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12-19 19:48:03

경기광주 버스 520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00aa57><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직행좌석
좌석
일반
마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광주시 미경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
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파일:520_2692.png
파일:광주520팬더.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일평균 승차량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광주시 CI_White.svg 광주시 일반시내버스 52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52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1] 종점 경기도 광주시 신현동(강남CC)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5:50
막차 23:00 막차 23:50
평일배차 10~20분 주말배차 20~30분
운수업체 대원고속 인가대수 14대
노선 구미동차고지 - 오리역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 정자역 - 롯데백화점·수내역 - 서현고등학교 - 서현역·AK플라자2층 - 시범현대아파트 - 효자촌현대아파트·서현2동행정복지센터 - 범한프라자·양영디지털고등학교 - 장안중학교 - 태재고개 - 신현리·대호빌리지 - 현대모닝사이드2차아파트 - 청솔빌라 - 클래식하우스 - 강남CC → 이후 역순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32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신현리에 현대모닝사이드 아파트단지가 들어서면서 2002년 1월 28일에 신설된 노선이다. 당시엔 신현물류가 기점(느티나무 미정차), 서현역이 종점이었다.
  • 일자 미상, 강남CC까지 연장되었다.
  • 2004년 2월 28일에 오리역으로 연장되었다.

4. 특징

  • 신현동 주민들의 소중한 발이 되어주고 있다. 분당구가 바로 옆이기 때문에 학생들은 거의 분당구 소재 학교로 통학하고 직장인들은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수요가 안 나올래야 안 나올 수가 없다. 노선 개편 후 분당동서현동의 아파트단지들을 통과하여 서현역, 정자역, 오리역까지 운행하기 때문에 분당구 주민들이 마을버스 대신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출퇴근 시간대에는 이미 광주시에서 입석까지 가득 들어찬 만차 상태로 오는 경우가 많아 탑승이 어려울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2]
  • 개통 당시 신현동(구 신현리)는 마을에서 운영하는 마을버스서현역까지 운행하고 있었고 다른 버스를 이용하려면 17번이나 119번 등이 다니는 57번 지방도까지 20분 이상 걸어나가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 때 현대모닝사이드 아파트단지 건설 계획이 세워지고 노선이 신설되었다.
  • 초기에는 2대로 운행했던지라 배차간격이 40분~1시간 정도이였고, 당시 노선은 단순하게 '신현동 - 서현역'이었던지라 사람이 없는 오후시간대는 약 20분 만에 주파하였다. 그 후 수요가 늘어나면서 3대부터 한 대씩 인가댓수가 증가하다가, 현재는 14대로 운행하고 있다. 그리고 신현리 일대에서 서현역을 연결하는 520-1번 (현 521번)[3], 520-2번 (현 522번) 등이 파생되었다.
  • 2017년 9월 8일에 이천공영차고지에 가스충전소가 가동되면서 트레이드가 이루어져 이천에서 이 노선으로 대형차가 6대가 넘어왔고 그 후 추가적으로 2차례의 트레이드를 진행하여 이 노선에 대형차를 6대 더 투입하여 현재는 전 차량 대형차가 되었다.
  • 노선 중 일부인 '올림픽스포츠센터 - 서현문화의집 - 서현역' 구간은 일방통행인지라 양 방향 차량이 모두 경유하니 주의. 행선판을 잘 보고 타자.
  • 서현역 정류소는 AK플라자 2층이다. 양 방향 차량이 모두 정차하니 행선판을 꼭 확인하고 타자.
    구미동차고지 방면 강남CC 방면

    오리역 신현리
  • 2020년 발생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수요 급감의 사유로 한두대씩 감차되더니 평일 기준 12대 운행중이다.
  • 구미동차고지가 등록된 유일한 일반시내버스 노선이지만, 실제 탑승은 불가능하고 오리역에서부터 승차를 받는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7,502
2015년 7,290 ▽ 212
2016년 7,712 △ 422
2017년 8,271 △ 559
2018년 8,659 △ 388
주말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5,239
2015년 5,302 △ 63
2016년 5,172 ▽ 130
2017년 5,945 △ 773
2018년 5,808 ▽ 137

5. 연계 철도역



[1] 실제로는 기사가 오리역에서 내리라고 한다.[2] 다만 정자역이 종점인 109-1번 마을버스가 2020년 6월부터 태재고개까지 연장되어, 광주시에서 정자역으로 가려는 승객들이 분산되면서 520번의 혼잡도가 전보다는 줄어들었다.[3] 현재 521번은 판교역까지 연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