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4:46:06

경충대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64194>
파일:경기도 휘장_청색바탕용.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가양대로 건원대로 경기대로 경마공원대로 경명대로
경수대로 경충대로 고덕국제대로 고덕순환대로 고양대로
공단1대로 공단2대로 공단3대로 과천대로 관악대로
광덕대로 광주대로 권율대로 김포대로 남부대로
남북대로 대공원대로 덕영대로 동백죽전대로 동부대로
동서대로 동탄대로 동탄순환대로 둔촌대로 미사강변대로
미사대로 백옥대로 봉수대로 봉오대로 비류대로
산성대로 서동대로 성남대로 성호대로 송내대로
시민대로 시흥대로 신기대로 신중부대로 안성대로
안성맞춤대로 양재대로 여수대로 용구대로 위례대로
장자대로 정왕대로 조정대로 죽양대로 중부대로
중앙대로 중원대로 지제동삭대로 첨단대로 창룡대로
평촌대로 포은대로 하남대로 회안대로 흥안대로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경충대로
京忠大路 / Gyeongchung-daero
{{{#!wiki style="margin: -16px -11px"← 성남IC 서동대로 →}}}
남해 방면
중원대로
철원 방면
성남이천로
청양 방면
중부대로
춘천 방면
이섭대천로
내선 순환
도척로
외선 순환
광여로
진천 방면
곤지암로
광주 방면
산수로
이천 방면
대월로
광주 방면
황무로
성남 방면
마지로
광주 방면
순환로
기 점
종 점
기 점
종 점
노선 번호
3번 국도[1]
70번 국가지원지방도[2]
98번 국가지원지방도
325번 지방도
337번 지방도
338번 지방도
23번 광주시도[3]
1번 이천시도[4]
기점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진암교차로
종점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성남동 성남IC
연장
70.7km
개통
1979. 05. 21. 전 구간
관리
경기도
왕복 차로 수
4~6차로 전 구간
주요 경유지
성남IC곤지암IC이천IC ↔ 진암교차로

京忠大路 / Gyeongchung-daero

1. 개요
1.1. 국도구간1.2. 역사
2. 구간3. 대체 도로4. 대중교통5. 관련 문서6. 주행 영상

1. 개요

대한민국 경기도 이천시, 여주시, 광주시, 성남시도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교차로에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여수사거리, 성남IC까지 이어지는 길이 70.7km, 왕복 4~6차로의 대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로 건설되어 있다. 매일매일 헬게이트

도로명의 유래는 일제강점기부터 관습적으로 쓰이던 국도에서 유래하였으며, 1979년에 3번 국도 성남~김천 구간을 포장도로로 개통하면서 경충산업도로로 명명하였으나, 막상 훗날 도로명주소에서는 성남시에서 충북 코앞인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사거리까지만 경충대로로 명명하고 충청북도 구간은 북부로로 명명하여 노선지정을 끊어버려 서울과 충주를 잇는다는 원래 도로명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5]

정체가 없다는 가정 하에 전구간 주파시 1시간 20분 정도 소요된다.

1.1. 국도구간

현재 이천시에 국도 구간이 있다. 부발읍 응암IC에서 장호원읍 진암삼거리까지로, 철원 방향으로 성남이천로, 남해 방향으로 중원대로와 연결된다.

과거에는 경충대로의 전 구간이 3번 국도로 지정되었으나, 국도 대체 우회도로가 부분적으로 개통하면서 2015년 대원IC~쌍동JC 구간이 국도에서 지정 해제되고, 2017년 12월 31일 응암IC까지 연장 개통으로 쌍동JC~응암IC 구간 역시 해제되었다. 2018년 여수사거리-대원IC 구간이 지정 해제되었다. 추후 성남이천로 6공구 공사가 준공되면 흑석삼거리까지 자동차전용도로가 개통되므로 국도 구간은 더욱 짧아진다. 장기 계획으로 진암삼거리까지 연장 및 사거리화를 통해 직결하는 방안이 있으며 이것이 실현된다면 궁극적으로 경충대로 본선의 국도 지위는 상실하게 될 것이다.

1.2. 역사


원래 3번국도 서울 이남구간은 서울 도심 을지로에서, 왕십리로~성동교~광나루로~광진교~구천면로를 지나 하남을 거쳐(현 43번 국도)광주~이천~충주로 이어지던 도로이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중부내륙 개발을 위해 3번 국도를 포장할 때 신흥 도시인 성남시를 연계하기 위해 기존 하남을 경유하던 도로 대신 성남과 광주 사이의 갈마치고개를 터널로 뚫어 연결하게 된다.

