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북한이 1952년에 추진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내용은 [[군면리 대폐합]]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군면리 대폐합#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군면리 대폐합#|]]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북한이 1952년에 추진한 행정구역 개편: }}}[[군면리 대폐합]]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군면리 대폐합#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군면리 대폐합#|]]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ext-align: left" | 1896년 13도제 실시 이후 1945년 광복 전까지 폐지된 행정 구역만 다룸. 밑줄 표시는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폐지된 항목. * 간성군, 진위군은 통폐합 당시 본 명칭으로 통합됐으나 이후 각각 병합한 고성군, 평택군으로 개칭했기에 폐지된 항목으로 간주. **능주군과 금성군은 1908년 당시에 각각 화순군과 금화군을 병합했으나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재분리 후 역병합. + 개칭된 경우는 기재하지 말 것. 또한 중간에 부활한 사례가 있어도 그 시대에 최종적으로 폐지된 경우를 기재할 것. + 폐지된 연도는 원칙상 기재하지 말 것. | ||
지역 | 한국통감부 치하 1905~1910 | 조선총독부 치하 1910~1945 | |
경기 | 양근군 · 지평군 | 한성부 부평군 · 풍덕군 · 남양군 · 과천군 · 안산군 · 진위군* · 양지군 · 양천군 · 통진군 · 교하군 · 교동군 · 영평군 · 양성군 · 죽산군 · 적성군 · 마전군 · 삭녕군 · 음죽군 | |
강원 | 흡곡군 | 간성군* · 평해군 · 금성군** · 안협군 | |
충북 | 문의군 · 청풍군 · 청안군 · 연풍군 · 영춘군 · 황간군 · 회인군 · 청산군 | ||
충남 | 회덕군 · 진잠군 · 직산군 · 목천군 · 홍주군 · 결성군 · 해미군 · 태안군 · 은진군 · 연산군 · 노성군 · 석성군 · 한산군 · 비인군 · 정산군 · 면천군 · 임천군 · 홍산군 · 덕산군 · 대흥군 · 온양군 · 신창군 · 남포군 · 오천군 · 전의군 | ||
전북 | 고산군 · 임피군 · 용안군 · 여산군 · 함열군 · 운봉군 · 만경군 · 금구군 · 고부군 · 태인군 · 용담군 · 무장군 · 흥덕군 · 진산군 | ||
전남 | 옥과군 · 낙안군 · 제주목 | 남평군 · 지도군 · 돌산군 · 창평군 · 동복군 · 능주군** · 정의군 · 대정군 · 제주군 | |
경북 | 현풍군 · 예안군 · 흥해군 · 연일군 · 장기군 · 청하군 · 영해군 · 비안군 · 영천군(榮川) · 풍기군 · 순흥군 · 용궁군 · 진보군 · 지례군 · 개령군 · 함창군 · 인동군 · 의흥군 · 자인군 · 하양군 · 신녕군 · 울도군 | ||
경남 | 진해군 · 웅천군 · 칠원군 | 기장군 · 언양군 · 용남군 · 거제군 · 안의군 · 영산군 · 곤양군 · 초계군 · 삼가군 · 단성군 | |
황해 | 강령군 · 풍천군 · 장련군 · 문화군 | 연안군 · 배천군 · 토산군 | |
평북 | 곽산군 · 가산군 | ||
평남 | 삼등군 · 자산군 · 은산군 · 함종군 | 상원군 · 영유군 · 숙천군 · 순안군 · 증산군 | |
함북 | |||
함남 | 덕원군 | ||
대한민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
1. 개요
| |
부군면 통폐합 이전 조선 행정구역[1] | 부군면 통폐합 이후 및 시 제도 시행 전 조선 행정구역 |
2. 의도
1914년 3월 1일과 4월 1일자로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조선 전국 행정구역 개편의 목적은 최대군과 최소군 군역 및 인구 차이를 최대한 줄여 행정비용을 줄이고 일본 본토 행정구역 체제인 시정촌제를 부읍면 형태로 이식하고, 일본인 거류민(영주권자와 비슷)단 자치를 공고히 하여 식민지배를 지속, 강화하기 위함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1912~1918)을 통해 얻은 방대한 조선 국토 자료가 적극적으로 사용되었다.조선 시대 고을들은 이미 일본 한국통감부의 내정 간섭의 일환으로 1906년에 크게 월경지 및 땅거스러미를 정리했음에도 행정구역 간 넓이와 인구 편차가 심하게 났기 때문에 각 고을의 규모를 최대한 동등하게 맞추기 위해 행정구역 통폐합 조치가 필요했다. 예컨대 서로 인접한 포항시와 경주시, 두 도시는 현재 유사한 넓이를 가졌으나, 포항시/역사 항목에서도 서술되었듯 포항은 부군면 통폐합 이전 4개 고을(연일 / 흥해 / 청하 / 장기)이 통합되어 만들어진 도시이고, 경주는 부군면 통폐합 이전 경주라는 고을 하나. 그러고도 고을 네 개를 합친 포항보다 근소하게 넓다. 심지어 1906년까진 흥해군 기계면(+기북면)과 신광면, 청하군 죽남면·죽북면(현 포항시 북구 죽장면)도 경주 땅이었다. 그림을 보면 확실한 느낌이 올 것이다. 이렇듯 너무 작은 고을이 많으니 통폐합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은 97년 전에도 다산 정약용이 경세유표 중 군현분예 부분([번역문][교감표점원문])을 통해 주장했을 정도로 오래된 문제였다.[2][3]
또한 조선시대까지 행정 기능이 없는 단순한 지역 구분 목적의 행정구역이였던 면(面)에 면사무소와 주재소(현재의 파출소)를 설치하고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 것과 군이 아닌 각 읍면을 시로 승격시키는 '도농 분리제'(1995년에 도농복합시 제도가 도입될 때까지 계속 사용)는 미국에서 시행되는 City-Town-Village 제도나 일본에서 시행되는 시정촌제와 비슷하게 부·읍·면 자치 제도를 시행하기위한 기반을 다진것이라 볼 수 있고, 실제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과 대한민국 제2공화국 시기에는 1949년에 시행한 지방자치법으로 기존 모든 부를 일괄 시로 개칭하여 시·읍·면을 기초자치단체로 두었으며, 이러한 시읍면 체제는 외국 지방자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당시 행정구역을 변경한 법적 근거는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 위치·관할구역 변경 및 부·군의 명칭·위치·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13년 12월 29일 공포)이다.
