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1 16:56:45

경기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드라마 부활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경기도(부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특별시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광역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특별자치시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세종특별자치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미수복지역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svg
황해도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광역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 -12px -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6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북부청사|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대한민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京畿道
Gyeonggi-do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도청
소재지
본청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이의동)
북부 의정부시 청사로 1 (신곡동)
최대 도시 수원시
하위 행정구역 28[1] 3[2][3]
면적 10,199.7㎢[4]
인구 13,694,685명[5][6]
인구 밀도 1,342.26명/㎢[7]
GDP $4,324억(2022)[8]
1인당 GDP $31,609(2022)[9]
도지사
파일:zsdkl3gasdg.svg
김동연 (초선)
부지사 <colbgcolor=#004097><colcolor=#fff> 행정1
김성중 (12대)
행정2 오후석 (20대)
경제 고영인 (4대)
도의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zsdkl3gasdg.svg
76석[1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6석[11]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2석[12]

2석[13]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zsdkl3gasdg.svg
53석[1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6석[15]

파일:개혁신당 로고타입.svg
1석[16] }}}}}}}}}
시장·군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2석[17]

파일:zsdkl3gasdg.svg
9석[18] }}}}}}}}}
교육감 [[보수주의|
보수
]]
임태희 (초선)
상징 도화 개나리
도목 은행나무
도조 비둘기
지역번호 031[19]
ISO 3166-2 KR-4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도청4. 경기도지사5. ‘경기’라는 용어에 대해
5.1. 경기의 사용 유례5.2.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동질성
6. 역사
6.1.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7. 인구
7.1. 인구 추이
8. 지리
8.1. 기후8.2. 권역 구분
9. 정치10. 경제
10.1. 산업
11. 교통
11.1. 철도11.2. 도로11.3. 대중교통11.4. 택시11.5. 항공
12. 치안13. 상권14. 신도시 개발
14.1. 1기 신도시14.2. 2기 신도시14.3. 3기 신도시
15. 군사16. 주변 지역과의 관계17. 문화
17.1. 교육17.2. 언어17.3. 특산물17.4. 관광17.5. 언론사17.6. 스포츠
18. 높은 외지인 비율19. 경기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20. 산하 행정구역
20.1. 미수복 경기도20.2. 없어진 행정구역
21. 산하 지방공기업22. 출신 인물23. 자매결연 지역24. 여담25. 관련 문서2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세상을 바꾸는 기회수도, 경기도
대한민국. 지리적으로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와 접하고 있으며, 이들과 함께 대한민국의 수도권을 이루고 있다. 동쪽으로는 강원특별자치도, 서쪽으로는 황해, 남쪽으로는 충청남도충청북도, 북쪽으로는 북한과 접해있다.

대한민국 전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지역이자, 유일하게 인구가 1,000만 명을 넘는 광역자치단체다.[20] 경기도는 충청남도와 더불어 군보다 시가 더 많은 지역으로 산하의 31개 기초자치단체 중 군은 단 3개뿐이며(가평군, 양평군, 연천군)[21] 나머지는 모두 시고, 특히 이들 중 11개 시는 인구가 50만 명을 넘어 대도시 특례를 받고 있을 정도로 발전한 지역이기도 하다. 심지어 양평군조차도 광역시 산하 군 지역을 제외한 군 중에서는 인구 수 1위인 지역이다.

특별자치도가 아닌 중 유일하게 남북으로 나뉘지 않은 도[22]이다.[23]

강원특별자치도, 황해도[24]와 더불어 남북분단으로 갈라진 도다.

2. 상징

경기도의 휘장
파일:경기도 휘장.svg
2021년부터 사용 중인 경기도의 휘장이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휘장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경기도 휘장(1967-1995).svg
1967년~1995년
1967년부터 1995년까지 사용됐던 휘장이다.[25]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4).svg
1996년~2004년
1996년부터 2004년까지 사용됐던 휘장이다.[26]
파일:경기도 휘장(2005-2021).svg
2005년~2021년
2005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됐던 휘장이다.[27] }}}}}}}}}}}}}}}
경기도의 도기
파일:경기도기.svg
도기는 ‘경기도 GI’ 이미지를 대표하는 공식적인 시각 상징물로서 제작 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며, 훼손이나 오염을 방지하여 항상 청결하게 관리한다.
경기도의 슬로건
파일:경기도 슬로건.svg
2021년부터 사용 중인 슬로건이다.
주된 사용처는 해외 마케팅. # [28]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경기도 휘장(1995-2005)_국문.svg
1995년~2006년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됐던 슬로건이다.[29]
파일:경기도 휘장(2006-2021)_국영문.svg
2006년~2021년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됐던 슬로건이다.[30] }}}}}}}}}}}}}}}
경기도의 도정 슬로건
파일:민선8기 경기도 도정 슬로건.svg
2022년부터 사용 중인 민선 8기 김동연 도정의 슬로건이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도정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경기도 로고 (남경필 도정 슬로건 1).jpg
2014년 11월 27일~2018년 6월 30일
민선 6기 남경필 도정에서 사용됐던 슬로건이다. 2가지 버전으로 제작되었다. ##
파일:경기도 로고 (남경필 도정 슬로건 2).jpg
2014년 11월 27일~2018년 6월 30일
파일:경기도 도정슬로건.svg
2018년 12월 26일~2022년 6월 30일
민선 7기 이재명 도정에서 사용됐던 슬로건이다.[31] #
}}}}}}}}}}}}}}} ||
경기도의 마스코트
파일:경기도 마스코트 봉공이.svg
경기도 민선 8기 도정슬로건에서 파생된 캐릭터 ‘봉공이’로서, 이름은 변화, 기회의 자음인 ㅂ, ㅎ, ㄱ, ㅎ를 세로로 배열한 데서 유래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역대 마스코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colbgcolor=#fff,#1c1d1f> 파일:qRF6Ynv.jpg
1995년~2006년
1995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됐던 마스코트 '지구돌이'이다.
파일:경기도 마스코트 블루링.svg
2006년 2월 23일~2021년
2006년부터 2021년까지 사용됐던 마스코트 '블루링'이다.[32]
파일:경기도 마스코트 봉공이(2022).svg
2022년~2023년
민선 8기 도정슬로건에서 파생된 마스코트 '봉공이'이다.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이후에는 리뉴얼 된 봉공이를 사용한다. }}}}}}}}}}}}}}}
경기도의 특별 엠블럼
<colbgcolor=#fff,#1c1d1f> 파일:경기도 로고 (600년 기념 로고).png
2014년 2월 7일 공개
2014년 2월 7일 공개된 600주년 기념 엠블럼이다. 이는 '경기좌도'와 '경기우도'가 '경기도'로 통합된 지 600주년을 기념 한다. 2014년 2월 16일 경기도 600주년 기념식을 시작으로 600주년 기념 안내 책자등에서 사용되었다.[33]
파일:경기천년_국문_상하조합.svg
2018년 9월 21일 공개
2018년 9월 21일 공개된 경기 천년 엠블럼이다. 이는 '경기'라는 용어 자체가 처음 역사에 등장한 1018년으로부터 1,000주년을 기념한다.[34]

3. 도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래 한성부와 경기도로 나누어져 있던 조선 시대까지는 경기감영(경기도청)이 성저십리 돈의문 바깥에 있었다. 경기감영 터는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4번 출구로 나와서 서울적십자병원을 찾아가면 된다. 원래 경기감영이 있던 곳에 서울적십자병원이 들어선 것이다.[35]

이후 1896년에 감영을 수원으로 이전하여 수원화성 내에 있는 화성행궁을 경기관찰사와 수원군수가 함께 일하는 합동청사(경기도 관아+수원군 관아)로 전용했지만, 한일합방 직후에 경성부로 이전하면서 대한제국내부(內部) 청사를 조선총독부의 경기도청으로 전용했다. 1995년에 일제강점기의 잔재라고 판정하면서 철거한 조선총독부의 경기도청은 조선 시대의정부 청사가 있었던 곳으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76-14(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2번 출구에서 북쪽으로 광화문 시민열린마당과 前 문화체육관광부 자리)에 있었다.

