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본청 관할 시군 | 북부청사 관할 시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특례시 | ||||||||||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4bd00 21%, #84bd00);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 | }}} | 자치시 |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 부천시 | 성남시 |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
여주시 | 오산시 |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ff9e1b 21%, #ff9e1b);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 |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638> 자치군 ||
}}}}}} || 가평군 | 양평군 | 연천군 | |||
미수복지역* | |||||
개성시 | 개풍군 | 장단군 |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e40001>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소재지 사리원시 | 송림시 | }}} | ||||
군 | |||||||
곡산군 | 금천군 | 린산군 | 봉산군 | 상원군 | |||
서흥군 | 수안군 | 승호군 | 신계군 | 신평군 | |||
연산군 | 연탄군 | 은파군 | 장풍군 | 중화군 | |||
토산군 | 평산군 | 황주군 | }}}}}}}}} |
長湍郡 / Jangdan County
장단군 長湍郡 / Jangdan County / Changdan County | ||
국가 | 대한민국 | 북한 |
폐지 당시 면적 | 86.28㎢[1] | |
광역시도 | 경기도 | 황해북도[2] |
폐지 당시 행정구역 | 3면[3] | 6면[4] |
시간대 | UTC+9 | |
[clearfix]
1. 개요
6.25 전쟁 이후 거의 전지역이 민간인 출입통제선에 걸쳐 있게 되어 사실상 행정구역의 기능을 상실하고 분단된 행정구역. 현재는 남북 모두 인근 행정구역으로 통폐합되어 실질 행정구역상 장단군은 남아있지 않다. 명목상 존재하는 장단군에 관한 설명은 아래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문단 참고.2. 역사
2.1. 남북분단 이전
삼국시대에는 고구려가 이곳을 차지한 후 장천성현(長淺城縣)을 설치했다.신라가 병합한 뒤 신라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을 시행하면서 현대까지 이어지는 지명 장단현(長湍縣)으로 바꾸었다.
조선시대에는 경기도에 소속되었고, 광복 당시에는 10면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 파주군과 이웃했고, 북쪽으로는 황해도와 이웃했다. 오랑캐의 주 침입로 상에 있던 지역으로, 적이 장단을 넘어 탄현에 이르렀다는 파발이 도착하면 임금은 자동으로(...) 피난을 갔다.
군청은 일제강점기 이후 장단면 도라산리(都羅山里)에 두고 있었다. 현재 도라산리에 위치한 구 장단면 사무소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있다. 특산물로는 일제강점기 때부터 유명했던 장단콩 등이 있으며, 장단콩은 남아있는 장단 땅을 가져간 파주시의 특산물로 취급하고 있다. 예성강과 임진강 사이에 있으므로 개성시 문화권에 속하며 개성의 교외지역이었다. 따라서 고려왕릉이나 유적도 많다.[5]
2.2. 대한민국 경기도 장단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 ||||||
서울특별시 | |||||||
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 ||||||
강원도 | |||||||
간성군 | 김화군 | 명주군 | 삼척군 | ||||
평강군 | 평해군 | 원성군 | 춘성군 | ||||
경기도 | |||||||
개성시 | 개풍군 | 경성부 | 남양군 | ||||
동탄면 | 미금시 | 반월면 | 북포천군 | ||||
삭녕군 | 소사구 | 송탄시 | 시흥군 | ||||
연백군 | 영평군 | 오정구 | 옹진군 | ||||
원미구 | 일산구 | 장단군 | 태안읍 | ||||
충청북도 | |||||||
중원군 | 제천군 | 청안군 | 청원군 | ||||
구 청주시 | 청풍군 | ||||||
충청남도 | |||||||
대덕군 | 대천시 | 덕산군 | 연기군 | ||||
온양시 | |||||||
전라북도 | |||||||
고부군 | 고산군 | 옥구군 | 이리시 | ||||
정주시 | |||||||
전라남도 | |||||||
광산군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 | ||||
송정시 | 승주군 | 구 여수시 | 여천군 | ||||
여천시 | 창평군 | ||||||
경상북도 | |||||||
월성군 | 금릉군 | 선산군 | 순흥군 | ||||
영일군 | 영천군 | 영풍군 | 예안군 | ||||
울도군 | 점촌시 | 진보군 | 풍기군 | ||||
경상남도 | |||||||
거제군 | 김해군 | 동래군 | 마산시 | ||||
삼천포시 | 울산군 | 웅천군 | 장승포시 | ||||
장유면 | 진양군 | 진해군 | 진해시 | ||||
구 창원시 | 충무시 | ||||||
제주특별자치도 | |||||||
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
제주도 | |||||||
{{{-2 ■ : 이북 5도 체제 하에 명목상 존속중 | }}}}}}}}} |
6.25전쟁 이전 장단군의 지도
1945년 남북 분단과 함께 반토막이 나 38선 이남의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전역과 장남면, 진서면, 장도면 일부가 남한령이 되었다. 1945년 11월 38선 이남 장도면과 개풍군 영남면을 진서면에 편입시키면서 5개 면만으로 이루어졌다. 1953년 휴전협정 이후 남한 땅이 된 지역도 전지역이 민간인 출입통제선에 포함되는 비운을 맞는다.