3. 개편 사항
하위 문서로 분리된 행정구역 개편 사항을 참조하면 알겠지만 비교적 인구가 많고 면적이 작은 군이 많았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 군이 많이 통폐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으면서 면적이 넓은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지역은 통폐합된 군이 적다.부군면 통폐합 직후 1914년 4월 1일의 행정구역도. 대도시 인접 지역과 휴전선 이북(북한 행정구역 기준)을 제외하면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경계선이 크게 변하지 않았다.
3.1. 관련 자료
통폐합과 관련된 정보를 얻고 싶으면 내고향 역사 알기 참조. 국립중앙박물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 중 지도를 참조해도 좋다. 또한 보다 자세한 변동 사항을 알고 싶으면 1917년에 발행된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과 조선총독부 관보 호외(1913년 12월 29일 발행), 제430호(1914년 1월 8일 발행), 제434호(1914년 1월 13일 발행), 제444호(1914년 1월 24일 발행), 제470호(1914년 2월 25일 발행), 호외(1914년 3월 1일 발행), 제474호(1914년 3월 2일 발행), 제478호(1914년 3월 6일 발행), 제480호(1914년 3월 9일 발행), 제482호(1914년 3월 11일 발행), 호외(1914년 3월 13일 발행), 제485호(1914년 3월 14일 발행), 제486호 (1914년 3월 16일 발행), 호외(1914년 3월 16일 발행), 제488호(1914년 3월 18일 발행), 제490호(1914년 3월 20일 발행), 제492호(1914년 3월 24일 발행), 제496호(1914년 3월 28일 발행), 제498호(1914년 3월 31일 발행), 제499호(1914년 4월 1일 발행), 제501호(1914년 4월 4일 발행), 제503호(1914년 4월 7일 발행), 제504호(1914년 4월 8일 발행), 제512호(1914년 4월 7일 발행), 제516호(1914년 4월 22일 발행), 제539호(1914년 5월 19일 발행), 제543호(1914년 5월 23일 발행), 제563호(1914년 6월 18일 발행)를 참조해도 좋다. 위키문헌에 이 관보에서 대정 2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대정 3년 조선총독부 경기도령 제3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충청북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충청남도령 제3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 및 제5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전라남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경상북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경상남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강원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황해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평안남도령 제2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평안북도령 제5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함경남도령 제4호(면의 명칭과 구역), 대정 3년 조선총독부 함경북도령 제1호(면의 명칭과 구역) 부분이 번역되어 있다. 원문 관보를 해독하기 어렵다면 이들 번역문을 참고하면 된다.관련된 학술논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혜진의 박사학위논문 '20세기 초 한국의 면(面) 경계 복원'이 있다. 해당 논문에는 부군면 통폐합 전후의 면 위치 지도가 있다. 비전공자의 연구결과 내지는 독자연구가 아닌 박사학위 논문이기에 타 출처에 비해서는 학술적 권위가 있는 자료. 이후 박혜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에서 '1914년의 군 폐합이 한국의 초기 도시화 과정에 미친 영향'이라는 석사학위논문이 나왔다. 계량경제학의 연구방법론인 '이중차분법'(DID)를 사용해 인구를 분석했다.
3.2. 개편 방향
1914년 3월 1일 중·남부 지방에 있던 수많은 군을 2~4개씩 묶어 하나의 군으로 통합했다. 중·북부지방인 평안도와 함경도, 강원도는 인구밀도가 낮은 산간 지방이 대부분이라 면적이 방대한 군들이 많아서, 통폐합되지 않고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었다. 오히려 함경남도 함흥군 동북부과 홍원군 서부를 분리해 신흥군이, 북청군 개마고원 지역과 갑산군 남부를 분리하여 풍산군이 신설되었다. 1914년 4월 1일에 군뿐만 아니라 면도, 1914년 4월 1일부터 1916년까지 동·리(洞里)도 몇 개씩 통합하여 한 면, 동·리로 바꿨다. 이때에 통합지명을 정하는 규칙이 있었다.- 통합된 2~3개 군 중 중심지 군명을 통합군명으로 정했다. 통합될 군이 군세(면적, 인구, 자산, 생산력)가 전부 대등했거나, 일부 군만 동등해 중심지가 어디인지 애매한 경우에는 두 군 명칭에서 하나씩 따서 합성하거나, 아예 새로 지었다. 전자 예로 경기도 부천군(부평군 + 인천부), 황해도 연백군(연안군 + 배천군-白川郡(백천군)-), 후자 예로 평안남도 평원군(영유군 + 숙천군 + 순안군) 등이 있다.
- 일본어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는 경우 새로 짓기도 했다. 홍주군(洪州郡)과 결성군(結城郡)을 합한 곳은 홍주가 중심이었으므로 '홍주군'이 되어야 했으나, 같은 충남 내에 일본어 발음이 'こうしゅう'로 동일한 공주군(公州郡)이 있어서, 결국 두 군에서 한 글자씩 따서 홍성군이 되었다. 강원도 고성군([ruby(高, ruby=こう)][ruby(城, ruby=じょう)]郡), 금성군([ruby(金, ruby=こん)][ruby(城, ruby=じょう)]郡)은 일본어 발음이 유사하여 면적이 비교적 협소한 간성군, 금화군(金化郡)에 각각 통폐합되었다. 통합 시의 경우는 아니나 전라남도 광양군과 같은 도 흥양군(興陽郡) 역시 일본어 발음이 모두 こうよう(고:요:)로 발음되어 흥양을 옛 명칭인 '고흥'으로 개칭했다.
