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0" | <tablebordercolor=#fabe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 | 농어촌버스 맞춤형버스 공공버스(시군간) | ||
똑버스 | |||
|
1. 개요
연천교통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2.4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고대산진격부대) | 종점 | 경기도 동두천시 동두천동(동두천역)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5:50 |
막차 | 22:10 | 막차 | 23:20 | ||
배차간격 | 10~25분 | ||||
운수사명 | 연천교통 | 인가대수 | 12대 | ||
노선 | 고대산진격부대 - 신탄리역 - 대광리역앞 - 신서면주민자치센터 - 도신3리 - 와초리 - 신망리역 - 옥산다리 - 법원.등기소 - 연천중.고등학교 - 연천읍사무소 - 연천역 - 연천공영버스터미널 - 연천군청 - 보훈회관 - 통재입구 - 은대1리.양수장입구 - 예비군훈련장입구 - 어수물.은대4리 - 은대3리 - 일자리통합지원센터.전곡읍사무소앞 - 전곡시외버스터미널 - 전곡역.농협앞 - KT전곡지점 - 예일세띠앙 - 한탄강관광지입구 - 초성3리마을입구 - 학담입구 - 초성검문소 - 초성2리부대앞 - 청산면사무소 - 초성1리약수터 - 마니커 - 안말입구 - 부대앞 - 하봉암동 - 상봉암동 - 소요산역 - 성보주택 - 지방산업단지 - 창말.동양대학교 - 안창말입구 - 동두천역 |
3. 역사
- 원래는 전곡터미널과 대광리를 잇던 시외버스였다.
- 이후 시내버스로 전환되고 39-2번이라는 번호를 받았다.
- 과거에는 하루 4번 대광리 대신 내산리로 가던 내산리 지선이 있었다. 이 노선은 2009년 하반기에 39-8번으로 분리됐다.
- 2005년 3월 9일 이후에는 영종여객이 선진네트웍스 버스사업부에 인수됨에 따라 39-2번 동송지선은 선진시내버스로 인계되었다.
- 2008년에 39-2번 동송지선이 연천교통으로 양도되었다.
- 2009년 12월, 노선이 대광리주유소에서 신탄리역까지 연장됐다. 반대로 철원 동송행 지선은 신탄리역으로 단축됐다.
- 2010년, 동송지선이 39-3번으로 분리됐다.
- 2019년 5월 1일에 동재마을 지선이 신설됐다. 신탄리역 기준 오전6회, 오후6회 (12회) 운행한다. 신탄리역 북쪽 모 군부대 앞에서 회차한다.
- 2019년 6월 27일부터 36번 심야 노선이 연천구간에서 철수하게 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심야 운행을 시작했다. 기점 기준 22:45, 00:00에 고대산입구에서 출발하여 동두천역에서 회차 후 연천역까지만 운행했다. 이후 심야 노선은 33번과 33-1번으로 분리됐다.
- 2020년 10월부터 연천공영버스터미널을 경유한다.
- 2021년 9월 1일부터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감차 운행한다.
- 신탄리역 부근 철길건널목 통과 관련 소음 및 주민 안전관련 민원으로 인해 2023년 10월 7일부로 차고지에서 더 이상 건널목 쪽으로 통행하지 않고, 신고대산로를 이용해 우회하여 신탄리역으로 들어오며, 역 앞에서 승객 승하차 후 유턴하는 방식으로 차고지 회차경로가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24년 1월 4일부로 신탄리역 출발 첫차 시간이 5시 30분에서 5시로, 동두천역 출발 첫차 시간이 6시로 변경됐다.
- 2024년 7월 4일부터 동재마을 지선이 30번으로 분리되었다.
- 2024년 10월부터 경기도 시내버스 공공관리제에 편입되었고, 막차시간도 변경되어 신탄리역 출발 22:00, 동두천역 출발 23:05로 변경되었다.
- 2024년 11월 25일부로 신탄리부대앞 출발 시간대가 첫차 4시 40분/막차 22시 10분으로, 동두천 출발 시간대가 첫차 5시 50분/막차 23시 20분으로 변경됐다.
4. 특징
- 연천읍-신서면 구간은 사실상 독점 구간이었다. 33번과 37-1번도 있으나, 그마저도 동일한 회사에서 운행하는 노선이다. 게다가 33번은 심야노선이다. 2020년 이후로는 G2001번 광역버스가 개통되어 39-2번의 독점이 약간 깨졌지만 적어도 광역버스가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는 39-2번이 여전히 필요하다. 그리고 G2001번도 동일 회사 노선이니 연천읍 이북으로는 연천교통 독점 구간인 셈.
- 연천교통의 영업소가 동두천역과 신탄리역 사이인 전곡터미널에 있어, 이곳을 기점으로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러나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동두천역으로 연장되어 이젠 옛날 일이 됐다.
- 동두천역 - 전곡읍 구간만 반복 운행하는 39-5번을 분리했으나 얼마 못 가서 다시 합쳐졌다.
- 현대 그린시티로 운행한다. 과거에는 현대 카운티, BS090, BS106, 듀에고 EX/CT, 뉴 슈퍼 에어로시티 저상버스도 운행했는데, 한때 소형, 중형, 대형, 저상버스를 동시에 굴리는 노선이었다. 저상버스는 소요산차고지에 이동식 충전소가 철거되는 바람에 선진시내버스로 넘겼다.
