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7 00:14:17

광역급행버스 M4108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정부상징.svg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2권역
<colbgcolor=#000>
남양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남양주시 노선이 1개 추가될때마다 해당 부분의 width를 변경해줘야 하고, 0%가 되면 지워도 됩니다.
4권역
성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성남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용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용인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화성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화성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5권역
수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오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오산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평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평택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6권역
김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김포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인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인천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7권역
고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고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파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파주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비수도권
세종
##세종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광주
##광주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파일:화성 M4108번 현대차량.jpg
파일:대원고속M4108번(2201).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4.2. 미래4.3. 사건사고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4108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M4108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나루마을.월드반도) 종점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종점행 첫차 05:00 기점행 첫차 06:00
막차 22:50 막차 24:00
평일배차 7~15분 주말배차 15~25분
운수사명 대원고속 인가대수 14대[1]
경유 정류장
화성(동탄1신도시) 서울(숭례문)
나루마을.월드반도(상)
나루마을.한화꿈에그린2차(하)
서울백병원.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터(상)
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하)
솔빛마을.서해.쌍용아파트(상)
새강마을.휴먼시아(하)
서울시청[A]
다은마을 신한은행본점[A]
메타폴리스 숭례문[A]
한빛마을(상)
한빛마을.석우중학교(하)
서울역버스환승센터[A]
예당마을.롯데캐슬 명동국민은행앞[A]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99.5km다. 정류장 목록

3. 역사

  • 동탄신도시에 입주한 사람들이 직행좌석버스와 관련된 수많은 민원[7]을 투척했다. 그 중 하나는 서울역 행 노선 신설 요구였는데, 시내버스의 30km 운행 거리제한 뿐 아니라 굉장히 긴 고속도로 이용 구간으로 인해 사실상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국토교통부는 이를 묵살하고 있었다.
  • 하지만, 동탄 주민들의 끈질긴 요구에 국토교통부도 버틸 수가 없었는지 광역급행버스 2기 사업에 이 노선을 포함시켰다. 이 노선을 개통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시내버스의 거리 제한을 시계외 30km 이내에서 50km 이내로 늘렸다.
  • 2013년 11월 15일에 메타폴리스에서 출발하는 시간대(7시, 7시 10분)가 생겼다.
  • 2018년 10월 15일부터 전세버스 대신 동일한 경로로 운행하는 보조노선 4108번이 신설되었다. 다만 이 노선은 화성여객에서 담당한다.
  • 2022년 5월 기준 기존 서해.쌍용아파트 중간출발은 사라졌고, 2022년 11월부터 메타폴리스 중간출발(2회, 07:02, 07:12 출발)이 폐지된다.

4. 특징

  • 개통 이후 시간이 흘러 이용객이 제법 많아졌으며, 출퇴근시간에는 당연히 잔여석 0이 뜬다. 매일 아침마다, 광역급행버스 M4403에서 벌어지는 일이 이 노선에서도 똑같이 벌어지고 있다. 피크타임이 지나도 어느정도는 타는 편이고, 낮에도 생각보다 만석을 찍는 경우가 많지만, 분당처럼 버스가 자주오는 것도 아니고, 경희대가 있는 영통처럼 만석을 자주 찍는것도 아니다. 양방향 수요도(나름) 있어서, 출근시간 명동입구 정류장에 가면, 아주대행 8800, 영통행 M5107, 광교행 M5115, M5121 전용 줄처럼 이 노선도 줄을 꽤나 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래도 M4403이나 M5107보단 덜하다. 그러나 영통방면으로도 만석을 밥먹듯 찍어대는 M5107[8]에 비하면 존재감이 한없이는 아니더라도 꽤나 작아진다... 삼성 반도체, ASML, 3M 등의 통근객들이 역방향 수요의 주를 이룬다.
  • 노선 구간 중 고속도로 이용구간이 상당히 긴 데다가[9] 입석까지 불가능해 2기 광역급행버스 노선 중 가장 적자폭이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선이었다. 오죽하면 버스 동호인들이 대원고속자선사업한다고 얘기할까... 한 기사에 의하면 2011년 2월부터 2달동안 운송적자만 3억 3천 여 만원이라고. 관련 기사[10] 그러나 2018년 기준 이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 말로는 흑자라고 한다.
  • 보조노선이 신설되고 2층버스가 투입되어 과잉공급이 된 탓인지 이 노선은 계속 감차되고 있다.
  • 2021년 11월 22일 2층전기버스 2대가 투입되었고 2022년 8월 중순에 2층버스 1대가 추가투입되었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 이 노선의 준공영제 전환을 위해 기사를 모으다보니, 시외부 출신 기사들과 타 노선 팀장급 기사들이 꽤나 모이게 되었다. 덕분에 저속주행으로 유명한 동탄 KD 노선들 중에 속도로는 선전하는 편.