- 한국어 독음마저도 같은 곳이 있어서 새로 짓기도 했다. 경상북도 영천(榮川)군 + 풍기군 + 순흥군에서 영천이 중심이었으므로 '영천군(榮川郡)'이 되어야 했으나, 하필이면 경북에 영천(永川)군이 또 있었기 때문에 영천(榮川)군을 영주(榮州)군으로 바꾸었다.
- 원래 명칭이 약간 변하거나 역사적 명칭을 끌어와 쓴 경우도 있는데, 경상북도 연일군(延日郡) + 장기군(長鬐郡) + 흥해군 + 청하군에서 연일이 중심이었으므로 '연일군'이 되어야 했으나, 연일의 역사적 이칭(異稱)인 '영일'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여 '영일군'(迎日郡)이 되었다.
- 철도 부설 등 교통이 발달로 인해 새로운 시가지가 발달한 지역은 해당 철도역 및 신시가지 명칭을 전체 고을 이름으로 채택했다. 충청남도 대전군(회덕군 + 진잠군)[4], 충청남도 논산군(은진군 + 연산군 + 노성군)[5], 경상북도 김천군(김산군 + 개령군 + 지례군)[6] 등이 그 예다.
- 개항장 지명으로 바뀌어 사라진 기존 부명 대부분이 도농분리(부군분리) 정책으로 신설된 군명이 되었다. '삼화'는 평안남도 진남포부 개항장 (증남포) 이외 지역을 같은 도 '삼화군'으로 분리하지 않고 용강군(龍岡郡, 같이 평안남도 소속)에 편입하면서 유일하게 사라졌다.
- 면이나 동·리 명칭도 대부분 한자어로 바꾼, 통합되기 전 면이나 동리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은 것이 많다. 경기도 수원군 의왕면('의'곡면 + '왕'륜면), 경기도 용인군 기흥면 신갈리('신'촌리(新村里; 샛말, 새말) + '갈'천리(葛川里; 갈래, 갈내)) 같은 예가 있다.
통폐합 전후, 해당 지역 중심지를 철도나 도로, 수운교통이 발달한 지역으로 중심지를 이전하여 기존 중심지를 쇠락하였다. 1917년에 경기도 광주군청이 남한산성에서 경안(현 광주시내)[7]으로, 1911년에 용인군청이 구성에서 금령장 / 김량장(현 용인시내)으로 이전했다. 두 지역 모두 광복 이후에도 읍을 거쳐 분동될 정도로 지역 중심지로 자리잡았고, 기존에 군청이 있던 곳은 당연히 쇠락을 면치 못했는데 구성은 그래도 기흥구의 일부로서 중흥에 성공한 반면, 남한산성은 그 길로 완전히 쇠락하고 말았다.
오늘날 시(市)인 부(府) 영역을 시가지(또는 개항장)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별개 군(郡)으로 분리하거나 인접 군과 병합하는 이른바 도농(都農)분리제 역시 이때 도입되었다.
- 경기도 경성부 영역을 사대문안 및 용산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고양군에 편입했다.
- 경기도 인천부 영역을 제물포(원인천, 하인천)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부평군과 통합하여 부천군을 신설했다.
- 옥구부에서 이름이 바뀐 전라북도 군산부 영역을 진포(군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임피군과 통합해 옥구군으로 분리했다.
- 무안부에서 이름이 바뀐 전라남도 목포부 영역을 목포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지도군(고군산면과 위도면, 낙월면을 제외)과 합쳐 무안군으로 분리했다.
- 경상북도 대구부 영역을 오늘날 중구 일부 지역으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현풍군과 합쳐 달성군으로 분리했다.
- 동래부에서 이름이 바뀐 경상남도 부산부 영역을 부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기장군과 합쳐 동래군으로 분리했다.
- 창원부에서 이름이 바뀐 경상남도 마산부 영역을 마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창원군으로 분리했다.
- 평안남도 평양부 영역을 현 중구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대동군으로 분리했다.
- 삼화부에서 이름이 바뀐 평안남도 진남포부 영역을 진남포(원래 증남포)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같은 도 용강군에 편입했다.
- 평안북도 의주부를 신의주부로 개칭하고, 신의주부 영역을 신의주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지역을 의주군으로 분리했다.
- 덕원부에서 이름이 바뀐 함경남도 원산부 영역을 원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덕원군으로 분리했다.
- 1910년에 함경북도 부령군에서 승격, 개칭한 함경북도 청진부 영역을 청진항 일대인 고말반도 일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부령군으로 분리했다.
부와 군이 분리될 때에 부명과 군명을 다르게 부여했다. 이때 명칭을 짓는 관행이 있었다.
① 해당 지역의 옛 이름을 그대로 사용.
*경기도 경성부 → 경기도 경성부 + 고양군 (성저십리 대부분을 고양군에 편입)
* 경기도 수원군 → 경기도 수원부(시) + 화성군(수원화성에서), 1949.08.14.
* 충청북도 충주군 → 충청북도 충주시 + 중원군(신라 9주 5소경 중 중원경에서), 1956.07.08.
* 전라북도 군산부 → 전라북도 군산부 + 옥구군 전북 임피군을 편입)
* 전라남도 목포부 → 전라남도 목포부 + 무안군 (전남 지도군을 편입)
* 전라남도 광주군 → 광주부 + 광산군, 1935.10.01.
* 전라남도 순천군 → 전라남도 순천부(시) + 승주군(고려 초기 명칭에서), 1949.08.14.
* 경상북도 김천군 → 경상북도 김천부(시) + 금릉군(조선시대 별호에서), 1949.08.14.
* 경상남도 부산부 → 경상남도 부산부 + 동래군 (경남 기장군을 편입)
* 경상남도 마산부 → 경상남도 마산부 + 창원군(1908년에 경남 진해군, 웅천군을 편입)
* 경상남도 진주군 → 경상남도 진주부 + 진양군(조선 초기 읍호인 '진양대도호부'에서), 1939.10.01.