1953년부터 도청 이전이 거론되면서 이전 위치를 놓고 인천과 수원이 대립했으나 1963년 수원으로 확정되면서 경기도청이 수원으로 이전했다. # 2022년에는 광교신도시로 도청을 이전했으나 주소상으로는 여전히 수원에 있다.

4. 경기도지사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지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구자옥
제2대
이해익
제3대
김영기
제4대
이익흥
제5대
최헌길
제6대
최문경
제7대
윤원선
제8대
신광균
제9대
박창원
제10대
이흥배
제11대
박태원
제12대
남봉진
제13대
김태경
제14대
손수익
제15대
조병규
제16대
손재식
제17대
김주남
제18대
염보현
제19대
김태호
제20대
이해구
제21대
김용래
제22대
임사빈
제23대
이재창
제24대
심재홍
제25대
윤세달
제26대
임경호
제27대
김용선
제28대
이해재
제29대
이인제
제30대
임창열
제31대
손학규
제32·33대
김문수
제34대
남경필
제35대
이재명
제36대
김동연
파일:민선8기 경기도 도정슬로건 가로.png
경기도지사 권한대행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기도지사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지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경기’라는 용어에 대해

다른 도의 이름은 고려 시대~조선 시대 지역 내의 대표 도시 두 곳의 첫글자를 딴 것이지만,[36] 경기도라는 이름은 수도 주변 지역을 말하는 '경기(京畿)' 에서 따온 것이다.

고유 명사가 아닌, 일반 명사 경기(京畿)는 서울(수도)[37]을 뜻하는 '서울 경() 자'와 수도의 주변 지역을 뜻하는 '경기 기()[38]자'가 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수도를 중심으로 한 가까운 주위의 지방을 뜻한다. 그리고 여기에 행정구역의 한 단위인 도(道)를 붙여 고유 지명인 경기도(京畿道)가 된 것이다. 경기도라는 명칭은 본래 중국의 당나라에서 수도였던 장안의 권역을 가리킬 때 사용했고, 당나라의 행정구역 용어를 차용한 고려조선에서는 경기의 세부 구역에 각각 경기○도라는 이름을 붙이고, 이를 아울러 부르거나 경기 하나만을 운영할 때는 경기라는 명칭으로 사용했으며, 현대 대한민국에서는 다시 경기도라는 이름으로 사용되고 있다.

간혹 문화적 측면에서 수도를 포함한 "권역" 일대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고대부터 수도권이라는 의미로 경기, 기내(畿內)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다. 일례로 일본의 간사이 지방을 킨키(近畿), 혹은 키나이(畿內)라고 하며 이 기(畿) 자를 사용하는데, 모두 수도 주변이란 뜻이다. 메이지 시대에 수도가 에도(도쿄)로 바뀌기 전까지 일본의 수도는 항상 간사이 지방에 있는 교토였기 때문이다.

5.1. 경기의 사용 유례

경기가 기록된 사례는 신라 때가 최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서는 수도 서라벌 중심지(경주 분지 가운데 지역) 동쪽은 대성군(大城郡), 서쪽은 상성군(商城郡)을 두었는데, 전국 다른 군은 밑에 현(행정구역)이 있는 것과 달리 이 대성군과 상성군 두 군은 특이하게 아래에 현 대신 정(停)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상성군은 남기정(南畿停), 중기정(中畿停), 서기정(西畿停), 북기정(北畿停), 막야정(莫耶停) 5개의 정으로 되어있고, 대성군은 약장현(約章縣)과 동기정(東畿停)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공통적으로 들어가는 기(畿) 자는 '도읍의 주변'이란 뜻으로, 바로 경기도 할 때의 기 자다. 지리적 위치로도 짐작할 수 있지만 대성군과 상성군은 일종의 경기도, 내지는 수도권 역할에 해당하는 특수 행정구역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정황상 여기까지는 보편적으로 왕경으로 간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대에 일반적으로 말하는 신라의 수도 서라벌 역시 이 정도 범위까지 포함된 개념을 말한다. 그리고 신라의 공식 행정구역명은 '동서남북+기'로 여러 개로 쪼개져 있었지만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의 여러 구절에 의하면 이를 통틀어 경기(京畿)라는 이름도 일상적으로 사용되었다.

경기라는 이름을 별칭이 아닌 실제 행정구역 이름으로 사용된 사례는 고려 때가 최초다. 1062년, 문종서경[39]에 부속도서 '경기사도(京畿四道)'를 설치했는데, 이것이 한국사 최초의 경기도다.[40] 서경을 중심으로 경기도가 네 구역으로 나뉘어 감싼 것으로,[41] 지금의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관계라고 볼 수 있다. 1390년, 고려 마지막 국왕인 공양왕은 수도 개성부[42]에 부속 행정구역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를 설치했다.[43] 이것은 중앙 수도에 경기도가 설치된 최초의 사례다.[44]

신라나 고려의 경기는 당시의 수도였던 경주시개성시 주변 지역[45]을 일컫는 말이었으며, 조선 건국 후 공양왕의 전례를 따라 수도 한성부를 중심으로 교외 행정구역 경기좌·우도(京畿左右道)를 설치했다가 다시 태종 때 경기좌·우도를 경기라는 이름으로 통합한 것이 바로 지금 대한민국의 경기도다. 한편 이렇게 경기를 만들면서 기존의 양광도에서 북쪽 반쪽 정도가 잘려나갔는데, 양광도의 남은 반쪽을 기반으로 충청도가 만들어졌다.

5.2.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동질성

대한민국의 경기도는 휴전선으로 인해 분단되어서 그렇게 보이지는 않지만, 전체 경기도 지도를 보면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 타원형에 가까운 편이다. 즉 서울은 경기도 안에 들어와 있으며, 당연히 상호 영향을 받았다.

정치, 행정 상으로는 1946년에 서울특별시가 경기도에서 분리되었기에 '경기'라고 볼 수 없다. 서울과 경기도가 통합된 것은 일제강점기 때로, 그 이전인 조선시대의 한성부는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처럼 경기도와 별개로 존재했다. 다만 이는 원칙적으로 그런 것이고, 정작 대한제국에서 발행한 여권을 보면 한성부를 경기도 소속으로 표기하고 있어서 행정상으론 철저히 구분되지 않았다. 대한제국 여권

언어·문화(풍습) 상으로는 서울도 경기도의 일부에 속한다. 단적인 예로, 서울 방언이 경기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취급되는 것으로 꼽을 수 있다.[46] 향토 전통 요리도 왕실 음식을 빼면 서울 요리와 경기 요리도 서로 비슷하기도 하고. 마찬가지로 경기 민요의 지역적 범위에 서울, 인천이 포함된다.

6. 역사

파일:경기도지도5.png 파일:경기도지도6.png 파일:경기도지도4.png
고려 말 좌도, 우도 분리 당시 조선 초 세종 때의 행정구역 조선 시대에 정착된 행정구역
파일:경기도지도3.png 파일:경기도지도2.png 파일:경기도지도1.png
23부제 개편 당시 부군면 통폐합 이후 해방 때의 행정구역

고대부터 현대까지 거의 대부분의 기간 동안 한국의 핵심 중의 핵심을 지킨 지역으로 중국의 '중원'과 같은 위상을 지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지역이다. 미수복 경기도를 포함하면 이곳에 중심을 둔 정치체는 백제, 태봉, 고려, 조선, 대한제국, 현대 대한민국이고 특히 고려시대 이래 1100여년간 한국의 중심 지위를 잃은 적이 없는 지역이다.

