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7:33:47

수원 버스 3000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bordercolor=#16419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파일:수원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광역콜
직행좌석
좌석
일반
버스
마을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파일:경진3000_UNVPR.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5. 연계 철도역
5.1. 노선
6. 둘러보기

1. 개요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76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300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수원 3000 노선도 .png
기점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호매실동(서부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강남역.나라빌딩)
종점행 첫차 04:30(평일/토요일) / 05:00(공휴일) 기점행 첫차 05:30(평일/토요일) / 06:00(공휴일)
막차 01:00(평일/토요일) / 23:00(공휴일) 막차 02:00(평일/토요일) / 00:00(공휴일)
평일배차 6~30분 주말배차 13~30분
운수사명 경진여객 인가대수 19대[1]
노선 수원서부공영차고지 - 고색역 - 삼성큰병원 - 수원역[2] - 세무서, 도청입구 - 이춘택병원 - 팔달문 - 장안문 - KT수원지사 - 수원종합운동장 - 한일타운 - 경기도인재개발원 - 의왕TG - 봉담과천로 - 선바위역 - 서초힐스아파트 → 우면산터널서초역교대역강남역.나라빌딩 → 뱅뱅사거리 → 양재역양재시민의숲역 → 양곡도매시장 → 서초힐스아파트 → 이후 역순

3. 역사

  • 이 노선의 시초는 7770번과 함께 수원역 근처에 있던 구 시외버스터미널과 강남을 오가던 시외직행버스 노선이 전신이다.[3] 이 노선은 강남역을 거쳐 동마장터미널까지 운행하였으나 폐쇄 이후 강남역으로 단축되었다. 당시 노선은 '시외버스터미널 - 팔달문 - 장안문 - 북수원IC - 영동고속도로 - 신갈JC - 경부고속도로 - 양재IC - 강남역'이었으며[4], 이 때는 버스들이 죄다 과속하던 시절이라 35분 만에 서울로 가기도 했다.
  • 1992년 11월 20일 과천봉담로 의왕-과천구간이 개통되면서 경부고속도로경유에서 과천봉담로경유로 변경되었다.
  • 1994년 1월 1일에 시내버스(직행좌석버스)로 전환되었다.
  • 2008년 1월 21일부터 강남대로(염곡사거리 - 강남역) 왕복 운행 구간이 우면산터널 루프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9월 1일부로, 전세버스 운행 경로가 변경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5년 8월 3일에 수원역에서 수원여대로 연장되었으며 온정마을, 신병원, 태산아파트에 정차한다. 세평지하차도 부근에서 기다리다가 시간에 맞춰 출발하는 방식과 관련해 민원이 있었고, 8월 말에 세류지구 입주가 시작되면서 연장한 것으로 보인다.
  • 2016년 10월 9일에 수원화성 능행차 행사로 장안문~팔달문 도로가 통제되자 의왕TG-월암IC-화서역-수원역으로 우회했다. 그러나 사전 공지가 되지 않아 우회로에서 연결편이 없는 파장동, 조원동 승객이 불만을 표했다.
  • 2019년 7월 15일부터 좌석예약 MiRi버스를 운행한다. 시간표 및 정차 정류소는 링크를 참조.
  • 2020년 4월쯤에 온정마을 정류장 이전에 오목호수공원.서희스타힐스 정류장이 신설되었다. 인근 오목천역 서희스타힐스 아파트 주민들이 심야 하차 후 귀갓길이 너무 멀고, 안전상에 우려가 많다는 민원을 수용하여 신설되었다고 한다.