* 경상남도 울산군 → 경상남도 울산시 + 울주군(고려 중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울주(군)'에서), 1962.06.01.
* 경상남도 창원군 →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직할 창원출장소, 1973.07.01. ← 창원군 창원면, 상남면, 웅남면 1914.04.01.) + 의창군(고려 원 간섭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의창현'에서) 1980.04.01.
* 강원도 강릉군 → 강원도 강릉시 + 명주군(신라 9주 5소경 '명주'에서), 1955.09.01.
* 황해도 해주군 → 황해도 해주부 + 벽성군(조선 중기인 1608년~1610년 명칭인 황연도 벽성현에서), 1938.10.01.
*평안남도 진남포부 → 평안남도 진남포부 + 용강군 (진남포를 제외한 삼화부를 편입)
* 함경남도 함흥군 → 함경남도 함흥부 + 함주군(고려 중기 동계 함주대도독부에서), 1930.10.01.
* 함경남도 원산부 → 함경남도 원산부 + 덕원군
* 함경북도 청진부 → 함경북도 청진부 + 부령군
*
* 경기도 수원군 → 경기도 수원부(시) + 화성군(수원화성에서), 1949.08.14.
* 충청북도 충주군 → 충청북도 충주시 + 중원군(신라 9주 5소경 중 중원경에서), 1956.07.08.
* 전라북도 군산부 → 전라북도 군산부 + 옥구군 전북 임피군을 편입)
* 전라남도 목포부 → 전라남도 목포부 + 무안군 (전남 지도군을 편입)
* 전라남도 광주군 → 광주부 + 광산군, 1935.10.01.
* 전라남도 순천군 → 전라남도 순천부(시) + 승주군(고려 초기 명칭에서), 1949.08.14.
* 경상북도 김천군 → 경상북도 김천부(시) + 금릉군(조선시대 별호에서), 1949.08.14.
* 경상남도 부산부 → 경상남도 부산부 + 동래군 (경남 기장군을 편입)
* 경상남도 마산부 → 경상남도 마산부 + 창원군(1908년에 경남 진해군, 웅천군을 편입)
* 경상남도 진주군 → 경상남도 진주부 + 진양군(조선 초기 읍호인 '진양대도호부'에서), 1939.10.01.
* 경상남도 울산군 → 경상남도 울산시 + 울주군(고려 중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울주(군)'에서), 1962.06.01.
* 경상남도 창원군 →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 직할 창원출장소, 1973.07.01. ← 창원군 창원면, 상남면, 웅남면 1914.04.01.) + 의창군(고려 원 간섭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의창현'에서) 1980.04.01.
* 강원도 강릉군 → 강원도 강릉시 + 명주군(신라 9주 5소경 '명주'에서), 1955.09.01.
* 황해도 해주군 → 황해도 해주부 + 벽성군(조선 중기인 1608년~1610년 명칭인 황연도 벽성현에서), 1938.10.01.
*
* 함경남도 함흥군 → 함경남도 함흥부 + 함주군(고려 중기 동계 함주대도독부에서), 1930.10.01.
* 함경남도 원산부 → 함경남도 원산부 + 덕원군
* 함경북도 청진부 → 함경북도 청진부 + 부령군
② 해당 지역에서 유명한 것의 이름을 준용.
* 경기도 수원군 → 경기도 수원부(시) + 화성군(수원화성에서), 1949.08.14.
*전라북도 익산군 → 전라북도 이리부(← 익산군 이리읍, 1931.11.01. ← 익산군 익산읍, 1931.04.01., 호남선 이리역 및 중심 마을 속실(裡里; 이리)) + 익산군, 1947.02.23.
* 경상북도 대구부 → 경상북도 대구부 + 달성군 (읍성 달성에서)
* 경상북도 경주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월성군(신라 궁성인 월성에서), 1955.07.01.
* 경상남도 통영군 → 경상남도 충무시(이순신의 시호에서) + 통영군, 1955.09.01.
*황해도 봉산군 → 황해도 사리원시(← 사리원읍(1931.04.01.) ← 사리원면(1921) ← 사원면(1914.04.01.), 경부선 사리원역 및 역원 사리원) + 봉산군, 남: 1945.08.15. / 북: 1945.08.15, 1947.11.01.(최종#)
* 평안남도 평양부 → 평안남도 평양부 + 대동군 (평양 한가운데를 흐르는 대동강에서)
* 함경북도 성진군 → 함경북도 성진부 + 학성군(성진진성의 별명인 '학성'을 딴 성진군 학성면에서#), 1941.10.01.
* 경기도 수원군 → 경기도 수원부(시) + 화성군(수원화성에서), 1949.08.14.
*
* 경상북도 대구부 → 경상북도 대구부 + 달성군 (읍성 달성에서)
* 경상북도 경주군 → 경상북도 경주시 + 월성군(신라 궁성인 월성에서), 1955.07.01.
* 경상남도 통영군 → 경상남도 충무시(이순신의 시호에서) + 통영군, 1955.09.01.
*
* 평안남도 평양부 → 평안남도 평양부 + 대동군 (평양 한가운데를 흐르는 대동강에서)
* 함경북도 성진군 → 함경북도 성진부 + 학성군(성진진성의 별명인 '학성'을 딴 성진군 학성면에서#), 1941.10.01.
③ 기존 지명에 신(新)자나 동(東), 서(西), 남(南), 북(北) 등 방위 지명을 붙임.
* 전라남도 광양군 → 전라남도 동광양시(←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1986.01.01.) + 광양군, 1989.01.01.
*경상북도 안동군 → 경상북도 [[안동시|신안동시]] + 안동군, 1963.01.01. 안동읍 주민들이 반발하여 '신'자가 빠지게 되었다.~~
* 평안북도 의주부 → 평안북도 신의주부 + 의주군
* 전라남도 광양군 → 전라남도 동광양시(← 전라남도 광양지구출장소 1986.01.01.) + 광양군, 1989.01.01.
