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4098,#49aaf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수원시 | }}} |
{{{#!wiki style="color:#004098,#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광역급행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33%" | ||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하갈동(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강변역)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막차 | 23:50 | ||
평일배차 | 10~20분 | 주말배차 | 15~30분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운행대수 | 17대 | ||
노선 | 경희대학교 - 영통역 - 청명역 - 영통입구 - 신갈IC정류소 - 수원신갈IC - 경부고속도로 - 판교JC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가천대 - 송파IC - 장지역 - 문정로데오거리입구 - 가락시장역 - 송파역 - 석촌역 - 잠실역 - 구의역 - 강변역 |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강변역을 잇는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약 88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1997년에 영통지구 입주에 맞춰 개통되었다.
- 2003년 8월 6일부터 경희대입구에서 경희대학교 캠퍼스 내부로 연장되었다.
- 2015년 12월 29일부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상에 가천대역 정류장이 신설되어 경유지로 추가되었다. #
- 2016년 11월 5일부터 성남TG 정류장이 폐지됨에 따라 무정차 통과한다.
- 운수종사자 휴게시간 보장에 따른 대책으로 2017년 중에 첫막차 시간이 조정되었다. 기존에는 강변역 출발/도착 차량은 구리시 수택동차고지에서 주박했는데, 이것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첫차: 05:10 (양방향) → 04:40 (경희대), 06:00 (강변역)
막차: 23:00 (양방향) → 22:30 (경희대), 23:50 (강변역)
- 2022년 12월 19일부터 1대가 증차되어 17대로 운행한다.
4. 특징
- 수원발 잠실행 노선중 유일하게 강변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영통에서 판교를 거치지 않고 가락시장과 잠실까지 한번에 이어주어 출퇴근 수요가 상당한 편이고, 대학생의 통학 노선으로도 애용된다. 경희대학교와 가천대학교는 직접 연계, 건국대학교와 세종대학교는 간접연계가[2] 되는데 경희대는 수원 기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출근시간대엔 서울 → 수원의 역방향 수요가 나온다.
- 분당선 개통 이전엔 수원발 잠실행 노선 중 제일 높은 승차량을 보이는 노선이었으나, 분당선이 연장개통된 이후 승객이 제법 줄었다. 1112번이 앉아서 편하게 갈 수 있고, 소요시간도 비슷하지만[3] 고속도로(특히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없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정체될 때에는 지하철이 더 빠르고 수송량이 적으며, 출퇴근시간에는 착석 보장도 안 되기 때문에 분당선 연장의 영향은 이 노선도 피할 수 없었다. 분당선 연장개통 전에는 일 6천여명 정도 탔는데 연장 이후 서서히 줄어들기 시작하면서 현재는 4200명대 정도를 유지하고 있다. 수요가 줄어들면서 운행 댓수도 19대로 운행하던게 현재 12대까지 감차되었고, 배차도 상당히 길어졌다. 다만 감차 된 배경에는 수요 저조도 있지만 코로나19와 기사부족, 주 52시간제 시행도 큰 영향을 주었다.
- KD의 수원권 노선이 다 그렇듯이 1112번 역시 저속주행으로 말이 있는데, 시속 110km 제한인 경부고속도로에서 시속 90km 또는 그 이하로 정속주행 하는 것을 문제 삼는다. 시외, 고속버스들은 105~110km 주행을 하기 때문에 고속도로에서 쳐지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어 불만을 품는 사람들도 많지만 안전을 위해 90km 주행이 오히려 낫다고 볼 수도 있다.(차량마다 개인차가 있지만 gps상으로 시속 85km 정도이다.)
- 수원에서 송파, 잠실까지 잇는 타 노선들은 모두 판교신도시를 경유하기 때문에 송파IC로 바로 송파구에 진입하는 노선은 1112번이 유일했으나, 2019년 4월 29일부로 광역급행버스 M5342 개통으로 유일 타이틀은 깨졌다.
- 수원발 잠실행 노선 중 유일하게 동서울터미널까지 가는 노선이다. 단 터미널 안에 들어가지 않고 강변역 앞에서 하차한다.
- 평일 16대, 토요일 11대, 일요일, 공휴일 10대가 운행되고 있다. 그래서 공휴일에는 평일에 비해 배차간격이 크다.
4.1. 일평균 승차량
- 원 출처는 경기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
- 경기도 자료는 연간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아 매년 3월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 현금승차량은 집계되지 않았으며, 데이터 누락이나 오류로 인해 실제 승차량보다는 낮게 집계되니 단순 참고용으로만 확인하기 바람.
평일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6,060 | |
2015년 | 5,116 | ▽ 944 |
2016년 | 5,097 | ▽ 19 |
2017년 | 5,178 | △ 81 |
2018년 | 4,751 | ▽ 427 |
주말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2014년 | 4,341 | |
2015년 | 4,386 | △ 45 |
2016년 | 4,010 | ▽ 376 |
2017년 | 3,978 | ▽ 212 |
2018년 | 3,309 | ▽ 669 |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구의역, 강변역
수도권 전철 3호선: 가락시장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장지역, 문정역, 가락시장역, 송파역, 석촌역, 잠실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가천대역, 영통역, 청명역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서울 도심 방면 | M5107 | M5121[2] | ||
강남 방면 | M5422[2] | 1550-1 | 5100 | G5100 | |
잠실역 방면 | 1007-1[1] | 1112 | M5342 | ||
사당역 방면 | 7000 | ||||
[1] 영흥공원 출발/영통지구 미경유 / [2] 영통구청 출발/영통지구 미경유 |
<colcolor=#004097> | ||
{{{#!wiki style="margin: 0 -10px; min-height: 2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
| ||
| ||
| ||
| ||
| ||
| ||
| ||
기타 캠퍼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