4. 특징

  • 같은 수원역에서 출발하는 1007번, 7770번과 달리 고등/화서동 대신 팔달문을 경유하여 장안문으로 간다.[5]
  • 팔달문에는 이 노선을 위한 정류장이 따로 있다.
  • BIS 정보와는 다르게 수원방향 선바위역 정류장에서는 인천 광역버스가 정차하는 곳[6]에 정차한다. 다만 퇴근시간대에는 선바위역에서 승차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우니 주의.
  • 대다수의 수요는 '수원역 - KT수원지사 - 한일타운 - 강남' 구간이며, 출퇴근 시간을 중심으로 고색동에서 서울로 가는 수요나, 노선을 완주하는 수요도 꽤나 있는 편이다. 주말에는 나들이 수요도 꽤 많다.[7] 환승연계로도 요긴하게 쓰이는 노선.[8]
  • 출근시간대에는 대체로 한일타운 정류장 쯤 되면 만차가 되거나 몇 자리 없는 경우가 많다.[9] 그래도 요즘은 증차가 되었는지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까지 거슬러 올라가서 타야 하는 수준은 아닌듯 하다. 그래도 그냥 북수원쪽에서는 가능하면 속 편하게 MiRi 서비스를 사용해서 전세버스 예약해 타자. 한일타운 기준 07시, 07시 30분 경 지나가는 전세버스편 예약이 가능하다. 다만 07시 30분 예약하시는 분들은 월요일을 경계해야 한다. 월요일 특유의 교통체증때문에 강남역 도착시간이 09시 경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 퇴근시간대에는 강남역에서 만차가 되어 다음 차를 기다려야 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강남역에서 18시 10분 이전에 탑승하는 경우는 거의 줄을 설 필요가 없으나, 이 때를 넘기면 기하급수적으로 줄이 길어지며 최소 30분 이상 기다릴 각오를 해야한다.[10] 버스 한 두 대는 보내야 앉아서 올 수 있었고, 이 정류장 이후에서 탄다면 좌석은 포기해야 했었다. 선바위역에서 환승하려다가 계단까지 꽉 찬 몇 대를 보내고도 못 타는 케이스도 종종 있었다. 이제는 입석금지 때문에 강남역 이남에서는 탑승 자체가 사실상 어려워졌다. 차라리 강남에서 지하철 2호선을 타고 교대역이나 서초역으로 역주행해서 자리를 잡는 것이 나을 정도다. 강남역보다 탑승 보장은 확실하다.
  • 야구시즌에 kt wiz 홈경기가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열리는 경우, 경기가 끝나는 밤에 경기장 앞 정류장은 7770번과 더불어 본 노선도 혼잡하고 줄이 길다. 경기장 앞 정류장에서의 승차는 사실상 힘들며, 두 세 정거장 전으로 역주행해야 탑승이 보장된다. 다만, 7770번을 타고 사당으로가는 수요가 압도적으로 많기에 본 노선은 비교적 양반이다.
  • 현대 유니버스 차량으로 운행한다. 2017년부터 2층버스 3대가 운행을 하였으나,[11] 2019년 1월에 7780번으로 이동하여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추후에 2층 전기버스 2대가 곧 투입될 예정이라 다시 이 노선에서 2층 버스가 다니게 될 예정이다.
  • 경진여객이 이 노선을 인수함에 따라 최초로 강남역에 진출한 노선이 된다.
  • 수원과 서울을 잇는 노선 중 막차가 7770번 다음으로 늦다. 오전 1시에 수원을 출발하여 오전 2시 경에 강남역에서 회차한다.[12] 하지만 7770번도 10월 15일부터 평일 심야일부 배차가 폐지되어서 이 노선과 동일하게 막차는 오전 1시에 수원을 출발하여 오전 2시 경에 사당역에서 회차하는것으로 변경된다.