*
* 평안북도 의주부 → 평안북도 신의주부 + 의주군
④ 해당 지역의 옛 지명을 차용.
* 경기도 인천부 → 경기도 인천부 + 부천군(과거 행정구역인 '부평군'에서 '부'자를, '인천'에서 '천'자를 따서)
* 경기도 개성군 → 경기도 개성부 + 개풍군('개성군'에서 '개'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풍덕군'에서 '풍'자를 따서), 1930.10.01.
* 충청남도 대전군 → 충청남도 대전부 + 대덕군('대전군'에서 '대'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회덕군'에서 '덕'자를 따서), 1935.10.01.
* 전라북도 전주군 → 전라북도 전주부 + 완주군(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에서 차용), 1935.10.01.
* 경상북도 영주군 → 경상북도 영주시 + 영풍군('영주'에서 '영'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풍기'에서 '풍'자를 따서), 1980.04.01.
* 함경북도 성진군 → 함경북도 성진부 + 학성군(성진진성의 별명인 '학성'을 딴 성진군 학성면에서#)
* 경기도 인천부 → 경기도 인천부 + 부천군(과거 행정구역인 '부평군'에서 '부'자를, '인천'에서 '천'자를 따서)
* 경기도 개성군 → 경기도 개성부 + 개풍군('개성군'에서 '개'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풍덕군'에서 '풍'자를 따서), 1930.10.01.
* 충청남도 대전군 → 충청남도 대전부 + 대덕군('대전군'에서 '대'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회덕군'에서 '덕'자를 따서), 1935.10.01.
* 전라북도 전주군 → 전라북도 전주부 + 완주군(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에서 차용), 1935.10.01.
* 경상북도 영주군 → 경상북도 영주시 + 영풍군('영주'에서 '영'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풍기'에서 '풍'자를 따서), 1980.04.01.
* 함경북도 성진군 → 함경북도 성진부 + 학성군(성진진성의 별명인 '학성'을 딴 성진군 학성면에서#)
⑤ 해당 지역 이름의 일부에 성(城), 산(山), 주(州), 원(原) 등을 붙여 변형. 이 글자들은 지명에 예부터 많이 쓰여온 글자들이다.
* 충청북도 청주군 → 충청북도 청주부 + 청원군, 1946.06.01.
* 충청북도 제천군 → 충청북도 제천시 + 제원군, 1980.04.01.
* 충청남도 천안군 → 충청남도 천안시 + 천원군, 1963.01.01.
*전라북도 정읍군 → 전라북도 정주시(← 정읍군 정주읍, 1931.04.01. ← 정읍군 정주면, 1930.12.26. ← 정읍군 정읍면, 1914.04.01.) + 정읍군, 1981.07.01.
* 전라남도 광주군 → 광주부 + 광산군, 1935.10.01.
* 전라남도 여수군 → 전라남도 여수부(시) + 여천군, 1949.08.14.
* 경상남도 진주군 → 경상남도 진주부 + 진양군(조선 초기 읍호인 '진양대도호부'에서), 1939.10.01.
* 경상남도 울산군 → 경상남도 울산시 + 울주군(고려 중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울주(군)'에서), 1962.06.01.
* 강원도 춘천군 → 강원도 춘천부 + 춘성군, 1946.06.01.
* 강원도 원주군 → 강원도 원주시 + 원성군, 1955.09.01.
* 함경남도 함흥군 → 함경남도 함흥부 + 함주군(고려 중기 동계 함주대도독부에서), 1930.10.01.
* 충청북도 청주군 → 충청북도 청주부 + 청원군, 1946.06.01.
* 충청북도 제천군 → 충청북도 제천시 + 제원군, 1980.04.01.
* 충청남도 천안군 → 충청남도 천안시 + 천원군, 1963.01.01.
*
* 전라남도 광주군 → 광주부 + 광산군, 1935.10.01.
* 전라남도 여수군 → 전라남도 여수부(시) + 여천군, 1949.08.14.
* 경상남도 진주군 → 경상남도 진주부 + 진양군(조선 초기 읍호인 '진양대도호부'에서), 1939.10.01.
* 경상남도 울산군 → 경상남도 울산시 + 울주군(고려 중기 ~ 조선 초기 읍호인 '울주(군)'에서), 1962.06.01.
* 강원도 춘천군 → 강원도 춘천부 + 춘성군, 1946.06.01.
* 강원도 원주군 → 강원도 원주시 + 원성군, 1955.09.01.
* 함경남도 함흥군 → 함경남도 함흥부 + 함주군(고려 중기 동계 함주대도독부에서), 1930.10.01.
단, 분리되는 부가 원래 군의 중심지가 아닌 경우(개항장, 신흥 교통취락 등)에는 분리되는 지역의 명칭을 그대로 부(시)명으로 쓰고, 군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 황해도 황주군 → 황해도 송림시(← 겸이포읍(1931.04.01.) ← 겸이포면(1918.), 청일전쟁 당시 일본군 장교 이름에서) + 황주군, 1945.08.15.
- 함경남도 함주군 → 함경남도 흥남부 + 함주군, 1944.10.01.
- 함경북도 경흥군 → 함경북도 나진부 + 경흥군, 1936.10.01.
수원군, 광주군, 강릉군, 충주군, 공주군, 안동군 등 당시 도내에서 면적이 비정상적으로 넓은 고을의 월경지나 땅거스러미, 기타 원래 소속 중심지보다 인근 군이 더 가까운 지역들을 인근 군으로 편입되었다. 경술국치 이전인 1906년에 이루어진 월경지 정리 때 정리되지 못한 곳을 마저 정리했다. 수많은 고을을 실제 생활권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강제 통합인 부군면 통폐합이었으나, 비정상적으로 넓은 군의 땅을 이관하는 이 조항만 매우 합리적이었다.
