다. 서쪽의 일 칸국차가타이 칸국 등이 이슬람화된 것과 달리 원나라는 이슬람화되지는 않았으나 중앙아시아의 색목인들이 관료로 기용되며 이슬람의 영향력이 자연스레 커졌던 것이다. 수적으로 압도적인 한인들을 믿을 수 없었던 원나라 조정은 차라리 중앙아시아의 무슬림들을 더 선호했고 반대로 부하라 일대에 몽골 관리들을 파견하는 경우도 있었다.

서아시아 출신 무슬림들의 지위는 높은 편이었다. 역대 중화 왕조들 중 원나라만큼 무슬림들을 중용한 왕조가 없었다.[40] 무슬림 페르시아인들과 아랍인들이 기존의 유학자들을 제치고 고위 관직에 올랐다. 원나라 황제들은 무슬림들을 수입해 중용함으로써 한족들을 배제시켰다. 쿠빌라이 재위기 원나라에는 총 12개의 행성이 있었고, 행성마다 총독과 부총독을 두었는데 개중 8명이 무슬림이었다. 나머지 행성에서도 무슬림이 부총독을 맡았다. 중국의 무슬림 인구는 9세기 5만 명에서 14세기에는 400만 명으로 훌쩍 증가해 중국 내에서 가장 거대한 비-한족 집단으로 성장했다. 원나라 사서에는 1만 여개에 달하는 무슬림 이름이 기록되어 있을 정도였다.

무슬림들은 주로 조세, 재무, 기술, 과학 등을 담당했다. 쿠빌라이는 페르시아인들을 대도로 데려와 달력과 역법 제작을 맡겼고 천문대를 세워 하늘을 관측하도록 했다. 특히 선진적이었던 아랍의 의학을 받아들이는 데에 열심이었다. 아랍 의학과 해부학, 약리학, 안과학이 널리 퍼졌다. 알코올 중독과 통풍으로 고생하던 쿠빌라이는 무슬림 의사들을 높이 대우했다. 이 시기에 이븐 시나가 집필한 '의학정전'이 중국어로 번역되었고 이를 재해석해 '회회요방(回回要方)'이라는 책으로 출판하기도 했다. 기술면에서는 무슬림 공성 기술자 이스마일과 알 알딘이 '회회포'를 개발해 양양 전투에서 지대한 공헌을 세웠고, 취안저우 같은 대항구에서는 무슬림 세리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유명한 여행가 이븐 바투타마르코 폴로 등이 찬탄했던 곳도 이 원나라 제1의 항구이자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항구였던 취안저우였다.[41]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원나라의 수도 칸발리크를 설계한 사람도 무슬림이었다. 아랍 핏줄의 유명한 건축가 아미르 알딘이 쿠빌라이의 명령을 받아 새로운 계획 도시를 설계했던 것이다. 1264년부터 성벽 축조를 시작했고 황궁은 1274년부터 짓기 시작했다. 칸발리크는 주례에 따라 9경9위(九經九緯), 좌묘우사(左廟右社), 면조후시(面朝後市)의 원칙을 철저히 지켜서 지어졌다. 이렇게 거대하게 지어진 칸발리크는 1270년대 이래로 100여 년 동안 원나라의 수도로 쓰였다. 워낙 대공사라서 1293년이 되어서야 도시의 공사가 다 끝났다고 한다. 1368년 명나라가 칸발리크를 점령한 뒤 원나라 황궁을 불태워버렸고, 그 해에 이름도 베이핑(北平)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원나라가 이슬람에 무조건적으로 호의적이었다고 보기는 힘들었다. 칭기즈 칸과 그 후계 칸들은 할랄 같은 이슬람 풍습을 경멸해 몽골식 식습관과 풍속을 강요했다. 칭기즈 칸은 무슬림과 유대인을 대놓고 '노예'라고 부르며 경멸을 숨기지 않았고 몽골의 방식을 따라야 한다고 명령했다. 무슬림들은 을 도축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양을 죽이려면 비밀리에 죽여야만 했다. 할례도 당연히 금지당했고, 유대인들 역시 코셔 푸드가 금지되어 몽골식 음식과 풍습을 강요당했다. 당연히 무슬림들의 반발이 상당했고, 결국 무슬림들은 이스파 반란[42]을 일으키거나 명나라를 도와 원나라를 몰아내는 데에 적극 참가하며 원나라의 붕괴에 한몫했다.

10. 행정

원나라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앙
행중서성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특수 행성
}}}}}}}}}
파일:yuan admin.png
<rowcolor=#fff> 원나라의 행정구역
역대 중국 통일 왕조들 중 청나라와 함께 가장 영토가 넓었지만 행정력은 가장 취약했다. 그야말로 군현제를 1,000년 전 봉건제로, 근세기 중앙집권국가를 중세 봉건제도로 되돌린 수준이었다. 사실 이것이 멸망의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했다.

원나라의 지방 행정 제도에서는 중서성이 승상부 역할을 맡아 전 지역을 총괄한다. 중앙의 중서성은 지방의 행성들과 동일하게 수도 인근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던 곳으로 원칙상 중서성의 승상과 행중서성의 승상은 '동렬'에 위치했다. 그러나 울루스의 수장인 대칸을 바로 옆에서 보좌하기에 어느 정도의 입김이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중서성 아래에 11개 행성을 하남, 강남, 섬서, 사천, 요양, 감숙, 운남, 영북, 정동에 두어 지방을 통치했다. 여기서 '정동'이란 한국사에서 나타나는 '정동행성'을 말한다. 정동행성은 일본 정벌을 위해 설치한 기관이었지만 2차례의 일본 정벌이 무산된 이후에도 존치되어 고려 내정을 간섭하는 기관으로 기능했다. 이름에서 보이듯이 이 기관은 원나라의 지방 관청 형식을 띠고 있었기 때문에 당시 한반도가 원나라의 영토였는지 아니면 고려가 그대로 존속했으되 심하게 간섭만 받았는지 여부를 논할 때 정동행성의 성격은 매우 중요하게 거론된다.

그 지역의 3분의 1이 정복 활동 도중에 분봉된 왕공제후들 및 정복전쟁 당시 원나라에 붙은 군벌들의 영지가 되어 곳곳에 왕부가 설치되었다. 이들 지역에 대해 원 황실은 간섭은 할 수 있었어도 통치는 사실상 하지 않았다. 그러니까 징세, 징병, 행정력 행사도 불가능하지는 않았지만 하기 힘들어 중앙집권보다 봉건제에 가까웠다. 이건 현대의 기준에서 봐도 자치국이나 마찬가지다. 거기다 중서성 관할 지역에서도 왕공제후들 및 귀족들의 영지가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그리고 전국에 정규군을 배치했다. 화북에는 4개 몽골 도만호부를 배치했는데 만호들을 총괄하는 군단급. '몽골'이란 이름이 붙어있는 데서 알 수 있듯 이들은 몽골인이었다. 병력 정수 60,000~70,000명. 그리고 강남에는 22익을 배치했다. 후광 및 쓰촨 지역에 각각 6익의 한군 만호부를 배치했다. 여기서 1익 = 만호. 단, 사이 사이에 '상만호'라는 도만호부의 절반 수준의 크기를 가진 부대도 있었다. '한군'이라는 데서 알 수 있듯이 계급상 3번째인 한인으로 구성되었다. 원나라는 남인들을 경계하여 군대에서 이들을 철저히 배제했다. 이런 곳에는 영지까지 분봉시켜놓고 지휘관은 세습이었다. 거기다 이들은 지방 행정 체계인 행성 밖에서 존재했다. 따라서 얼마 못 가 죄다 지방 군벌화되었다.

황실 직할군은 시위 군단과 케식을 합쳐서 1개 도만호부 수준이었다. 여기에 유목민 특유의 문화와 관료제의 미비 등으로 인하여 중앙 정부의 영향력이 특히 더 낮았고, 이 때문에 다른 왕조들처럼 지방 세력의 발호를 억제하려는 시도조차 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일은 쿠빌라이 칸이 남송 원정군을 장악하기 위해 그들에게 이권을 뿌렸기에 가능했다. 쿠빌라이 칸은 왕공제후들의 자제들로 구성된 케식을 인질삼아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은 시궁창. 원 황실은 이걸 통제하기 위해서 열심히 연회를 열어 달랬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했고, 심심하면 반란과 쿠데타가 일어났다.