초기 백제가 터를 잡았던 지역이며, 475년(장수왕 63년), 고구려의 영토가 되었다가 553년(진흥왕 13년), 신라가 차지했다. 삼국이 돌아가며 한강 유역을 차지한 것이 각자의 전성기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질 정도로 그 위상이 공고했다. 이 때 신라가 이 지역을 장악한 것을 기록으로 남긴 것이 북한산 순수비다.

통일신라 때는 9주 5소경한주(한산주)였는데, 지금의 도청(행정)에 해당하는 주치는 지금의 경기도 하남시에 있는 이성산성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한주의 중심 도시가 지금의 광주시라고도 많이 알려져 있는데, 당시 한주가 고려시대 광주가 됐고 광주에서 나중에 하남시가 독립한 것이므로 둘 다 틀린 말은 아니다. 이 당시에는 행정구역의 숫자가 적어 신라의 변방으로 인구 밀도는 낮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군사적으로는 중요해서 지방군인 10정을 다른 주에는 1정씩 배치했으나 한주에는 특별히 2정 배치하기도 했다.

고려 때는 태조 왕건후삼국을 통일하면서 다시금 중요한 지역으로 부상했다. 고려시대의 경기는 당시의 수도였던 개경(송도) 및 그 주변 지역에 해당되었는데, 이 당시의 경기는 현재 북한에 남은 경기도 범위와 비슷하다. 중기 이후 남경(南京, 현 서울특별시 사대문안 일대)이 중요시되면서 경기의 영역이 남경 일대까지 확대되었다. 고려 시기 경기가 본격 확장된 것은 문종 23년(1069년)인데, 이 시기에 양광도에서 경기로 편입된 지역은 지금의 서울(강남, 송파, 강동 제외), 인천, 부천, 김포, 광명, 시흥, 안산, 화성 서부, 안양, 과천, 군포, 고양, 파주, 의정부, 양주, 동두천, 포천, 구리, 남양주 일대에 속한다. 다만 이 시대의 경기는 개성 중심의 주변 지역이었으므로 지금의 황해도 동부까지 경기에 속했고, 도(행정구역) 중 하나가 아니라 그냥 '경기'라는 특수한 행정구역이었다.

조선 건국 후 수도가 남경(한성부, 한양)으로 천도되면서 현재의 경기도 영역이 확정되고 사실상 다른 와 같은 행정구역이 되었다. 그러나 명칭에는 특수성이 남아있어서 정식 명칭은 여전히 경기였고, 잠깐 쓰이다 1413년(태종 13) 최종적으로 폐지된 세부 구역인 경기좌·우도를 가리킬 때만 도라고 불렀다. 이 지역을 총괄하던 지방관인 종2품 관찰사 역시 '경기도관찰사'가 아니라 '경기관찰사'였다. 실록에서 검색되는 '경기도관찰사'는 원문을 찾아보면 '京畿觀察使'가 아니고 '京畿觀察使'인데, 도관찰사(都觀察使)는 세조 때 관찰사(觀察使)로 개칭되기 이전의 명칭으로 道와는 상관이 없다. 즉 '경기도 관찰사'가 아니라 '경기 도관찰사'라는 것. 연산군 때 평택, 진위를 편입했다가 중종 때 충청도로 환원되었다. 1896년 진위를 편입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서울), 평택군을 편입했다.


해방 이후 미군정 시기에는 북위 삼팔선 이남의 황해도 영역[47]을 경기도에 임시 편입시켰다. 황해도를 실질 지방자치단체로 살리기에는 면적과 인구가 너무 좁았기 때문이다. 그 뒤 6.25 전쟁을 거치면서 황해도 영역은 서해 5도만 남기고 모두 군사분계선 이북으로 넘어갔다. 서해 5도는 현재 경기도에서 인천광역시 옹진군으로 재편입된 상태다. 1946년 9월 28일, 경기도 서울시에서 서울특별자유시로 분리되었다.

1937년 경기도에서 최초 으로 승격된 지역이 수원, 안성, 개성이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후인 1967년, 서울특별시에 있었던 경기도청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경기도의 양대 대도시였던 수원과 인천이 치열하게 유치 전쟁에 나섰다. 결국 유치전에서 수원이 승리했다.

1981년 경기도 인천시가 인천직할시로 분리승격되어 독립된 행정구역으로 변경됐다.

2024년 5월 경기도 북부 행정구역을 기존 경기도와 분리하여 경기북부특별자치도로 신설하는 안을 논의했다. 다만 주민투표 등의 통과 절차가 남아 있어, 실제 분리까지 실현되지 않고 분리 시도로 기록될 가능성이 있다.

6.1.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경기

7. 인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인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2년 12월 말에 1,000만 인구에 도달했고, 2003년 12월부로 서울특별시의 인구를 추월한 이후 줄곧 광역자치단체 인구 1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2년 외국인 인구 포함 시 1,400만 명에 가까운 인구 수를 자랑한다. # 21세기 이후 재개발된 화성시, 남양주시, 평택시, 김포시 등 도농복합시 지역이 인구가 빠르게 늘고 있는 반면 도시의 역사가 오래된 대도시인 성남시, 부천시, 안양시, 안산시 등은 인구가 조금씩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평균 연령도 전국에서 가장 젊은 지역 순위권에 드는 지역으로 전국에서 가장 아이들이 많은 젊고 활력 있는 지역이다.[48] 2023년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안성시 등은 고령화가 많이 진행되었지만 수원시, 용인시, 화성시, 평택시, 오산시, 하남시, 과천시, 시흥시, 김포시 등은 평균 연령이 약 40세 내외인 한국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젊은 동네다.

7.1. 인구 추이

경기도 인구 추이
(1949년 ~ 현재)
1949년 2,733,944명
1953년 7월 27일 6·25 전쟁 휴전 및 수복지구 군정 실시, 일부 지역[49] 상실
1954년 11월 17일 군정 종료, 수복지구 일대 경기도 이양
1955년 2,359,558명
1960년 2,445,402명
1962년 12월 12일(혹은 1963년 1월 1일) 서울대확장[50]
경기도 광주군 구천면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및 천호출장소 신설[51]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 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및 언주출장소 신설
경기도 광주군 중대면 전역·대왕면 일부 → 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및 송파출장소 신설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일부[52]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편입, 망우출장소 신설[53]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 서울특별시 성북구 편입, 노해출장소 신설
경기도 시흥군 동면 대부분[54]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편입, 관악출장소 신설[55]
경기도 시흥군 신동면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편입 및 신동출장소 신설
경기도 부천군 소사읍 일부[5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편입 및 오류출장소 신설
경기도 부천군 오정면 일부[57]·김포군 양서면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편입 및 양서출장소 신설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편입 및 양동출장소 신설
1966년 2,748,765명
1970년 3,296,950명
1973년 7월 1일 경기도 고양군 신도면 일부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편입 및 진관동 신설[58]
1975년 4,039,132명
1980년 4,933,862명
1981년 7월 1일 경기도 인천시 → 인천직할시 승격 분리
1985년 4,794,135명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 → 인천직할시 북구 편입
경기도 옹진군 영종면·용유면 → 인천직할시 중구 편입
1990년 6,155,632명
1995년 7,649,741명
1995년 3월 1일 경기도 강화군·옹진군 → 인천광역시 편입
2000년 8,984,134명
2005년 10,415,399명
2010년 11,379,459명
2015년 12,479,061명
2020년 13,427,014명
2024년 12월 13,694,68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400만 명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원시 1,193,005명
용인시 1,085,864명
고양시 1,070,120명
화성시 968,821명
성남시 913,009명
부천시 769,918명
남양주시 732,482명
안산시 620,579명
평택시 598,556명
안양시 556,492명
시흥시 518,132명
파주시 511,308명
김포시 486,853명
의정부시 461,271명
광주시 397,605명
하남시 329,120명
양주시 289,005명
광명시 278,167명
군포시 255,931명
오산시 242,065명
이천시 222,443명
안성시 193,949명
구리시 186,882명
의왕시 154,488명
포천시 141,463명
양평군 126,804명
여주시 114,610명
동두천시 86,838명
과천시 85,512명
가평군 62,527명
연천군 40,866명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20만 명
}}}}}}}}} ||
<nopad>
위와 같이, 6.25 전쟁 시기와 1981년 인천광역시가 떨어져 나갔을 때를 제외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서울특별시와 비교해보면 이미 1988년에 1,000만 명에 도달한 서울[59]에 비해서는 인구 증가가 비교적 늦은 편으로, 본래는 서울보다 인구가 적었다. 하지만 1990년대 1기 신도시 개발과 이후에도 지속적인 신도시 개발 및 서울에서의 인구 유입, 비수도권에서의 유입 등으로 인구가 급증하여 2002년 12월 말에 인구 1,000만 명에 도달했고 2003년에 서울 인구를 뛰어넘어 2010년대 이후로는 서울 인구를 크게 추월했다. 이러한 많은 인구는 경기도의 큰 특징으로, 수도권 집중화 현상으로 인해 전국에서 모여든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사는 지역이다.[60] 물론 서울에 비해 면적이 넓어 인구 밀도는 서울보다 낮지만, 이미 경기도의 인구 밀도는 전국 평균의 2.6배인 데다 울산광역시를 뛰어넘었다. #