3.3. 각 지역 개편사항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북부 지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북부 지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평안도, 함경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중부 지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중부 지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남부 지방#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부군면 통폐합/남부 지방#|]]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충청도, 전라도(와 제주도), 경상도
4. 문제점
폐지되는 고을의 중심지가 몰락하거나 소외되는 데 대한 해결책을 아무것도 제시하지 않아 나름대로 각자의 지역 정체성을 갖췄던 곳들이 무시당하며 여러 곳에서 문제가 되었다. 읍(행정구역)/목록과 면(행정구역)/목록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통합 이후 폐지되어 사라진 군의 중심지였던 지역들은 거의 다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고 쇠락하여 대개 인구 육천명 이하의 면으로 남아 있다. 예외로 수도권 지역에서 과천군과 안산군은 과천시, 안산시로 부활했고[8], 양천군은 서울특별시 강서구, 양천구로 부활했다.[9] 부평군 역시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양구, 서구[10], 경기도 부천시로 부활했다.[11] 화성시도 사실상 구 남양군을 계승했고, 구 양성군, 통진군의 경우 중심지는 아니었지만 각각 안성 시가지 인구를 추월한 공도읍, 옛 통진군 일대의 새 중심지가 되어 인구 3만을 바라보는 통진읍과 먼저 양촌읍에서 분동된 구래동과 마산동이 있긴 하다. 충청도에서는 괴산군과 합쳐진 청안군이 일부만 다시 독립한 증평군(옛 청안군의 일부)이 있으며, 구 목천군과 직산군의 중심지인 목천읍, 직산읍은 천안시 내에서 모두 2만 명이 넘어가 읍으로 승격했으며[12] 구 온양군의 경우는 1920년대에 이미 아산의 중심지 역할을 뺏어왔을 뿐만 아니라 과천, 안산과 비슷한 시기부터 9년간 한시적으로 중심지가 온양시로 부활한 적도 있다. 경상도의 경우 인구는 비록 만 명 이하이지만 군청 소재지인 청송읍을 제치고 군 인구 1위를 줄곧 고수하고 있는 청송군의 진보면도 있고, 비록 혼자만 선산으로 떨어져나와 구미시의 강동 시가지를 이루긴 했지만 중심 시가지가 잘 발달해 칠곡에 남은 구 인동군 읍면 일부에도 생활권이 뻗어 있는 구 인동면, 달성 남부의 행정 중심지로서 인구 2만을 돌파한 현풍읍, 울주 서북부의 중심지인 언양읍[13], 마산의 배후지로서 중심지인 가야읍을 추월하고 군 인구 1위로 올라선 함안군의 칠원읍도 있다. 전라도의 경우 원래 중심지는 아니지만 나주시 원도심의 인구를 만 명 가까이 추월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구 남평군 일대에 있다. 파주군에 병합되었던 교하군 지역은 6.25 전쟁 이전까지는 군의 외곽에 불과했으나, 원래 중심지였던 문산읍이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과 가까워지면서 군청 및 기관들을 교하의 중심 지역이었던 아동면 금촌으로 옮기게 되었고, 이후 신도시 개발 등을 통해 파주시의 인구 60~70%가 거주하는 중심 지역으로 바뀌었다.[14][15]반면 양지군, 적성군, 죽산군처럼 완전히 폐지되어 하위 단위로 명맥을 이어나가는 행정구역도 있다.[16]
남한에서는 1914년 이전에 존재했던 군이 부활한 사례는 거제군(1953년)[17], 신안군(1969년)[18], 태안군(1989년), 기장군(1995년)[19], 과천시, 안산시(이상 1986년)다.[20] 現 과천시와 안산시는 원래의 과천군, 안산군의 영역을 온전히 부활시킨 것은 아니긴 하지만, 원래 각 군의 중심지에 해당되던 곳은 현재 각 시가 모두 점유하고 있다. 남한에서는 이런 사례가 극히 드물었던 반면, 북한에서는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면서 사라졌던 군이 상당수 부활되었는데[21] 물론 1914년 이전의 경계와 100% 일치하지는 않는다.[22]
실제 생활권을 헤아리지 않은 채 마구잡이로 고을들을 통합한 부분이 있었고[23], 도시화된 지역과 농어촌 지역을 분리하는 '도농분리제'를 도입했다. 이 도농 분리제는 81년 동안 새로 생기는 시는 기존 군과 분리되도록 행정구역을 설정했기 때문에 한동안 문제가 되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일본식 지명이 여러 생겼으며, 고유어 지명을 한자로 바꾸면서 본래 지명이 많이 사라졌다. 도농 분리제는 1995년에 도농복합시 제도가 도입되면서, 일본식 지명은 광복 이후 일본식 지명을 바로잡고 본래 지명으로 되돌리거나 새로운 지명을 짓는 노력이 계속되면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24] 하지만 아직도 부군면 통폐합의 잔재가 곳곳에 남아있어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있는데 이를테면 다음과 같다.
- 부군면 통폐합 때 생활권이 생판 다른 괴산군과 청안군을 통합했다가[25] 결국 청안군의 일부[26]를 계승한 증평군이 2003년에 분리되었다. 그러나 청안군에 소속되었던 영역 중 나머지 절반이 증평군으로 편입되지 못한 상태다.[27]
- 무안부를 목포부와 무안군으로 나눴다가 1995년 이후 목포시와 무안군의 통합이 끊임없이 시도되었는데, 통합 반대 측(주로 무안군(특히 무안읍) 지역)이 결사반대하여 실현 가능성은 낮다.
