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 |
서울 |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 |
경기 | 개성시북 · 개풍군북 · 고양군 · 과천군부 · 교동군부 · 교하군부 · 남양군부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부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부 · 북포천군 · 삭녕군부 · 서울시승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부 · 양근군 · 양성군부 · 양주군승 · 양지군부 · 양천군부 · 연백군북 · 영평군부 · 오포읍 · 옹진군북 · 음죽군부 · 인천시승 · 일산구 · 장단군북 · 적성군부 · 죽산군부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부 · 평택군95 · 풍덕군부 | |
강원 | 간성군부 · 강원도승 · 금성군부 · 김화군북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북 · 평해군부 | |
충북 | 문의군부 · 연풍군부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부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부 | |
충남 | 결성군부 · 공주군95 · 노성군부 · 대덕군 · 대전시승 · 대천시95 · 덕산군부 · 면천군부 · 목천군부 · 보령군95 · 비인군부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승 · 연산군부 · 온양군부 · 온양시95 · 은진군부 · 정산군부 · 직산군부 · 천안군95 · 한산군부 · 해미군부 · 홍주군부 | |
전북 | 고부군부 · 고산군부 · 김제군95 · 만경군부 · 무장군부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승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부 | |
전남 | 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승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부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부 · 창평군부 | |
경북 | 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승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부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부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부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부 · 풍기군부 · 풍서면 · 하양군부 · 현풍군부 | |
경남 | 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승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부 · 영산군부 · 울산군95 · 울산시승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 |
제주 | 남제주군 · 대정군부 · 북제주군 · 정의군부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승 | }}}}}}}}} |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경기도의 미수복지역(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개풍군 開豊郡 Gaepung County | }}} | ||
<colbgcolor=#4344BA><colcolor=#fafd98> 군청 소재지 | 개성시 남산동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 14면 90리 | ||||
면적 | 744.6㎢ | ||||
인구 | 91,697명(1944년 호구조사) | ||||
인구밀도 | 123.15명/㎢ | ||||
명예읍·면장 | 14석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경기미수복 시군 소개 |
군기 |
1. 개요
개풍군은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군이었다. 북한 치하에서 개풍구역, 판문구역, 개성시 직할 지역으로 나뉘게 되었다.2.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2px -0px" | <tablebordercolor=#004097><tablewidth=260><tablebgcolor=#00409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시 |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특 수원시 | [[용인시| 본 특 용인시]] | [[고양시| 북 특 고양시]] | [[화성시| 본 화성시]] | [[성남시| 본 성남시]] | |||||||
[[부천시| 본 부천시]] | [[남양주시| 북 남양주시]] | [[안산시| 본 안산시]] | [[평택시| 본 평택시]] | [[안양시| 본 안양시]] | |||||||
[[시흥시| 본 시흥시]] | [[파주시| 북 파주시]] | [[김포시| 본 김포시]] | [[경기도청 북부청사|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 [[광주시| 본 광주시]] | |||||||
[[하남시| 본 하남시]] | [[광명시| 본 광명시]] | [[군포시| 본 군포시]] | [[양주시| 북 양주시]] | [[오산시| 본 오산시]] | |||||||
[[이천시| 본 이천시]] | [[안성시| 본 안성시]] | [[구리시| 북 구리시]] | [[의왕시| 본 의왕시]] | [[포천시| 북 포천시]] | |||||||
[[여주시| 본 여주시]] | [[동두천시| 북 동두천시]] | [[과천시| 본 과천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자치군 | |||||||
[[양평군| 본 양평군]] | [[가평군| 북 가평군]] | [[연천군| 북 연천군]] | |||||||||
미수복지역 | |||||||||||
개성시 | 개풍군 | 장단군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60><tablebg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개성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군 | |||||
#s-2 | 장단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4344BA><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4344BA>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afd9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면 | 남면 | 북면 | 상도면 | |||||||||
서면 | 영남면 | 영북면 | |||||||||||
청교면 | 토성면 | 광덕면 | |||||||||||
대성면 | 임한면 | 중면 | |||||||||||
흥교면 | 봉동면 | ||||||||||||
군청 소재지 : 개성시 남산동 |
경기도에 속한 군으로, 본래 14면이었으나 삼팔선이 그어지자 3북부의 영남면, 영북면, 북면을 제외한 11면으로 구성되었다가[1], 그마저도 1953년 휴전협정 조인으로 중면 동강리의 극일부를 제외한 전 지역이 북한령이 되었다.