8. 지리

파일:수도권 지도.svg

수도권(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을 나타낸 지도.

지도를 보면 서울특별시를 둘러싸고 있는 형태이나, 완전히는 아니고 서울특별시의 서쪽 일부(강서구)가 인천광역시(계양구)와 접하기 때문에 실제로 95% 정도 감싸고 있다. 이외에도 인천광역시 역시 경기도와 접한다. 주요 도시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화성시, 성남시, 부천시, 남양주시, 평택시, 안산시, 안양시, 시흥시, 파주시, 의정부시 등이 있다.[61]

해방 이래로 북한과의 정전 협정으로 인한 경계선 변경 및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다. 경기도 고양군에 있던 옛 성저십리 지역이 서울시에 재편입되었으며[62], 1953년 7월 27일 정전 협정에 의해 38선휴전선으로 바뀌며 개성시북한에 내주는 대신 연천군 일부를 회복했고 1963년 서울시역 대규모 확장 시 경기도 시흥군, 김포군, 광주군, 양주군의 상당부분이 서울시 영역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1973년에는 고양군 일부분[63]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고, 1981년에는 인천시가 인천직할시(현 인천광역시)로 분리되었으며, 1989년에는 김포 계양과 영종도 일대, 1995년에는 강화군, 옹진군과 김포 검단이 인천시에 편입되었다.#

1995년 옹진군강화군의 인천 편입으로 경기도 관할 해역의 약 70%가 사라졌다.[64] 또한 시화방조제, 화옹지구 등 간척 사업으로 화성시 근해의 넓은 해역이 더 이상 해역이 아니게 되었으며, 그나마도 구 옹진군에서 풍도를 포함한 대부도 일대를 가져와서 바다가 조금 있는 정도다. 그래서 해양 개발 측면에서 경기도는 북부의 경인 아라뱃길, 서남부의 시흥시·화성시·평택시에 집중하고 있다.

관할하는 유인도는 달랑 6개. 풍도, 대부도, 육도(이상 안산시 관할), 제부도, 국화도, 입파도(이상 화성시 관할). 다른 연해 지역인 김포시, 시흥시, 평택시는 유인도가 없다. 참고로 인천광역시의 팽창 과정에서 경기도가 상실한 유인도가 전부 39개다.[65]

한편 북쪽으로는 강원도와 함께 휴전선을 끼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북한과 인접한 최북단의 영향이 있는 지역이어서 경기 북부 지역은 북한과의 남북관계에 민감한 편이며 특히 강원특별자치도에 비해 이곳은 수도권답게 더욱 군사력이 집중되어 있는 지역이다.

8.1. 기후

거의 대부분의 지역이 연교차가 매우 큰 냉대 동계 건조 기후의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일부 경기남부는 온대 하우 기후와의 점이지대이다.

서울 근교 지역과 남부의 수원시까지는 서울특별시와 마찬가지로 열섬 현상을 받아 여름에 상당히 더운 곳이 많다. 더위는 외곽으로 갈수록 덜하며[66] 추위는 외곽으로 갈수록, 특히 북부와 동부가 심하다.

8.2. 권역 구분

대체로 동부와 서부보다는 한강을 기준으로 남부와 북부를 구분한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따라 경기도청은 수원시와 의정부시 두 곳에 청사를 두고 있다.

인천광역시의 경우 오랜 세월 동안 경기도의 일부로 존재하다가 독립된 광역시(직할시)로 분리된지 40여 년 밖에 되지 않았기에 행정상으로는 경기도에서 독립되어 있어도, 언어·문화(풍습)적인 면에서는 여전히 경기 서부권이라 할 수 있다. 부천시(그리고 가끔 추가적으로 광명시, 시흥시까지)과 묶어서 경기 서부권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더러 있다.

경기도는 다른 도(道)와 달리 행정구역보다는 거점 중핵도시(수원시, 의정부시, 성남시 등)를 중심으로 단일한 생활권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데(행정구역과 생활권의 불일치), 이는 많은 인구와 그로 인한 도시간의 연담화, 그동안 수없이 이어진 행정구역 개편에 기인한 것이다.

2017년 경기도의회 안행위 의결 관련 경기북도 공청회에서는 경기도를 5개의 권역으로 분류했다.
  • 경기중부: 수원시, 안양시, 의왕시, 과천시, 군포시, 성남시
  • 경기동부: 광주시, 이천시, 양평군, 여주군, 하남시
  • 경기서부: 광명시, 김포시, 부천시, 시흥시, 안산시
  • 경기남부: 평택시, 용인시, 안성시, 화성시, 오산시
  • 경기북부: 파주시, 의정부시, 구리시, 고양시, 양주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

2023년 경기북도 신설 관련 공청회에서는 경기도를 6개의 권역으로 나눴다.
  • 경의권(경의선):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 경원권(경원선):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
  • 동북권: 남양주시, 구리시, 양평군, 가평군.
  • 동남권: 광주시, 하남시, 이천시, 여주시.
  • 경부권(경부 1호선, 경부고속도로, SRT): 수원시, 성남시, 용인시, 안성시, 과천시, 안양시, 의왕시, 군포시.
  • 서해안권(서해안 잔여 지역): 화성시, 평택시,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 안산시, 오산시

여기에서 2017년 경기서부로 분류한 김포시, 경기동부로 분류한 양평군을 2023년 경기북도로 분류했다.

경기도는 중심지 권역 체계를 8광역거점, 8전략거점, 17지역거점으로 분류해서 도의 발전을 지속하고 있다.[67]
  • 8광역거점: 수원시, 안산시, 부천시, 고양시, 양주시, 남양주시, 성남시, 평택시
  • 8전략거점: 용인시, 안양시, 오산시, 화성시(동탄, 남양읍), 김포시, 파주시(문산읍), 의정부시, 이천시
  • 17지역거점: 안성시, 과천시, 광명시, 의왕시, 군포시, 시흥시, 하남시, 파주시, 여주시, 평택시(안중읍), 구리시, 광주시, 동두천시, 가평시, 양평시, 포천시, 연천군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경제

<colbgcolor=#0c489d><colcolor=#fff> 지역내
총생산
<colbgcolor=#0c489d><colcolor=#fff> 전체 529조 2,108억 원(2021) (전국 대비 25.4%)
1인당 \3,887만 9,000원
지역
총소득
전체 약 465조 원 (전국 대비 5%)
1인당 44,511달러(2017)
개인
소득
전체 64조 3,000억 원
1인당 2,332만 3,000원(2017)
성장률 2.3%(2019)

