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19 12:51:34

평강군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도인민위
원산시
문천시
{{{#!wiki style="margin: -16px -11px;" 고산군 고성군 금강군 김화군 법동군
세포군 안변군 이천군 창도군 천내군
철원군 통천군 판교군 평강군 회양군 }}}
}}}}}}}}}
강원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5px 0"
평강군
平康郡
Phyŏnggang County
}}}
<colbgcolor=#D40001><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평강읍
광역자치단체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1 30리
면적 708km²
인구 90,425명
인구 밀도 미상
군수 미상
지역번호 057

1. 개요2. 역사3. 남북통일 이후4. 교통5. 북한 기준 행정구역6. 대한민국과 평강군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8. 기타9.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북한 강원도의 행정구역.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 추가령 구조곡이 통과하기 때문에 군의 대부분이 산지이다.

철원평강용암대지의 일부분으로, 군의 남부에는 철원평걍용암대지와 한탄강을 형성한 화산오리산[1]이 존재한다.
이 평야 덕분에 강원도에서는 벼 농사가 잘 되는 곳으로도 알려져있다.

국도는 3번 국도5번 국도가 평강 읍내를 >< 형태로 통과한다. 다만 남북분단으로 인해 이들의 실질적인 종점은 강원도 철원군까지이다.

2. 역사

삼국시대 초기 고구려의 부양현(斧壤縣)이었다.

신라가 차지한 이후 9주 5소경한주에 속했고, 경덕왕 때 광평현(廣平縣)으로 고쳤다.

후삼국시대궁예가 왕위에서 쫓겨난 뒤 도망치다가 이곳에서 시해당했다는 전설이 있다. 1018년 고려 현종 때부터 지금의 이름인 평강현으로 바뀌었다.

8.15 광복 이후 남북분단이 되면서 삼팔선이 그어진 뒤 군 전역이 북한으로 넘어가게 되었고, 철원군, 김화군과 함께 북한이 남침을 위한 전쟁 준비를 하는 철의 삼각지대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6.25 전쟁이 터지면서 이 지역을 서로 차지하기 위해 남북이 치열하게 싸웠으며, 휴전하면서 군의 남부로 휴전선이 통과하여 현재는 평강군의 극히 일부분인 남면 정연리와 비무장지대를 포함한 지역만이 군시분계선 이남에 남았고 이들을 제외한 전 지역이 북한령이다.

지금의 평강군은 평강면·서면·남면, 현내면 대부분(9개리)· 회양군 난곡면 일부(6개리), 김화군 근북면· 근동면 각 이북 지역· 금성면 일부(2개리) 일대에 해당한다.[2] 강원선 철도의 종착지이기도 하며, 관내에 복계역과 평강역이 있다.

1952년 북부를 세포군으로 분리하고 회양군 난곡면을 편입했다.

1991년 10월 30일 평강역 폭발사고로 120여명이 사망하고 반경 1km 지점이 초토화되었다.

2001년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목전면의 전부(기산역 일대)와 옛 현내면 일부를 세포군으로 이관하고 부군면 통폐합 이전 북측 김화군 지역의 전부, 금성면의 일부를 편입하였다. 그 결과 원래 평강군을 지나가던 금강산선지역은 군에서 제외되고 다른 금강산선이 지났던 구간을 편입한 꼴이 되었다.[3] 현재는 이것이 취소되었다.

3. 남북통일 이후

지리적으로 가까운 강원도 철원군과 교류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경원선이 연결된다는 가정하에, 남한의 자본이 투자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인프라가 적은 가곡역 부근보다는 평강역이 커질 가능성이 어느정도 있다.

또한 지리적 이점을 살려 농업, 축산업이 부흥할 수 있다.

한편 오리산이 현재도 활동하고 있어 위험성이 있는 것도 사실이고 주변 지형 형성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줘서 연구 가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지리관측소나 연구소가 세워질 가능성이 높다.

4. 교통

3번 국도, 5번 국도가 여기를 지난다. 철도로는 평강역이 있다.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1읍 30리로 이루어져 있다.
  • 평강읍
  • 가곡리
  • 건천리
  • 근동리
  • 금곡리
  • 남양리
  • 내천리
  • 랑월리
  • 랑하리
  • 리수덕리[4]
  • 문봉리
  • 문산리
  • 복계리
  • 봉래리
  • 상갑리
  • 상송관리
  • 상원리
  • 성산리
  • 수태리
  • 신정리
  • 압동리
  • 옥동리
  • 자원리
  • 전승리
  • 정산리
  • 천암리
  • 탑거리
  • 하송리
  • 하주리
  • 해방리
  • 화암리

6. 대한민국과 평강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인천시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전시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
전남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강원도폐지된 행정구역
평강군
平康郡 | Phyŏnggang County
<colbgcolor=#000000><colcolor=#f5cf69> 군청 소재지 -
상위 행정구역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1 1
면적 17㎢
인구 0명
인구 밀도 0/㎢
존속 기간 1895년 6월 23일~1972년 12월 28일
최남단의 정연리가 유일하게 수복되어 철원군에 편입될 예정이었으나 입법 과정에서 누락되는 바람에 1972년 정식으로 갈말읍에 편입될 때까지 법적으로만 평강군이 존재하는 상태가 지속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정연리 문서 참고.

철원군 동송읍 부근에서 페이스북에서 위치를 공개할 때 종종 평강군으로 표시되곤 한다.