결국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따라 1954년 강상면, 대강면, 장도면을 연천군에, 1963년 장남면과 군내면을 각각 연천군과 파주군에, 1972년 최종적으로 장단면, 진서면, 진동면을 파주군에 편입함으로서 남한이 '실효적으로' 지배하는 장단군은 '사실상' 폐지(행정기능 정지)되었다. 전반적으로 옛 장단현[6], 임강현[7]은 연천군, 옛 임진현[8], 송림현(진서면), 파주시가 가져가고 남은 장단군은 1906년 개성군으로부터 편입된 지역만 남은 구도.
철도역으로는 경의선
2.3. 북한의 장단군
북한에서는 1945년 9월 38선 이북의 장단군(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과 인근 개풍군(영남면·영북면·북면)을 잠시 황해도 금천군에서 관할하였다가 동년 11월 이들을 합쳐 황해도 장풍군을 신설하였다. 1952년 12월, 장단군 진서면과 개풍군 봉동면·상도면·중면·흥교면·임한면에 판문군을 분리, 신설했으나 2002년 11월 판문군을 다시 폐지했다. 그러다가 2020년 1분기 경에 구 판문군 지역이 개성시 판문구역으로 부활하였다.3. 이북5도위원회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본청 관할 시군 | 북부청사 관할 시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특례시 | ||||||||||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4bd00 21%, #84bd00);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 | }}} | 자치시 | |||||||
과천시 | 광명시 | 광주시 | 구리시 | 군포시 | |||||||
김포시 | 남양주시 | 동두천시 | 부천시 | 성남시 | |||||||
시흥시 | 안산시 | 안성시 | 안양시 | 양주시 | |||||||
여주시 | 오산시 |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ff9e1b 21%, #ff9e1b);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 | |||||||
파주시 | 평택시 | 포천시 | 하남시 | 화성시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2f9638> 자치군 ||
}}}}}} || 가평군 | 양평군 | 연천군 | |||
미수복지역* | |||||
개성시 | 개풍군 | 장단군 |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64194><tablewidth=250><tablebgcolor=#164194>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 | ||||||
개성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군 | |||||
개풍군 | #s-3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A9253><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A925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181818,#e5e5e5 | 면 | 장단면 | 군내면 | 진동면 | 장남면 | 진서면 |
대강면 | 장도면 | 강상면 | 대남면 | 소남면 | ||
군청 소재지 : 장단면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장단군 長湍郡 Jangdan County | }}} | ||
| |||||
<colbgcolor=#3A9253><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 장단면 도라산리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 10면 67리 | ||||
면적 | 724㎢ | ||||
인구 | 68,680명[10] | ||||
인구밀도 | 94.86명/㎢ | ||||
명예읍·면장 | 10석 | ||||
홈페이지 | 이북5도위원회 장단군 소개 |
|
군기 |
이북 5도 체계 하에서는 북한으로 넘어간 2개 면(대남면, 소남면)은 여전히 장단군으로 존치시키고 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군 자체가 완전히 폐지된 것은 아니며, 이에 근거하여 여전히 이북5도위원회는 명예 장단군수 및 예하 10면의 명예면장을 계속 임명하고 있다.[11] 한 가지 의아한 점은 완전히 남한령으로 남아있어 실질적인 면장을 두는 것이 가능한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 등에도 굳이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다는 것.[12] 이곳들은 비록 남한령이지만 민통선 내에 있어 일부 마을을 제외하고는 민간인이 살지 않는 곳으로, 당연히 행정수요도 거의 없기 때문에 면사무소를 따로 두지 않고 장단출장소에서 관할한다. 이후 장단출장소는 2021년 7월 1일자로 행정면 장단면으로 개편되었다.
광복 당시 기준이며, 취소선이 그어진 지역은 현재 완전한 북한 영토인 곳이다.[13]
- 장단면(長湍面) : 현재 파주시
- 군 남단에 있는 면으로 구 명칭은 진남면(津南面)이었다. 경의선 장단역이 부설되고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장단군청도 이 곳으로 이전하고 면 이름도 군명을 따라 1934년 개칭되었다. 동쪽과 남쪽은 임진강으로 둘러싸이고, 서쪽은 사천(砂川)이 흐른다. 장단군의 군청이 도라산리[14]에 있었으나, 시가지가 6.25 전쟁과 함께 완전 파괴되고 비무장지대로 남아있다. 철도(경의선)가 지나가는 유일한 면이며, 장단역 터는 한국령이긴 하지만 휴전선에 매우 가깝게 붙어 있다. 2020년 12월부터 덕산리도 법정리로 인정되었다.
