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09 18:19:10

경기광주 버스 32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좌석
일반
마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
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파일:DSCF4389.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노선 수요 관련4.2. 차량 운행 관련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32번
기점 경기도 광주시 송정동(파라다이스아파트) 종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2:10 막차 23:30
평일배차 40~60분 주말배차 60~120분
운수업체 대원고속 인가대수 21대[1]
노선 파라다이스아파트 - 보건소 - 광주터미널·참조은병원앞 - 광주중앙고등학교 - 경기광주역 - 장지현대아파트 - 태봉·경기약국·광남초교 - 태전2리마을회관 - 태전효성해링턴플레이스 - 광남중학교 - 태전아이파크·태성초등학교 - 광남중·고 - 쌍용아파트 - 태전효성해링턴플레이스 - 목림삼거리 - 직동삼거리 - 삼동 - 갈마터널 - 갈현동 - 모란역·모란시장 - 성남수정경찰서·태평역 - 가천대역·가천대학교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 - 문정로데오거리입구·문정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광역환승센터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으로, 경기도 광주 ~ 잠실역 간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KD 운송그룹에서 예전에 운행하다가 폐선된 장거리 시내버스들의 전철을 똑같이 밟고 있는 중이다.

3. 역사

파일:32_2627.jpg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강변역 종점이던 시절.
  • 1990년대 이전부터 운행하던 노선으로 태전동~역동~모란을 운행하던 경기교통 3-2번을 대체하는 노선이다.
  • 2000년에 태전 성원아파트가 새로 입주함에 따라 이곳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01년 3월 5일에 강변역~잠실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09년 2월 9일에 산업도로 경유 노선이 폐지되었고, 직동 경유로 단일화되었다. 관련 게시물(가입 필요)
  • 2012년 이후에 잠실나루역과 잠실파크리오아파트를(구 시영아파트) 경유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잠실나루역을 경유하던 시절
  • 2016년 12월 3일에 잠실광역환승센터 회차로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잠실역 1번.11번 출구, 잠실중, 6번 출구에는 정차하지 않게 되었다. 관련 기사
  • 태전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2017년 10월 12일에 '경안중 - 장지현대아파트 - 목림삼거리 - 성원아파트 - 광남중 - 성원아파트 - 목림삼거리 - 직동삼거리' 구간이 '경안중 - 태전교차로 - 광남중- 태전4지구(아이파크.태성초교) - 성원아파트 - 태전1지구(효성해링턴플레이스) - 목림삼거리 - 직동삼거리'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이로써 같은 날 노선이 변경된 32-1번을 대체하게 되었다.
  • 그러나 민원이 많아 2017년 10월 20일부터 목림삼거리 왕복 운행은 본래 노선으로 환원되었고, 기존에 성원아파트를 2번 경유하던 것을 태전1지구와 태전4지구를 양 방향으로 한 바퀴 순환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1년 8월 31일부터 목림삼거리 정류장이 양무리순복음교회 뒤쪽에서 CU 광주태전타운점 앞으로 이전했다. 이 때문에 운행 노선이 다소 변경되었다. 광주시 공지사항

4. 특징

  • 태전지구 구간에서는 양 방향 버스가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니 방향판을 보고 탑승해야 한다.
    잠실광역환승센터 방면 파라다이스아파트ㅡ 방향

    모란,잠실 광주
  • GBIS에서는 잠실역 방면 번호를 "32상", 광주교육청 방면 번호를 "32하"로 표기하고 있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배차시간이 길어서 보건소-태전동 구간을 1번에게 놓칠 때가 많다.

