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5%" {{{#!folding [ 광주시내 운행 ]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colcolor=#fff> 직행좌석 | |
좌석 | ||
일반 | ||
마을 |
- [ 광주시 미경유 ]
- ||<tablebgcolor=#fff,#1f2023><tablewidth=100%><bgcolor=#000><color=#0ff><width=90> 광역급행 ||<width=3000> ||
<colcolor=#fff> 직행좌석 3200[통]좌석 일반 [통]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노선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광주시 경안동(경기광주터미널) |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테크노마트.강변역) | ||
강변역행 | 첫차 | 05:00 | 광주행 | 첫차 | 05:50 |
막차 | 23:10 | 막차 | 00:00 | ||
평일배차 | 20~25분 | 출퇴근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대원고속 | 인가대수 | 10대 | ||
노선 | 광주터미널 - 파발교 - 보건소.공설운동장 - 파라다이스아파트 - 밀목.광주시청 - 밀목빌라단지 - 솔치마을 - 번천초교 - 경기광주IC - 중부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상일IC - 상일초등학교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중) - 강동역(중) - 천호역(중) → 광진청소년수련관 → 천호대교 → 강변북로 - 테크노마트.강변역 → 광장동현대아파트 → 천호역(중) 이후 역순 |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하는 직행좌석버스로 경기광주터미널과 강변역을 잇는 노선이다. 왕복 운행거리는 63.6km.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4년 7월 16일에 입석금지 대책 일환으로 개통되었다.
4. 특징
- 광역버스 입석금지가 시행 당시, 광주시내 승객을 위해 1113-1번의 단축형 노선으로서 분리 신설되었다.
- 1113-1번과의 차이점은 광주터미널 내부에서 출발, 보건소.공설운동장과 밀목.광주시청을 경유하는 것이며, 나머지 구간은 일치한다. 정확히는 이 노선이 개통된 후 1113번, 1113-1번과 동일하게 다니던 보건소, 공설운동장 굴곡은 이 노선이 전담하고 1113번과 1113-1번은 파발교 구간을 직선화한 것이다.
- 서울 구간에서는 강변역을 향하는 급행 노선으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일반시내버스 노선들(112번, 112-1번, 3214번)은 올림픽대교를 경유하지만 1113-2번은 천호대교북단에서 광진청소년수련관을 거쳐 강변역까지 강변북로로 쭉 달리기 때문이다. 다만 천호역에서 탑승하는 경우에는 천호역 2번출구로 가서 똑같이 강변북로로 달리는 일반시내버스인 13번이나 13-2번을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 13번과 기종점은 같지만 광주터미널에서 강변역을 가려면 당연히 13번보다는 이 노선이 선호된다. 1113-2번은 고속도로 직통인데 비해, 13번은 중간에 하남시, 남한산성면 등 여러 지역을 경유하기 때문이다.
- 대부분 차량이 5단이라 고속도로에서는 대부분 80km/h 대로 달린다. 리밋은 100km/h에 경고음이 울린다.
2022.5.25 기준으로 대우버스 FX 116 하모니 차량 9대, FXII 116 크루징에로우 1대, 예비차량 1대(5단)로 운용되고 있다.
하모니 차량의 경우 ZF미션 6단이다.
5.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역, 천호역, 광나루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천호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