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087,#43b02a><tablewidth=310> | 양평군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직행좌석 | G9311 | |
일반 | 대신, 여주 | ||
단월, 청운, 양동 | |||
양서, 서종 | |||
강상, 강하 | |||
개군, 곡수, 대신 | |||
옥천, 가평 | |||
용문 | |||
양평읍 순환 | 30-1 | ||
서울 | |||
행복버스 | |||
[a] 일부 노선 양평군 미경유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다문리(용문버스터미널)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잠실광역환승센터) | ||
종점행 | 첫차 | 평일 06:00 주말 07:00 | 기점행 | 첫차 | 평일 07:30 주말 08:30 |
막차 | 평일 19:00 주말 18:00 | 막차 | 평일 20:30 주말 19:30 | ||
평일배차 | 1일 8회[A] | 주말배차 | 1일 6회[A] | ||
운수사명 | (주)비티에스 | 인가대수 | 2대[3] |
경유 정류장 | ||
양평 | ↔ | 서울(잠실) |
용문버스터미널 | 잠실광역환승센터 (GATE 24) | |
구.용문터미널 | ||
양평시외버스터미널[4] | ||
양평시장입구 | ||
군청사거리.농협 | ||
고읍교차로.아신역입구 | ||
아세아연합신학대학 | ||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 | ||
| ||
양수파출소.양수리지석묘 |
2. 개요
(주)비티에스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109.6km 이다. 현재 버스위치 확인3. 역사
- 2019년 2월 24일에 새경기 준공영제 시범사업 우선 검토 대상으로 선정된 20개 노선들 중 하나로, 소외지역 배려노선이다.
- 운송사업자 모집 결과, 금강고속과 (주)양평리무진, (주)비티에스 등 세 회사가 입찰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주)비티에스가 선정되었다.
- 2020년 3월 20일에 개통했다. 본래 2020년 3월 1일에 개통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바이러스의 여파로 차량 출고가 지연됨에 따라 연기되었다.
- 2020년 7월 13일부터 구.용문터미널과 아세아연합신학대학(정문)을 경유하게된다. 방학기간은 구.용문터미널만 경유한다.
- 2022년 4월 2일부터 동년 11월 13일까지 주말, 공휴일에 용문에서 14시, 15시 정각에 출발하는 버스는 양수리지석묘를 경유하지 않고 신양수대교를 경유하여 바로 서울로 간다.
4. 특징
- 양평군 관내에 9개의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 노선이다. 때문에 2000-2번과는 다르게 하남시, 남양주시 구간의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개통한지 3개월이 넘어간 시점부터는 어느 정도 수요가 정착하여, 출퇴근 시간대에 절반을 채우는 경우도 있고, 무엇보다도 양수리에서 용문까지 한번에 가는 노선이라는 메리트가 존재하여 양평군 내에서의 구간수요도 창출되고 있다. 이외에도 양수리에서 아신리까지 가는 구간수요 등 매우 다양하다.
- 파행운행이 심각하다. 6번 국도, 경강로와 미사대로를 경유하는 노선이다보니 주말 및 공휴일에 정체가 극심하여 정상적인 운행이 불가능할 경우, 14:00/15:00/18:00 시간대가 결행이 되거나, 노선이탈을 하는 경우가 존재한다.[6] 이건 양반이다. 주말에 길이 밀린다고 양수리를 무정차 통과하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만약 버스를 기다렸는데 오지 않고 다음 정류장으로 간 것을 목격했다면 경기도청(031-120)으로 민원을 넣자. 간혹가다 정체가 극심하면 전철 타고 가라며 신원역[7] 인근에 세워주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명절이나 특수기(휴가)일 경우는 가차없이 결행이다. 즉 주말도 정상으로 운행한다. 유명산터널을 뚫어야 양평과 가평을 쉽게 갈수있으나 워낙 산지가 험해 시도도 못하고 있다.
- 2000-2번과 거의 전구간이 겹친다. 차이점은 2000-2번은 양평터미널 까지만 가는 것과 잠실광역환승센터로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 G9311번은 급행격으로 운행하는 반면 2000-2번은 양평 구간은 완행격[8]으로 운행한다는 점이다.