다만 행정이 미비했다고 하더라도 정보 연결망이 없었던 것은 아니며, 강남의 한족 부호층은 천자만 열 수 있는 과거 시험을 감히 열고 여기에 서생들이 많이 참여하는 걸 알고 있었으나 몽골 지배층은 이걸 그냥 일종의 유치한 코스프레쯤으로 인식했기에 너그럽게 웃으며 넘어가주는 대범함도 있었다. 강퍅한 훗날의 청나라 같았으면 어림도 없는 일이었다. 진정한 우월감에서 비롯된 이런 과감한 관용이 멸망의 원인이라고 보는 엉뚱한 시각도 있다. 청나라 말기에도 청나라에 충성하다가 죽어간 한족 지식인들은 엄연히 존재했다. 단지 원나라만큼은 아니었을 뿐. 청나라도 원나라와는 다른 쪽에서 한족들에게 관용을 베푼 측면이 있으며, 특히 청나라 말기에는 청나라 황실이 외세를 막기 위해 한족들을 고위직에 대거 등용하여 자신들에게 충성하는 한족들을 늘려나갔기 때문이다. 그런 청나라 이상으로 원나라 말기에는 유학적 사고로 무장하여 원나라에 충성하다가 죽어간 한족 지식인들도 생각보다 많았음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원나라의 지배층은 본인들의 이익만 챙기면 남방의 한족들이 자기들끼리 뭘 어쩌고 지내든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본의 아니게 자유방임적인 향촌 자치가 보장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훗날 원나라가 중원에서 쫓겨난 후 명나라 태조 주원장은 이갑제를 도입해서 향촌을 강력하게 통제하려 들었다. 이렇게 원나라에 충성한 한족들 중 살아서 몽골족과 함께 몽골 초원으로 도망친 이들은 몽골족에 동화되어 현대 몽골인의 조상들 중 하나가 되었다.

11. 문화

파일:중국 낙양 2.jpg
<rowcolor=#fff> 중국 최고의 천문대인 허난성 정저우 덩펑시의 관성대 (登封观星台)[43]
근본적으로 몽골 지상주의였으나 청나라처럼 한족의 문화를 탄압하지 않았기에 이 나라도 한족화는 피하지 못해 후대로 갈수록 몽골 귀족들이 중국식 문화에 젖어 몽골식 성명을 중국어로 치환했다. 물론 변발호복은 이 시기부터 북중국에 한해서만 강제했다는 말이 있으나 명목상에 불과했으며, 남중국은 사실상 한족 신사층을 중심으로 자치제를 유지해 터치도 안 하고 내버려 뒀다. 다만 훗날의 청나라는 강남의 한족들까지 호복과 변발을 강요하고 안 하면 참수까지 시킬 정도로 의무화했고 이를 멸망할 때까지 유지했다. 어찌나 심하게 탄압했는지 태평천국 운동 때는 한족들이 변발을 자르기는 했으나 이미 상투가 실전되어 어떻게 묶을지를 몰라서 산발을 하고 다녀야 할 정도였다. 다행인 것은 청나라 때에도 그나마 유학자들과 도사들은 상투를 트는 게 가능했다.

이름만 중국식으로 바꾼 게 아니라 중국의 제도 등을 도입하고, 후대로 갈수록 중국색이 강해지게 되지만 다른 이민족 국가들에 비하면 그 강도가 약했다. 중국 특색을 지양하며, 몽골의 정체성을 강하게 유지하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몽골인의 숫자가 너무 적다보니 유지하기가 매우 까다로웠고 그 성격도 매우 이질적이라서 오래가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었다. 결국 그들의 문화는 그 시대를 지탱하는 데만 유효했다. 그나마 청나라의 만주족과 달리 그 정책 때문인지, 아니면 북방에 근거지가 건재해서인지 나라 자체는 망하지 않고 몽골 공화국으로 계승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물론 그전에 할하, 차하르, 부랴트, 오이라트 등 부족별로 분열되었고 외몽골은 청대에도 반 독립지역으로 놀았기 때문에 독립이 가능했으나 내몽골만주족과 일체화되어 현재까지 중국의 일부로 남아있고 부랴트 역시 일찍이 러시아인들에게 점령당해 자연스레 러시아화가 되었지만 원나라가 남긴 문화적 영향이 꽤 많다. 대표적으로 매우 인기있는 중국인들의 간식인 북경 양꼬치가 바로 원나라와 명나라 때 북경에 잔류한 몽골인들에게서 유래한 것이다. 그리고 명나라 초•중기의 복식도 한동안 몽골식 복장의 영향을 받은 형태였다. 정확히 고려양의 영향을 받은 몽골의 복식이었으며 이것도 명나라 홍치제 시기에 그의 선포로 한족 복식이 전통적인 한푸로 바뀌게 된다. 몽골의 풍속은 베이징의 지역색에도 알게 모르게 영향을 줬으며 베이징의 여러 지명도 몽골인들이 지었다고 한다. 작곡가 가오샤오숭(高晓松)이 방송에서 베이징의 명칭이 촌스럽다는 말에 몽골인이 글을 몰라서 그랬다는 무개념 발언을 했다가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변발과 모자는 청나라대에 널리 퍼졌지만 기원은 원대다. 소소하지만 휴지 문화 또한 원나라 때에 생겼다. 원나라 이전에는 일을 본 뒤 얇게 가공한 나무 조각으로 닦았다고 하며 또한 북방 중국인(북부 한족)의 혈통에는 적잖이 북방계(몽골) 혈통이 섞여있는데 몽골 통치하에 혼혈되어 태어난 것이다.

또한 원은 훗날의 명, 청과는 달리 기록 문화 자체에 관심이 적었기에 적어도 문자의 옥 같은 문화탄압을 자행한 바가 없었다. 이것은 원나라가 무슨 언론의 자유나 유교적 관용을 중시해서가 아니라[44], 위에서 서술했듯 원나라의 행정이 엉망진창이었으며, 기록 문화가 약했고 결과적으로 한족이 통제되지 않고 방치되었기 때문이다. 청나라는 이를 교훈삼아 철저히 지식계층을 통제했고, 자신들의 통치를 비방하거나 그럴 여지를 준 글을 쓴 수많은 선비들을 처형했다. 심지어 지배민족인 만주족에게까지도 그러한 탄압이 적용돼서 청나라 때는 문자의 옥을 피해 한족으로 위장하는 만주족이 의외로 많았다. 훗날 이는 문자의 옥이라고 비난받지만, 어쨌든 청나라의 왕조의 유지 기간은 원나라보다 더 길었다. 여러모로 원나라는 청나라의 타산지석이 되었다. 다만 만주족이 자신들만의 독립국가를 세우지 못한 채 중국인으로 살아가는 현 시점에서는 오히려 만주족이 몽골인들의 타산지석이 되고 있으니 역사의 아이러니다.

원나라는 천문 역법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쿠빌라이가 아랍 천문학자들을 초빙하여 상도, 대도, 덩펑시 등지에 천문대를 세우고 최북단 몽골에서부터 남중국에까지 무려 27개의 천문 관측소를 설립했다. 덕분에 원나라는 황도와 행성 관측에 있어서 이전 왕조를 능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원나라의 유명한 천문학자로는 곽수경, 왕순, 야율초재, 자마룻딘 등이 있으며 야율초재는 서정경오원력《西征庚午元历》을, 자마룻딘은 1267년 만년력《万年历》을, 1276년에는 허형, 왕순, 곽수경 등이 역법 수시력《授时历》을 편찬해 1280년 반포했다. 특히 이 수시력은 명대와 청대까지 400년 동안 쓰인 것으로 유명하다.