- 농어촌버스임에도 배차간격이 20분대로 짧은 편이고, 시골을 가로지르는 노선이다보니 장난 아니게 빠르다.[2] 그러다 보니 곳곳에서 경원선 대체버스를 추월하는 일이 많이 일어났었다. 특히 소요산역에서는 밥먹듯이 추월을 일삼았다. 또한 53번과 노선이 대부분 중복되기 때문에 기사들이 교행 인사를 하고, 서로 번갈아가며 승객을 분산하는 경우도 간혹 보인다.
- 경원선 통근열차 운행 중단에 따라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났다. 재개통 전까지는 이런 현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 후 G2001번이 개통하면서 그쪽으로 수요가 분산됐다. 이후 1호선 연장으로 승객이 한번 더 분산됐다.
- 3번 국도 주변에 5사단 소속 부대가 많아 휴가나 외출, 외박을 나가는 5사단 소속 군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기도 하다.[4]
- 1호선 연천 연장 이후에도 소요산 이북의 배차가 길고 전철 이용이 어려운 연천읍 이북과 전철역 사이의 여러 정류장을 들러주기 때문에 중요한 완행 노선이다.[5]
- 연천공영버스터미널에서는 양 방향이 모두 들어오지만 신탄리행은 1번, 동두천행은 2번에 들어온다. 다른 노선, 심지어 마찬가지로 연천터미널이 중간 경유지인 G2001번도 홈을 하나만 쓰는데 이 노선은 혼자서 홈 2개를 쓴다. 게다가 보조행선판이 있으므로 방향을 헷갈릴 일은 적다.
- 전곡 방향으로 갈 때 연료가 부족할 경우 통재주유소에서 주유한다.
- 1호선이 폭우 등의 이유로 운행이 중지될 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노선이다.
- 2024년 11월 1일부터 고대산진격부대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신탄리역에는 5분 정도 늦게 도착한다.
- 기점에서 종점까지 이 노선을 타고 이동하면 거리비례로 기본운임 1450원에 이어 추가요금 600원이 부과된다. 연천 끝에서 끄트머리까지 운행하는 노선이기 때문이다.
5. 시간표
39-2번 운행시간표 (2024년 11월 25일 기준)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진격부대앞 (기점) | <colbgcolor=#c9ffc3> 시간 | 동두천역 (종점) |
40 | 04 | - | |
00 20 40 | 05 | 50 | |
00 20 40 | 06 | 10 30 50 | |
00 20 40 | 07 | 10 35 55 | |
05 20 40 | 08 | 15 35 55 | |
00 20 40 | 09 | 15 35 55 | |
00 20 40 | 10 | 15 35 55 | |
00 20 40 | 11 | 15 35 55 | |
00 20 40 | 12 | 15 35 55 | |
00 15 30 50 | 13 | 15 35 55 | |
10 30 50 | 14 | 15 30 45 | |
10 30 50 | 15 | 05 25 45 | |
10 30 50 | 16 | 05 25 45 | |
10 30 50 | 17 | 05 25 45 | |
10 30 50 | 18 | 05 25 45 | |
10 30 50 | 19 | 05 25 45 | |
10 30 50 | 20 | 05 25 45 | |
10 30 50 | 21 | 05 25 40 | |
10 | 22 | 00 20 40 | |
- | 23 | 00 20 |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width=31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4097> | 경기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ㄱ} ] {{{#!wiki style="margin: -6px -1px -1px" | <colbgcolor=#004097><colcolor=#fff> | ||
가평 | · · | ||
고양 | · · · · · · · · · · | ||
광명 | · · · · · | ||
광주 | · · · · · · · · · · · · · · · · | ||
구리 | · · · | ||
김포 | · · · · · · · · · | ||
- [ 펼치기 · 접기 {ㄴ~ㅅ}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남양주 · · · · · · · · · · · · · · · · · · · · · 동두천 · 부천 · · · · · · · · · 성남 · · · · · · · · 수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00좌석· · · ·시흥 · · · · · ·
- [ 펼치기 · 접기 {ㅇ}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4097><colcolor=#fff> ||
안산 · · · · · · · · · · · · · · · 안성 · · · · · · · · · 안양 · · · · · · · · · · · · · · · · · · · 양주 · · 연천 오산 · · · · 용인 · · · · · 의정부 · · · · · · · · · 이천 ·
||
[1] 이로써 39-2단독구간인 고대산입구 정류소는 폐지되었다.[2] 동사 노선인 직행좌석 등급의 G2001번과 대비해 소요시간 면에서 전혀 밀리지 않을 정도.[3] 2018년에도 경원선 선로 개량으로 열차 운행이 중단된 적이 있었다.[4] 동두천역이나 연천역 등에서 1호선을 타고 가며, 지방에 사는 군인들은 환승없이 쭉 1호선을 타고 가서 서울역이나 용산역 또는 청량리역에서 내려서 기차를 타고 집에 가는게 국룰이다.[5] 구 초성리역의 경우 청산역으로 이전된 후 구 초성리역 인근에서의 접근성이 안 좋기에 구 초성리역 인근 지역은 여전히 이 노선과 G2001번에 의존하고 있다. 한탄강역도 폐역되었고, G2001번도 무정차하므로 이 노선과 53번에 의존한다.[6] 학담입구 하차 후 도보로 이동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