4.1. 노선 수요 관련

  • 광주와 잠실역을 잇는 노선이지만 광주시내~잠실 장거리 수요는 잘 없는데 태전지구와 삼동을 경유해 노선이 굴곡이 있어 소요시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구간수요만 나오는 노선은 또 아니고 크게 광주시내~태전지구, 태전지구~모란역, 모란역~잠실역으로 나눈 중거리와 단거리 수요 위주의 노선이다.
  • 광주시내~태전지구 구간은 경기광주역, 광주터미널, 보건소 등 시내를 이동하기 위한 구간수요는 광주시내에서 중복 구간을 운행하는 17번, 60번 등 여타 노선과 같으나 이 노선만이 가지는 차별점은 태전지구에 위치한 광남고등학교 경유에 있다. 광주시는 고등학교가 많지 않기 때문에 광주시내에 거주하면 대다수 학생이 광남고로 통학하게 되는데 버스 노선은 32번, 1-20번/1-22번, 3번 뿐이다. 그런데 1번지선과 3번은 운행 횟수가 매우 적은 노선이면서 각각 중형/소형버스로 운행하여 수송력이 떨어진다. 게다가 2018년에 광남고 과밀화 방지를 위해 태전고등학교가 태전지구 내에 추가로 개교하였기 때문에 통학 수요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이렇기에 대형버스에 준수한 고정 배차로 운행하는 32번이 광주시내에서 통학 노선으로서 가지는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 태전지구~모란역 구간은 이 노선에서 제일 승객이 많은 구간으로 출퇴근시간만 되면 승차거부가 빈번하고 콩나물버스가 되어 태전지구 주민들의 증차 요구가 끊이지를 않고 있다. 하지만 32번은 되려 태전지구 입주 이전보다 감차된 상태로 운행하기 때문에 혼잡도는 극에 달한다. 게다가 삼동.갈마주유소부터 모란역까지는 사실상 무정차구간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체감혼잡도는 더 높다. 그리고 32-1번이나 320번과는 달리 삼동역을 경유하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이 태전지구에서 모란역을 바로 가는 승객들이다.
  • 모란역~잠실역 구간은 서울시내와 성남시 일부 구간으로 중복 버스 노선이 굉장히 많아서 경쟁력이 떨어졌으나 잠실광역환승센터 입성 이후 사정이 달라졌다. 남양주나 구리, 의정부, 양주, 포천에서 광역버스를 타고 잠실환승센터에서 가락시장이나 가천대학교, 동서울대학교 등을 가기 위해 지상으로 올라가지 않고 지하에서 바로 32번, 500-1번으로 환승하는 수요가 생겼기 때문이다. 송파대로를 완주하는 성남행 노선 중에 잠실환승센터로 들어오는 노선은 32번과 500-1번 밖에 없기 때문에 [2] 그 역할은 더더욱 강조되고 있다. 분당선과 8호선 개통 이후 송파대로를 완주하는 많은 버스 노선들이 폐선되었기 때문에 노선 수가 적어진 것도 한몫 한다.
  • 과거 태전지구가 개발되기 전엔 광남중에서 회차해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방식으로 운행해 태전성원, 쌍용아파트에서는 행선판을 확인해야 했다. 버스 운전석 앞판넬이 초록색이면 모란, 빨간색이면 광주 방향이다. 과거 32번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이 부분에 대한 홍보가 잘 되지 않아 주민들이 혼동하는 경우가 꽤 있었다.
  •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 코로나19 이전까지만 해도 광주시와 서울을 잇는 시내버스 중에서는 준수한 배차간격 덕분에 이용객이 많았지만,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따른 기사 부족, 코로나19를 명분으로 계속 감차가 이루어지면서 수요가 경강선 - 분당선과 다른 대체노선으로 많이 넘어갔다. 또한 이 노선의 실질적 급행 역할을 하는 3302번이 생기면서[3] 승객이 줄었다.

4.2. 차량 운행 관련

  • 이전에는 디젤차량 위주였으며 광주차고지에 천연가스 충전소가 완공된 2012년 이후에도 디젤차량으로 운행하다 2013년에 신차를 들여오면서부터 가스차량을 집중적으로 늘리기 시작해 2014년 초에 모두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었다.
  • 2016년 8월에 수요가 계속 늘어나면서 증차분으로 2대를 투입되며 20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 2017년 초와 2018년 봄에 NEW BS106 NGV 신차를 대량으로 투입하였으며 현재는 2018년식 NEW BS106 차량으로만 운행한다.
  • G1300번이 개통되면서 차량 인가 25대에서 23대로 2대가 감차되었다. 그러나 32번은 인가댓수를 25대는 커녕 23대도 지킨적이 없기 때문에 실제 운행에 영향은 없다. 다만 2016년에는 25대로 운행하였고 어느순간부터 야금야금 감차되어 결국 19대가 된 것이다. 2018년 4월 기준으로 인가가 21대로 줄어있는데 31대로 감차하기로 했던 16번의 인가가 34대로 늘어나 있는 것을 보아 16번 대신 32번의 인가를 추가로 감차시킨 듯 한다.
  • 경기도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으로 인해 2교대가 강제되면서 기존 32번 기사들이 광역버스로 차출되면서 평일 기준 16대로 감차운행하다 현재 19대로 복구되었다가 코로나19와 운행사원 부족으로 인해 계속 감차가 이뤄져 2022년 현재는 6대만 운행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차량 몇 대가 감차되어 32-1번이 대폭 증차되었다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성남시 CI.svg 성남 - 파일:광주시 CI.svg광주간 버스
직행좌석 500-1 500-2N 1005 1117
1150 1151 1303 1500-2
3100
일반시내 3-1 9 17 17-1
31-2 31-3 32 32-1
52 60 119 300
320 520 521 522
마을 3-3 109-1

파일:Seoulmetro2_icon.svg 파일:Seoulmetro8_icon.svg 잠실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프리미엄
광역급행
직행좌석
일반시내
}}}}}}}}} ||



[1] 코로나19 감차로 평일 6대 운행[2] 116번도 있었으나 2018년 11월에 폐선. 폐선 이전에도 배차간격이 많이 나쁜 편이었다.[3] 태전지구 기준으로 32번은 선형이 좋지 않은 고불로를 경유하는 반면, 3302번은 태전지구 나오자마자 바로 성남이천로를 이용하여 모란역까지 무정차로 운행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단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