지리학에서는 원일통지《元一统志》의 편찬, 하천과 강들의 수원 탐사, 여지도《舆地图》 및 여러 여행록들의 출판 등의 성과가 돋보인다. 원일통지는 정부 주관으로 자마룻딘과 우응룡 등이 편찬했다. 이 책에는 중국 각지의 군현의 연혁, 성곽과 읍면, 산천의 모습, 토산물과 그 풍습, 고적 인물 따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어 중국에서 가장 방대한 규모의 지리지로 손꼽힌다. 1280년 원 세조는 황하의 발원지를 찾아내라고 명했고 그 결과 성숙해(星宿海)가 그 발원지로 지목되었는데 이는 실제로도 어느 정도 사실에 가까운 추측이었다. 학자 반앙소(潘昂霄)는 이를 근거로 하원지《河源志》를 펴냈다. 도사 주사본은 화북, 화동, 중남 등 광범위한 일대를 조사하고 원일통지를 참고해 여지도《舆地图》를 그려냈다. 여행기류 지리지에는 아율초재의 서유록《西游录》, 이지상의 장춘진인서유기《长春真人西游记》, 주달관의 진랍풍토기《真腊风土记》, 왕대연의 도이지략《岛夷志略》 등이 있어 원나라 국내외의 지리와 풍토, 문화에 한 자세한 설명이 나와있다.

11.1. 자유로운 사상의 발전

원나라는 사상 면에서는 상당히 자유롭고 관용적인 편이어서 특정 사상을 탄압한다거나 문자의 옥을 벌인 적은 없었다. 일찍이 유학자 조복은 1234년 북쪽으로 포로로 잡혀간 이후, 연경에 태극서원을 설립하고 이학을 가르치며 원나라 최초의 유학자들을 양성하는 데에 일조했다. 원 황제 역시 유교를 존중하여 공자를 대성지성문선왕(大成至圣文宣王)으로 책봉, 성리학을 관학으로 삼았다. 원 인종 대에는 연우복과(年恢复科)라고 하여 유교식 과거제도 부활시켰다. 과거시험 중 유교 경전의 이해도를 평가하는 명경과 옛 경전들에 제 의견을 밝히는 경의 등의 과목에는 남송의 유학자 주희 등의 주석을 사용하도록 허가했다. 이는 훗날 명나라의 과거시험에서도 주희의 견해를 주석으로 삼는 데에 영향을 끼쳤다.

송나라 시대 유학은 주희의 성리학과 육구연의 심학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원대에 이르러 유학자들은 두 학파의 장점만을 따와 학파를 통합하는 데에 이르니 이를 '합회주육(合会朱陆)'이라고 부른다. 당대의 유명한 성리학자에는 황진, 허형, 유인과 조화주육학(调和朱陆学)의 오청, 정옥, 주해 등이 있다. 개중 특히 허형, 유인, 오청 이 3명이 원나라 3대 성리학자로 꼽힌다. 성리학자들은 원나라 정부의 압력으로 윤리와 도덕 연구에 더욱 매달렸고, 때문에 그 특유의 도덕적 몽매주의가 점점 심해졌다. 도가 사상의 초점은 도덕적 실천에서 덕의 존중으로 옮겨갔고, 이처럼 추상적인 것들에만 매달리자 결국 훗날 명나라에서 실천을 강조하는 양명학과 주학이 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원나라 치하 학자들은 크게 협력파와 저항파로 나뉘었다. 협력파는 현실적으로 중원을 차지한 원나라를 도와 천하를 안정시켜야한다는 자들로, 야율초재, 양환, 학경, 허형 등이 대표적이었다. 이들은 주로 북중국 출신으로 몽골인들과 평화롭게 공존할 것을 주장하며 화이가 영원불변한 것이 아니라고 여겼다. 이들은 몽골 황제가 덕이 있다면 중원인들도 이를 따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백성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원나라에 입직하여 이들을 중화의 방식으로 바꾸고 몽골인들을 중화에 동화시키자고 말했다. 반대 파벌은 저항파들로, 강남 지방의 유학자들이 주류였다. 식방, 정사초, 왕응린, 호삼성, 등목, 마단림 등이 대표적으로 이들은 절대 야만족 아래에서는 부역할 수 없다고 주장하며 고향에 은둔하는 방식을 취했다. 원나라 말기 나라가 혼란스러워지자 조천린, 정개부, 장양호, 유기 등 다양한 학자들이 등장해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11.2. 문학과 예술의 발달

파일:5fdf8db1cb13495409232939c51c8558d109b3dedc69.webp 파일:3b87e950352ac65c1038f4be5ba4a5119313b17e1cfd.webp
<rowcolor=#fff> 원대 잡극 배우들의 모습 조맹부의 '현묘관중수삼문기'
원나라 시대의 문학은 크게 잡극(雜劇)과 산곡(散曲) 등으로 구성된 원곡(元曲)과 소설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사학 연구도 활발했다. 다만 시의 경우 당송시대에 비해서는 그 성취가 미비한 편이었다. 주요 원나라 시인은 방회, 대표원, 원호문, 이준민, 야율초재, 학경, 유인, 우집, 양재, 범팽, 게혜사, 황진, 유관, 구양현, 왕면, 양유정, 살도랄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북송의 유명시인 황정견의 제자였던 방회는 강서시파(江西诗派)의 후계자로, 강서시파의 창의성을 발전시켜 신선한 이미지와 완숙한 경지를 이루었다고 평가받는다. 우집, 양재, 범팽, 게혜사 이 네 사람을 원시 4대 대가라고 부르며 개중 산문은 우집을, 시는 유인을 최고로 친다.

명나라의 문인 왕세정은 '원나라에는 문학이 없다'고 혹독한 평가를 내렸지만 사실 서사적인 문학의 대표주자 희곡과 소설이 중국 역사상 빛을 보기 시작한 것이 원나라 시대다. 원대 화북 지방에서 잡극과 산곡으로 구성된 문학 장르 '원곡'이 처음으로 등장했고, 강남에서는 저장성을 중심으로 문인 계층들이 삼국지연의수호전 같은 중국사에 길이남을 고전명작들을 만들어내었다. 양위정, 예찬 등 자유분방한 문인들이 등장해 민간 문학의 꽃을 피운 것도 역시 이 원나라 시기다.

원나라의 희곡인 원곡(元曲)은 산곡과 잡극으로 나뉘었다. 산곡은 사(詞)와 비슷하지만 북방의 영향을 받아 더 형식이 자유롭고 통속적인 특징을 지닌 문학 양식이고, 잡극은 음악, 노래, 연기 등을 통합한 중국 버전 오페라라고 할 수 있었다. 산곡은 주로 서정적인 경우가 많았고 가요의 특성이 있어 단독으로 읊거나 무대에서 음악과 함께 공연할 수도 있었다. 금말원초에 생겨난 잡극은 성종 시기에 크게 발전했으며, 태화정음보《太和正音谱》에는 무려 535권에 달하는 잡극이 수록되어 있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다. 원 후기에는 잡극의 창작중심이 점차 남쪽으로 이동하여 원저우의 남희(南戏)[45]와 합쳐졌고, 원말에는 전기(传奇)의 형식으로 진화했으며 명청대에는 곤극과 월극으로 계승됐다. 당시 원나라는 과거제를 중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과거를 대비하기 위해 틀에 딱딱 맞추어 문학을 짓거나 공부할 필요가 없었고, 사회적으로도 가무희곡을 장려했기 때문에 원곡이라는 원나라만의 독특한 문학 양식이 태어난 것이었다.

유명한 산곡 작가로는 관한경, 마치원, 장가구, 교길 등으로 이 4명을 산곡 4대 명가로 부른다. 대표작인 남려(南吕)와 일지화불복로(一枝花·不伏老)는 특유의 낙관성과 인내, 끈질김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빙란인강야(凭阑人·江夜)는 산곡의 양식에서 벗어나 문학적 기교를 추구했고, 수선자중관폭포(水仙子·重观瀑布)라는 작품은 우아함과 대중성을 동시에 겸비한 것으로 이름높았다. 또한 가을 경치를 묘사한 천정사추사(天净沙·秋思)는 아름다운 가을 석조도의 풍경과 정서를 어우러져 형상해놓아 '추사지상(秋思之祖)'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관한경과 마치원 같은 유명 작가들 외에도 백박, 왕실보, 정광조 등도 유명하다. 《두아원》, 《배월정》, 《한궁추》, 《오동우》, 《서상기》, 천녀유혼 같은 작품들이 이때 나왔다. 당대 생활상을 자세히 묘사하고 인물의 감정을 강조한 작품들로 역사적, 문학적 가치가 높은 편.