본 군의 예성강 연안은 옹진군과 강화군이 1995년 인천광역시에 편입된 이후로는 명목상 경기도의 최서단 지역이 되었다.
미수복 경기도 중 최남단 지역이며 개풍군의 최남단은 북위 37° 46′ 11″(북위 37.76°)에 위치해 있다.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보구곶리, 의정부시 녹양동과 자금동, 남양주시 수동면 북부,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북부, 강릉시 북부, 홍천군 서부에 위치한 오대산 국립공원과 비슷한 위도이다.
2.1. 구 개성군 지역
- 남면(南面)
면 소재지는 신리이다. 1914년 개성군 상남면과 하남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에 접하며, 서쪽으로 예성강을 건너 연백군을 바라본다. 창릉리에는 고려의 추존왕인 세조 왕륭의 왕릉인 창릉이 있으며, 창릉리라는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소속 리: 신(新)·군은(軍隱)·창릉(昌陵)·후석(候石)·율응(栗鷹)·조제(照濟)·옥산(玉山)·장산(狀山)·수우(修隅)
- 북면(北面)
면 소재지는 여현리이다. 1914년 개성군 강남면과 북서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광복 후 면 남부지역이 남한지역이었으나, 6.25 전쟁 후 북한지역이 되었다. 서쪽에 예성강이 흐른다. 여현리의 려현역은 38선 바로 북쪽에 있어서 한때 남북 간의 창구 역할을 하기도 했다. 또한 여현리에 종유동굴이 있다.
소속 리: 여현(礪峴)·일삼소(一三所)·이소(二所)·용현(龍峴)·가토미(加土尾)·식포(食浦)
- 서면(西面)
면 소재지는 광정리이다. 서쪽으로 예성강이 흐른다. 개성리 산162 소재 백송은 천연기념물 81호이나, 미수복지역에 있음을 사유로 해제되었다. 강리에 개풍향교가 있었다. 연산리의 서쪽 끝, 예성강변에는 고려시대 무역항이었던 벽란도(碧瀾渡)가 있다. 벽란도는 예성강 바로 건너편에 있는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벽란리 이름의 기원이다.
소속 리: 광정(光井)·연산(蓮山)·강(江)·개성(開城)[2]·전포(錢浦)
- 영남면(嶺南面)
면 소재지는 용흥리이다. 1914년 개성군 영남면이 동부면을 흡수하여 형성되었다. 개성 시가지 북쪽에 있다. 용흥리에 복원된 영통사가 있다. 또한 영남면에는 고려시대에 현화사가 있었다. 전쟁 전 38선으로 분단되면서 개풍군 본토와는 개성시를 사이에 두고 월경지가 되어버렸고 남한에서는 임시로 장단군 진서면에 편입하여 관리했었다.
소속 리: 용흥(龍興)·소릉(昭陵)·반정(伴程)·심천(深川)·현화(玄化)·대원(大院)
- 영북면(嶺北面)
면 소재지는 길수리이다. 개풍군의 북쪽 끝에 있는 면으로 황해도 금천군, 경기도 장단군과 경계를 이룬다. 제석산, 천마산, 월양산, 국사봉 등 주로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길상리 천마산에 대흥산성이 있으며, 부근에 박연폭포와 관음사가 있다.