특히 성남~광주 구간은 기존에 없던 길을 완전히 새로 뚫는 것이었기 때문에[6] 왕복 2차로로 건설함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이 사는 마을 등을 피하여 평면교차가 거의 없이 성남~광주 간을 달릴 수 있게 (여수사거리~경안교) 하였으며, 선형도 거의 직선으로 뚫었다. 나머지 구간은 기존 비포장 국도를 포장하였지만,[7] 성남~광주 구간은 처음부터 지금과 같이 고속화 국도로 뚫었던 것이다.

흔히들 성남과 광주를 잇는 이배재고개를 3번국도의 구길로 착각하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구 3번국도는 현 43번 국도로서 하남을 경유하던 길이고, 이배재고개에 도로가 생긴건 1991년의 일이다.

성남에서 광주, 이천, 충주, 수안보, 이화령, 문경, 상주를 거쳐 김천까지 이어지는 3번국도 구간의 전면 포장개통은 1979년으로 이때 성남에서 김천까지 이어지는 해당 국도를 서울과 충주를 잇는다고 하여 경충산업도로라고 명명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불려지게 되었다.

이후 1990년대에 수도권 구간이, 21세기에 들어 감곡 이남구간이 4차로로 확장 및 개량되었다. 이후 경충국도의 수도권 구간이 지나치게 많은 평면교차와 이천, 곤지암 도심 관통으로 표정속도가 떨어지고, 교통량이 폭주해 상습 정체를 빚게 되자 국도대체우회도로(성남이천로)를 건설하게 되었다. 특히 수도권 구간 곤지암~장호원 구간은 1996년에 확장공사를 완료해서 그런지 신호등이 진짜 더럽게 많아 운전하다보면 빡친다. 광주 이남부터는 그냥 무시하고 지나간다. 이렇게 된 이유는 해당 도로가 도심을 관통까지는 아니더라도 도심 측면을 면해서 지나는 구조인데다가, 산업의 발전으로 이천-충주 축선의 물동량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 크다. 경충대로 바로 옆에 통근인구 2만명을 상회하는 SK하이닉스 본사가 있고 택배 수요 증가로 우후죽순 물류창고가 생기고 있으며, 충주 또한 중부내륙고속도로 등의 수혜를 입으며 현대엘리베이터 본사가 이전해오는 등 발전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로 상태의 불량도도 점점 심해지는 듯. 요즘 같아서는 카메라도 많이 생겨서 무작정 달릴 수도 없는 상황.

2. 구간

===# 이천시 구간 (여주 이남) #===
진암삼거리를 기준으로 북쪽은 3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38번 국도|
38
]]
서동대로 직결 (태백, 영월, 제천 방면)
[[37번 국도|
37
]]
[[38번 국도|
38
]]
서동대로
안성, 일죽IC, 설성 방면
진암교차로
장호원고가차도
[[37번 국도|
37
]]
장감로
여주, 감곡, 감곡장호원역 방면
서동대로8809번길
이천시립청미도서관 방면
<colbgcolor=#c8c8c8> 샘재고개사거리 샘재로
장호원버스터미널 방면
[[3번 국도|
3
]]
중원대로
문경, 충주, 음성 방면
[[3번 국도|
3
]]
진암삼거리
[[318번 지방도|
318
]]
설장로
설성, 송산리 방면
[[3번 국도|
3
]]
송산삼거리
[[3번 국도|
3
]]
풍계교 (설성천)
[[3번 국도|
3
]]
(명칭 없음)
나래천로
나래리, 와현리 방면
파일:Cityroad_kor_14.svg 경충대로519번길
방추리, 선읍리 방면
[[3번 국도|
3
]]
이황1리삼거리
경충대로597번길
상승대, 국군교도소, 육군정보학교 방면
[[3번 국도|
3
]]
상승대삼거리
[[3번 국도|
3
]]
이황육교삼거리
파일:Cityroad_kor_6.svg 이풍로
풍계리, 이황리 방면
[[3번 국도|
3
]]
문드러니고개, 여주시 구간 직결 (성남, 광주, 이천 방면)

===# 여주시 구간 #===
전 구간 3번 국도로 지정돼 있다.
문드러니고개, 이천시(가남 이남) 구간 직결 (충주, 음성, 장호원 방면)
자석로
자석리 방면
<colbgcolor=#c8c8c8> 은봉삼거리
흑석삼거리 [[84번 지방도|
84
]]
흑석로
점동 방면
파일:Cityroad_kor_2.svg 건은로
은봉리 방면
건장사거리 파일:Cityroad_kor_2.svg 여주남로
태평리(가남읍사무소) 방면
[[333번 지방도|
333
]]
(설가로)[간접]
일죽, 설성, 가남역 방면
태평1교차로 [[333번 지방도|
333
]]
(여주남로)[간접]
여주 방면
신해1리삼거리 파일:Cityroad_kor_1.svg 일신로
신해리 방면
이천시(가남 이북) 구간 직결 (성남, 광주, 이천 방면)