경기도는 남부 위주로 발전했기 때문에 남북 차이가 매우 심한 편이다. 경기도 북쪽 지역들은 남쪽 지역들에 비해 전체적으로 경제적인 발전이 낮은 지역들이다. 일단 연천군의 경우에는 하필 휴전선과 접해 있는 탓에 북한도발 위협에 노출되어 있으며, 경기 동부는 상수원 등의 문제로 개발 제한이 걸려 있거나 교통이 비교적 불편한 편이라서 투자자들이 개발을 꺼리기 때문이다. 또 군부대 때문에 군인 인구가 많고 민간 인구는 적다 보니 지역 목소리와 파워가 약하고, 이러니 정책 우선 순위에서 항상 밀리게 십상이다. 그나마 고양시, 남양주시, 구리시, 의정부시 등은 사정이 나은 편이지만, 경기도 내에서도 시골 소리 듣는 파주시 북부 지역,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 안성시 등의 낙후도는 인천광역시강화군, 옹진군의 낙후도와 거진 대등할 정도로 심각한 편이다. 대신 이 지역들의 경우 개발이 덜 되었다는 특수성 덕분에 한편으로는 자연 환경만큼은 잘 보존되어 있으면서 서울 및 경기도 도시들과 가깝다는 이점으로 근교 휴양지로 각광을 받고 있다.

분단국가라는 특수성 때문에 군사분계선과 비교적 가까워 군부대가 많은 북부 지역은 개발 우선 순위에서 늘 밀렸고, 이것 때문에 남북 차이가 매우 심한 편이다. 일단 인구가 70~80만 명 이상의 준대형급 도시들이 수원시, 용인시, 성남시, 부천시, 화성시 등 주로 중부 아니면 남부에 주로 포진해 있는 반면 북쪽에는 고양시남양주시 단 두 도시 뿐이다. 경기도 남부청사가 있는 수원시의 인구가 약 120만 명 정도에 비해 경기도 북부청사가 있는 의정부시의 인구는 약 46만 명 정도이다. 또한 대기업 공장, 연구소 등도 남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특히 북쪽은 대부분 베드타운이다. 때문에 지속적으로 경기북도와 경기남도로 나누자는 논쟁이 나오고 있다.

10.1. 산업

기업들의 공장과 연구소가 많이 있다. IT,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이 많이 발달한 편이다. 수도권 집중화로 인해 비수도권 지역에 있던 공장이나 연구소 등이 경기도로 많이 옮겨왔으며 신규 투자도 집중되고 있다. 이는 남방한계선이라는 용어가 등장할 정도로 수도권 선호가 심해지면서, 기업들 입장에서는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수도권에 위치하는 것이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11. 교통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의 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3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가평군 고양시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구리시 군포시 김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성남시 수원시 시흥시 안산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양평군 여주시
연천군 오산시 용인시 의왕시 의정부시
이천시 파주시 평택시 포천시 하남시
화성시 }}}}}}}}}

11.1. 철도

일반철도로는 경인선, 경부선, 경원선, 경의선, 중앙선, 경춘선, 안산선, 일산선, 교외선, 경강선, 중부내륙선, 서해선 등이 있다. 교외선, 중부내륙선을 제외한 다른 노선은 수도권 전철[69]이 운행 중이며 경인선, 일산선과 안산선은 수도권 전철만 운행한다.

남양주시양평군에선 중앙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가장 큰 역은 양평역으로, 강릉으로 가는 경강선 KTX (강릉선 KTX)와 중앙선 KTX,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한다. 이전에는 ITX-새마을도 정차했고, 중앙선 ITX-새마을2021년 1월 5일 개편 이후로 폐지되었다가 2022년 11월 5일부터 다시 운행하기 시작했다. 용문역부터 원주역 사이에 있는 양평군의 철도역들은 모두 하루 왕복 2~4회의 무궁화호만 정차하는 시골역이었으나, 2022년 11월 5일 이후로 ITX-새마을도 정차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문제는 석불역, 일신역, 매곡역 등 허허벌판 한가운데 있는 역들까지 모두 정차한다는 것이다. 남양주시에 있는 덕소역에서도 안동, 강릉[70], 태백 등으로 향하는 무궁화호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출퇴근용으로 하루 왕복 4회만 정차한다. 남양주시평내호평역, 등지에선 춘천으로 가는 ITX-청춘 열차도 이용할 수 있다.

경기도 남쪽 지역인 안양시, 수원시, 오산시, 평택시, 화성시에선 부산, 목포, 광주, 대전 등지로 가는 무궁화호와 새마을/ITX-새마을, 누리로, 그리고 KTX열차와 동탄역, 평택지제역에서는 SRT도 이용할 수 있다. 수원역에는 모든 무궁화호, 누리로와 새마을/ITX-새마을이 정차하고, 수원경유 KTX도 정차한다. 평택역에도 모든 무궁화호, 누리로와 일부 새마을/ITX-새마을이 정차한다. 오산역, 서정리역, 안양역에는 정차횟수가 적다. 광명시에서는 광명역을 통해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경전선, 동해선 KTX를 이용할 수 있다. 동탄역에서는 목포광주송정역, 부산역에서 출발하여 수서역에 도착할 때 동탄역에 정차하거나(경부,호남선) 그 반대로 수서역에서 동탄역을 지나 부산역 광주송정역 목포역으로 갈 때 정차하는 경우다.

이천시, 여주시, 성남시에는 문경으로 가는 중부내륙선 KTX가 운행한다.

2024년 11월에는 서해선 서화성홍성 구간과 평택선 창내안중 구간이 개통됐다. 이 중 서해선은 2028년 이후에 서화성역향남역까지 수도권 전철 신안산선 운행이 확정되어 있으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도 연장될 계획이 있다. 한편 서해선평택선이 교차하는 안중역수도권 전철 운행이 확정되지는 않았으나, 경기도와 평택시에서 수도권 전철 연장[71]을 추진 중이다.

11.2.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colbgcolor=#164194>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svg경부선 · 파일:Expressway_kor_15.svg서해안선 · 파일:Expressway_kor_17.svg평택파주선/익산평택선 · 파일:Expressway_kor_29.svg세종포천선 · 파일:Expressway_kor_35.svg중부선 · 파일:Expressway_kor_37.svg제2중부선 · 파일:Expressway_kor_40.svg평택제천선 · 파일:Expressway_kor_45.svg중부내륙선 · 파일:Expressway_kor_50.svg영동선 · 파일:Expressway_kor_52.svg광주원주선 · 파일:Expressway_kor_60.svg서울양양선 · 파일:Expressway_kor_100.svg수도권제1순환선 · 파일:Expressway_kor_110.svg제2경인선 · 파일:Expressway_kor_110.svg경인선 · 파일:Expressway_kor_130.svg인천국제공항선 · 파일:Expressway_kor_153.svg평택시흥선 · 파일:Expressway_kor_171.svg오산화성선, 용인서울선 · 파일:Expressway_kor_173.svg익산평택지선 · 파일:Expressway_kor_400.svg수도권제2순환선 · 파일:제3경인고속화도로 표지.png제3경인선
대로 경기도의 대로
장안구 권선구 팔달구 영통구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만안구
동안구 상록구 단원구 덕양구
일산동구 일산서구 처인구 기흥구
수지구 의정부시 부천시 광명시
평택시 동두천시 과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오산시 시흥시 군포시
의왕시 하남시 파주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화성시 광주시
양주시 포천시 여주시 연천군
가평군 양평군



고속도로로는 경부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서해안고속도로, 서울양양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 평택시흥고속도로, 평택파주고속도로, 익산평택고속도로 등이 있다.

국도로는 1번 국도, 3번 국도, 6번 국도, 17번 국도, 21번 국도, 37번 국도, 38번 국도, 39번 국도, 42번 국도, 43번 국도, 44번 국도, 45번 국도, 46번 국도, 47번 국도, 48번 국도, 75번 국도, 77번 국도, 87번 국도 등이 있다.