- 지나가는 도로의 풍경이 꽤 좋다. 버스에 타면 남한강 절경은 꼭 감상하도록 하자.
- 2021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2000-1번, 2000-2번이 운행중단되었을 땐 양평에서 서울까지가는 유일한 노선이었다.
- 다만 이 노선은 양평터미널로 들어오지 않고 입구쪽에 정차한다. 이점 유의할 것.
- 2020년 10월 1일부터 2000-2번이 1일 1회로 감축됨에 따라 양평에서 잠실을 갈 땐 무조건 이 노선을 이용하거나 경의중앙선 타고 도심역, 덕소역에 내려서 1670번이나 1700번으로 환승해야 한다.
- 정규차가 고장 등으로 결행 시 전세부출신 차량으로 대신 운행한다.
4.1. 시간표
- 주말과 공휴일에는 1회차와 8회차를 운행하지 않는다.
- 용문터미널 출발 후 약 1시간 30분 정도 소요되며, 교통정체 등 변수에 따라 회차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 주말 및 공휴일 14:00/15:00/18:00 시간대의 경우, 교통정체로 인해 결행될 수 있다.
양평 버스 G9311번 운행시간표 | |||
횟수 | 용문터미널 | 잠실광역환승센터 | 비고 |
1 | 06:00 | 07:30 | 주말.공휴일 미운행 |
2 | 07:00 | 08:30 | |
3 | 10:00 | 11:30 | 용문행 가스충전[10] |
4 | 11:00 | 12:30 | |
5 | 14:00 | 15:30 | |
6 | 15:00 | 16:30 | |
7 | 18:00 | 19:30 | |
8 | 19:00 | 20:30 | 주말.공휴일 미운행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양평역, 아신역[11], 국수역[12], 용문역[A],
신원역[14]- 일반 철도역: 양평역(KTX-이음, ITX-새마을, 무궁화호), 용문역(ITX-새마을, 무궁화호)[A]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직행 좌석 |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 |||
광주 | ||||
김포 | ||||
남양주 | ||||
성남 | ||||
시흥 | ||||
양주 | ||||
용인 | ||||
의정부 | ||||
이천 | ||||
파주 | ||||
포천 | ||||
하남 | ||||
화성 | ||||
기타 |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시내 |
[A] 60분 ~ 180분 간격[A] [3] 예비1대[4] 승차: 양평버스터미널 입구 정류장 / 하차: 양평버스터미널 건너편 정류장[5] 6번 국도의 정체가 극심한 경우 신원역에서 양수리 가는 손님을 내려주고, 양수리를 무정차 통과한다.[6] 이 경우에는 왕십리로 우회하거나 또는 도심역에서 1670번이나 1700번을 타면 잠실로 갈 수 있다.[7] 정식 인가된 정류장은 아니다. 사실 대로변에서 가장 가깝게 정차하는 전철역이 신원역 뿐이니.[8] 2000-2번도 남양주 조안면을 통과하면 6번국도를 타고 하남에서 몇 정거장 정차한 뒤 올림픽대로를 타고 급행격으로 운행한다. 대신 평일에 하루 한 번 운행한다.[9] 단 가스 충전하는 시간에 승객들한테 잠시동안 가스충전한다고 말한 뒤 내려서 기다렸다가 5~10분후에 가스충전한뒤 다시 탑승한다. 이때 카드단말기에 절대로 태그하지 말 것. 안그러면 하차태그가 된 상태로 환승유효시간이 초과하게 되어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 금강고속에서 운행 중에 가스 넣으러 가는 건 불법 운행이라며 양평군청에 민원을 넣었는데, 양평군청에서 공문까지 보내가며 퇴짜를 놨다.[10] 양평에는 가스충전소가 없기 때문에 잠실에서 비교적 가까운 강동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하고 간다.[11] 아신리입구 하차.[12] 국수리.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정류장 하차 후 도보.[A] 구 용문터미널 하차.[14] 정식 인가된 정류소는 아니고, 교통 정체가 너무 심할 때 전철 타고 가라며 내려준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