서예에서는 단연 조맹부가 최고로 꼽힌다. 조맹부는 시, 산문, 음악에 정통했고 서예와 그림에도 깊은 재능을 보였다. 원나라 회화의 최고 대표주자로서 풍경화, 인물화, 화조도 등 다양한 주제의 그림들을 광범위한 화풍으로 그려냈다. 왕희지를 존경해 중국식으로의 복고를 옹호한 조맹부는 '서예와 그림은 근원이 같다'라는 뜻의 서화동원(书画同源)과 자연을 스승삼아 배울 것을 주장했다. 조맹부의 서체는 종요, 이왕, 이옹, 송 고종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남송 특유의 격식에 치우치는 화풍을 배격하고 북송대의 자유로운 풍조를 드러내어 '송설체'라고도 불린다. 인종 황제가 '당나라에 이백, 송나라에 소식이 있다면 우리 원나라에는 조맹부가 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을 정도로 유명했다.

12. 의복

파일:Man_wearing_a_Mongol_robe_with_underarm_openings2.jpg 파일:v2-12b29b8d9ae897f4f73e3bb9085b1a2c_720w.jpg 파일:올제이투칸.jpg
<rowcolor=#fff> 해청(海青)을 입은 모습 쿠빌라이 성종[46]
역대 한족 왕조들과는 달리 몽골, 한족, 고려의 복식이 모두 뒤섞여서 기존과는 굉장히 다른 모습을 보였다. 중원 진출 이전에는 가죽과 펠트, 모피 등을 이용한 단순한 옷들을 주로 입고다녔지만, 원나라 건국 이후부터는 한족의 영향을 받아 비단이나 면 등을 주재료로 만든 옷들을 입기 시작했다. 의외로 몽골식 의복은 중원인들에게도 인기가 많았는데, 유목민족들의 의복답게 실용적이고 움직이기가 편리했기 때문. 가장 대표적인 남성복은 테를릭(Terlig), 즉 철릭으로 허리 부분에 실을 땋아 장식한 것은 변선오(辮線襖), 옷과 허리띠의 색깔이 다르면 요선오(腰线袄)라고 구분해서 불렀다. 철릭은 허리에 장식이 있고, 소매가 좁으며 말을 탈 때 편하도록 치마 부분에 주름을 잡았다. 워낙에 편해서 원나라 시대에는 상류층부터 하류층까지 이 철릭을 애용했다.

가장 유명한 철릭 종류는 질손복(质孙服)이다. 질손복은 말을 탈 때 입는 마상의(馬上衣)로 옆에 주름이 달린 직령(直領)의 협수포(挾袖袍)였다. 조정 안에 있거나 큰 잔치가 있을 때 주로 입는 일종의 편복, 즉 평상시에 입는 옷이었다. 위로는 황제와 대신들을 비롯해 조정백관들도 이 질손복을 하사받아 입었으며 아래로는 악공과 위사들까지 입었다. 옷에도 계급에 따라 구별이 있어 황제는 질손을 조복과 공복(公服)으로 착용했고, 백관은 9등급의 겨울옷 동복과 14등급의 여름옷 하복이 있었다. 질손복은 날이 갈수록 정교해졌으며, 보통 단색으로 만들었기에 일색복(一色服)이라고도 불렀다. 그 외에도 황제는 면복을 따로 입었는데 이를 법복이나 곤룡복이라고도 불러 제사를 올리거나 황태자를 책봉하는 등 중요한 행사때나 입었다. 우리가 생각하는 곤룡포에 가까운 쪽은 이 면복이었다.

원나라 의복의 독특한 점들 중 하나가 겨드랑이 부분을 트인 옷인 해청(海青)이다. 소매가 긴 대신에 소매가 몸과 연결되는 겨드랑이 부분을 뚫어버린 모습인데, 왜 여기를 잘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아마 몽골인들이 사냥 때 긴 소매 안으로 바람이 들어와 펄럭거리면 움직이기 어려우니 소매로 들어온 바람이 겨드랑이로 빠져나가도록 했다는 추측이 있다. 또한 마상궁술처럼 팔을 크게 써야 할때, 소매 대신 겨드랑이 부분으로 팔을 빼내서 더 팔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말도 있다. 이 해청이 가장 잘 드러난 것이 바로 1280년 쿠빌라이 칸의 사냥모습을 그린 원세조출렵도(元世祖出獵圖)다.

원나라의 남성들은 모두 몽골식 변발을 했다. 청나라의 변발과는 약간 스타일이 다른데, 원나라의 변발은 이마 쪽에 머리숱 한뭉텅이를 남겨놓고, 정수리 부분은 빡빡 밀어버리고 귀 바로 옆과 뒤통수에만 머리를 남겼다. 그리고 귀 양 옆의 머리숱을 예쁘게 땋아서 고리를 만들어 다녔는데, 원 후기로 갈수록 이 고리 모양이 복잡해지고 개수도 많아졌다. 이를 따로 개체변발(開剃辮髮)이라고 부른다. 고려원 간섭기에 왕과 신하들이 이 머리모양을 했다.

원나라 남자들은 등나무로 만든 가벼운 모자들을 쓰고다녔다. 우리가 흔히 원나라 황제의 어진을 보면 보이는 그 모자는 발립(钹笠)이다. 과 비슷하게 생겼으나 위가 둥글고 챙이 작으며 꼭대기에 정자 장식을 단 모습이다. 챙이 있어서 비와 햇빛을 가릴 수 있었다. 쿠빌라이의 아내인 소예황후가 처음 발립을 만들었고, 대만족한 쿠빌라이가 이 발립을 모두에게 쓰고다니라고 권하면서 원나라 남성들이 가장 흔하게 쓰고다니는 머리쓰개가 되었다. 원래 몽골인들은 칭기즈 칸의 초상화에서 볼 수 있듯이 챙이 위로 향한 가죽모를 흔하게 쓰고다녔는데, 원 후기로 가면 황제의 어진에마저 원래의 가죽모 대신 이 발립을 쓰고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어깨에 칼라처럼 걸치고 있는 것은 운견(雲肩)으로 원래는 유목민의 목을 모래와 바람에서 보호하는 목적이었으나 원대에는 어깨장식의 일부가 되었다.
파일:48d8baadd5c34c9fa59254c9a1500585.jpg 파일:Empressesryuandinastycollage2.jpg
<rowcolor=#fff> 황후와 황제의 재현모형 원나라 황후 초상화
원나라 귀족 여성들은 송나라의 의복을 따르지 않고 옛 몽골식 복식을 그대로 답습하였다. 원나라 상류층 여인들이 입었던 옷은 굉장히 넉넉하고 소매가 넓었으며 옆으로 여미는 방식이었다. 그림속 여인들이 쓰고있는 저 독특한 모습의 길쭉한 모자는 '보크타 모자(Boqta hat)'이라고 부르는데 한자로는 '고고관(罟罟冠)'이라고 한다. 몽골이 중원에 진출하기 전부터 착용했던 모자로 원나라 여인들의 가장 대표적인 상징물들 중 하나. 몽골 여인들의 옷은 중국의 도포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앞이 트여 매우 품이 넉넉하고 세 군데를 여며 고정하며 겹섶인 것이 특징이었다. 여인들의 옷은 원피스처럼 기다란 하나의 천으로 되어있어서 팔 부분은 품이 넉넉하고 소매 부분에서 다시 꽉조이게 좁아지는 것이 특징이었다.

원나라 여인들에 대한 기록을 보면, 워낙에 길고 폭이 넓어서 걸어다닐 때 바닥에 질질 끌렸다고 한다. 그래서 마치 유럽의 대관식 망토처럼 걸어다닐 때는 뒤에서 시종 2명이 옷을 위로 잡고 다녔다고.

원나라 귀족 여성들은 모두 저 기다란 붉은 옷을 공복으로 차려입었고 머리에 보크타 모자를 썼다. 황후와 황실 여인들의 보크타 모자만이 붉은색이었고 나머지는 색깔이 달랐다. 보크타 모자는 철사와 대나무 따위로 뼈대를 잡고 비단이나 가죽을 덮어 만들었으며 보석, 공작 깃털 따위로 장식한, 위로 갈수록 넓어지는 거대한 플라스크 모양이었다. 같은 몽골계 국가인 일 칸국, 티무르 제국에서도 볼 수 있었으며 고려에서도 유행했다. 한국의 족두리가 저 보크타 모자에서 유래한 것.

