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2권역 | <colbgcolor=#000> 남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남양주시 노선이 1개 추가될때마다 해당 부분의 width를 변경해줘야 하고, 0%가 되면 지워도 됩니다. |
4권역 | 성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성남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용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용인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화성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화성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5권역 | 수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 |
안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오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오산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평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평택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6권역 | 김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김포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인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인천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7권역 | 고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고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파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파주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비수도권 | 세종 | ##세종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광주 | ##광주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wiki style="margin: -5px -10px"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동안경찰서·범계역) | 종점 |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잠실역) | ||
종점행 | 첫차 | 05:0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2:30 | 막차 | 23:30 | ||
배차간격 | 15~30분 | ||||
운수사명 | 삼영운수 | 인가대수 | 8대 |
경유 정류장 | ||
안양(범계) | ↔ | 서울(잠실) |
동안경찰서.범계역(상) 롯데백화점.범계역(하) | 삼성서울병원정문건너편(상) 삼성서울병원정문(하) | |
진흥아파트.비산대교(상) 비산농협(하) | 수서역.로즈데일빌딩(상) 수서역.KT수서지점(하) | |
남부시장(상) 벽산상가.2001아울렛(하) | 가락시장.가락시장역 | |
안양1번가.안양역(상) 중앙시장(하) | 송파역 | |
대동문고(상) 시외버스터미널.교보생명(하) | 석촌호수.한솔병원 | |
안양대교 | ||
석수현대아파트(상) 석수시장.석수현대아파트(하) | 잠실역1번.11번출구(상) 잠실역9번출구(하) | |
석수역 |
2. 개요
삼영운수가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7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7년 3월 6일에 개통되었다. 삼영운수 공지사항
- 공사로 인하여 2017년 6월 5일부터 잠실역 1·11번 출구에 정차하지 않고,[1]잠실 방향만 일원본동주민센터(일원역 4번 출구)에 정차하게 되었다. 관련 게시물 삼영운수 공지사항
- 2017년 8월 7일부터 비공식적으로 정차하던 안양대교 정류장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 2018년 2월 7일에 2대 증차되어 총 10대로 운행한다.
- 2018년 9월 6일부터 다시 잠실역1.11번출구 정류장에 정차한다. 관련 게시물
- 2020년 3월 21일부터 다시 안양대교 정류장에 정차한다. 삼영운수 공지사항
- 광역급행버스 준공영제[2] 시범사업에 선정되어 2020년 11월 26일부터 준공영제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동시에 2대가 감차되어 최초 인가대수인 8대로 돌아왔다.
- 2021년 12월 23일부터 석수현대아파트 정류장에 정차한다.
4. 특징
- 이 노선을 요약하자면 석수역과 삼성서울병원을 이어주는 셔틀버스(...)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수요가 석수역 ~ 삼성서울병원에서 나온다.[4] 승객들도 대부분 삼성의료원 방문객들이다. 잠실 - 안양시내 구간은 1650번이 더 빠르고 배차간격도 짧기 때문에 굳이 M5333을 탈 이유가 없으므로 출퇴근 시간대가 아니면 잠실-수서 구간은 거의 빈 채로 다닌다.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아닌 석수역을 경유해 강남순환로를 이용하여 잠실역까지 가는 노선이다. 여기에 SRT 연계 혹은 3호선 및 분당선과의 환승을 위해 양재대로 직통이 아닌 삼성서울병원을 지나 수서역을 우회하는 선형을 가지고 있다. 사실 안양시는 광명역이 매우 가까이 있기 때문에 굳이 멀리있는 수서역으로 가서 SRT를 이용할 이유는 없다. 3호선 및 분당선 연계를 목적으로 수서역과 가락시장역을 우회하는 형태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수서역~잠실역 구간이 정체가 심하기까지도 해서 수서 이후로는 텅텅 비어간다.
- 원래 잠실역 회차는 잠실광역환승센터를 통해서 이뤄질 것으로 예정되었다. 그러나 삼영운수 홈페이지에서 밝힌 바로는 잠실역1번.11번출구 정류장(24134)과 잠실역 9번출구 정류장(24135)으로 확인되었고, 또한 공식 노선도가 나오면서 잠실광역환승센터에 진입하지 않는 것이 확정되었다.[5]
- 다른 M버스 노선들과 달리 37석 차량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게다가 시트는 자가용/고속/관광버스 전용인 헤드레스트 분리형(일명 돌베개) 시트. 좌석별로 간격이 다르지만 맨 앞자리에 앉을 경우 옛 새마을호 수준으로 다리를 쭉 뻗을 수 있다.
- 수요가 많이 늘어난 덕분에 출퇴근시간에 만석이 되는 경우가 많이 생기자 2018년 1월 말 즈음 차량을 전부 37석에서 45석으로 개조했다. 증차분도 45석으로 출고. 편리함은 감소했지만, 승객이 많아져서 그런 거니 뭐...
- 신차가 출고되었을 때에는 석수공영차고지에 있었으나, 종점인 롯데백화점, 범계역 정류소를 지난 후 안양시청 부근에서 3번이 주박하는 평촌차고지 방면으로 가는 것이 목격되었고, 3월 7일 3번과 5번 마을버스의 차고지인 평촌영업소에 이 노선의 차량이 주박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가스 충전 및 운행 종료 후 차량 입고는 석수공영차고지에서 한다.
