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11:17:37

케레이트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월지흉노동호
북흉노/남흉노선비 · 오환
철륵선비
유연북위
서위·동위
아바르 칸국돌궐 제1제국북주북제
서돌궐/동돌궐
토번설연타
돌궐 제2제국
위구르 제국
키르기스 제국
중세
요나라
서하
서요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일 칸국차가타이 칸국오고타이
칸국
원나라
추판 왕조잘라이르 왕조서차가타이
칸국
모굴리스탄
칸국
오이라트북원명나라
올량합 3위
티무르
제국
오스만 제국
카자흐 칸국무굴 제국우즈베크 칸국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복드 칸국중화민국
북양정부
<nopad>소비에트 연방<nopad><nopad>
<nopad>
몽골 인민공화국 {{{#!wiki style="margin:-15px -8px -20.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nopad>소비에트 연방
{{{#!wiki style="margin: -35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중화민국
국민정부
}}}}}} 만주국
중화민국<nopad>
<nopad><nopad>
러시아 연방몽골국중화인민공화국
}}}}}}}}} ||
  • 한자: 객렬역(客烈亦), 겁렬(怯烈), 겁렬역(怯烈亦)
  • 페르시아어: 키라이트(كرايت)
  • 몽골어: ᠬᠡᠷᠡᠶᠢᠳ(몽골 문자) / Хэрэйд(키릴 문자)
1. 개요2. 상세
2.1. 여담
3. 인물

1. 개요

몽골 제국의 성립 이전 몽골 고원 중북부의 항가이 산맥 부근에 흩어져 살았던 몽골화된 키르기스계 유목민 부족집단이다.

2. 상세

케레이트라는 이름은 '케레이'의 복수형이다. 라시드 웃딘의 《집사》(集史)에 따르면, '케레이'는 그 선조의 얼굴 색이 검은색이였다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어, 까마귀의 몽골어인 '케리예'(keriye)에서 유래했다고 추정된다.[1] 오르도스에는 지금까지도 '퀘리트'(K'erit)라 칭하는 대(大)·소(小)·흑(黒)·백(白)의 소규모 유목집단이 잔존하고 있으며, 키르기스족 가운데에도 'Kiräi~Giräi(키라이 지라이)'라는 이름의 유력 씨족이 있다.

테르킬(지르킨), 톤카이트(동카이드), 튜마왓(투베겐), 사키아트(사카이트), 에리아트(알바트) 그리고 케레이트의 여섯 씨족으로 구성된 케레이트 칸국은 지배씨족인 케레이트의 성씨를 국명으로 삼았다.

위구르 제국을 멸망시킨 키르기스족을 몰아낸 부족들 중 가장 큰 집단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위구르의 일파인 나이만과 지역의 패권을 두고 경쟁했다. 다만 경쟁의 와중에서도 튀르크계 옹구트, 나이만 등 서역의 유목민족들과 함께 경교를 받아들였으며, 위구르 문자를 사용했는데, 여타 몽골계 부족에 비해 문화적으로 앞서게 되었다. 심지어 쿠르차쿠스 부이룩 칸[2] 시절 케레이트의 수도는 위구르 제국의 옛 수도인 카라 발가순이기도 했다.

중국의 《요사》(遼史)에 나오는 '조복'(阻卜)이라는 민족이 케레이트로 비정되는데,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의 명군인 성종으로부터 복속을 요구받고, 이를 거절해서 침략도 받았으나, 저항 끝에 지역 정권으로 인정받게 되었다.(1089년)

마지막 칸인 토그릴 칸테무진의 힘들었던 초창기 시절 든든한 동맹자로 유명하다. 토그릴이 숙부인 구르 칸과 내전을 벌일 때 테무진의 아버지였던 예수게이 바아투르의 도움을 받고 승리했기에 카라툰의 맹약을 맺고, '안다' 즉 의형제가 되었기 때문이다. 토그릴 칸과 테무진은 동맹을 맺고 금나라타타르 정벌에 참여하여 승리했는데, 이 때 토그릴은 왕의 작위[3]를 받았고, 테무진은 백호장의 작위인 '자우우트 코리'라는 직책을 하사받았다.

나이만메르키트를 함께 상대하면서 동맹이 조금씩 틀어지다가, 자다란부의 자무카가 옹 칸에게 의탁하고, 이를 비난하는 테무진이 암살 당할 뻔하면서 완전히 갈라서게 되었다. 1203년 가을 테무진의 역습으로 옹 칸과 그의 아들 일카 셍굼은 제지르 운두르산 전투에서 참패하고 쫓겨다니게 되었다.[4] 옹 칸은 동나이만부의 타양 칸의 땅으로 도망가려 했지만 나이만 국경지대에서 수비대장인 코리 수베치에게 살해당했다.

1206년 테무진이 칭기즈 칸으로 등극하고, 몽골 제국이 성립되면서 케레이트는 몽골족에 완전히 흡수되었다.

그후 옹 칸의 동생인 자하 감보[5]의 딸 소르칵타니 베키[6]가 칭기즈 칸의 4남 툴루이의 아내가 되어 슬하의 자녀로 몽케 칸, 쿠빌라이 칸, 훌레구 칸, 아리크부카를 낳았다.

2.1. 여담

케레이트의 휘하에는 지르킨, 투베겐, 동카이드, 사카이트, 알바트등 여러 씨족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케레이트와 군신관계였다. 이 씨족들중 지르킨, 동카이드, 투베겐은 카라 칼지트 사막 전투에서 케레이트의 우군으로 참전하였다.

북원 시대에는 오르도스 부와 코르친 부의 휘하에 있었다.

3. 인물

  • 자하감보
    토그릴 칸의 동생으로 툴루이의 아내인 소르각타니 베키의 부친이다.

[1] 또한 케레이트의 어원이 검은색을 뜻하는 튀르크어 '카라'가 기원이 아닌가 추측하기도 한다.[2] 토그릴 옹 칸의 아버지로 초원의 강자였던 타타르를 몰아내고 케레이트를 부흥기로 이끈 명군이다. 옹 칸을 포함해 자식이 40여명이라 한다.[3] 이후 옹 칸(王汗)으로 불리게 되었다.[4] 물론 케레이트는 당시 몽골 고원의 부족들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기에 테무진 칸이 기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3일이나 포위한 끝에 무너뜨릴 수 있었다.[5] 본명은 케레이데이로 토그릴 칸과는 앙숙이였다.[6] 자하 감보와 그의 부인인 바이시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훗날 칭기즈 칸의 막내아들 툴루이와 결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