5. 연계 철도역

5.1. 노선

파일:수원시 CI_White.svg 수원시 직행좌석버스 3000번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강남역나라빌딩앞
22997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삼성화재서초타워(경유)
미정차
서초아르누보호텔(경유)
미정차
래미안아파트.파이낸셜뉴스
22905
교대역
22825 파일:Seoulmetro2_icon.svg파일:Seoulmetro3_icon.svg
역삼동.우성아파트(경유)
미정차
서초역1번출구
22136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초문화예술정보학교
22132
서초아트자이아파트
22812
양재역커피빈앞
22919 파일:Seoulmetro3_icon.svg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예술의전당앞(경유)
미정차
교육개발원입구교차로(경유)
미정차
매헌시민의숲.양재꽃시장
22296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양재IC(경유)
미정차
우면산터널TG(경유)
미정차
양곡도매시장
22299
이상 회차 구간
송동마을.서초힐스아파트
22285
송동마을.서초힐스아파트
22286
선바위역2번출구(광역)
21137 파일:Seoulmetro4_icon.svg
선바위역1번출구
21023 파일:Seoulmetro4_icon.svg
대공원고가교(경유)
미정차
대공원고가교(경유)
미정차
과천IC(경유)
미정차
과천IC(경유)
미정차
과천터널진입(경유)
미정차
과천터널진입(경유)
미정차
학의JC(경유)
미정차
학의JC(경유)
미정차
의왕터널진입(경유)
미정차
의왕터널진입(경유)
미정차
의왕톨게이트
27112
의왕톨게이트
27113
골사그내교차로(경유)
미정차
골사그내교차로(경유)
미정차
지지대고개(경유)
미정차
지지대고개(경유)
미정차
효행공원(경유)
미정차
효행공원(경유)
미정차
지지대교차로(경유)
미정차
경기도인재개발원.연구원.평생교육진흥원.여성가족재단
01071
경기도인재개발원.연구원.평생교육진흥원.여성가족재단
01074
국세청삼거리.아주편한병원
01126
북수원시장.광교산입구
01089
삼익아파트.광교산입구
01091
한국가스안전공사
01103
한국가스안전공사.택시공제조합
01102
수일여중.한빛현요양병원.경기도교육청미래과학교육원
01208
수일중학교
01109
수일여중.대우건설기술연구원.경기도교육청미래과학교육원
01225
경기일보.한일타운
01123
한일타운.경기일보.홈플러스
01125
장안지하차도.수원KT위즈파크
01238
수원KT위즈파크.행정동우회관.경기도남부자치경찰위원회
01128
수원KT위즈파크.경기도청소년활동진흥상담복지센터
01131
수원종합운동장.로얄팰리스.아너스빌위즈
01129
수원종합운동장.수원시체육회관.아너스빌위즈
01130
KT수원지사.국민연금북수원지사
01135
동성아울렛
01239
장안문.느림보타운
01139
수원전통문화관.장안동
03134
장안문.수원전통문화관
03144
팔달문.수원백병원
03051
팔달문.이안과
03054
가족여성회관.이춘택병원.해움미술관.수원농협
03140
가족여성회관.이춘택병원.수원농협
03049
향교.팔달보건소.중앙침례교회
03046
향교.팔달보건소.중앙침례교회
03047
세무서.신용회복위원회
03038
세무서.신용회복위원회
03039
수원역.AK플라자
03022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BLine_icon.svg
수원역.헌혈의집
03165 파일:Seoulmetro1_icon.svg파일:SBLine_icon.svg
세평지하차도(경유)
미정차
세평지하차도(경유)
미정차
벌말교차로(경유)
미정차
벌말교차로(경유)
미정차
연안아파트.삼성큰병원
02128
삼성큰병원.대원.거산아파트
02131
고색역.고색초교.태산아파트
02122 파일:SBLine_icon.svg
고색역.고색초교.태산아파트
02124 파일:SBLine_icon.svg
오목호수공원.서희스타힐즈
02344
온정마을
02974
온정마을
02973
서부공영차고지
02948
서부공영차고지
02949
호매실스타힐스.수원여대입구
02942
호매실스타힐스.수원여대입구
02943
}}}}}}}}} ||

6. 둘러보기

파일:수원시 CI.svg 수원 - 강남역간 버스
북수원-서수원권 광교-동수원권 영통권
M5443 M5422 G5100
3003 3002 5100
3000 3007 5006
3008 1550-1



[1] 실제로는 정규 17대 + 전세 5대 = 총 21대로 운행한다.[2] 수원역.AK플라자나 역전/매산시장이 아닌 10번 출구 앞 시외버스 정류장에 정차한다. 또한 6시 24분과 7시 12분에 여기서 출발하는 차량이 있다.[3] 당시 7770번(이 때는 무번호)은 남부터미널로 갔다.[4] 당시에는 봉담과천로가 개통전이였다.[5] 그래서 1007번과 7770번은 노보텔수원 맞은편에 있는 정류장에 서지만,3000번은 '수원역.헌혈의집'정류장에 정차한뒤, 세무서방향으로 간다.[6] 정류장 ID 66001[7] 우면산터널을 경유하기 때문에 정체가 없으면 표정속도가 빠른 것도 한 몫을 한다. 야구시즌에는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의 수요도 한 몫을 한다.[8] 7770번을 타면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을 갈 때 동작역 막장환승이나 교대역 막장환승을 경험해야하지만, 이 노선은 3호선 환승역이자 고속터미널역 바로 전역인 교대역에 정차하며, 또는 서초아트자이에서 5413번으로 환승해 갈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9] 한일타운에서 07시 정각 언저리에 지나가는 버스를 직접 확인해본 결과, 이 시간까지는 빈 자리가 대체로 10석정도 있다. 기본 배차간격이 15분 정도여서 그 다음부터는 조금 복불복이다.[10] 평일 배차간격이 6~15분인데 퇴근길 교통정체 때문에 한없이 배차간격이 벌어지거나, 아니면 두 대가 같이 오고 이런다.[11] 2층버스는 세평지하차도 통과 문제로 수원역까지만 운행했다.[12] 평일에만 해당. 주말 및 공휴일에는 막차가 23:00분에 출발한다.[13] 서초아트자이 하차 후 도보[14] 노선을 보면 알겠지만 상행선의 경우 우면산터널 지나 서초역, 교대역, 강남역 찍고 한참 내려가야 양재역이다. 교대역에서 하차해 3호선 타라.[15] 의외로 선바위역 하차 승객이 많다. 수원 팔달문을 지나는 얼마 안되는 노선인 관계로 노선 주변에 거주하는 승객들이 4호선에 환승하려면 3000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최선이기 때문이다. 어차피 북문 - 장안문 - 까지 올라오기 전까지는 출근시간대라도 좌석이 대체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