===# 이천시 구간 (여주 이북) #===
응암IC를 기준으로 남쪽은 3번 국도, 북쪽은 1번 이천시도로 지정돼 있다.
[[3번 국도|
3
]]
여주시 구간 직결 (충주, 장호원, 가남 방면)
[[3번 국도|
3
]]
장평교 (양화천)
[[3번 국도|
3
]]
파일:Cityroad_kor_1.svg 응암IC
[[3번 국도|
3
]]
성남이천로
여수대로IC, 태전JC, 도암IC 방면
<colbgcolor=#c8c8c8> [[337번 지방도|
337
]]
파일:Cityroad_kor_1.svg 가산삼거리
[[337번 지방도|
337
]]
황무로
증포동, 부발 방면
[[337번 지방도|
337
]]
대월로
모가, 초지리 방면
[[337번 지방도|
337
]]
파일:Cityroad_kor_1.svg 대월삼거리
파일:Cityroad_kor_10.svg 사동로
대월, 사동리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사동삼거리
SK하이닉스 본사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SK하이닉스사거리 경충대로2092번길
부발역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명칭 없음)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50호선.svg 영동고속도로 (이천IC)
인천, 원주, 강릉 방면
파일:Cityroad_kor_3.svg(대산로)[10]
대흥리, 가좌리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신하초교후문삼거리 파일:Cityroad_kor_3.svg 대산로
부발, 산촌리 방면
[[42번 국도|
42
]]
[[70번 지방도|
70
]]
중부대로
수원, 용인, 마장 방면
[[70번 지방도|
70
]]
파일:Cityroad_kor_1.svg 복하사거리
[[42번 국도|
42
]]
중부대로
여주, 부발 방면
[[70번 지방도|
70
]]
파일:Cityroad_kor_1.svg 복하교 (복하천)
이섭대천로
42번 국도, 호법, 이천역 방면
[[70번 지방도|
70
]]
파일:Cityroad_kor_1.svg 이천사거리
[[70번 지방도|
70
]]
이섭대천로
양평, 백사, 이천종합버스터미널 방면
부악로
이천시청, 이천경찰서, 이천세무서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증일사거리 설봉로
관고동 방면
파일:Cityroad_kor_12.svg 서이천로
롯데프리미엄아울렛 이천점, 서이천IC, 예스파크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사음동삼거리
[[337번 지방도|
337
]]
황무로
도척, 인후리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소정교차로 [[337번 지방도|
337
]]
황무로
증포동, 사음동, 도암IC 방면
파일:Cityroad_kor_1.svg (명칭 없음) 파일:Cityroad_kor_3.svg 남정로
도암리, 신둔도예촌역 방면
넉고개, 광주시 구간 직결 (성남, 광주, 곤지암 방면)

===# 광주시 구간 #===
전 구간이 23번 광주시도로 지정돼 있다.
넉고개, 이천시 구간 직결 (충주, 장호원, 이천 방면)
<colbgcolor=#c8c8c8> (명칭 없음) 동원대학교 방면
(명칭 없음) 파일:Cityroad_kor_10.svg 신만로
만선리, 봉현리, 봉현IC 방면
곤지암로
곤지암리(곤지암읍사무소) 방면
[[98번 지방도|
98
]]
곤지암사거리
[[98번 지방도|
98
]]
광여로
양평, 산북, 동곤지암IC, 열미IC, 곤지암역 방면
[[98번 지방도|
98
]]
[[325번 지방도|
325
]]
도척로
용인, 도척IC 방면
[[98번 지방도|
98
]]
[[325번 지방도|
325
]]
(명칭 없음)
대석동길
신대리, 곤지암3리 방면
[[325번 지방도|
325
]]
(명칭 없음)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35호선.svg 중부고속도로 (곤지암IC)
청주, 이천, 하남 방면
[[325번 지방도|
325
]]
나이키앞교차로
[[325번 지방도|
325
]]
산수로
퇴촌면, 초월읍 방면
[[3번 국도|
3
]]
성남이천로
여수대로IC, 섬말IC, 광남IC 방면
쌍동JC [[3번 국도|
3
]]
성남이천로
응암IC, 도암IC, 초월IC 방면
초월읍사무소 방면 초월파출소앞사거리
파일:Cityroad_kor_12.svg 무들로
선동리, 용수리 방면
도평리입구교차로 파일:Cityroad_kor_3.svg 현산로
지월리, 도평리 방면
경안교 (경안천)
파일:Cityroad_kor_1.svg 포은대로
수원, 오포 방면
광주IC
광주IC교
파일:Cityroad_kor_1.svg 포은대로
송정동, 광주종합터미널 방면
광주2육교 (역동로)
파일:Cityroad_kor_27.svg 광주역로
ICT폴리텍대학, 경기광주역 방면
(명칭 없음) 파일:Cityroad_kor_27.svg 광주역로
서울장신대학교, 경안동 방면
[[43번 국도|
43
]]
[[45번 국도|
45
]]
회안대로
용인, 태전JC 방면
장지IC [[43번 국도|
43
]]
[[45번 국도|
45
]]
회안대로
하남, 광주IC, 광주시청 방면
(명칭 없음)
장호원 방면 진출입 불가
파일:Cityroad_kor_35.svg 경충대로1926번길
탄벌1통 방면
(명칭 없음) [include(틀:노선번호/시도, n=37)] 텃골길[11]
중대동 방면
파일:Cityroad_kor_2.svg (순암로)[간접]
중대동, 삼동역 방면
(명칭 없음) 파일:Cityroad_kor_2.svg (순암로)[간접]
직동IC, 직동, 삼동 방면
갈마터널, 성남시 구간 직결 (서울, 성남IC, 성남 방면)

