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2권역 | <colbgcolor=#000> 남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남양주시 노선이 1개 추가될때마다 해당 부분의 width를 변경해줘야 하고, 0%가 되면 지워도 됩니다. |
4권역 | 성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성남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용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용인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화성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화성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5권역 | 수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안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오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오산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평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평택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6권역 | 김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김포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인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인천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7권역 | 고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고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파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파주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비수도권 | 세종 | ##세종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광주 | ##광주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호평동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역광역환승센터) | ||
종점 행 | 첫차 | 05:00 | 기점 행 | 첫차 | 05:50 |
막차 | 23:20 | 막차 | 00:10 | ||
평일배차 | 10~17분 | 주말배차 | 13~20분 | ||
운수사명 | 경기고속 | 인가대수 | 11대 |
경유 정류장 | ||
남양주(호평) | ↔ | 서울(잠실) |
호평동차고지 | 잠실광역환승센터 (GATE 3) | |
호평중흥S클래스.한라.주공아파트 | ||
호평도서관.라인아파트.호평파라곤아파트[1] | ||
호만마을.호평중흥아파트 | ||
판곡초교.현대아이파크 | ||
호평상업지구.이마트 | ||
두산알프하임입구 |
2. 개요
경기도 남양주시 호평동~서울 송파구 잠실역을 운행하는 4기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3.2km이다. 전체 정류소 목록3. 역사
- 2013년 10월 14일에 개통했다. 남양주시 보도자료 이 노선이 신설되면서 1000-1번은 폐선되었으나, 입석금지 제도 시행으로 인해 부활했다.
- 2017년 1월 7일에 잠실광역환승센터 회차로 변경되었다.
- 2020년 10월 9일부터 호평동차고지에 추가 정차한다.
- 2021년 5월 10일부터 165번처럼 호평동 라인, 파라곤아파트에 들어갔다 나오는 형태로 추가 정차하며, 호평상업지구.이마트 ~ 평내화성.유진A ~ 평내중흥.삼창.상록A ~ 평내IC ~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 구간이 호평상업지구.이마트 ~ 두산알프하임입구 ~ 동호평IC ~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로 변경된다. 삭제된 평내동 구간은 M2352번으로 대체된다.
- 2021년 12월 10일부터 2층 전기버스 2대가 투입되었다. 이와 동시에 동호평IC가 아닌 평내IC를 이용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동호평IC 직전의 삼거리가 회전반경이 좁고 경사가 있어 2층버스가 지나다니기 어렵기 때문이다. 두산알프하임 정차 후 U턴하여 평내IC로 간다.
- 2022년 10월 1일부터 대광위 준공영제로 전환되면서 인면허기관이 광주시에서 남양주시로 변경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횟수가 평일 77회, 토요일 63회, 일•공휴일 56회로 변경되었고, 첫차 시간도 05:00으로 40분 앞당겨졌다. 동시에 2층 전기버스를 제외한 모든 버스가 뉴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CNG로 대차되었다.(3744만큼은 아직 FX116이고 기존에 있던 차량들은 딴 노선으로 가거나 예비차로 격하됐다.)[2]
4. 특징
- 평내호평역은 정차하지 않는다. 평내호평역에서 이 버스를 타기 위해선 도보로 약 2분가량 걸어 이마트 앞 정류장으로 가야 한다. M2352번 분리 이전에는 만약 여기서 간발의 차로 놓쳤다면 버스가 평내동을 한 바퀴 도는 동안 평내동 중흥아파트 정류장까지 뛰어올라가서 타는 것도 방법이라 할 수 있었다. 단, 매우 빨리 뛰어야 하고, 평내지구 오르막 경사가 은근 심해서 비나 눈이 오면 여의치 않았다.[3]
- 호평동차고지가 10-5, 165, 97, 땡큐11, 1000번을 모두 관리하면서 주차 용량이 모자라게 되자, 일부 차량을 사능영업소, 차산리영업소에서 나누어 관리했지만, 2022년 10월부터 준공영제 시작으로 차산리영업소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며 새벽시간대 공차회송 후 운행한다.
- M2352번 분리 이전에는 오랫동안 모든 M버스 중 대당 승객 수가 가장 높았다.
- KD 운송그룹답게 저속을 하는 노선이다. 강변북로 80km/h 이하로 다니는 편인데 사실 몇년 전에는 60km/h 내외로 달려 정말 차량 흐름에 민폐를 끼친 적도 있었던 것에 비하면 나아진 수준.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아 한다.
4.1. (M2352 분리 전) 이득이 있는가?
- 광역급행 타이틀을 달고 실제 정차하는 정류장 수도 적긴하지만 실제로 타보면 목적지(잠실)까지 가는데 문제가 많다.
- 우선 호평동에서 타는 사람들은 시간상 이득이 거의 없다. 호평동 내에서 정차하는 정류장이 딱 네 개[4] 뿐이라서 해당 정류장에서 먼 곳에 사는 사람들은 10분 이상 정류장까지 걸어가거나 시내버스에서 광역버스로 환승을 해야 한다. 그리고 버스를 타도 호평동 한 바퀴 다 돌고 평내동 한 바퀴 다 돌고 수석-호평 민자도로를 타기 때문에 크게 시간상 이득을 체험하기 어렵다.[5] 다만 이것은 요즘 해결된 게, 출근시간 한정으로 호평동차고지에서 승객을 태운 후 몇 자리 안 남으면 호평상업지구에서 만차가 되도록 만들어서 바로 고속화도로로 올라탈 수 있도록 노선을 직선화하기 때문에 약 5~15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 그런데 이 때문에 평내동에서 타는 사람들에게 문제가 생기는데, 평일 출퇴근 시간은 말할것도 없고 토요일 오전시간에는 적잖은 출근 인파에 밀리고 일요일에는 롯데월드나 잠실 롯데백화점 등의 수요 때문에 자리가 적다. 특히 출근 시간에는 이미 호평동을 지나면서 만차가 되어 오거나 5자리 미만(심할 때는 1~2자리)이 남은 상태에서 평내동에 진입한다. 자리가 없어서 버스를 탈수가 없다. 이마저도 평내동을 아예 거치지 않는다! 결국 평내동에서는 새벽, 평일 낮에야 제대로 이용할 수 있다.