반면 중국 남부 일대에서는 몽골식 복식을 거의 찾아보기 어려웠다. 지방장악력이 약했던 원나라는 청나라와 달리 자신들의 복식을 전국에 강요하지 않았고 그럴 힘도 없었다. 북중국에서는 몽골족에게 잘보이기 위해 한족들도 몽골식 복장을 입었지만 몽골의 눈치를 덜 봤던 남중국 한족들은 옛 송나라의 복식을 그대로 착용했다. 남자들은 소매가 짧은 한족식 복장 반비(半臂)를, 여자들은 반비와 전통 복식인 유군(襦裙)을 입었다. 여인들은 짧은 저고리 유군에 기다랗고 좁은 치마를 입고 다녔으나 꼭 고정된 것만은 아니었다. 몽골인들은 보통 오른편으로 옷을 여몄지만 한족들은 여전히 왼편으로 여미는 경우가 많았다.

12.1. 고려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고려양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양#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고려양#|]]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나라 말엽에는 고려의 복식이 아름답다는 인식이 퍼져 상류층들을 중심으로 유행하기 시작했다. 몽골의 귀족과 후비들, 후궁들은 고려 여성들의 복식을 모방하기 시작했다. 특히 1365년 고려 출신의 기황후혜종 황제의 정식 아내로 즉위한 것이 원 상류사회에 고려 복식이 유행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를 고려양이라고 한다.

원나라는 고려를 부마국으로 삼고 국정 전반을 간섭, 고려 여인과 아이들을 바칠 것을 요구했다. 수많은 고려인들이 원나라로 끌려갔고 대부분이 억지로 원나라에 잡혀간 공녀였다. 아름답거나 기예를 갖춘 여인들을 공녀로 선발해 뽑아갔고, 원나라에 끌려간 공녀의 수는 2,000명에 달했다. 이들 대부분은 황실이나 귀족 가문에 고되게 부려졌고 사실상 노예취급을 받으며 힘든 삶을 살았다. 원 황제는 주기적으로 고려에 사신을 보내 공녀들을 뜯어갔으며 이렇게 약탈해온 공녀들을 대신들에게 선물로 하사했다. 이들 대부분은 비참한 삶을 살았는데, 기황후 같은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태생이 천하다고 여겨졌다. 게다가 쿠빌라이 칸이 생전 고려 여인들이 황실에 들어와서는 안된다고 국시까지 내렸기 때문에 기황후가 정말 예외를 깨고 출세한 희귀한 케이스였다.

기황후는 고려 출신이었기에 황후에 오르고 난 이후에도 궁궐에 고려 여인들을 여럿 시중으로 들였다. 고려 여인들은 곧 원나라 상류사회의 패션을 선도하는 존재가 되었다. 경신외사《庚申外史》를 보면 '대도의 고관 사이에서는 고려 여인을 부리는 것이 필수가 되었다.... 고려 여인들은 온화하고 순종적이며 주인을 섬기는 데 뛰어나 중국 여성들과는 달리 종종 주인의 총애를 얻는다... 황궁의 시종들은 대부분 고려 여성이다. 이 때문에 옷, 신발, 모자, 식기 등 모든 것이 고려의 양식을 따른다'라고 쓰여있을 정도. 이렇게 유행을 탔던 고려양은 원나라 멸망 후 들어선 명나라의 복식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13. 황실

13.1. 역대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194, #004DAE 20%, #004DAE 80%, #00419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몽골 제국 중원 통치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세조 성종 무종 인종
<rowcolor=#fff>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영종(英宗) 태정제 천순제 문종
<rowcolor=#fff> 제9대 제8대 복위 제10대 제11대
명종 문종 영종(寧宗) 혜종
몽골 고원 할거 이후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혜종 소종 천원제
<colbgcolor=#004DAE> 원 추존 황제 · 비황족 추존 황제 · 원 황후 · 원말명초 주요 세력
몽골 제국 · · 복드 칸국 · 몽강국 · 몽골 인민공화국 · 몽골국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남북조 · ·
오대 · 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원나라 이전의 황제}}}에 대한 내용은 [[몽골 제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몽골 제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몽골 제국#역대 황제|역대 황제]]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북원의 황제}}}에 대한 내용은 [[북원]]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북원#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북원#역대 황제|역대 황제]]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원나라 이전의 황제: }}}[[몽골 제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몽골 제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몽골 제국#역대 황제|역대 황제]]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북원의 황제: }}}[[북원]]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북원#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북원#역대 황제|역대 황제]]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원나라 건국(1270년) 후의 군주들만 다뤘다.

국성은 보르지긴(孛兒只斤)이다.

초대 세조의 재위기간은 원나라 선포 이전 몽골 제국 시절과, 마지막 혜종은 북원 시기에 걸쳐 있다.

아래의 역대 황제란을 보면 알겠지만, 국가가 존속했던 97년(1271-1368) 중 첫 번째 쿠빌라이(25년)와 마지막 토곤 테무르(36년)를 빼고 나면 39년(1294-1333)에 황제가 9명이 있었던, 여러 가지로 정치가 매우 혼란했던 시기다. 평균 약 4년. 그마저도 13년 동안 재위한 2대 테무르를 제외하면 26년간 8명에 1대에 3년.
<rowcolor=#fff> 대수 묘호 시호/연호 칸호 연호 재위 기간 비고
1대 세조 성덕신공문무황제 세첸 칸 쿠빌라이 중통(中統, 1260~1264)
지원(至元, 1264~1294)
1271[47]~1294 5대 대칸
2대 성종 흠명광효황제 올제이투 칸 테무르 원정(元貞, 1295~1297)
대덕(大德, 1297~1307)
1294~1307 6대 대칸
3대 무종 인혜선효황제 퀼뤼그 칸 카이샨 지대(至大, 1308~1311) 1308~1311 7대 대칸
4대 인종 성문흠효황제 부얀투 칸 아유르바르바다 황경(皇慶, 1312~1313)
연우(延祐, 1314~1320)
1311~1320 8대 대칸
5대 영종
(英宗)
예성문효황제 게게엔 칸 시디발라 지치(至治, 1321~1323) 1320~1323 9대 대칸
6대 - 태정제 이순테무르 칸 이순테무르 태정(泰定, 1321~1328)
치화(致和, 1328)
1323~1328 10대 대칸
7대 - 천순제 라기바흐 칸 라기바흐 천순(天順, 1328) 1328 11대 대칸
8대 문종 성명원효황제 자야아투 칸 투그테무르 천력(天曆, 1328~1329) 1328~1329 12대 대칸
9대 명종 익헌경효황제 후투그투 칸 쿠살라 천력(天曆) : 1329년 1329 13대 대칸
복위 문종 성명원효황제 자야아투 칸 투그테무르 지순(至順, 1330~1332) 1329~1332 복위
10대 영종
(寧宗)
충성사효황제 린칠반 칸 린칠반 지순(至順) : 1332년 1332~1333 14대 대칸
11대 혜종[48] 선인보효황제 /
순황제[49]
우카아투 칸 토곤테무르 원통(元統, 1333~1335)
지원(至元, 1335~1340,
1368~1370)
지정(至正, 1341~1368)
1333~1368[50] 15대 대칸

13.2. 계보도

1. 세조
칭김
카말라 다르마발라 2. 성종
6. 태정제 3. 무종 4. 인종
7. 천순제 9. 명종 8. 문종 5. 영종
11. 혜종 10. 영종
12. 소종 13. 천원제