===# 성남시 구간 #===
갈마터널, 광주시 구간 직결 (장호원, 이천, 광주 방면)
[[338번 지방도|
338
]]
갈현교차로
[[338번 지방도|
338
]]
순환로
은행동, 금광동 방면
갈마치로
성남일반산업단지 방면
<colbgcolor=#c8c8c8> [[338번 지방도|
338
]]
마지로삼거리
갈현로
갈현동 방면
[[338번 지방도|
338
]]
마지로
하대원동 방면
마지로
성남시장례문화사업소, 갈마치고개 방면
희망로
야탑동, 도촌동 방면
갈현IC
장호원 방면 진출 불가
희망로
단대동, 상대원동 방면
대원IC
성남 방면 진출 불가
장호원 방면 진입 불가
[[3번 국도|
3
]]
성남이천로
광남IC, 태전JC, 응암IC 방면
돌마로
금곡동, 수내동 방면
중원교 제일로
태평동, 중원구청 방면
[[3번 국도|
3
]]
성남대로
죽전, 분당구 방면
여수교차로
여수고가교
[[3번 국도|
3
]]
성남대로
서울, 수정구 방면
파일:대한민국 고속국도 제100호선.svg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성남IC) 직결 (구리, 의정부, 일산 방면)

3. 대체 도로

현재 성남시이천시 장호원읍을 잇는 성남이천로가 거의 개통되었다. 원래는 2014년 개통 예정이였으나, 2015년으로 연기되었다. 전철과 같이 개통하려는건가? 티스푼 공사 2015년 4월 23일 성남시 대원분기점~광주시 쌍동교차로 구간이 부분적으로 개통되었으며[14], 전 구간 개통은 2017년에 이루어 저있다(6공구는 설계중). 덕분에 상습정체구간으로 악명이 높던 성남시광주시를 잇는 갈마터널의 통행량이 어느 정도 분산되었다.

4. 대중교통

4.1. 궤도 교통

경강선 삼동역~부발역 구간이 이 도로의 선형과 비슷하게 지어졌다. 철도 중부내륙선 또한 마찬가지다.

4.2. 주요 버스 노선

4.2.1. 경기도 성남시

4.2.2. 경기도 광주시

4.2.3. 경기도 이천시

5. 관련 문서

6. 주행 영상




[1] 진암삼거리~응암IC[2] 복하교차로~이천사거리[3] 광주시 구간[4] 응암IC~이천-광주시계[5] 참고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중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우가 존재했는데, 구마고속도로가 바로 그랬다. 본래 이름 그대로 대구에서 마산으로 이어지는 고속도로였으나 현풍 이남 구간이 중부내륙고속도로로 편입되고 나머지 구간이 구마고속도로로 남게 되면서 원래 고속도로명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 문제는 2008년 해당 고속도로명을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으로 변경하면서 해결.[6] 1970년대 초반에 남한산성로(당시 이름 우남로)가 성남에서 광주까지 이미 포장되어 있긴 했다. 남한산성 산꼭대기 찍고 가는 관광도로라 성남~광주 직결 기능은 없는 거나 마찬가지였다.[7] 그러나 광주시 이남구간도 곤지암읍, 이천시와 수안보, 문경읍, 점촌, 함창읍 구간은 시가지 우회도로를 개설했으며, 사적지 보호 차원에서 종래 문경새재를 넘던 국도를 이화령으로 노선을 바꾸고 기존 문경새재는 차량 통행을 금지했다.[간접] 간접 연결[간접] [10] 삼익아파트삼거리를 통해 간접 연결된다.[11] 장호원 방면의 경우 순암로를 통해 간접 연결된다.[간접] [간접] [14] 왕복 6차로로 공사중이며, 성남방면은 편도 3차로 모두, 광주방면은 편도 1~2차로로 개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