11.3. 대중교통

11.4. 택시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택시
모범택시
대형택시
기본요금 7,000원(3km)
추가(상호병산제) 200원(35초/144m)
심야할증 20%, 시계외할증 없음
일반택시
(표준형)
[72]
기본요금 4,800원(1.6km)
추가(동시병산제) 100원(30초/131m)
일반택시
(가형)
[73]
기본요금 4,800원(1.8km)
추가(동시병산제) 100원(25초/104m)
일반택시
(나형)
[74]
기본요금 4,800원(2.0km)
추가(동시병산제) 100원(20초/83m)
일반택시 할증
심야할증 30%(23시~04시)
시계외할증 20%
부천/광명/김포/고양 - 김포/인천공항 간 시외할증 없음
오산-화성, 안양-과천-의왕-군포, 광주-하남은 각각 공동사업구역으로 공동사업구역 내 이동 시 시외할증 없음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파일:광명시 CI_White.svg 광명시 택시
일반택시
기본요금 4,800원(1.6km)
추가(동시병산제) 100원(30초/131m)
심야할증 20%[75]/40%[76]
시계외할증 20%
모범택시
대형택시
기본요금 7,000원(3km)
추가(상호병산제) 200원(36초/151m)
심야할증, 시계외할증 각각 20%
서울 금천, 구로, 김포공항, 인천공항 할증 없음
유료도로 이용료 승객 부담

도심 지역의 표준형에 비해 도농복합시의 가형은 8%, 농촌 지역의 나형은 18% 더 비싼 요금을 받는다.

광명시는 서울특별시와 공동사업구역 협약을 맺고 있으며, 서울 요금체계를 따른다.

11.5. 항공

현재 경기도 내에 민항기가 운항하는 공항은 없다. 김포국제공항, 인천국제공항을 주로 이용하고, 남부지역은 가끔 청주국제공항도 이용한다.

12. 치안

농촌부터 신도시까지 스펙트럼이 넓어서 일괄적인 설명은 어렵다. 대신에 시 하나하나 떼어놓으면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하다. 전반적으로 봤을 때 그렇게까지 치안이 좋은 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치안이 그렇게 나쁜 것은 아니고 인구 자체가 매우 많아서 평균적으로는 당연히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다만 대한민국 자체가 치안이 좋기에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13.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신도시 개발

파일:LH 심볼.svg 대한민국 정부의 신도시 계획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a3cd39> 1기 [[분당신도시|
분당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일산신도시|
일산신도시
경기 고양시
]] | [[중동신도시|
중동신도시
경기 부천시
]] | [[평촌신도시|
평촌신도시
경기 안양시
]] | [[산본신도시|
산본신도시
경기 군포시
]]
2기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
경기 수원시·용인시
]] | [[판교신도시|
판교신도시
경기 성남시
]] | [[운정신도시|
운정신도시
경기 파주시
]] | [[양주신도시|
양주신도시
경기 양주시
]] | [[한강신도시|
한강신도시
경기 김포시
]] | [[위례신도시|
위례신도시
서울 송파구·경기 하남시·성남시
]] | [[아산신도시|
아산신도시
충남 아산시·천안시
]] | [[동탄1신도시|
동탄1신도시
경기 화성시
]] | [[동탄2신도시|
동탄2신도시
경기 화성시
]] | [[검단신도시|
검단신도시
인천 서구
]] | [[도안신도시|
도안신도시
대전 서구·유성구
]] | [[고덕국제신도시|
고덕국제신도시
경기 평택시
]]
3기 [[왕숙신도시|
왕숙신도시
경기 남양주시
]] | [[교산신도시|
교산신도시
경기 하남시
]] | [[계양신도시|
계양신도시
인천 계양구
]] | [[창릉신도시|
창릉신도시
경기 고양시
]] | [[대장신도시|
대장신도시
경기 부천시
]] | [[광명시흥신도시|
광명시흥신도시
경기 광명시·시흥시
]] | [[의왕군포안산신도시|
의왕군포안산신도시
경기 의왕시·군포시·안산시
]] | [[진안신도시|
진안신도시
경기 화성시
]]
대한민국 정부(국토교통부) 관장 신도시만 기재. 참고: 국토교통부 신도시 정책자료
}}}}}}}}} ||

서울의 인구를 분산 수용하기 위해 계획적으로 건설된 신도시가 곳곳에 있다. 이러한 신도시 개발로 인해 서울에서 경기도로 주거를 옮기는 경우가 많다. 분당신도시, 판교신도시, 광교신도시, 동탄신도시, 과천시 등은 집값이 서울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경우도 있다. 특히 이런 곳은 전체적으로 신도시라 쾌적하고, 젊은층이 많은데다가 또 반도체, IT 등 첨단산업 일자리가 집중되어 있으며 인프라도 충분히 있어서 서울보다 앞서는 면도 많다.

이러한 신도시들은 국가의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에 의해 급격히 개발되었기 때문에, 구시가지와 신도시 사이의 빈부격차가 나타나기도 한다.

14.1. 1기 신도시

1989년 주택난 해소와 집값 안정을 위해 노태우 정부가 추진했던 이른바 200만호 주택 건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건설된 신도시들로, 이들을 가리켜 5대 신도시라 부르기도 한다. 1988-1990년 사업 시작, 1995-1996년 사업 완료. 분당신도시, 중동신도시, 산본신도시, 평촌신도시, 일산신도시가 해당된다.

14.2. 2기 신도시

파일:1357371695.jpg
2000년대 들어서 개발된 신도시들로, 대부분 기존 1기 신도시들보다 더 외곽 지역에 건설되었다. 그만큼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입이 폭발적이었고 수도권의 외연이 확장되었다는 증거다. 판교신도시, 광교신도시, 동탄신도시, 고덕국제신도시 등이 해당된다.

14.3. 3기 신도시

파일:new town map.jpg
2기 신도시로도 유입인구를 감당할 수 없어서 계획된 신도시이다. 창릉신도시, 왕숙신도시, 대장신도시 등이 해당된다.

15. 군사

대한민국 국군 중에서 육군 지상작전사령부(수도군단, 1군단, 5군단, 6군단, 7기동군단, 55사단), 해군 제2함대[77]해병대 제2사단의 작전 지역인데 참고로 육군의 제2작전사령부(옛 2군)는 지작사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관할하며, 지작사의 경우 강원도와 더불어 특히 제설작전과 비교적 강도 높은 훈련으로 악명이 높지만 대신 수도권 지역이라 교통은 비교적 좋다. 지작사 예하 사단 신교대에 입영하면 재수가 좋으면 후방에 속하는 경기도 남부 지역으로 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공군에서는 공군작전사령부공군미사일방어사령부, 공군방공관제사령부, 제10전투비행단, 제15특수임무비행단도 있다.

16. 주변 지역과의 관계

16.1. 서울특별시

지리적으로 품안에 안고 있는 수도 서울특별시와는 필연적 관계다. 해방 이후 1946년까지 서울특별시는 1년 안 되는 시기 동안 경기도 서울시였던 적이 있으며, 1946년 8월 15일 미 군정청에 의해서 서울시는 경기도 관할에서 서울특별시로 이탈 승격된 형태로 다른 도와 같은 급의 "서울특별자유시"가 되었고, 1948년이 되어서야 대한민국의 정식 수도가 되었다.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함께 수도권으로 불리고 한때 일부 지역이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로 편입되면서 도역이 축소되기도 했으나, 1990년대 이후 신도시 개발을 통해서 서울에서 많은 인구가 유입되고 있다. 경기도 개발 초기 교통인프라가 구축되던 시기에 서울 중심으로 구축되었기 때문에 서울 중 경기도 → 경기도 이동보다 경기도 → 서울 이동이 더 편리한 경우가 많았다. 다만 인구 증가로 인해 경기도 자체의 인프라가 워낙 발전하고 있는데다가 동탄인덕원선 등 경기도 내부의 교통도 발전하고 있다. 서울과 인접한 지역들은 20분 정도밖에 안 걸릴 만큼 서울로 이동할 수 있는 교통편이 발달되어 있다.