13.3. 추존 황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4194, #004DAE 20%, #004DAE 80%, #00419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추존 황제
열조 태조 예종 태종
정종 헌종 유종 순종
현종
추존 존령
주치 차가타이
원 황제 }}}}}}}}}
<rowcolor=#fff> 묘호 시호 성명 비고
열조(烈祖) 신원황제(神元皇帝) 예수게이(也速該) 세조 추숭, 칭기즈 칸의 생부
태조(太祖) 법천계운성무황제(法天啓運聖武皇帝) 테무진(鐵木眞) 세조 추숭, 칭기즈 칸
- 황백고(皇伯考) 주치(朮赤) 세조 추숭, 칭기즈 칸의 장남
- 황백고(皇伯考) 차가타이(察合台) 세조 추숭, 칭기즈 칸의 차남
태종(太宗) 영문황제(英文皇帝) 오고타이(窩闊台) 세조 추숭, 칭기즈 칸의 3남
예종(睿宗) 인성경양황제(仁聖景襄皇帝) 툴루이(拖雷) 세조 추숭, 칭기즈 칸의 4남
정종(定宗) 간평황제(簡平皇帝) 귀위크(貴由) 세조 추숭, 오고타이의 장남
헌종(憲宗) 환숙황제(桓肅皇帝) 몽케(夢哥) 세조 추숭, 툴루이의 장남
유종(裕宗) 문혜명효황제(文惠明孝皇帝) 칭김(眞金) 성종 추숭, 세조의 차남
순종(順宗) 소성연효황제(昭聖衍孝皇帝) 다르마발라(答剌麻八剌) 무종 추숭, 무종, 인종의 부친
현종(顯宗) 광성인효황제(光聖仁孝皇帝) 카말라(甘麻剌) 태정제 추숭, 태정제의 부친

14. 미디어에서

3가지로 요약될 수 있는데, 칭기즈 칸이 나올 때 후일담으로 잠깐 언급되거나, 전성기인 쿠빌라이 칸 시대에 활발한 해외원정에 딸려서 언급되거나, 말기에 나락으로 떨어져 국가 막장 테크를 타는 상황이 나오거나 셋 중 하나다. 대한민국의 경우 대몽항쟁기의 사건이 사극 등에 자주 나온다.
  • 신의》에서는 공민왕 때까지의 고려왕들이 전부 줄줄이 무능했다는 이유로 원나라가 고려를 합병하려고 했다.
  • 기황후》에서는 기황후, 고려의 가상왕 왕유, 토곤 테무르(혜종)의 관계를 초반에 가상적으로 설정한 스토리로 시작하여 이후 원나라에서의 스토리를 다룬다.
  • 김용의 문학작품인《의천도룡기》에서 원나라의 말기의 주원장을 비롯한 대대적인 한족들의 대몽 항쟁이 그려진다. 이를 진압하려는 원나라 측 인물로는 히로인 조민과 그녀의 아버지 차칸테무르 등이 등장한다.
  • 미국 드라마마르코 폴로》도 이 시대가 배경. 다만, 실제 역사와 안 맞는 부분이 많으므로 드라마 내용이 곧 역사적 사실은 아니다.

15. 여담

16. 둘러보기

원나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동호
선비 · 오환
철륵선비
유연북위 서위·동위
돌궐 제1제국북주북제
동돌궐
돌궐 제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서하
서요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일 칸국차가타이 칸국오고타이 칸국원나라
추판 왕조잘라이르 왕조티무르 제국모굴리스탄
칸국
오이라트북원
티무르 제국
크림 칸국카자흐 칸국무굴 제국준가르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복드 칸국중화민국
<nopad><nopad>
<nopad>
몽골 인민공화국중화민국
<nopad>
<nopad>중화민국<nopad>
<nopad>
러시아 연방몽골국중화인민공화국
}}}}}}}}} ||

중국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2em; letter-spacing: -.4px"
황하 문명
하(夏)
상(商)
서주(西周)
동주(東周) 춘추전국시대 ( 춘추 | 전국 )
춘추오패 | 전국칠웅
초한쟁패기
후초(後楚) | 서초(西楚) | 십팔제후국
전한(前漢)
신(新)
현한(玄漢)
후한(後漢)
삼국 위(魏) 촉(蜀) 오(吳)
서진(西晉)
동진(東晉)
환초(桓楚)
오호십육국
전진(前秦)
남북조 송(宋) 북위(北魏)
제(齊)
양(梁)
후량(後梁)
수(隋)
당(唐)
무주(武周) | 위연(僞燕) | 황제(黃齊)
오대십국 여러 민족
요(遼)
서요(西遼)
북송(北宋)
남송
(南宋)
금(金)
몽골 제국
원(元)
북원(北元)
명(明)
순(順) | 남명(南明)
후금(後金) | 오주(吳周) | 동녕(東寧)
청(淸)
태평천국(太平天國)
중화민국
(中華民國)

군벌세력
청황실 소조정 | 임시정부(臨時政府)
북양정부(北洋政府)
중화제국(中華帝國) | 호법정부(護法政府)
중화인민공화국
(中华人民共和国)
}}}}}}}}}

만주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FF,#121212>


산융
동호
고조선 예맥 숙신
고조선 고리국
흉노
~
4
세기초
고구려 {{{#!wiki style="margin:30px -10px -16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165px -10px 4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6A544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부여
오환
선비
서진 읍루
4
~
6
세기
물길
   
거란 실위 고구려 두막루
7
~
9

발해
10
~
12세기
{{{#!wiki style="margin:-5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발해부흥운동 여진
오국부
{{{#!wiki style="margin:-2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0px -10px -2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B82647><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13세기
동요
후요
동하
몽골 제국

요양행성 · 동방 3왕가 · 심왕
14
~
16세기
북원 여진족
고려 요동 군벌 우량카이 삼위
여진족
17
~
18
세기
후금
 
 
 
 
19세기
{{{#!wiki style="margin:-60px -10px -1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20세기
일본 제국 관동주
중화민국 임시정부
중화민국
봉천군벌
러시아 공화국
중화제국
중화민국
봉천군벌
극동 공화국
중화민국 소련
만주국
중화민국 중화인민공화국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 동북3성
러시아 연방 | 극동 연방관구
}}}}}}}}}


위구르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colbgcolor=#eaf8ff,#3f484c>

토하라인
흉노
월지
흉노
전한 서역도호부
후한 서역도호부
한·위·진 서역장사부 선비
전량 후량 북량 유연
고창국
에프탈
서돌궐

안서도호부
토번 제국 {{{#!wiki style="margin:-4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위구르 제국
카라한 칸국 호탄 왕국 고창회골 하서회골
서요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오고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5px -10px -3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야르칸드 칸국 }}}}}} 호쇼트 칸국
{{{#!wiki style="margin:-10px -10px -2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준가르
예티샤르 왕국 / 둥간 봉기
신강성
중화민국 신장성


중화민국 신장성 신강군벌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
}}}}}}}}}

티베트의 역사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em;"
<rowcolor=#fff> 라다크 응아리 암도 위짱 시킴 부탄
<colbgcolor=#000><colcolor=#ffcc1c> 고대 다르드인 샹슝 왕국 테유랑 문화 레프차 부족 유목
쿠샨 제국 코코노르 왕국
강족 / 갈족
유목 얄룽 왕국
샹슝 왕국 저족 샹슝 왕국
토욕혼 얄룽 왕국 몬율 왕국
토번 토번
송찬간포
토번
티쏭데짼 - 푸곌 왕조
9~13세기 라다크 왕국
구게-푸랑
탕구트
서하
티베트 분열기
종파 형성기
몽골 침입 라다크 왕국 구게 왕국
푸랑 왕국
원 제국
선정원
원나라 치하 티베트
사캬왕조
토착왕조 팍모드루파 왕조
린풍파 왕조
짱파 왕조
겔룩파
달라이라마
호쇼트 칸국 달라이 라마 3세 / [[알탄 칸|
알탄 칸
]]
남걀 왕조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5세
두룩 데시 정권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달라이 라마 7세
시킴 왕국
준가르 칸국
청간섭기 - 암반 준가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칼룬 통치기
분열기
시크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구르카-청·티베트 전쟁
청나라 치하 티베트
[[포탈라궁|
간덴 포드랑
]] 암반 통치기
구르카 왕조 동인도회사령
인도 제국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시킴 왕국
1904~1948년 [[영국의 티베트 침공|
영국의 침입
]] · [[청나라 치하 티베트|
청의 암도·캄 일부 편입
]]
달라이 라마 13세
티베트 대봉기
인도 제국
시킴 번왕국
부탄 번왕국
근대 독립 티베트
달라이 라마 13세 · 달라이 라마 14세
1949년~ 인도 자치령
잠무 카슈미르 번왕국
중화인민공화국
티베트 자치구 칭하이성 쓰촨성
[[티베트 망명정부|
티베트 망명정부
]]
인도 자치령
시킴 왕국
부탄 왕국
인도 공화국
잠무 카슈미르 주
라다크 연방 직할지
인도 공화국
시킴 주
}}}}}}}}}

