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3:31:08

온양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ext-align:left"
대한제국 선포 이후 현재까지 폐지된 대한민국 행정구역
서울양동출장소 · 양서출장소
경기개성시 · 개풍군 · 고양군 · 과천군 · 교동군 · 교하군 · 남양군 · 남양주군95 · 동탄면 · 마전군 · 미금시95 · 반월면 · 부천군 · 부평군 · 북포천군 · 삭녕군 · 서울시 · 송탄시95 · 시흥군 · 안산군 · 양근군 · 양성군 · 양주군 · 양지군 · 양천군 · 연백군 · 영평군 · 오포읍 · 옹진군 · 음죽군 · 인천시 · 일산구 · 장단군 · 적성군 · 죽산군 · 지평군 · 태안읍 · 통진군 · 평택군95 · 풍덕군
강원간성군 · 강원도 · 금성군 · 김화군 · 명주군95 · 삼척군95 · 원주군95 · 춘천군95 · 평강군 · 평해군
충북문의군 · 연풍군 · 제천군95 · 중원군95 · 청안군 · 청원군 · 구 청주시 · 청풍군
충남결성군 · 공주군95 · 노성군 · 대덕군 · 대전시 · 대천시95 · 덕산군 · 면천군 · 목천군 · 보령군95 · 비인군 · 서산군95 · 아산군95 · 연기군 · 연산군 · 온양군 · 온양시95 · 은진군 · 정산군 · 직산군 · 천안군95 · 한산군 · 해미군 · 홍주군
전북고부군 · 고산군 · 김제군95 · 만경군 · 무장군 · 옥구군95 · 이리시95 · 익산군95 · 전라북도 · 정읍군95 · 정주시95 · 태인군
전남광산군 · 광양군95 · 광주시 · 나신면 · 나주군95 · 낙안군 · 돌산군 · 동광양시95 · 선도면 · 송정시 · 승주군95 · 구 여수시 · 여천군 · 여천시 · 지도군 · 창평군
경북경산군95 · 경주군95 · 금릉군95 · 내동면 · 대구시 · 문경군95 · 선산군95 · 순흥군 · 안동군95 · 영일군95 · 영천군(榮川郡) · 영천군(永川郡)95 · 영풍군95 · 예안군 · 울도군 · 월곡면 · 점촌시95 · 진보군 · 풍기군 · 풍서면 · 하양군 · 현풍군
경남거제군95 · 김해군95 · 동래군 · 마산시 · 밀양군95 · 부산시 · 사천군95 · 삼천포시95 · 언양군 · 영산군 · 울산군95 · 울산시 · 울주구 · 웅상읍 · 웅천군 · 원량면 · 장승포시95 · 장유면 · 진양군95 · 진해군 · 진해시 · 창원군95 · 구 창원시 · 충무시95 · 칠원군 · 통영군95
제주남제주군 · 대정군 · 북제주군 · 정의군 · 제주도(濟州島) · 제주도(濟州道)}}}}}}}}}
[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1=본 틀에 대한제국 선포(1897년 10월 12일) 이후 폐지된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2=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2=대한제국 선포부터 광복(1945년 8월 15일) 전까지 폐지된 행정구역 가운데 현재 휴전선 이남에 위치했던 행정구역만 등재한다.,
토론주소3=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3=휴전선 이북에 위치한 행정구역을 원칙적으로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4=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4=단 광복 이후 6.25 전쟁 전까지 38선 이남에 위치했으나 휴전 후 북한 치하에 들어간 경우와 일부 영역을 수복했으나 인접 시군에 편입시켜 휴전선 이남에 실효지배하는 영역이 없어진 경우에 한해 등재한다.,
토론주소5=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5=명칭 변경 사례를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6=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6=폐지된 행정구역의 소속 도(道)는 폐지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단 제주도에 소재했던 행정구역에 한해 제주특별자치도 소속으로 표기한다.,
토론주소7=OutstandingAgreeableFeignedKnowledge#10, 합의사항7=폐지된 행정구역이 행정구역 명칭과 단위가 같은 행정구역으로 다시 설치된 경우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주소8=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8=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폐지된 동명의 행정구역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9=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9=폐지된 동·읍·면은 원칙적으로 등재할 수 없다. 단 1995년 대규모 도농통합 뒤에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은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0=YouthfulTangibleDryClam, 합의사항10=1995년 이전에 폐지된 읍·면이라도 2개 이상의 행정구역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있다.,
토론주소11=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1=1995년 후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읍·면이라도 군 전체가 시로 승격하면서 관할 읍·면이 동으로 승격되어 폐지된 경우는 등재할 수 없다.,
토론주소12=FriendlyObtainableAnnoyedCopper#11, 합의사항12=1995년 이후에 군이 폐지되고 해당 지역에 동명의 새로운 시를 설치한 경우 이전의 군을 틀에 등재하지 않는다.(따라서 틀에서 경기도 광주군을 제외한다.),
)]
파일:온양시 시기.svg
온양시 시기
충청남도폐지된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온양시 시기.svg온양시
溫陽市
Onyang City
}}}
<colbgcolor=#ea2e45><colcolor=#FFF> 시청 소재지 <colbgcolor=#fff,#191919> 온양시 온천동 260-28번지
(現 아산시 아산로 9-1 (온천동))
광역자치단체 충청남도
인구 66,590명(1994년 기준)
현재 인구 122,513명 [1]
존속 기간 1986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1. 개요2. 역사3. 여담