4.1. 시간표

4.2. 미래

  • 훗날 GTX와 인덕원동탄선이 개통되면 타격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이 버스를 타고 가면 평시에 서울역까지 1시간 소요되는데 GTX와 인덕원동탄선을 이용하면 평시든 출퇴근 시간대든 30-40분 정도면 서울역까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출퇴근 시간대에 남산 1호터널의 교통정체가 매우 심해서 버스 소요시간이 20-30분 늘어나지만 GTX와 인덕원동탄선의 배차는 매우 짧아지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줄어들어 버려서 버스와의 격차가 더욱 커진다. 이 때문에 GTX와 인덕원동탄선이 개통하면 버스 수요가 큰 폭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 다만, 철도를 통한 입석을 원치 않는 수요와, 동탄역까지 이동하는 환승의 번거로움, 이 노선의 주력 정류장이 서울역이 아닌 백병원과 시청인 점, 경부고속도로 상에서는 버스전용차로를 이용하여 교통정체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렇게 큰 타격이 있을것같지도 않다.
  • M4108 뿐만 아니라 M4403번, 6002번 등 동탄과 서울을 오가는 다른 노선 역시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4.3. 사건사고

2018년 9월 6일 고속도로에서 충남고속 버스와 사고가 났다.관련 내용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5200><tablewidth=31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5200,#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5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직행좌석
좌석
일반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화성시 마을버스 목록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직행
좌석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광주
김포
남양주
성남
시흥
양주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포천
하남
화성
기타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

한국의 2층버스 운행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d409b><colcolor=#fff>파일:김포시 CI_White.svg<colbgcolor=#0d409b><colcolor=#fff>김포시······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남양주시······
파일:성남시 CI_White.svg성남시··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시····
파일:시흥시 CI_White.svg시흥시··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시·
파일:오산시 CI_White.svg오산시·
파일:용인시 CI_White.svg용인시·······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의정부시·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시········
파일:포천시 CI_White.svg포천시·
파일:하남시 CI_White.svg하남시·
파일:화성시 CI_White.svg화성시············
경기도내 기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인천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대전광역시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전라북도
}}}}}}}}} ||

[1] 토요일 10대, 공휴일 7대로 운행하며, 하위호환 4108번 운행분까지 합치면 사실상 평일 19대, 토요일 14대, 공휴일 11대로 운행한다[A] 편도운행[A] [A] [A] [A] [7] 동탄신도시에서 강남역을 바로 이어주는 1550-2번 버스만 타기 운동, 집단 증차요구 민원 등.[8] M5107은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통학 수요라는 카드가 있기 때문에 수원 방향도 제법 승객이 많은 편이다.[9] 경기순환버스를 제외한 다른 시내버스 중, 고속도로 경유 길이가 근소한 차이로 세 번째로 긴 노선이다.(동탄TG - 한남대교) 가장 고속도로를 길게 경유하는 버스는 5300번M5438번이다. '양재IC → 오산TG' 거리가 대략 38km이고, 간발의 차로 '한남대교 → 동탄IC' 거리가 대략 37km로 오산~양재가 1km가량 더 길다. 고속도로 왕복시 5300번과 M5438번이 반포IC까지 더 올라가는 걸 고려하면 5300번과 M5438번이 가장 길다.[10] 다만, 이건 거의 모든 M버스가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