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0 13:53:08

화성 버스 116-3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5200><tablewidth=31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5200,#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5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직행좌석
좌석
일반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화성시 마을버스 목록
}}}}}}}}} ||

파일:H_116-3_3363.png파일:IMG_0831.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화성시 CI_White.svg 화성시 일반시내버스 116-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화성 116-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동탄2공영차고지) 종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미금역)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20
막차 22:00 막차 23:20
평일배차 20~30분 주말배차 40~50분
운수사명 화성여객 인가대수 12대[1]
노선 동탄2차고지 - 나래학교 - 한화.호반.대원 - 신안2차.반도4차 - 이주택지.상록.경남아파트 - 고매사거리.고매농협 - 민속촌입구 - 신갈오거리 - 구성사거리 - 보정역 - 동성1차아파트.죽전패션타운 - 오리역 - 미금역.청솔마을.2001아울렛

2. 개요

화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동탄2신도시와 분당 미금역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0년 5월에 신설된 노선으로 기존 운행하던 대원고속 67번이 폐선됨에 따라 대체를 위해 만든 것이다.[2]
  • 2001년에는 백화점 셔틀버스 폐지로 인해 연수원과 분당중앙공원 대신 수내역서현역을 경유하도록 변경하였다.
  • 2012년 하반기에 '성남공설운동장 - 성호시장' 구간이 '모란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으로 변경되었다.[3] 하지만 이때 분당선이 망포역까지 연장되면서 수요가 급감하자, 인가대수가 크게 줄었고 배차간격도 크게 벌어졌다. 그러다 분당선이 기흥으로, 망포로 연장되어가면서 점점 시망... 수요가 줄어들어 안 그래도 넓었던 배차간격이 더 크고 아름답게 벌어졌다.[4]
  • 2015년 5월 1일에 화성여객으로 면허가 이관되었다.
  • 2015년 10월 21일부터 '신갈오거리 - 경희대' 구간 대신 '신갈오거리 - 보라동 - 한국민속촌 - 동탄2신도시' 구간을 운행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노선이 대폭 연장된 만큼 8대나 증차해 총 14대로 운행하게 되었으며, 기존 '신갈오거리 - 경희대' 구간은 대체노선으로 6-3번을 신설했으나, 2015년 11월 5일에 폐선되었다.
  • 2015년 10월 30일에 기점이 예솔초교에서 한화꿈에그린으로 바뀌었다. #
  • 2016년 5월 16일에 '단대오거리역.(구)종점 - 상대원시장 - 상대원파출소.소방소' 구간이 단축되었다. 대체노선은 단대오거리역에서 303번, 4425번을 타면 된다.
  • 2016년 8월에 반도유보라까지, 2016년 12월에 LH아파트 65.66블록까지 연장되었다.
  • 2018년 1월 말에 조용히 동탄2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
  • 사송공영차고지 주박이 없어지면서 2019년 5월 7일에 첫/막차 동시출발이 사라지고, 동탄2차고지 일괄 출발로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동탄2차고지 첫차: 변동없음.
    • 동탄2차고지 막차: 22:40 → 22:00
    • 단대오거리역 첫차: 05:00 → 06:30
    • 단대오거리역 막차: 22:40 → 23:40
  • 2019년 11월 18일에 '서현역 - 이매역 - 야탑역 - 성남시청 - 모란역 - 수진역 - 신흥역 - 단대오거리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대체노선으로는 17번이 있다.[5]
  • 2020년 2월 17일에 '미금역 - 한솔프라자 - 파크타운 - 서현역' 구간이 단축되었다. 대체노선으로는 720-1번, 720-1A번이 있다. [6]