소속 리: 길수(吉水)·길상(吉祥)·고덕(古德)·월고(月古)
- 청교면(靑郊面)
면 소재지는 양릉리이다. 개성의 바로 남쪽 교외이므로 왕릉과 유적이 많다. 이 중 고려 20대 국왕 신종의 왕릉인 양릉과 고려 16대 국왕 예종의 왕릉인 유릉은 소속 법정리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소설가 박완서의 출신지.
소속 리: 양릉(陽陵)·탄동(炭洞)·배야(排也)·유릉(裕陵)·광답(廣畓)·묵송(墨松)
- 토성면(土城面)
면 소재지는 토성리이다. 1914년 개성군 중서면이 서부면을 흡수하여 형성되었고, 1938년 토성면으로 개칭되었다. 토성리는 토성역의 소재지로, 북한 치하에서 개풍군의 중심지가 되었다(개풍읍). 개성의 서쪽 교외이므로 왕릉과 유적지가 산재하는데, 여릉리에 고려시대에는 국청사가 있었고, 현재 고려 태조 왕건의 릉인 현릉(顯陵), 공민왕의 현릉(玄陵), 노국공주의 정릉(正陵)이 소재한다.
소속 리: 토성(土城)·여릉(麗陵)·곡령(鵠嶺)·연하(煙霞)
2.2. 구 풍덕군(豊德郡) 지역
풍덕은 원래 '해풍(海豊)'과 '덕수(德水)'[3]의 두 고을이었다가, 조선 세종 때 통폐합되면서 해풍의 '풍'과 덕수의 '덕'을 따서 명명되었다.[4]- 광덕면(光德面)
면 소재지는 고척리이다. 1914년 풍덕군 서면과 군중면의 일부가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를 바라본다. 과거 경천사가 중련리에 소재해 있었고 경천사 10층 석탑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소속 리: 고척(高尺)·중련(中連)·광덕(光德)·황강(黃江)·사분(寺盆)
- 대성면(大聖面)
면 소재지는 풍덕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내면과 군중면의 일부가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구 해풍현 및 풍덕군의 중심지로,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와 마주한다. 남동부에 백마산(191m)을 중심으로 구릉지가 있으나 대부분 평지다.
소속 리: 풍덕(豊德)·대성(大聖)·삼달(三達)·고도(古都)·산귀(山歸)·지내(池內)·구읍(舊邑)·신죽(新竹)
- 상도면(上道面)
면 소재지는 풍천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북면이 상도면으로 개칭되었다. 구릉이 기복되는 지대로, 왕릉은 아니지만 풍천리에 조선 태조의 첫 부인이자 정종, 태종의 모후인 신의왕후 한씨의 능인 제릉(齊陵)이 있다.
소속 리: 풍천(楓川)·삼인(三仁)·상도(上道)·양사(羊司)·연동(蓮洞)·대릉(大陵)
- 임한면(臨漢面)
면 소재지는 월암리이다. 1914년 풍덕군 남면이 임한면으로 개칭되었다. 임진강과 한강이 만나는 곳으로, 면의 이름 역시 두 강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딴 것이다. 동쪽은 임진강을 건너 파주를 바라보며, 남쪽은 한강을 건너 김포반도를 바라본다. 대체로 평야지대이고 인삼과 배추가 많이 나서 6.25 전쟁 이전 대한민국 통치시절에는 여기서 생산되는 농작물을 서울로 많이 반출했다고 한다.
한강과 임진강이 만나는 정곶리(림한리)는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북한 땅으로, 서울시청과는 직선거리로 불과 38km[5]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파주 오두산통일전망대 및 자유로 성동IC 구간에서 임진강 건너 보이는 땅이 바로 이 곳이며, '곶'이라는 이름답게 서울 쪽을 향해 삐죽 튀어나와 있다. 월암리에 민제의 묘가 있다. 1951년 7월 국군 1사단과 해병대가 개풍군 일부를 점령했으나 곧이어 북한군의 대공세에 포위되어 한강하구가 자연방어선이 되었고, 이후 휴전 협상으로 중부/동부 전선과 달리 유엔군이 공세를 가하기 어렵게 되어 결국 이북 땅이 되고 말았다.