시베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서 시베리아 동·중앙 시베리아 극동
<rowcolor=#FFF>
북부
남부
남부
북부
고대 고대 북유라시아인
시베리아 원주민
우랄계 제족 | 튀르크 | 퉁구스 고시베리아인
튀르크 | 퉁구스 니브흐 | 축치인
중세
우랄 | 튀르크
{{{#!wiki style="margin: -16px -10px" 킵차크 칸국
}}}
근세 루스 차르국 시비르 칸국 오이라트 | 타타르 사하(야쿠트) 연맹
한갈라스 울루스
루스 차르국|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약사
근현대 제정 러시아
러시아 공화국
러시아 SFSR 러시아 SFSR
소련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러시아 연방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0.85em; letter-spacing: -1.0px"
}}} }}}}}}}}}

몽골 제국의 분열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100%"
{{{#!folding [ 원나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몽골 제국
원나라
[[홍건적의 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0px -10px -6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오이라트 4부족 연맹
초로스 · 도르베트 · 토르구트 · 호쇼트
[[토목의 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북원 명나라
{{{#!wiki style="margin: 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북원
[[다얀 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경술의 변|{{{#!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오이라트 {{{#!wiki style="margin: -20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오이라트의 이주
티베트 고원으로 일부 이주 (호쇼트)
볼가강 하류로 일부 이주 (칼미크)
할하부
(외몽골)
투메드부
(내몽골)
명말청초
[[이자성의 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준가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386a; font-size: .8em"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100%"
{{{#!folding [ 차가타이 칸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몽골 제국
차가타이 칸국
서차가타이 칸국
티무르 제국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동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
히바 칸국 부하라 칸국
야르칸드 칸국 위구리스탄 칸국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부하라 토후국 }}}}}} 코칸트 칸국 준가르
청나라
투르키스탄 자치국
히바 보호령 부하라 보호령 중화민국 과도기
[[중화제국(1915~1916)|{{{#!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서북군벌#s-3|{{{#!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소비에트 연방
호라즘 PSR · 부하라 PSR
우즈베크 SSR
중화민국
[[서북군벌#s-3|{{{#!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동튀르키스탄 제1공화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무굴 제국(Mughal empire)은 서술되어 있지 않음.[1]

[1] 티무르의 방계 후손인 바부르가 건국한 국가. 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인도 대부분을 정복하며 16세기 동안 전성기를 누렸으나, 그다음 세기에 급속하게 쇠퇴한 뒤 18세기경 인도를 식민지로 삼은 대영제국에게 세포이 항쟁을 계기로 멸망함. 이후 인도는 영국의 직할 통치령인 인도 제국으로 편입되었음.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100%"
{{{#!folding [ 킵차크 칸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백장 칸국 청장 칸국
노가이 칸국 우즈베크 칸국 시비르 칸국 카심 칸국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이흐 칸국 크림 칸국
대노가이 칸국 소노가이 칸국 카자흐 칸국
(대주즈 · 중주즈
소주즈)
우즈베크계 칸국 모스크바 대공국 오스만 제국
[[크림 칸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칼미크 칸국
흑해 북부로 이주
루스 차르국

※ 스큐발드 울루스(Skewbald Horde)과 시르다리아 울루스(Syrdarya Hoard)는 서술되어 있지 않음.[2]
※ 우즈베크계 칸국은 부하라 칸국, 히바 칸국, 코칸트 칸국을 통칭함.
이흐 칸국모스크바 대공국이 아니라 크림 칸국에게 멸망당함.


[2] 전자는 킵차크 칸국에 의해 해체, 후자는 러시아 제국에게 흡수합병.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100%"
{{{#!folding [ 일 칸국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몽골 제국
일 칸국
추판 왕조 잘라이르 왕조 인주 왕조 사르바다르 왕조 카르트 왕조 미라반 왕조
무자파르 왕조
{{{#!wiki style="margin:-15px -18px -20.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wiki style="margin:-9px -10px -3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 }}}}}}
흑양 왕조 (카라 코윤루) {{{#!wiki style="margin:-35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티무르 제국 }}}}}}
백양 왕조 (아크 코윤루) {{{#!wiki style="margin:-35px -10px -2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사파비 제국
}}}}}}}}}}}} ||