4. 특징

  • 신설 당시 이 노선은 비슷한 구간을 운행하던 다른 노선에 비해 당시 배차간격이 10분 내외로 준수하였고[7], 분당선이 연장되기 전에는 기흥 + 신갈 + 구성에서 분당으로 나가는 수요를 거의 다 감당했기 때문에 수요도 좋았다. 하지만 분당선 연장개통 이후에 큰 타격을 입으면서 한때는 3대까지 감차되기도 했다.
  • 그러다가 2동탄으로의 노선 변경과 폭풍증차 덕에 동탄2신도시 수요를 새로 얻었지만, 이것이 예전 전성기 때만큼의 수요는 아닌지라 다시 감차당해서 지금은 12대로 운행하고 있다.
  • 경희대차고지가 기점이던 시절에는 잠시나마 아웃화성 노선이었고, 다른 노선들과 마찬가지로 경희대학교 교내에서는 무료로 승차할 수 있었다.
  • 경기고속에서 3대밖에(...) 안 굴리던 시절에는 조금이라도 승객을 끌어모으기 위함이였는지 앞문 바로 옆 창문에 '서현역 - 단대오거리역'은 17번과 동일하게, '송림고 - 단대오거리역'은 업체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51번과 동일하게 운행한다고 붙히고 다니기도 했다.[8]
  • 동탄으로 연장하면서 수요가 늘긴 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분당 지역의 승객 비중이 가장 높다. [9]
  • 거리비례제 적용 노선이므로 현금 승차 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시간표

116-3번 운행시간표 (2023년 01월 10일 기준)
KD운송그룹 신동탄영업소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평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탄2차고지 (기점) <colbgcolor=#c9ffc3> 시간 미금역 (종점)
00 20 40 05 첫차 06:20
도착 후 회차
(약 80분 소요)
막차 23:20
00 20 40 06
00 20 40 07
00 30 08
00 30 09
00 25 50 10
15 40 11
05 25 55 12
25 50 13
15 35 14
00 30 15
00 30 16
00 20 45 17
10 30 18
00 30 19
00 30 20
00 30 21
00 22
- 23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토요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탄2차고지 (기점) <colbgcolor=#c9ffc3> 시간 미금역 (종점)
00 40 05 첫차 06:20
도착 후 회차
(약 80분 소요)
막차 23:20
20 06
00 30 07
00 30 08
10 09
00 50 10
30 11
10 50 12
40 13
30 14
20 15
10 50 16
20 17
00 50 18
40 19
30 20
20 21
00 22
- 23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일.공휴일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탄2차고지 (기점) <colbgcolor=#c9ffc3> 시간 미금역 (종점)
00 50 05 첫차 06:20
도착 후 회차
(약 80분 소요)
막차 23:20
40 06
20 07
00 40 08
20 09
10 10
00 50 11
50 12
40 13
30 14
30 15
30 16
30 17
20 18
20 19
20 20
20 21
00 22
- 23
}}}}}}}}} ||

5. 연계 철도역


[1] 현재 10대로 운행 중이다. 토요일 6대, 주말/공휴일 5대[2] 이 노선은 다른 116번 시리즈와 달리 처음부터 일반시내버스로 신설되었다.[3] 원래는 이 노선이 모란역-수정경찰서-가천대역-복정역-위례신도시 구간으로 갈려고 하였으나, 운행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져, 과거에 동탄신도시-잠실역 구간을 운행했던 1116이 장거리 노선으로 인한 적자 심각으로 야탑 단축 후 폐선된 여파로 노선 계획이 수정된 것. 다만 동탄2신도시에서 장지역과 가락시장역을 거쳐 잠실역까지 운행하는 노선은 G6009번으로 대체[4] 이관 이전에는 3대밖에 안 굴렸다...[5] 송림고부터 단대오거리까지 동일하게 운행하는 17-1(A)번, 51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6] KT부터 서현역까지 동일하게 운행하는 220번을 이용할 수도 있다.[7] 상상이 잘 안 가겠지만, 전성기 때는 20대 이상 운행했다![8] 위 두 노선 모두 성남시내를 운행하는 버스들 중에서도 그 수요가 한 손 안에 꼽히는 노선들이기 때문.[9] 그런데도 분당 구간을 대폭 자르고 미금역까지 단축하게 된 배경에는 화성시의 입김이 많이 들어갔는데, 이미 720-1(A), 220 등 인가대수가 많은 훌륭한 대체 노선이 존재하는 분당 구간까지 동탄 주민들 눈물나도록 배차간격을 늘려가면서 굳이 쑤시고 들어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 주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를 잘 알고 있는 KD측에서도 본래는 미금역까지 한 번에 단축하려 했지만, 성남시의 의견을 반영해 순차적으로 단축하게 된 것.[10] 금화마을입구 정류장 하차 후 도보 약 7분[11] 용인면허시험장 하차 후 도보 약 6분.[12] 연원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