16.2. 인천광역시

1995년에 강화군, 옹진군, 검단을 인천광역시에게 양도하면서 구역이 축소되었으나 서해안 발전에 있어서 협력을 유지하는 중이다.

16.3. 강원특별자치도

전반적으로 공생 관계이다. 경기도는 공업인 2차 산업과 서비스업인 3차 산업을 통해 강원특별자치도를 지원해주는 경향이 강하고, 강원특별자치도는 그 답례로 1차 산업을 통해 깨끗하고 맑은 시골에서 자라나는 농축수산물을 경기도에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경향이 강하다. 게다가 경기도에서 가까운 휴양지로서 3차 산업인 관광업(서비스업)을 제공한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경기도와 강원특별자치도를 잇는 교통 인프라가 발달했다.

16.4. 충청남도

역사적으로도 경기도와 충청남도는 서로 라이벌 기질이 매우 심각했다. 조선시대만 해도 왕족들이 많이 사는 경기도와 귀족들이 많이 사는 충청남도, 경상북도와 더불어 이 셋은 서로 라이벌 관계일 수밖에 없었고 특히 경기도와 매우 가까운 충청남도의 경우 경기도와 묘한 라이벌 기질이 있었고 지금도 그러하다.

그러나 수도권 집중이 심각한 현재로서는 충청남도가 아니라 그 어느 지역도 경기도의 아성을 넘을 수가 없다. 당장 경기도 다음으로 도 지역 인구 수 2위인 경상남도조차도 경기도와 인구 수가 1000만 명이나 차이가 나는데, 하물며 2위도 아니고 4위인 충청남도로는 상대가 안 된다. 오히려 경기도와 더욱 밀착된 관계를 유지해야 그나마 세를 불릴 수 있는 상황이다. 당장 충남 시군 인구 및 GRDP 1~4위(천안시, 아산시, 서산시, 당진시)[78]가 모두 수도권에 인접한 북부 지역이며 이들은 대전권보다는 수도권과 더 우호적인 관계를 갖고 있고, 대전권보다 수도권과의 교류가 더 많은 실정이다.[79] 천안과 아산은 수도권 전철 1호선까지 연결되어 있고 당진도 서해선이 완공되면 수도권과 철도로 연결되게 된다.

천안아산이 이정도로 발전한 것도 수도권의 규제 덕분에 인구 유입이 활발해진건데, 아직은 개발도 이루어지는 중이고 큰 인구 감소 추세가 보이진 않아 위험하진 않지만[80], 규제가 완화된다면 수도권으로 유출될 위험성도 보인다. 하지만 워낙 일자리 유치와 개발을 많이한 상황이라 큰유출 걱정은 타 지방대비 적다.

16.5. 충청북도

중부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선 등 교통의 발달에 따라 충청북도와도 교류가 늘어가는 추세이다. 특히 충북 동북부권인 충주·제천·단양 지역은 관광 철이 되면 경기도에서 관광객들이 몰려온다.

충북의 거점 도시인 청주시와는 전자·반도체 분야에서 교류가 많다. SK하이닉스도 이천 - 청주 - 용인을 잇는 반도체 클러스터를 구상 중이다. 또한 충주시 - 여주시, 광명시·안산시·고양시 - 제천시, 부천시 - 옥천군, 오산시 - 영동군 등 자매결연 도시를 맺은 우호 도시들끼리는 행정 협력을 하고 있다.

반면 도의 경계가 맞닿은 지역끼리는 지역감정도 일부 존재한다. 이천시 장호원읍과 음성군 감곡면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17. 문화

17.1. 교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남녀합반 시스템을 3년 내내 갖춘 고등학교제일 많은 지역이다.[81]

17.2. 언어

수도권의 인구가 많은 까닭은 지방에서 이주한 이주민이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 보니 수도권 토박이들은 그다지 많지 않으며, 경기 방언을 써도 억양은 강원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지방색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것이 특징.

외지 출신 이주민을 제외해 놓고 경기도 토박이만 놓고 봤을 때 이 지역 내에서도 방언이 약간은 존재한다. 크게는 한강을 기준으로 경기 북부 방언과 경기 남부 방언으로 갈린다. 충청도와 접한 평택시안성시, 이천시, 여주시는 충청도 방언과 비슷한 억양이나 ~여, ~겨 등의 어미를 사용하기도 한다.[82] 강원도 영서지방과 접한 여주시, 양평군 등지도 강원도 방언 특유의 영향을 받았다. 가평군의 방언은 아예 영서 방언으로 분류된다. 한편, 수원시, 용인시 쪽 방언의 경우 평서형 구어체의 말맺음 중 의존명사 '것'이 'ㅅ'이 탈락하여 '~하는 거', '~인 거'로 끝나는 경우이 많다.[8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 방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3. 특산물

생산이 성한 지역이기도 하여서 이천시, 안성시, 김포시, 용인시, 평택시, 화성시, 여주시 등지에서 양곡 재배 및 생산이 활발하다. 경기도에서는 이러한 지역에서 생산하는 경기미라는 브랜드를 도입했다. 대표적인 경기미에는 이천쌀, 안성마춤쌀(안성쌀), 여주쌀, 용인 백옥쌀, 김포쌀 등이 있다.

그 외 가평군에서 재배가 성한 포천시 이동갈비막걸리, 평택시 오이 등도 생산이 활발한 편이다.

안성시, 구리시, 남양주시에는 가 유명하다.

안성시, 안양시포도가 유명하다.

안성시한우가 유명하다.

안성시인삼이 유명하다.

광주시 퇴촌에서는 토마토로 유명하여 토마토축제도 열린다.

17.4. 관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기도/관광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7.5. 언론사

17.6. 스포츠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30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연고 프로 스포츠단
(수원 제외)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K리그1 K리그2
파일:FC 안양 로고.svg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FC 안양 김포 FC 부천 FC 1995 성남 FC
K리그2 한국프로농구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파일:화성 FC 엠블럼.svg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안산 그리너스 FC 화성 FC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한국여자프로농구 V-리그 남자부
파일: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엠블럼.svg 파일:부천 하나은행 로고(임시).png 파일:안산 OK저축은행 읏맨 엠블럼.svg 파일: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로고.svg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 부천 하나은행 안산 OK저축은행 읏맨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
V-리그 여자부 핸드볼 H리그 남자부 핸드볼 H리그 여자부 e스포츠
파일: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엠블럼.svg 파일:하남시청 핸드볼단 로고.svg 파일:SK 슈가글라이더즈 로고.svg 파일:er 경기 이네이트 로고(1).png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 하남시청 SK 슈가글라이더즈 Gyeonggi Innate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경기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수원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30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경기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K3리그
파일:파주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파일:시흥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파일:포천시민축구단 엠블럼.svg 파일:양평 FC 엠블럼.svg
양평 FC
K3리그 K4리그 WK리그
파일:여주 FC 엠블럼.svg 파일:평택 시티즌 FC 엠블럼.svg 파일:남양주 FC 로고.svg 파일:수원 FC 로고.svg
여주 FC 평택 시티즌 FC 남양주 FC
FK리그1 FK리그2
파일:012gy.jpg 파일:경기LBFS 로고.png 파일:용인 대흥 FS 로고.png 파일:화성FS엠블럼.jpg
고양 불스 경기LBFS 용인 대흥 화성 FS
경기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수원 제외)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수원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30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K5리그
파일:양주 덕계 FC.png파일:Yongin Football Club logo.png파일:DTFC.png파일:수원 시티 FC 엠블럼.svg
양주 덕계 FC용인 FC동두천 원팀 FC
K5리그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파일:군포시 CI.svg파일:이천마장.png파일:FC SWAG.jpg파일:고양위너스로고(2018~).png
군포 산본 FC이천 마장 FC고양 FC SWAG고양 위너스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
파일:Yeon_Cheon_ Miracle_logo_2nd.png파일:파주 챌린저스(NEW-2).png파일:가평 웨일스 엠블럼.png파일:성남 맥파이스 로고.png
연천 미라클파주 챌린저스가평 웨일스성남 맥파이스
독립야구단 경기도리그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파일:포천 몬스터 엠블럼.png파일:수원파인이그스_로고.png파일:0001033208_002_20240223173502529.jpg파일:HL 안양 로고.svg
포천 몬스터수원 파인 이그스화성 코리요HL 안양
경기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 (수원 제외)경기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수원시 연고 프로 구단 보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수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KBO 리그 K리그1 K리그2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수원 FC 로고.svg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kt wiz 수원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
한국프로농구 V-리그 남자부 V-리그 여자부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 파일: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엠블럼.svg 파일: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엠블럼.svg
수원 kt 소닉붐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 경기도 연고 프로 구단 보기(수원 제외) 경기도 연고 세미프로 구단 보기 ▶
경기도 연고 아마추어 구단 보기 ▶
}}}}}}}}} ||