[1] 몽케 칸의 아들.[2] 대도는 겨울 수도, 상도는 여름 수도로서 기능했다.[3] Taagepera, Rein (1997), "Expansion and Contraction Patterns of Large Polities: Context for Russia",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41 (3): 499, #[4] 북서부 일대[5] 시킴, 아루나찰프라데시 일대[6] 북원의 제1대는 원나라의 제11대 황제였던 혜종 토곤 테무르이므로, 원나라가 쭉 이어진 것이라 간주하면 제13대였다.[7] (권용철(2021), <원대 말기~北元의 重臣 카라장(哈剌章) 小考> , 《史叢》 104.)[8] 원나라보다 단명한 세 왕조는 존속기간이 고작 10~30여 년 수준으로 급이 다르다. 게다가 측천무후의 무주나 왕망의 신나라는 너무 단명해서 대개 왕조로 쳐주지도 않는다.[9] (Dai ön qemeqü yeqe mongɣol ulus)[10] (至正二十二年追封的西寧王忻都神道碑)[11] (Dai ön yeqe mongɣol ulus)[12] 일 칸국, 킵차크 칸국, 오고타이 칸국, 차가타이 칸국.[13] 쿠빌라이는 이미 오고타이 칸 시절부터 중국 일대를 관할하고 있었다. 오고타이가 자신의 조카 쿠빌라이에게 허베이성 형주 일대를 맡겼기 때문. 쿠빌라이는 중국어는 하지 못했으나 어머니 현의장성황후가 어린 시절부터 한족 교사들을 붙인 덕에 상대적으로 중국 문화에 친숙한 편이었다.[14] 쿠빌라이는 중국식 연호로 중통(中統)을 선포하고 중국 전통의 관료제를 채택함으로써 기존 한족들에게 친화적인 정책을 펴서 한족들에게 그나마 지지를 받는 몽골 세력이었다.[15] 오고타이 칸국은 사실상 카이두 개인의 영지에 가까워 칸국으로 쳐주지 않는 견해도 있다[16] 물론 원나라의 영향력이 명목상으로나마 몽골 제국 영토 전체에 미치기는 했다.[17] 쿠빌라이는 공제를 북쪽으로 데려와 보르지긴 가문의 여인과 결혼시켜 송나라 황실을 원나라의 지배층으로 끌어들이고 남송 유민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고자 했다.[18] 당시 남송 세력은 공제의 동생이던 소제를 황제로 추대하고선 끝까지 저항하고 있었는데, 전투에서 패배하며 소제를 포함한 수많은 관료들이 물에 빠져 자살한다. 이를 송나라의 공식적인 최후로 본다.[19] 세조 쿠빌라이 칸의 증손자이며, 황태자 칭김의 장남 카말라의 아들이다.[20] 위의 지도는 위키피디아에서도 널리 사용하는 원말명초의 세력도이지만, 정확한 지도는 아니다. 코케 테무르를 하나의 독립된 세력으로 보려면 원나라가 멸망한 1271년 이후로 보아야 맞으며, 명옥진에 대항해 1382년까지 항쟁한 몽골운남왕(양왕) 바자르오르미는 그려넣지 않았다. 보통 서송으로 부르는 서수휘의 나라는 오기(誤記)인 천완으로 적혀 있다. 남북조시대(일본) 초기 이미 크게 패해 쪼그라들었던 요시노 조정은 규슈 일대를 장악한 것으로 묘사했기에 14세기 중-말엽 중국의 대략적인 판도를 확인하는 용도로만 참고하는 게 좋다. 대만 섬에 'Liuqiu'라고 쓰인 것은 당시 대만 섬을 가리키는 말로, 오늘날의 오키나와 현과 유관한 류큐 왕국과는 다르다. 한자로는 변이 다른데, 당시 대만섬을 가리키는 말은 '流求'이며, 류큐 왕국은 훗날 명나라 때 '琉球'로 표기되었다. 다만 둘 모두 표준 중국어나 대만어로 읽으면 'liúqiú'(류츄 정도로 읽힌다)이며 일본어로 읽으면 'リュウキュウ'(류큐 정도로 읽힌다)이므로, 영어로는 각자 현재 위치한 국가의 발음과 로마자 표기법을 존중하여 표기한다.[21] 해당 장소는 중국 내몽골 오르도스에 위치한 몽골원류문화산업원(蒙古源流文化产业园)이다. 중국 4A급 관광지로 원나라의 수도였던 대도의 황궁을 일부 복원해놨다. 해당 건물은 원나라 황궁의 정전이자 工자형 건물로 유명했던 대명전(大明殿)의 모습이다.[22] 중국 광시성 북동쪽에 위치한 곳으로, 원나라 시절에 처음으로 경작된 계단식 논이다.[23] 왕정의 《농서》를 보면 원나라의 농기구들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 나온다.[24] 왼쪽은 보초를 인쇄할 때 사용한 원판이다. 원나라의 인쇄 기술은 꽤나 발전된 편이라서, 주석활자나 목활자를 이용해 서적을 인쇄했다. 심지어 컬러인쇄도 가능해서 컬러로 인쇄된 금강경 판본도 있다. 1298년에는 왕정이 목활자로 그가 만든 대덕정덕현지《大德旌德县志》를 인쇄했는데 한 달도 안되어 무려 100권을 찍어냈다고. 그는 간단한 기계장치를 사용해 회전식 조판을 만들어 인쇄속도의 효율성을 개선하기도 했다.[25] 파스파 문자로 대원통보(大元通寶)라고 쓰여있다. 현재는 베이징의 장성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26] 정확한 명칭은 '데이비드 화병(David Vases)'다. 현재 대영박물관에서 소장 중인 한 쌍의 청화백자로 대영박물관의 수많은 중국 도자기들 중 최고로 가치 높다고 평가받는다. 화병에 새겨진 비문을 보면 1351년 옥산현에 사는 '장원진'이라는 인물이 도교 사원에 바친 것이라고 한다.[27] 운송사, 거출사 등이 소금업을 관리했다. 이들은 전국에 지부를 두고 총 137개의 염장을 관할했다. 각 염장은 단과 조의 하위 가구로 나뉘었으며 조는 여러 가구들로 이루어져 있었다. 바다, 연못, 우물 등 다양한 곳에서 소금을 생산했고 천력 연간 전국의 총 소금 생산량은 266만 4천여 인(引), 인당 무게가 400근에 달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무려 10억 근에 달하는 소금을 매년 생산해냈다.[28] 수계(水系)의 포구에 위치하여 조창의 기능과 목재 등 각종 물품의 운송, 사객(使客)의 이동 보조 등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인원과 선박 등을 배치한 곳.[29] 이 같은 상업의 발전으로 행회(行会), 즉 길드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정부의 요구에 대응하고 동종업계의 이익을 보존하기 위해 동업자들이 모여 길드를 만든 것이다. 원 정부는 강제로 노동력을 사들이는 '화고'와 강제로 물건을 사들이는 '화매' 제도를 이용했는데, 명목상으로는 가격을 제시했지만 원가에도 턱없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관청의 세금이 과중했기 때문에 상인들은 이에 맞서기 위해 뭉칠 수 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행회는 소규모 상인들을 착취하는 대상인들에게 좌지우지되었고 정부가 이 행회를 이용해 각 산업계를 통제하기도 했다.[30] 특히 도자기가 유명했다. 원나라는 송나라의 도자기 기술을 이어받아 더욱 발전시켰는데, 청화백자는 원나라 시대에 처음 대중화되었다.[31] 원나라의 비단은 유명했다. 특히 이 시대의 비단 중 을 사용해 만든 옷감인 금단을 '납석시(纳石矢)'라고 불렀다. 주로 황제나 황실 구성원들이 썼는데, 납석시를 만들 때는 길게 자른 금박을 비단실 사이에 끼워넣는 방식과 금박을 꼬아만든 금실을 비단실과 함께 엮어만드는 방식이 있었다. 전자는 훨씬 아름다웠으나 내구도가 약했고 후자는 더 오래 쓸 수 있었으나 광택이 비교적 칙칙했다.[32] 10,000가구를 지휘하는 군사령관.[33] 원나라의 면포는 도구와 기술의 한계 때문에 썩 품질이 좋지 않아 거칠거칠한 것들이 많았다. 그러던 중 1295년 황도파(黄道婆)라는 여인이 하이난섬 원주민들의 방직 기술을 배워와 원나라의 방직 기술을 향상시켰고, 사람들은 그녀를 기리는 마음에 '황랑랑(黄娘娘)'으로 불렀다고 한다.[34] 물론 현실적으로 그 넓은 해안선을 원나라의 취약한 행정력으로 다 감시하기는 어려웠기에 수많은 한족 상인들이 암암리에 해외에 교역을 했다.[35] 취안저우는 1357년 무슬림들이 일으킨 이스파 반란으로 크게 쇠퇴했다. 반란은 무자비하게 진압당했고 수많은 모스크가 불태워진 뒤 무슬림은 살해당했다. 취안저우는 이 사건을 기점으로 크게 쇠락했다.[36] 해당 사진에서는 서역인만이 색목인이라고 나왔지만 이는 오류로 티베트인,위구르인 등도 엄연히 색목인으로 준류 되었다. 이는 색목인의 의미를 문자 그대로 밝은 눈의 사람으로 해석해 생긴 오류로 자세한 내용은 색목인 문서 참조[37] 왼쪽에서 2번째 푸른옷을 입고 있는 인물이 바로 명종 황제다.[38] 게다가 티베트 불교가 권력과 결합되어 타락하면서 탄트라가 합일을 통한 깨달음 추구라는 기존 목적에서 완전히 이탈해 쾌락 추구 행위로 추락해버리자 불교계의 불만은 더더욱 심각했다.[39] 濟南清真南大寺. 중국 산둥성 지난시에 있는 모스크로, 성종 원년인 1295년에 건립되었다. 다만 현존하는 건물들은 대부분 1400년대 명나라 시절에 지어진 것들이다.[40]태정제 대에 황제의 총애를 등에 업고 태정제 사후 천순제를 황제에 올리는 등 국정을 좌지우지한 재상 다울라트 샤가 가장 대표적인 무슬림 권력자였다.[41] 반대로 기존의 주요 항구였던 광저우 등은 송나라의 멸망과 함께 크게 쇠락했다.[42] 원나라판 세포이 항쟁으로 무슬림들이 1357년 취안저우에서 반란을 일으켰던 사건. 원나라에게 진압당했고 이 일로 수많은 모스크들이 파괴되고 무슬림들이 목숨을 잃었다. 이 이후 상당수의 무슬림들이 취안저우를 떠났고, 실무작업을 도맡던 무슬림들이 떠나면서 세계 최대 항구이자 인구 200만에 달하던 대도시 취안저우는 그 세가 크게 쪼그라들었다.[43] 1276년에 지어진 석조 건축은 원나라 건축의 대명사 중 하나이다.[44] 단, 실제 관용을 보인 케이스도 존재하긴 했다. 양동이라는 시인이 시를 읊었다가 조정을 비방했다고 고발당했는데, "그냥 심정을 좀 토로한 것이고 조정 비방은 아니다. 게다가 비방이 있다고 해도 우리 천조에서는 용납할 수 있다"며 무죄판결이 내려진 사례가 있다.[45] 12세기 송나라에서 발전한 극문학의 한 갈래. 원저우 일대에서 처음 유래했으며 마임, 노래, 춤을 합친 초기 형태의 중국식 오페라였다.[46] 몽골식 변발을 하고 발립을 쓴 모습을 볼 수 있다.[47] 원나라를 선포한 것이 1271년, 몽골 제국의 칸이었던 기간은 1260년부터다.[48] 북원이 내린 묘호. 말그대로 묘호이기 때문에 묘가 없는 명나라에서는 따로 묘호가 없다.[49] 선인보효황제는 북원이 내린 시호이며, 태조 주원장은 하늘의 순리대로 몽골로 물러가면서 자신에게 황위를 양위했다며, 순황제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원순제가 바로 이 시호에서 비롯되었다.[50] 명나라가 대도를 점령해 북원으로 넘어가서도 혜종이 계속 황제 재위를 이어갔으므로 그 기간을 포함하면 1370년까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