[clearfix]

1. 개요

충청남도 아산시원도심(온양 1~6동)을 일컫는 지명. 1995년아산군과의 시군 통폐합 이전에는 온양시였다.[2]

흔히 대한민국 3대 온천[3] 중 하나로 알려진 온양온천이 있다. 온양온천의 유명세 때문에 1995년 이후에도 '아산(시)'이라는 정식 행정구역 명칭보다는 '온양'이라는 지명이 훨씬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하여 구(舊) 온양시민들뿐만 아니라 아산시 읍면 지역(구 아산군) 주민들, 천안시 등 인접 지역 사람들과 옛날 중장년층들도 '아산'보다는 '온양'이라는 지명을 더 많이 사용한다.[4]

이렇듯 아산을 아산이라 부르지 못하는 현상은 시군 통폐합의 폐해(...)로 여러 번 매스컴을 타기도 하였다. 아직도 온양이라는 지명에 많은 애착을 가진 시민들 중 일부는 언론플레이를 통하여 아산시의 명칭을 다시 온양시로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아산온양' 혹은 '온양아산'으로 지명을 바꾸자고 하는 의견까지 있는 상황. 이를 증명하듯 아직도 시내에 있는 주요 시설에 온양이라는 명칭이 그대로 남아있어서(ex- 온양온천역, 온양고속버스터미널) 대외적으로도 아직 온양이라는 지명이 유효한 실정이다.[5]

2021년 12월 기준 온양시 지역의 인구는 12만 5천명이고, 아산군 지역의 인구는 20만 3천명이다

2. 역사

원래 아산과 온양은 별개의 지역이었다가, 1914년 일제부군면 통폐합으로 아산군으로 통폐합되었고, 이 때까지는 군청 소재지를 기존 아산현 지역인 영인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아산군'이란 명칭이 문제될 것은 없었다. 하지만, 1922년에 군청 소재지를 옛 아산현 지역인 영인면에서 옛 온양현 지역인 온양면[6]으로 옮겼지만 명칭을 '온양군'으로 개칭하지 않고 그대로 '아산군'을 유지하는 바람에 현재와 같은 상황이 되었다. 이후 1941년에 온양면이 온양읍으로 승격되었다.

파일:아산_1990년.png

8.15 광복 이후인 1973년탕정면 모종리, 권곡리(현 온양3동 지역)가 온양읍에 편입되었다. 1983년 배방면 남리(현 온양6동 지역), 탕정면 신리(현 온양3동 지역), 신창면 점량리, 득산리, 실옥리[7](현 온양4동 지역)가 온양읍에 편입되었다. 1986년 아산군 온양읍이 온양시로 승격, 분리되었다. 1987년 아산군 배방면 공수리 일부가 온양시에 편입되었고, 아산군 탕정면 구령리가 배방면으로 편입되었다. 1989년 아산군청을 온양시 온천1동에서 염치면 송곡리[8]로 이전하였다. 1990년 아산군 염치면이 염치읍으로 승격되었다.

1995년 도농복합시 출범에 따라 온양시와 아산군이 분리 9년 만에 아산시로 통합되어 온양시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자세한 내용은 아산시아산군, 아산시/역사 항목 참고.

3. 여담

  • 통폐합 11년 뒤인 2006년 말, 아산시 기관단체장 24명이 명칭 복원을 요구하며 온양시가 부활할 뻔했다. "온양시 명칭 복원하라" 2007년 5월 말에는 850명을 상대로 온양시 명칭 복원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조사를 벌이기도 했는데 명칭을 복원하자는 의견이 더 우세하기도 했다. #[9] 명칭 복원 논쟁은 5년 여간 지속되다가 2011년부터 사그라들었고 이후엔 자취를 감췄다.


[1] 2023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기준.[2] 송탄이 평택시로 통합되기 전 송탄시와 같은 것[3] 교과서에 대전 유성 온천, 충주 수안보 온천과 함께 3대 온천으로 소개된다.[4] 보령시(舊 보령군)와 대천(舊 대천시)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1995년 보령군대천시가 '보령시'로 통합되었음에도, 대천해수욕장이 유명하여 여전히 옛날 어르신들 사이에서는 '대천'이라고 더 많이 불린다. 마찬가지로 익산시 역시 이리시익산군이 통합된 형태이기 때문에, 시내 지역을 '이리'라고 부르기도 한다.[5] 한 지역 신문에서는 아산이라는 지명이 경상남도 마산시와 헷갈릴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을 펼쳤을 정도로 온양이라는 지명에 집착 비슷한 감정을 보이기도 했다.[6] 온천리(현 온천동) 106-2로 현재는 지번자체가 사라진 것 같다. 위치상 '아산시민문화복지센터' 주변으로 추정된다.)[7] 편입 이후 배미리로 개칭.[8] 송곡리 244-19(카카오맵). 도농복합시 이후 현재는 충청남도 경제진흥원이 자리잡고 있다.[9] 이밖에도 '온양아산시'나 '아산온양시'로 바꾸자는 의견도 상당히 많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