경기도 전체를 연고지로 하는 스포츠팀은 바둑에 있다. 정확히는 마인드스포츠에 가깝지만. 대표적인 바둑팀은 바로 경기 한게임. 한게임이 해산된 이후 경기도내 기초단체 가운데 화성시가 '화성시 코리요'(2014~2019-20), 의정부시가 '바둑메카 의정부'(2020-21~) 팀으로 참가했다.

파일:hobangeonsul.png
한국여자바둑리그에 출전했던 경기 호반건설 여자프로바둑단.

또한 풋살 리그인 FK리그의 2부 리그 드림 리그에도 이천 LB FS라는 팀이 있는데 첫 참가시즌 당시에는 경기LBFS라는 명칭이었기 때문에 경기도를 연고지로 삼은 것으로 추정되었다.[84] 2023-24시즌 도중 해설 등을 통해서 "이천 LB FS"로 불려지게 됐다.[85] 같은 경기도 연고 풋살리그 팀으로는 용인을 연고지로 하는 용인 대흥 FS라는 팀이 있다.

KBO 리그의 경우, 창립 초기부터 1999년까지는 삼청태현으로 대표되는 인천 연고 구단의 광역연고지였고, 1989년에 지어진 수원 야구장에서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홈 경기가 개최되었다. 2000년에 현대 유니콘스의 서울로의 연고지 이전이 불발되자 임시 연고지로 수원에 눌러 앉게 되었고, 2007년 해체 직전까지 사용했다. 이후 프로야구 공백 지대로 남아 있다가 2013년 수원시를 연고지로 하는 제10구단 kt wiz가 창단되었고, 2015년에 KBO 리그 1군에 합류했다.

K리그에도 수많은 경기도 연고 구단들이 있다. K리그1에는 수원 FCFC 안양이 있고 그밖에 K리그2수원 삼성 블루윙즈, 성남 FC, 부천 FC 1995, 안산 그리너스 FC, 김포 FC, 화성 FC등 프로축구팀을 비롯해 3부리그 K3리그포천시민축구단 등 다수의 프로/세미프로 축구 팀들 또한 존재한다.

KBL의 경우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수원 KT 소닉붐,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가 있으며 용인시에 다수의 팀들의 클럽하우스가 있다.[86]

WKBL의 경우 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부천 하나은행이 있다.

18. 높은 외지인 비율

2014년 법원행정처의 자료에 의하면[87] 경기도의 주민등록인구가 1,233여만 명으로 전국 1위이나, 가족관계등록부 기준 인구(구 본적지인 등록기준지 기준)는 586만여 명으로, 978만여 명인 서울특별시보다도 적었다. 기사

구 본적지(현재의 등록기준지)는 호주제 폐지 이전에는 차남 이하 남성이나 여성이 혼인 등의 사유로 분가한 경우 본적지가 바뀌었던 점을 감안하더라도 경기도의 인구 중 절반 가량이 외지인 출신이라는 것으로, 전국에서 모여든 외지인들이 많이 모여사는 지역이 경기도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서울특별시는 서울이 등록기준지인 사람이 978여만 명인 것을 보면, 과거에 서울특별시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라거나 아니면 거주하다가 경기도로 이주한 인구가 많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2017년에 발표된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경기도 중에서도 서울 인접 지역은 현 거주지 출생자 거주 비율이 제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사

2000년대 이후로는 경기도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가고 계속되는 인구 증가로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경기도 출생이거나 어릴 때부터 경기도에 살았던 인구도 많아지고 있다. 다만 서울특별시 및 비수도권 지역들에서 경기도로 인구가 유입되고 있는 현상은 현재진행형이므로 예전만큼은 아니어도 앞으로도 경기도에는 외지 출신들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19. 경기도 지역을 본관으로 한 성씨

20. 산하 행정구역

파일:경기도 기초자치단체 관할청사.svg
파란색 부분은 본청 관할, 연두색 부분은 북부청사 관할이다.

20.1. 미수복 경기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수복 경기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기도의 미수복지역은 이북 5도 위원회가 관리한다.

20.2. 없어진 행정구역

21. 산하 지방공기업

2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경기도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자매결연 지역

24. 여담

  • 김문수경기도지사에 따르면, 고려 말기에 경기(도)라는 행정구역이 생긴 이래 안찰사, 관찰사 등 오늘날의 도지사에 해당되는 관직들을 통틀어 김문수 전 지사 본인은 제698대 경기도지사라고 한다. 이 논리대로라면 김동연은 701대 경기도지사가 된다.
  • 천주교 교구가 4개 있으며, 포천시가평군춘천교구 관할이다. 이는 춘천교구가 설정될 당시에 의정부교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1962년 당시 춘천교구와 서울대교구가 관할구역을 나눌 때, 포천시에서는 명동에 가는 것보다 춘천에 가는 것이 훨씬 가까웠다. 이후에 서울대교구에서 의정부교구가 분리되었지만, 관할구역을 조정하지 않았다.
  • 코로나19 확진자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2022년 2월 경기도가 서울특별시를 역전한 것에 이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90만 명을 넘겼고, 2022년 3월 2일에는 광역자치단체 중 최초로 확진자 100만 명을 넘기고 말았다. 2023년 1월 서울특별시는 이미 566만 명을 넘었고, 경기도는 최초로 확진자 786만 명을 달성할 정도이다.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인 만큼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기는 하다.
  • 경기도 역사상 최북단이었던 곳은 경기도 삭녕군이다. 하지만 삭녕군은 일제강점기 당시 서쪽은 경기도 연천군에, 동쪽은 강원도 철원군에 각각 쪼개져서 사라졌다.

25. 관련 문서

2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경기도
관련 문서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64194><colcolor=#fff> 기관 경기도청 · 산하 기관
기초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 · 기초자치단체장(1기 · 2기 · 3기 · 4기 · 5기 · 6기 · 7기) · 시·군청 · 기초자치의회
도로 도로 · 대로 · 경기도의 지방도
대중교통 수도권 전철 · 서울 지하철 · 버스 · 버스 터미널
주거 공동주택
교육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과학중점고 · 예술고) · 각종학교 · 특수학교 · 대학교
공원 도립공원
시설 병원 · 공공도서관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한국의 역사(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기타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지리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한반도 · 수도권 · 충청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산/고개 ·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 광역시 ·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생물자원 · 포유류(견종) · 파충류 · 어류(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 고유종
과학기지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군사 ]
[ 정치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국회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헌법 · 10차 개헌(내각제 담론)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경제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무역
지표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중진국 함정 · 선진국 담론
[ 사회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한국인 · 외국계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외교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JUSCANZ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