- 시흥군·과천군·안산군을 통합했다가 서울 편입(영등포구, 관악구, 구로구, 금천구, 동작구, 서초구)과 안양시, 광명시, 과천시, 안산시, 군포시, 의왕시로 분리 승격되어 조선 시대에 존재했던 시흥군과 아무런 상관이 없어진 현재의 경기도 시흥시가 생기기도 했다. 안산군이 부활한 現 안산시, 과천군의 중심지에서 부활한 現 과천시도 옛 영역들을 완전히 차지하지 못한 관계로 행정구역이 쪼개져 있다. 예를 들어 안산시 생활권인 정왕동이 정작 시흥시에 들어가 있다.[28] 옛 과천군의 영역 중 서울특별시로 편입된 곳(남태령 이북)은 그렇다 하더라도 나머지 부분(남태령 이남)은 안양시(오리지널 시흥군 영역인 만안구 석수동, 박달동도 포함), 군포시, 과천시로 쪼개져 있고 통합 논의[29]만 나오는 실정이다. 오리지널 시흥군 영역도 서울특별시 서남부와 경기도 광명시로 분리된 상황이다.[30]
- 남양군과 수원군을 통합한 결과, 동탄에서 제부도까지 화성시가 관할하고 있다. 현재 수원, 오산, 동탄 시가지에서 한참 멀리 떨어진 구 남양군 지역이 독자 중심지 없이 저만치 떨어진 수원과 오산, 그나마 가깝지만 남양군 소속은 아니었던 향남에 생활권을 기댄다. 때문에 구 남양군 지역은 같은 시의 동쪽 끝의 동탄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오고 메타폴리스가 올라가는 동안에도 여전히 낙후된 농촌 지역으로 남아 있고 독자 생활권도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남양읍으로 시청이 이전하고 남양뉴타운까지 개발되고 있지만 규모는 겨우 구색이나 맞추는 수준이다.[31] 오히려 남양읍이 아닌 향남읍이 옛 남양군의 중심지 구실을 하는 실정이다.
5. 관련 문서
- 13도
- 북한/행정구역: 1945년 이후 변화된 북한의 행정구역을 다룬다.
- 조선/행정구역: 조선 개국 초기부터 1895년까지 설치되었던 조선 행정구역을 다룬다.
- 행정구역 개편/대한민국/역사: 대한민국 행정구역의 역사 전반을 다룬다.
[1] 붉은색으로 표시된 곳이 부 지역이다.[2] 아카라이브 도시·지리 채널에서 만든 정약용의 행정구역 개편안과 유형원의 한성부 확장안을 반영한 지도[3] 정약용이 주장한 행정구역 개편안은 후대에 일부 실현되었는데, 그 예로 전라도 및 평안도, 함경도의 남북 분도(이후 평안북도와 함경북도에서 량강도와 자강도가 분도), 해미를 합병한 서산(부군면 통폐합 당시 태안 또한 합병했으나, 1989년에 분리함), 황간을 합병한 영동(개편안에서는 황간이 영동을 합병함), 전의를 합병한 연기(2012년에 세종으로 개편), 회덕과 진잠이 통합된 대전(개편안에서는 회덕이 진잠을 합병함), 전라도 서부의 섬들을 통합해 신설된 신안(부군면 통폐합 당시 무안에 합병되었으나, 1969년에 분리됨. 또한 신안의 전신인 지도 신설 당시 군청이 지도읍에 있었으나, 무안에 합병 후 신안으로 다시 분리될 때 목포 북교동, 현재의 참사랑요양병원자리에 군청이 설치되었으며, 2011년에 압해읍으로 이전했는데, 바로 이 압해가 정약용이 관아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한 곳임), 영해를 합병한 영덕(개편안에서는 영해가 영덕을 합병), 진보 지역 대부분을 합병한 청송(일부 지역은 영덕과 영양에 합병), 안의 절반(서상면, 서하면, 안의면)를 합병한 함양(마리면, 북상면, 위천면은 거창에 합병), 흡곡을 합병한 통천, 평해를 합병한 울진, 풍덕을 합병한 개성(1930년에 개성부로 승격한 개성군 송도면을 제외한 구역이 개풍군으로 분리되었으나, 개풍구역과 판문구역으로 개편되어 개성에 합병됨), 풍천을 합병한 송화(1952년에 군면리 대폐합으로 송화 일부가 분리되어 삼천 신설, 1967년에 구 풍천 지역이 과일로 분리. 개편안에서는 풍천이 송화를 합병), 강령을 합병한 옹진(개편안에서는 강령이 옹진을 합병) 등이 있다.[4] 공주군 산내면 대전리에 경부선 대전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고 1906년에 월경지 및 땅거스러미 정리로 회덕군에 편입되면서 새 회덕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회덕군과 진잠군을 통합할 시 '회덕군'이 아닌 '대전군'이란 명칭을 채택하게 되었다.[5] 은진군 화지산면 논산리에 호남선 논산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새 은진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은진군, 연산군과 노성군을 통합할 시 '은진군'이 아닌 '논산군'이란 명칭을 채택했다.[6] 김산군 김천면에 경부선 김천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새 김산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김산군, 개령군과 지례군을 통합할 시 '김산군'이 아닌 '김천군'이란 명칭을 채택했다.[7] 단, 이 쪽은 일제강점기 이전부터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영남좌로의 길목이라 역참이 있고 장이 서는 상당히 번화한 곳이었다. 영남좌로는 일제 강점기 때 경충국도라는 신작로로 정비되어 영남대로 구간과 합쳐졌고, 광주시내에 역동이라는 지명이 있는 것도 그 흔적이다.[8] 그나마도 과천은 정부과천청사, 안산은 시화국가산업단지·반월국가산업단지의 영향이 컸다. 그마저도 시화국가산업단지는 성곡동을 제외한 대부분이 시흥시 소속이다.[9] 옛 양천군의 경우 1963년 김포군에서 서울 영등포구로 편입되었다가, 1977년 이 일대가 강서구로 분리된 것을 거쳐 1988년 양천구가 분리되어 오늘날에 이른다.[10] 이들 지역은 1968년 인천에서 구제가 실시될 당시 모두 북구에 속했다. 