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술잔 대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술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술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대포(大砲)
2.1. 화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화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대포(大砲)는 화포 전반을 두루두루 가리키는 가장 일반적인 단어이다. 화포를 뜻하는 '砲'도 '대포 포'라는 훈음으로 부를 정도이다. 작은 포는 '소포'라고 하진 않고 총, 소화기(小火器)라 한다. 총과 포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구경 20mm 선이라고 한다. 그보다 작으면 총, 크면 포이다.
2.2. 위조·모조품
대포에서 나는 큰 소리를 따서 허세나 허풍이 매우 심할 때 "대포를 놓는다"라는 관용구가 생겼으며, 이로 인해 자신의 명의로 등록하거나 만든 것이 아닌 남의 명의를 도용해서 등록하거나 만든 것을 뜻하는 속어가 되었다. 대포차, 대포통장이나 대포폰 같은 것은 이 대포를 말한다.비슷하게 북한에서는 거짓말을 꽝포라고 한다. 꽝 소리만 요란한 대포라는 뜻에서 유래한다.
2.3. 대포렌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렌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렌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4. 운현궁 화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현궁 화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운현궁 화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대포(大酺)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행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행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대포동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동#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포동#|]]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대포리(大浦里)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대포리
- 경상북도 상주시 모서면 대포리
-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대포리
- 전라남도 여수시 소라면 대포리
- 전라남도 화순군 동면 대포리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대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