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2 21:05:43

남양주 버스 11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구리수택차고지에서 지금지구와 도농역을 거쳐 자연앤롯데캐슬.반도유보라를 오가는 땡큐버스에 대한 내용은 남양주 버스 땡큐11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6fb711><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광역급행
직행좌석
좌석 [[남양주 버스 330번대|
330-1-2,-3
]]
일반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11_fx116_3842.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시간표6. 연계 철도역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 남양주시 직행좌석버스 1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남양주 11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소학리(소학1리) 종점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6:05
막차 23:00 막차 00:20
평일배차 40~50분 주말배차 40~65분
운수업체 경기버스 인가대수 5대
노선 소학1리 - 베어스타운 - 내촌축협앞 - 광릉내종점 - 진접센트레빌시티 - 진접읍사무소입구 - 진접농협 - 봉현마을 - 내각농협 - 임송삼거리 - 퇴계원농협 - 사노IC - 퇴계원I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리남양주TG - 토평IC - 강변북로 - 광나루역 - 강변역(A섹션)

2. 개요

포천시 내촌면[1]과 서울 강변역을 잇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81.4km.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 개통한지 3일째인 2004년 8월 27일, 버스회차에 따른 위험을 우려한 주민들의 반발로 양지리차고지로 단축되고, 퇴계원에서 강변역까지 직통으로 다니던 것을 강북삼거리, 워커힐, 광나루역 경유로 변경했다.
  • 2004년 10월 27일에는 이용객이 저조하여 운행대수 10대중 절반인 5대를 감차해 1-5번을 신설하였다.
  • 2005년 4월 18일에는 광릉내지역 주민들의 지속적인 민원으로 양지리차고지~장현 현대아파트 구간이 단축되고 광릉내경유 팔야리 도곡마을까지 연장되었다.
  • 동년 6월 16일, 회사의 경영사정 악화로 선진상운에 매각[2]이 이뤄졌고 광릉내 종점 착발로 변경되었다.
  • 동년 11월 1일부로 선진시내버스로 이관되며 소학리, 베어스타운으로 연장되었다. 연장되면서 명진여객 138번 등 출신인 BH115E, BH116 차량과 선진상운에서 가져온 에어로시티가 섞여서 다녔고, 직행좌석버스이지만 일반버스 수준으로 요금을 할인하며 1번, 1-1번, 1-5번과 같은 경쟁노선을 견제하며 운행했다.
  • 2006년 봄 직행좌석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고속도로 유료구간(퇴계원 IC ~ 토평IC)을 경유하는 시내버스가 되었다. 동시에 간선버스 도색을 한 새로 뽑은 BS106 좌석형 가스차가 투입되었다.[3]
  • 하지만 2009년 12월 선진상운KD 운송그룹으로 인수되면서 이 노선도 선진시내버스에서 경기버스로 세트로 매각이 되었는데, 이후 2010년 7월 10일 KD 운송그룹에서는 법적, 안전상의 이유를 들며 이 노선을 다시 직행좌석버스로 형간전환했다. 사실 일반시내버스 면허여도 안전벨트를 좌석에 장착하면 아무런 법적 문제가 없다. 결국 요금을 더 받아먹고 싶었던 KD의 핑계에 가까운 소리다. 이후 12대 남짓 다니던게 10대로 줄었고 이후 차돌리기 및 수요 악화로 인해 5대로 감차되어 지금에 이르렀다.
  • 2012년 12월 1일에는 소학1리에서 베어스타운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가 어느새 환원되었다.[4]
  • 2021년 8월 1일에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었다. 포천시가 기점임에도 면허 관할지는 그대로 남양주시이다.

4. 특징

  • 경기도 직행좌석버스 중 가장 작은 번호를 가지고 있으며, 유일하게 두 자리 수 노선이다.[5] 반대로 직행좌석버스 중 가장 큰 번호를 가진 버스는 수원시9802번이다.
  • 시내버스 요금에 1번이나 1-1번과 달리 퇴계원-광나루역을 빨리 가는 덕분에 진접, 퇴계원에서 인기가 높았다. 특히 진접지역에서는 7007번이 개통하기 전이라 강변, 잠실, 강남 방면 광역버스 역할을 하였고, 내촌 수요도 상당한 편이라 수요가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 약 12~13대까지 증차운행하며 약 15~20분 간격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이 시기가 이 노선의 리즈시절인 셈이다. 게다가 이 때가 포천시 면허 시절이기도 했다.
  • 하지만 직행좌석버스로 전환 이후, 요금인상에 따라 구간승객의 이탈[6], 7007번 개통에 따른 이동패턴 변화 등으로 인해 수요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고, 시외버스 3000보다 더 느린 탓에 내촌 - 강변역 급행수요도 시외버스에게 잠식당했다. 출퇴근시간 강변북로의 정체가 점점 극심해지면서 오히려 퇴계원에서는 1-1번이 빠른 상황이 생길 정도로 노선의 메리트를 사실상 잃은 상태다.[7]

5. 시간표


2022년 10월 27일 기준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직행
좌석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광주
김포
남양주
성남
시흥
양주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포천
하남
화성
기타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

파일:newnyj가로.png 남양주시 - 강변역간 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광역급행 M2352
<colcolor=#fff> 직행좌석
일반
}}}}}}}}} ||



[1] 기점은 내촌면내보다 위에 있는 소학1리다.[2] 경기 74아 12XX번대 차적이 이 과정에서 선진상운으로 유입되었다.[3] 기존의 BH115E/116은 33번으로 이동되었고, 에어로시티는 2007년까지 다니다가 138-5번으로 이동했다.[4] 당장 소학리 일대에서 서울 나가는 노선은 11번이 유일했다.[5] 과거 명성운수의 82번도 두자리 수 노선이였으나, 지금은 1082번으로 변경되었다.[6] 23번, 88번이 내촌으로 연장되면서 구간수요가 잠식되었다.[7] 퇴계원에서는 2000번을 타고 토평IC에서 100번, 1006번, 1660번으로 환승하면 더 빨리 갈 수 있다. 아니면 구리남양주영업소에서도 100번으로 환승해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