소속 리: 월암(月巖)·사동(仕洞)·채련(採蓮)·가정(佳井)·정곶(丁串)·유천(柳川)·상조강(上祖江)·하조강(下祖江)
- 중면(中面)
면 소재지는 대룡리이다. 옛 덕수현의 소재지. 임한면과 마찬가지로 동쪽으로 임진강을 건너 파주시 탄현면과 접하며, 임진강을 사이에 둔 둘 사이의 최단거리는 불과 650m에 불과하다. 동강리 극히 일부는 휴전선 이남 지역이지만 법정리로 등록되어 있지는 않다.#[6]
소속 리: 대룡(大龍)·식현(食峴)·덕수(德水)·송산(松山)·천덕(天德)·창내(倉內)·동강(東江)
- 흥교면(興敎面)
면 소재지는 영정리이다. 1914년 풍덕군 군남면과 동면이 합병되어 형성되었다. 남서쪽으로 한강을 건너 강화도를 바라본다. 흥교리에 조선 정종의 능인 후릉(厚陵)이 있다.
소속 리: 영정(領井)·흥교(興敎)·궁천(宮川)·사곡(仕谷)·지현(芝峴)·조문(照門)·흥천(興天)
2.3. 구 개성군 + 풍덕군 지역
- 봉동면(鳳東面)
면 소재지는 봉동리이다. 1930년 개성군 동면(고두산·대조족·발송·백전리)과 진봉면(봉동·도평·지금·흥왕리)이 합병되어 형성되었으며,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동면이 개성군, 진봉면이 풍덕군 지역이었다. 서울·장단 방면에서 개성으로 들어가는 관문이다. 그런 입지조건 때문에 현재 개성공단이 들어서 있는 곳이다. 봉동리와 지금리에 경의선 봉동역과 판문역이 있으며, 흥왕리에 흥왕사터가 있다. 해발 200m인 덕물산(德物山)에는 최영 장군을 모신 사당이 있다.[7]
소속 리: 봉동(鳳東)·고두산(高頭山)·대조족(大鳥足)·도평(都平)·발송(鉢松)·백전(白田)·지금(芝金)·흥왕(興旺)
[1] 38선 이남의 북면 일부 지역은 토성면에, 영남면 일부 지역은 장단군 진서면에 편입시켰다.[2] 개성시/역사 문서 참조. 삼국시대의 개성이 바로 이 곳이며, 고려의 도읍 이래 현 개성시내는 원래 '송악'이라 불리는 별개의 고을이었다.[3] 덕수 이씨의 '덕수'가 이곳을 말한다.[4] 이런 식으로 만들어진 고을이 많은데 고봉과 덕양을 합한 고양시, 의창과 회원을 합한 창원시, 용구와 처인을 합한 용인시, 무풍과 주계를 합한 무주군, 영강과 백령을 합한 강령군, 순화와 안정을 합한 순안군 등이 있다.[5] 서울시청에서 동두천시청, 가평군 대성리역, 용인시 에버랜드, 인천광역시 송도국제도시 및 영종도 등과의 직선거리와 비슷하다.[6] 댓글에는 개풍군이 아주 조금 수복되었다고 적혀있지만 사실 분단 직후부터 원래 남한 땅이었으니 엄밀히 말하면 나머지 개풍 지역은 다 뺏기고 남아있는 게 동강리 극일부라고 볼 수 있다(...).[7] 덕물산은 중부지역 무당들의 제일가는 성지였다. "택리지" 등에 의하면 사당 곁에 침실을 꾸며서 민간의 처녀를 뽑아 신령의 '아내'가 되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고 하나, 조선 말기에는 사라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