- 그렇지만 잠실에 가면 상황은 달라진다. M2323번만큼 빠른 시간내에 평내.호평-잠실을 잇는 노선이 없으므로 잠실역 환승센터 러쉬가 일어날 정도로 이 노선의 인기는 상당한 편이다.[6]
- 결국 평내 구간만 운행하는 새로운 광역급행버스 M2352번이 2021년 5월에 새로 생겼다. M2323번은 호평지구 내 추가정차나 평내호평역 정류장 정차 등으로 조정되고 바로 수석호평도시고속화도로를 이용하게 되었다.
- 다만 호평/평내 노선이 분리되어도, 호평동 주민들 사이에선 다소 아쉬운 점이 남는다는 반응이 있다. 파라곤.라인.루첸아파트를 양방향 경유하기 때문에 차고지 앞 아파트들에서는 기존에 평내를 다 들르던 시절에 비해 소요시간 단축효과가 미미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원래 차고지 다음 정류장이었던 호만마을 앞에서는 파라곤까지 경유하다보면 앞쪽 아파트들에서 자리를 깔고 오느라 착석 확률이 낮아지며, 이마트 앞에서 타는 경우도 일부는 세종아파트쪽으로 직진하면 될걸 알프하임으로 꺾는다는 등 불만이 제법 나오는 편이다. 거기다가 알프하임에서는 동호평IC 옆에 마치로로 통하는 보조 램프를 이용하면 단지 내로 들어오면서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걸 불편하게 만들었다고 민원을 넣는 중. 파라곤 일대와 알프하임 사이 민원 분쟁이 개통 전에 꾸준했는데, 원래 알프하임쪽에서 먼저 수석호평로와 편한 점을 이용해 정차해달라는 요구를 한 것에서 시작했으나 이를 본 파라곤쪽에서 옆 아파트들과 힘을 합쳐[7] '큰길에서 더 멀리 떨어져 있고 입주를 먼저 한 곳이 우리쪽'이라는 이유로 질세라 민원을 넣는 것으로 대응했는데 결국 파라곤쪽이 좀 더 이득을 본 상황이다.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수도권 전철 경춘선: 평내호평역[A]
- 일반 철도역: 평내호평역(ITX-청춘)[A]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남양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좌석 |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 ||
일반 | |||
마을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a7be38><colcolor=#fff> 남양주시 | |
잠실역 | 1000-1평일 1200-1평일 | |
청량리역 | ||
강변역 | ||
기타 | 1-4천호역, 하남미사 10-5당고개역 33-4문호리 65-1석계역 1100잠실, 강남, 신사역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직행 좌석 |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 |||
광주 | ||||
김포 | ||||
남양주 | ||||
성남 | ||||
시흥 | ||||
양주 | ||||
용인 | ||||
의정부 | ||||
이천 | ||||
파주 | ||||
포천 | ||||
하남 | ||||
화성 | ||||
기타 |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광역급행 | |
<colcolor=#fff>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한국의 2층버스 운행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d409b><colcolor=#fff> | <colbgcolor=#0d409b><colcolor=#fff>김포시 | ······ |
남양주시 | ······ | ||
성남시 | ·· | ||
수원시 | ···· | ||
시흥시 | ·· | ||
안산시 | · | ||
오산시 | · | ||
용인시 | ······· | ||
의정부시 | · | ||
파주시 | ········ | ||
포천시 | · | ||
하남시 | · | ||
화성시 | ············ | ||
경기도내 기타 | ···· | ||
인천광역시 | |||
대전광역시 | |||
전라북도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1] 서울 행은 아파트 앞(유턴 후)에 정차, 차고지 행은 건너편(유턴 전)에 정차.[2] 서이추 조건 엄격강화 블로그의 광주 경기고속 광역차량,23년 1월 8일 기준으로 3744호는 FX116 크루징애로우 13년식이라 써있다.[3] 97번, 165번, 1000번, 1100번을 타고 빠르게 중흥아파트로 올라갈 수도 있었다. 물론 해당 4개 노선 중 하나라도 바로 와야 가능했다.(165번이 빨리 올 확률이 높다.)[4] 호평동차고지를 정류장으로 보면 다섯 개. 차고지,한라A,호만마을,이마트, 두산알프하임[5] 다만 요즘은 경춘로가 다산신도시 때문에 이래저래 혼잡을 빚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이득일 수 있다.[6] 효성헤링턴플레이스나 두산알프하임과 같은 호평동 동부 지역은 M2316번이 빠를 수 있다. M2323번이 아파트 단지를 도는 동안 경성아파트에서 역방향 환승을 하면 금방 구룡터에 닿기 때문이다.[7] 수진사입구, 호평초 앞 아파트들의 세대수를 다 더하면 두산알프하임과 비슷하게 잡힌다.[A] 호평상업지구 정류장 하차.[A] 호평상업지부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