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
직행좌석 | ||
일반 | ||
마을 | 용인시 마을버스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왕산리(외국어대학교)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테크노마트앞·강변역)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6:10 |
막차 | 월-토 22:45 일요일·휴일 22:30 | 막차 | 월-토 00:00 일요일·휴일 23:40 | ||
평일배차 | 15~30분 | 주말배차 | 20~40분 | ||
운수업체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3대[1] | ||
노선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외국어대입구 - 모산마을 - 매산리 - 대주2차아파트 - 양벌리 - 경안중학교 - 장지동 - 텃골.중대동 - 삼동 - 갈마터널 - 갈현동 - 모란역 - 태평역 - 가천대역 - 동서울대학교 - 복정역 - 장지역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석촌호수 - 잠실역 - 잠실대교 - 구의역 - 테크노마트앞.강변역(C) |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모현읍)에서 강변역(동서울터미널)을 잇는 노선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7년, 기존 외대와 강변역 구간을 운행하던 일반좌석버스 117번의 직행좌석형버전으로 개통되었다. 117번은 얼마 안가 폐선되었다. 이후 현재까지도 큰 노선변경없이 운행 중이다.
- 같은 기점, 같은 종점에 1117-1번도 있었다.
- 2006년 10월 9일에 평일 한정 심야운행(외대 22:45, 강변역 00:00)을 개시하였다. 광주시 공지사항
- 한때 출근시간대에 급행버스를 운행했으나 폐지됐다. 1113-1번처럼 외대 방면으로 갔으며, 서울 구간은 전 정류장 정차, 경기도 구간은 수진리고개, 모란고개, 모란역, 매산2리만 정차했다.
- 2020년 12월 7일부터 외대 출발 첫차가 10분 앞당겨져 오전 4시 40분에 첫차가 외대에서 출발한다.
4. 특징
- 기점이 한국외대라 통학수요가 굉장히 많고, 매산리와 양벌리에서는 가장 자주 오는 직행좌석버스라서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은 노선이다. 현재는 경강선의 개통으로 수요가 예전만큼 못하고 감차도 상당히 진행되었지만 직접적으로 타격을 받은 500-1번이나 500-2번보다는 그럭저럭 타는 상황이다.
- 고급좌석 최고의 레어템인 앞문은 스윙, 뒷문은 폴딩형인 BH116 초기형이 들어갔던 노선이다.
스텐바디는 덤
- 2018년 1월, 일부 차량 LED 전광판이 새 LED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 강변역에서는 1번 출구 건너편 C번 정류소에서 승차한다.
- 잠실역에서 오포, 모현, 외대방면으로 가는 경우 6번 출구 옆 잠실역사거리 중앙차로 정류소(24-002)에서 타면 된다.
- 모란역에서 오포, 모현, 외대방면으로 가는 경우 5번 출구 맨끝에 있는 1117번 표지판에 줄을 서서 탑승한다.
- 외대에서 탑승 시, 외대생들과 교직원들은 한국외대 공식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백년관 기점 출발예정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인 외대 방문객들은 백년관 기종점 승객대기실 모니터로 출발예정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 외국어대입구 정류소부터 한국외대종점까지는 외대와 버스회사 간 계약으로 양방항 카드 찍거나 현금 낼 필요 없이 승·하차가 무료다. 외대생·외대교직원들뿐만 아니라 일반 방문객들에게도 적용된다. [2]
- 단, 어문학관, 교양관, 인문경상관까지는 가지 않으므로 정규학기 대면 기간 평일에 저 건물들로 가는 경우, 기숙사나 도서관에서 내려 빵차로 갈아타거나 도서관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야 한다. 계절학기 대면기간 평일에는 빵차도 인문경상관까지 안 가고, 계절학기가 전면 비대면이거나 정규·계절 상관 없이 주말, 휴일, 방학 기간에는 아예 빵차가 운행하지 않으니 그런 날에는 그냥 도서관에서 내려 걸어 올라가야 한다.
-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한두대씩 감차되더니 평일 기준 6대, 주말 5대로 운행했었다. 이후 10월 5일부터 별도의 사유[3]를 기반으로 기존 운행댓수로 복귀, 정상운행을 실시한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5,492 | |
2013년 | 5,091 | ▽ 401 |
2014년 | 5,099 | △ 8 |
2015년 | 4,817 | ▽ 282 |
2016년 | 5,096 | △ 279 |
2017년 | 4,015 | ▽ 1,081 |
2018년 | 3,712 | ▽ 303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2년 | 4,325 | |
2013년 | 2,692 | ▽ 1,633 |
2014년 | 4,001 | △ 1,309 |
2015년 | 4,089 | △ 88 |
2016년 | 4,267 | △ 178 |
2017년 | 3,203 | ▽ 1,064 |
2018년 | 3,175 | ▽ 28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구의역, 강변역
서울 지하철 3호선: 가락시장역
서울 지하철 8호선: 모란역, 복정역, 장지역, 문정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석촌역, 잠실역
서울 지하철 9호선 : 석촌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모란역, 태평역, 가천대역, 복정역
수도권 전철 경강선: 삼동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colbgcolor=#f00> 가평군 | |
고양시 | 1000[2] | |
광주시 | ||
김포시 | ||
수원시 | ||
안산시 | 300[주] | |
용인시 | ||
파주시 | 7500[주] 7700[주] 7701[주] 9710-1[2] | |
기타 | 3000광명 3030군포 5200시흥 9202하남 | |
[2] 2층버스 운행 노선 / [주] 주말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노선 | ||
이 틀에 기재된 노선은 입석금지 제도 적용을 받지 않아 합법적으로 입석 승차가 가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