이후 1988년 서구, 1995년 계양구가 차례대로 분리되었고, 계양구가 분리됨과 동시에 남은 지역이 부평구로 바뀌었다.[11] 구 부평군의 경우는 애매하기는 하나 부평군이 명칭을 바꾸면서 인천부 외곽 지역과 남양군 일부 지역을 편입한 것이 아닌, 부평군을 폐지하면서 부천군이라는 신설 행정구역이 구 부평군 지역을 인천부 외곽 지역, 남양군 일부 지역과 함께 편입하여 새롭게 편제되었고 군청도 옛 인천부의 읍치였던 현 미추홀구 관교동에 두었으니 부천군이 부평군의 온전한 후신으로 보기는 어렵다. 이는 연기군과 세종특별자치시의 관계와 유사한 면이 있다. 연기군 전역과 주변 도시의 일부 지역을 편입해 새롭게 출범한 세종특별자치시의 사례와 유사하다.[12] 참고로 원래 천안이었던 지역을 빼면 구 목천군은 동남구, 구 직산군은 서북구에 정확히 들어가며 원래 직산이었던 성거읍에는 서북구청도 들어왔다. 다만 천안은 수도권으로의 접근성 덕을 본 것도 없지 않다.[13] 현풍과 언양은 2024년 기준으로 예전 같았으면 각각 현풍+유가, 언양+삼남 지역을 합쳐서 시 승격도 가능했을 인구 규모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과거 군역 기준 전체 인구는 아직 10만을 넘기지 못했다.[14] 만약 신도시 개발이 더 빨랐다면 온양시와 비슷하게 잠깐 동안 교하시가 되었을 수도 있다.[15] 읍면 단위로 가면 이 시기에 폐지되었던 면들 중 일부는 출장소를 거쳐 거의 다 또는 온전히 복구되기도 했다. 남양주시의 조안면(구 초부면)과 오남읍(구 건천면의 절반), 포천시의 화현면(구 동촌면), 울진군의 죽변면(구 근북면)과 후포면(구 평해군 남면), 칠곡군의 기산면(약목면에 합쳐졌다가 부활), 울주군의 삼동면 등이 그 예시. 구미시 양포동(구 인동군 북면 대부분)처럼 행정동의 형태로 비슷하게 복구된 사례도 존재한다. 그 외에도 김포시 통진읍, 남양주시 수동면처럼 전에는 완전히 없던 읍면이 새로 조합되기도 했다. 간혹 가다 팔당리처럼 다른 리에 합쳐졌던 동/리가 복구된 경우도 드물지만 있다.[16] 예외로 구 음죽군의 경우 과거 중심지가 읍으로 승격할 때 장호원읍으로 이름이 바뀌어 읍면 단위에서 음죽 지명이 없어져 버렸다.[17] 현재는 장승포시가 분리되었다가 통합되면서 거제시가 되었다.[18] 구 지도군이 명칭만 바뀌어 부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정작 지도가 군의 중심지 역할을 회복하지 못하고 목포에 종속되어 버렸으니 좀 모호하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신안이라는 이름부터가 '새로운(新) 무안(安)'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9] 1963년 부산직할시 출범 이후 동래군이 옛 기장군(- 송정동, + 울산군 서생면, 이후 서생면은 1983년 반환) 일대만 남다가 1973년 폐지 이후 양산군으로 넘어간 것을 거쳐 1995년 부산직할시가 부산광역시로 바뀌면서 그쪽으로 넘어가 다시 부활했다.[20] 과거에는 온양시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도농통합으로 9년 만에 아산시로 합쳐졌다.[21] 모든 폐지됐던 군이 다 복군된 건 아니어서 흡곡군, 장련군, 함종군 등 거기서도 복군되지 않은 지역은 있다. 또한 북한의 철원군은 이름만 철원이지 사실상 삭녕+안협 지역이고 김화군의 경우 금성권이 대부분이고 오리지널 김화 대부분을 남한에 다 내줬는데도 금성군으로 개칭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요덕군, 명간군처럼 전에 없던 군을 새로 만든 경우도 많았다.[22] 가령 황해도의 경우 기존 군이 비교적 온전히 부활한 경우는 연안군, 배천군, 강령군, 토산군, 풍천군(과일)이 있고 문화군의 경우 송화의 일부와 합쳐 삼천군이 되어 있다. 평안도의 경우는 증산군, 숙천군, 순안군(순안구역), 자산군(평성시), 상원군, 은산군, 곽산군이 부활했다. 함경도는 애초에 1914년 때 폐군된 곳이 없다.[23] 조선시대에도 행정구역을 실제 생활권을 염두에 두지 않고 설정한 사례가 많았지만, 이 개편이 그걸 어느 정도 해결했냐면 딱히 그렇지 않았다.[24] 다만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수원시 팔달구 영동(법정동)처럼 결국 새 지명으로 못 바꾸고 굳어진 일제 흔적이 별 문제 되지 않는 곳들도 종종 있다. 어감 자체는 나쁘지 않아서 그런 듯. 북한의 경우는 지명이야 다 자기 식으로 뜯어고쳤지만 김책시 같은 예외를 빼면 도농분리의 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다.[25] 조선시대 때 괴산과 연풍은 충주목, 청안은 청주목 관할에 있었다.[26] 청안의 '안'에 해당하는 구 도안현 일대[27] 그 외에도 과거 청안군 서면이었던 지역은 부군면 통폐합 때 청주군 북이면에 넘어갔다가 해방 직전에 북쪽 절반이 진천에 넘어갔는데, 이곳들은 아직도 증평 생활권에 속한다.[28] 그리고 옛 안산군의 중심지였던 수암동도 1994년까지는 안산시가 아닌 시흥시 소속이었다.[29] 이 논의에서는 보통은 광주군의 실질월경지였던 의왕시까지 논의에 넣는 편이다.[30] 원래는 광명시도 서울에 편입될 예정이었으나 계획이 바뀌면서 이렇게 된 것. 이 때문인지 광명은 지금도 서울 편입론이 종종 나온다.[31] 인구는 아직도 5만 이상이라 시 승격 때 분동됐으나 복지 사각지대 문제로 읍으로 돌아간 것이다. 분동 흔적은 아직도 남아 있는데 네이버 지도에서 남양읍 내 행정리 센터가 남양n리가 아니라 남양n통으로 시작하는 것이 그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