평강공주(平岡公主)와는 관련이 없으며, 아예 한자가 다르다. 오히려 기독교에서 쓰는 '평강'(平康)과 한자가 똑같다.
[clearfix]

7.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강릉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f14f30 21%, #f14f30); font-size: 1em"
]] 강릉시
파일:동해시 CI.svg
동해시
파일:삼척시 CI.svg
삼척시
파일:속초시 CI.svg파일:속초시 CI.svg
속초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원주시 CI.svg
원주시
파일:춘천시 CI.svg
[[강원특별자치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D50037 21%, #009fe3 21%, #009fe3); font-size: 1em"
]] 춘천시
파일:태백시 CI.svg
태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자치군
파일:고성군(강원도) CI.svg
고성군
파일:양구군 CI.svg
양구군
파일:양양군 CI.svg
양양군
파일:영월군 CI.svg
영월군
파일:인제군 CI.svg
인제군
파일:정선군 CI.svg
정선군
파일:철원군 CI.svg
철원군
파일:평창군 CI.svg
평창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홍천군 CI.svg
홍천군
파일:화천군 CI.svg
화천군
파일:횡성군 CI.svg
횡성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D50037>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미수복 강원도 김화군 휘장.svg
김화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이천군 휘장.svg
이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통천군 휘장.svg
통천군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s-7
파일:미수복 강원도 회양군 휘장.svg
회양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6d068><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6d068>
파일:평강군 상징 하양.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평강읍
남면 목전면 서면
세포면 유진면 현내면
}}}}}}}}} ||
강원특별자치도미수복지역(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 휘장.svg
평강군
平康郡
Pyeonggang County
}}}
파일:평강군.jpg
<colbgcolor=#008c44><colcolor=#fff> 군청 소재지 평강읍 동변리
광역자치단체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1 6 49
면적 1,374㎢
인구 88,649명[5]
인구밀도 64.52명/㎢
명예읍·면장 7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강원미수복 군 소개
파일:미수복 강원도 평강군기.svg
위 사진은 강원도 평강군의 군기이다.
[clearfix]
  • 평강읍(平康邑)
    • 관할 리: 동변(東邊), 간(間), 나매(羅梅), 복계(福溪), 상갑(上甲), 서변(西邊), 압동(鴨洞)
    • 읍사무소와 군청이 동변리에 있었다. 1942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서쪽에 큰 저수지인 봉래호(蓬萊湖)가 있는데 1923년 완성되었으며 건설 당시에는 강원도에서 가장 넓은 인공호(4.78㎢)였다. 평강 시가지 바로 옆에도 어룡(魚龍)저수지가 있다.
  • 남면(南面)
    • 관할 리: 지암(芝巖), 가곡(佳谷), 정연(亭淵), 천마(天馬), 학전(鶴田)
    • 정연리만 유일하게 대한민국이 수복해 철원군 갈말읍에 편입시켰다. 학전리에 저수지인 보양호가 있...는데 비무장지대에 갇혀버리면서 흔적만 남아 있다. 가곡리에 있었던 가곡역 역시 현재는 폐역된 상태로 비무장지대 안에 방치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 목전면(木田面)
    • 관할 리: 기산(箕山), 복만(福滿), 사흘(沙屹), 장촌(墻村), 정동(鼎洞), 중삼(中三), 직동(直洞)
    • 이천선 기산역이 있다.
  • 서면(西面)
    • 관할 리: 옥동(玉洞), 금곡(金谷), 망일(望日), 문봉(文峰), 정산(定山), 화암(化巖)
  • 유진면(楡津面)
    • 관할 리: 후평(後坪), 사창(社倉), 상술(上述), 유연(楡淵), 적전(赤田), 천기(泉岐)
    • 이천선 후평역이 있다.
  • 현내면(縣內面)
    • 관할 리: 백룡(白龍), 마장(馬場), 문산(文山), 북촌(北村), 상원(上元), 신대(新垈), 신정(新井), 이목(梨木), 임단(林丹), 하보(下洑), 하주(下注)
    • 1924년 건설된 감둔저수지가 있다. 상원리는 한탄강의 발원지다.

8. 기타

오희문과 그의 가족이 임진왜란정유재란 기간동안 피난생활을 하며 기록한 쇄미록에는 여러 곳을 가기도 했지만 이곳 평강에서 생활을 하면서 겪었던 사건들도 기록되어 있다.

조선 후기의 명재상 채제공을 배출한 평강 채씨 본관이 바로 이 곳이다.

철원 안보관광중 평화전망대에서 평강군 땅을 볼 수 있다. 건물, 도로 같은 것이 없고 북한군이 시야확보를 위해 나무를 태웠다. 황무지 라는 단어가 생각날 것이다

9. 출신 인물


[1] 해발 453m의 휴화산으로, '한반도의 배꼽'이라고도 불린다. 단, 분단이후 제대로된 연구가 불가능해 분화 가능성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오리산 문서로. 중생대 백악기에 점성이 낮은 마그마가 열하분출하여 생성되었으므로 화산체가 전체적으로 완만하다.[2] 후술되었지만 김화군, 금성군이었던 곳은 이후 롤백되어 현재는 다시 김화군 소속이다.[3] 대한민국령이 된 원래의 평강군에는 금강산선의 정연역이, 김화군에서 편입한 현재의 평강군지역에는 하소역과 행정역이 있다.[4] 6.25 당시 강원도 평강군에서 평강인민유격대를 조직한 여성 중대장 리수덕(李壽德)의 이름을 딴 곳이다. 동일 사례로 리수덕원산교원대학도 있다. 현내면 임단리와 북촌리를 합쳐 신설한 리이다.[5] 1944년 호구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