- 소속 리 : 도라산(都羅山), 동장(東場), 노상(蘆上), 노하(蘆下),
서장(西場), 정동(井洞), 덕산(德山), 거곡(巨谷), 석관(石串), 강정(江井)
- 군내면(郡內面) : 현재 파주시
- 진동면(津東面) : 현재 파주시
- 장남면(長南面) : 현재 연천군
- 진서면(津西面) : 현재 파주시(일부)
- 군 서쪽에 있는 면으로 개성시로 1번 국도가 통하는 바 서북 지역으로 가는 교통의 길목이며, 금릉, 어룡, 선적리가 수복되어 있다. 선적리는 2020년 12월부터 법정리로 인정받았으며, 판문점이 위치하는 곳은 선적리다.
- 대세현에 조선 후기의 실학자 박지원의 묘가 있고, 경릉리에 고려 문종의 능인 경릉이, 눌목리에 고려 숙종의 능인 영릉이 있으며 면 북쪽 대원리 화장산(560m) 기슭에 화장사(華藏寺)가 있지만 모두 북한 땅.
- 소속 리 :
눌목(訥木),분지(芬芝), 금릉(金陵), 어룡(魚龍),경릉(景陵),전제(田齊), 선적(仙跡),대원(大院)
- 대강면(大江面) : 현재 연천군(일부)
- 군 동쪽에 있는 면으로 대강면 우근리 425번지 소재 은행나무는 천연기념물 31호이나, 미수복(북한지역소재)을 이유로 해제되었다. 포춘리가 수복되어 연천군 백학면 관할로 되어 있다.
- 소속 리 :
청정(靑廷),나부(羅浮), 포춘(浦春),우근(禹勤),독정(篤正)
- 장도면(長道面) : 현재 연천군(일부)
강상면(江上面): 현재 북한- 군 북쪽에 있는 면으로 북쪽은 황해도 금천군과 접하고, 동쪽은 (광복 당시 기준) 연천군과 접한다. 1963년 시행된 '수복지구와동인접지구의행정구역에관한임시조치법'에 의해 전 지역이 연천군 왕징면에 편입되었지만, 실제 단 한 치의 땅도 수복되지 못한 곳이다. 해당 법률이 전쟁 직후의 혼란한 시기인 1954년에 시행된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여기같이 전혀 수복되지 못한 곳인데 일부 수복이라도 된 양 처리했다든가, 반대로 멀쩡히 대부분 수복되었는데 미수복으로 처리했다든가-을 거의 그대로 계승하고 있기 때문.
- 면소재지인 구화리는 일명 구화장(九化場)이라는 장이 서는 지역 상업 중심지였다.
- 소속 리 :
구화(九化),마성(馬城),덕적(德積),갈운(葛雲),임강(臨江),자하(紫霞),솔랑(率浪)
대남면(大南面): 현재 북한
소남면(小南面): 현재 북한
4.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 1972년 기준[2] 폐지 당시에는 황해북도 판문군[3] 장단면, 진동면, 진서면(남측)이 1972년 인근 행정구역(경기도 파주시)에 통합[4] 강상면·대강면·대남면·소남면·장도면이 1945년, 진서면(북측)이 2002년 인근 행정구역에 통합[5] 남한령 장단군에 있는 고려 유적으로는 경순왕릉이 있다.[6] 장남면, 장도면, 그리고 1906년 마전군으로 편입된 백학면 일부[7] 강상면, 대강면, 그리고 1906년 마전군으로 편입된 왕징면 일부[8] 군내면, 장단면, 진동면[9] 정확한 주소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10] 1944년 호구조사[11] 비슷한 케이스로 강원도 김화군이 있다. 단 장단군은 명목상으로만 있고 남북 모두에서 사실상 폐지됐지만, 김화군은 남한만 사실상 폐지했고 북한에는 실제 행정구역이 존재한다.[12] 이 때문에 통일만 되면 다른 행정구역에 편입되었던 지역을 모두 수복하고 분단 이전의 완전체로 부활할 것이라 보는 시각이 많다.[13] 장단, 군내, 진동, 장남면 등은 완전히 또는 대부분 수복 상태이고, 진서, 대강, 장도면 등은 일부(절반 미만) 수복되어 있다.[14] 군청이 도라산리로 이전한 것은 8.15 광복 이후.[15] 장도면 전체를 가지고 따지면 월경지가 아니지만, 실질 한국령으로 남아있는 지역만 가지고 보면 월경지.[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