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13 22:08:30

수원 버스 5100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004098,#49aaf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수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004098,#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33%"
직행좌석
좌석
일반
마을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수원 5100번 공공버스 신도색.jpg
파일:용남 5100 5758.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51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원 5100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사색의광장)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
종점행 첫차 05:3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평일.토요일 00:10 / 공휴일 23:20 막차 평일.토요일 01:00/ 휴일 00:20
평일배차 6~15분 주말배차 8~20분
운수사명 용남고속 인가대수 22대[1]
노선 사색의광장 - 경희대학교 - 살구골동아아파트 - 영통역 - 청명역 - 황골벽산아파트 - 영통입구 - 이영미술관 - 청현마을 - 수원신갈IC - 경부고속도로- 반포IC → KCC사옥 → 신논현역강남역 →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 뱅뱅사거리 → 양재역 → 교육개발원입구 → 양재시민의숲 → 양재IC → 이후 역순

2. 개요

용남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7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98년 경 영통지구가 개발되면서 경일여객이 개통하였다. 이후 경일여객이 철수하며 경남여객 자회사인 성산교통에서 운행하였다.
  • 2014년 9월 1일에 전세버스 운행 경로가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5년부터 가스 충전소가 없어서 생기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들을 디젤로 교체하기 시작했으며 정규차량은 전부 디젤로 교체하였다. 기존의 가스 차량은 전부 3000번, 3003번, 3007번에 투입되었다.
  • 2016년 4월 2일부터 전세버스 운행 경로가 5100번과 같은 경로로 바뀌었다. 하지만 출근 시 경희대 방향으로는 승객을 태우지 않았다. 이 때문에 출근 전세버스의 경우 신논현역에서는 정류장보다 조금 앞에서 승객들을 하차시킨 뒤 중앙차로로 진입하지 않고 강남역부터 정차했다. 2019년경(일자미상)부터 굿모닝MiRi 좌석예약제버스로 대체되어 5100 본노선 내의 전세버스 운행은 사실상 종료되고, 시스템상으로 "5100예약" 노선이 별도로 추가되었다.
  • 상술했듯 2019년경부터 수원시에서 직접 예산을 들여 운행하는 굿모닝MiRi 좌석예약제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시간은 7시 20분과 7시 55분 살구골동아아파트에서 출발해 영통역, 청명역, 황골마을에만 추가 정차하며, 복편 운행은 없이 강남역에서 종료한다. 이 버스는 사전예약으로만 탑승 가능하며 예약 없이는 탑승이 불가능하다.
  • 원래 3000번에 투입하려던 2층버스를 세평지하차도 통과 문제로 인해서[3] 이 노선에 투입하려는 계획이 잡혔다. 하지만 별도의 경기도 급행버스로 개통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17년 2월 6일에 보조 노선인 G5100번을 개통하였다.

4. 특징

  • 영통지구에서 강남역까지 어느 교통수단보다도 빠르게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4] 경유하는 역들도 이용객이 많고 접근성이 편한 장점이 있어 항상 수요가 많다. 직장인들 뿐만 아니라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좌석이 빈 채로 다니는 경우가 드물다.
  • 개통 초기에도 수요가 많은 노선이었지만, 이렇게 사람들을 많이 태울 정도로 인기가 더 폭발한 이유는 경부고속도로에서 버스중앙차로제를 시행한 것이 가장 크다. 자가용을 이용하는 것보다 더 빠르게 서울로 진입할 수 있는 장점이 낳은 결과이다.
  • 출퇴근 시간마다 혼잡하다며 증차를 요구하지만 서울시에서 교통혼잡을 이유로 부동의 하고 있다. 출퇴근시간대의 부족한 부분은 관광버스로 충당한다.
  • 2010년에 영통지구에서 곧바로 서울역으로 진입할 수 있는 M5107번이 개통되고, 2013년에 분당선이 연장되었음에도 5100번의 수요는 여전히 많은데, 3개 노선 모두 수요처가 다르기 때문이다.
  • 훗날 GTX가 개통하더라도 타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영통에서 GTX로 강남권까지 가려면 환승을 두번이나 해야되는데다가 두번 다 막장환승이기 때문이다. 또한 버스전용차로가 없는 한남대교와 남산터널을 지나는 M5107과 달리 무정차구간 거의 대부분에 버스전용차로가 있기 때문에 교통정체에도 영향을 적게 받는다.

4.1. 시간표

  • 배차간격이 들쭉날쭉한 경향이 심한데, 특정 시간대에 주유를 하러 가는 차량들이 있기 때문에 급격하게 배차가 늘어나는 것이다.[5] 그래서 종종 예비차가 대타로 운행을 하기도 하는데, 용남고속 타 노선 대비 예비차 투입 사례가 많기에 주의할 것.[6]
파일:수원-용남고속 5100.png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파일:휴먼시티수원 심볼.svg 영통지구 · 원천지구 경유 직행좌석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도심 방면 M5107 M5121[2]
강남 방면 M5422[2] 1550-1 5100 G5100
잠실역 방면 1007-1[1] 1112 M5342
사당역 방면 7000
[1] 영흥공원 출발/영통지구 미경유 / [2] 영통구청 출발/영통지구 미경유
}}}}}}}}} ||

파일:휴먼시티수원 심볼.svg 수원 - 강남역간 버스
북수원-서수원권 광교-동수원권 영통권
M5443 M5422 G5100
3003 3002 5100
3000 3007 5006
3008 1550-1


<col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대학교 캠퍼스 진입 버스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min-height: 2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대진대학교 UI.svg 대진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에리카캠퍼스
파일:화성의과학대학교 UI.svg 화성의과학대학교
기타 캠퍼스
}}}}}}}}} ||



[1] 평일 18대, 공휴일 16대 운행.[2] 5100번과 다르게 뱅뱅사거리에서 남부터미널로 빠진 다음, 교대역과 강남역을 거쳐 회차하였다.[3] 다만 이후에도 3000번에도 '수원역 - 강남역' 구간만 운행하며 2층버스가 투입되긴 했다. 2019년 1월부로 모두 철수.[4] 도로가 막히지 않으면 평시는 물론 출퇴근 시간도 30분 내외에 갈 수 있다. 명절이나 연휴를 제외하면 아무리 도로가 막혀도 탑승 후 50분 이내로 신논현역에 도착할 수 있다. 기점인 경희대학교 등 일부 지역에서는 영통시내로 돌아가는 5100번보다 기흥구 외곽을 돌아 수원IC로 진출하는 1550-1번이 조금 더 빠르지만 해당 구간에서 이 두 노선이 겹치지는 않으며 배차가 많은 것이 장점.[5] 해당 시간대에 배차가 늘어나긴 하지만, G5100번이 끼어들어가는 시간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배차는 비슷하다.[6] 별다른 번호판 없이, 차량 전면에 "5100"이라 쓰인 작은 BLU와 옆쪽과 뒤쪽에 판떼기 두 개만 끼우고 다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