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3200[통] | ||
좌석 | |||
일반 | |||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고산동(고산하늘초교.더샵센트리체) | 종점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통계청.태평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3:00 | 막차 | 23:40 | ||
평일배차 | 10~20분 | 주말배차 | 25~4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10대[1] | ||
노선 | 고산하늘초교.더샵센트리체 - 태전힐스테이트6지구 - 성원아파트 - 효성해링턴플레이스 - 중대동 - 삼동역 - 갈마주유소 - 갈현동 - 모란역 - 모란고개 → 수정경찰서 → 태평고개 → 한국전력 → 중앙시장 → 통계청.태평역 → 모란고개 → 이후 역순 |
2. 개요
광주시 태전동과 성남시 태평역을 잇는 시내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모란역에서 성남시내버스 33번과 만나 혼동의 여지가 있어, 2017년 12월 20일에 번호가 320번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8년 1월에 2대가 증차되어 5대로 운행한다.
- 2018년 4월 9일부터 5대에서 7대로 증차됨과 동시에 경기고속 공동 배차로 변경되었다가 이후 경기고속 단독으로 변경되었다. 준공영제가 시행되는 광주시 노선에 기존 대원고속 기사들이 차출된 듯. 대신 광주영업소 노선들 일부 차량들이 감차되었다. 17번, 17-1번 ,500-5번 출신 차량들로 운행중이다.
- 2019년 11월 4일에 고산지구(오포)금호아파트까지 연장되었다.[2]
- 2022년 7월부터 섬마을 정류소에 추가 정차한다.
- 2022년 9월 말부터 경기 광주시에 위치하는 도로인 태성로 연장 공사 완료로 기존 고산.금호베스트빌 구간이 고산하늘초교.더샵센트리체 - 금호베스트빌 - 고산2리마을회관 - 더샵센트럴포레서측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4. 특징
- 개통 초기 인가대수 3대 중 2대는 32번에서 차출한 차량이다. 덕분에 순수증차인 줄 알았던 태전지구 주민들이 뒤통수를 맞았다고 전해진다. 관련 게시물 또한 중형차량도 1대 운행 중이었으나 대원운수 34번으로 이동.
- 태전지구에서 가장 인기 있는 노선으로, 출퇴근마다 어마어마한 수요를 보여준다.
- 2022년 5월 16일 3302번 개통으로 모란역 ~ 고산지구 구간을 잇는 또 다른 노선이 생겼지만 모란역이나 고산지구 구간을 제외하면 겹치는 구간이 없기 때문에 320번 수요 감소 영향은 조금 밖에 없다.
- 광주 고산지구와 태전지구에서 성남 모란역과 중앙시장까지 이어주는 최단거리 시내버스 노선이다.
- 삼동역 정거장에서는 중앙시장(상행) 방면 차량과 태전동(하행) 방면 차량이 같은 정거장으로 들어오니 기사한테 물어보거나, 방향판을 자세히 보고 타야 한다.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삼동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태평역, 모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