- 개통되기 전까지만 해도 과연 이 노선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는 어려울거라는 예상이 많았으나[6], 의외로 빠른 속도로 정착하며 수요가 늘고 있다. 하지만 배차 간격이 너무 들쑥날쑥하다는 점이 단점. 배차간격이 깨지는 가장 큰 원인은 양재대로의 상습 정체. 현재는 매헌지하차도가 개통되어 이전보다는 나아졌으나 여전히 출퇴근 시간대에는 엄청난 정체로 배차간격이 벌어지므로 지도 앱이나 버스 정류장의 전광판을 잘 보고 너무 애매하다 싶으면 1650번 등의 대체 루트를 이용하자.
- 일요일 기준 수서역까지 약 45~50분 걸린다. 첫차가 범계역에서 오전 5시에 출발하므로, 이른 아침에 SRT를 이용해야 한다면 범계역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면 수서역까지 빠르게 갈 수 있다.[8]
- 규정상 불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중간의 염곡사거리에도 세워달라는 민원이 많이 올라온다. 염곡사거리는 주변에 LG전자 서초R&D캠퍼스,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 본사, KOTRA 등의 회사가 있고 코스트코 양재점, 하나로클럽 양재점, 이마트 양재점이 있어서 확실한 수요창출은 가능해지지만 M버스 규정상 정차 정류장을 늘릴 수 없고 늘릴 수 있더라도,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 힘들어진다. 이미 정차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수요가 뒷받침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염곡사거리 정차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다. 또한 이미 양재~과천~안양 라인에 기존 입석버스 노선들이 있기 때문에(441번, 11-3번, 917번), 광역급행버스이긴 해도 강남순환로 - 안양 만안구 라인으로 돌아가는 선형을 지닌 급행버스 M5333번까지 굳이 정차할 가능성은 낮다.[9]
- 최저임금 상승과 관련하여 경영난을 이유로 더 많은 사람들이 M5333 버스를 이용하도록 홍보해달라고 호소하고 있다. 다만 입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출근길에 버스를 못타는 사람이 현재도 충분히 많은 상황에서 홍보를 해봐야 수익이 더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며 준공영제 편입이후에는 그나마 나아진 상태이다. 수서역~잠실역 구간은 앞서 얘기했듯 출퇴근시간에도 은근히 공기수송이다. 1650번보다 배차간격과 소요시간에서 경쟁력이 밀려서, 잠실역 및 송파구 일대가 목적지인 사람들은 계속 1650번을 타는 경향이 크다.
- 평일 오후 4-5시 내외에는 삼성의료원 앞에 안양 방향 M5333 줄이 엄청나게 길기 때문에 혹시 본인이 삼성의료원에서 버스를 타려고 하는데 줄이 너무 길 경우 M5333의 현재 위치를 잘 보고 가능하다면 차라리 3426번이나 삼성의료원 셔틀버스를 타고 전 정류장인 수서역(1번 출구)로 가서 타는게 낫다. 고속도로 경유라 입석이 안되기 때문에 잘못하면 만석으로 못타는 수가 있다. 실제로도 만석이 되서 추가로 수십분을 더 기다리는 사람이 수두룩하다.
- 퇴근 시간대에는 개포동 일대와 강남순환로의 정체가 정말 끔찍하게 심한 수준이니[10] 대체 루트를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 고속화도로를 경유하기 때문에 입석금지 노선이다.(잠실 방향)석수역과 (안양 방향)삼성서울병원, 가락시장역은 M5333 전용 줄 서는 곳이 따로 있으니 반드시 줄을 서자. 여담으로 안양 방향 삼성의료원 정류장에서 은근슬쩍 새치기하는 어르신들이 상당히 많으니 항상 매의 눈으로 잘 지켜보자. 새치기를 눈감아주면 본인이 못 타는 수가 있다!
4.1. 시간표
- 2022년 1월 11일 기준 평일 시간표. 삼영운수 공식 홈페이지
5.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석수역, 안양역[11]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수도권 전철 3호선: 수서역, 가락시장역
수도권 전철 4호선: 범계역
서울 지하철 8호선: 잠실역, 석촌역, 송파역, 가락시장역
서울 지하철 9호선: 석촌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서역
- 일반 철도역: 안양역(무궁화호), 수서역(SRT)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5eae,#2284fd><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05eae,#2284fd;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 광역급행 | ||
일반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
마을 | |||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
{{{#!wiki style="margin: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광역급행 | |||
직행 좌석 |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 |||
광주 | ||||
김포 | ||||
남양주 | ||||
성남 | ||||
시흥 | ||||
양주 | ||||
용인 | ||||
의정부 | ||||
이천 | ||||
파주 | ||||
포천 | ||||
하남 | ||||
화성 | ||||
기타 |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1] 9번 출구에서만 승하차가 가능하다.[2] 경기도 공공버스와는 관련없으며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일명 대광위)에서 추진하는 준공영제이다.[3] 11-3번과 917번은 잠실역까지 안가고 종합운동장역에서 회차한다.[4] 특히 출근 시간대의 석수역과 퇴근 시간대의 삼성의료원 앞은 줄이 정말 길며, 만석으로 못타게 되는 경우가 아주 흔하다.[5] 해당노선 버스기사에 따르면 환승센터 용량부족으로 인해 진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6] 안양시 뿐 아니라 석수역에서는 환승 연계로 수원(900번), 인천 남부(3001번, 3002번), 시흥시(5602번, 5604번), 안산 북부(5609번) 등지에서 서울로 빠르게 닿을 수 있기 때문이다.[7] 사실은 탑승하자마자 매는게 정상이다.[8] 새벽시간대에는 차가 몇 대 없으므로 수서역까지 30분 안팎 소요된다.[9] 하지만 일부 버스 동호인들, 석수동 주민들은 양재 진입을 할 수 없다는 점에 대해 아쉽다는 반응이 나오곤 한다. 수요가 충분히 자리잡은 수서까지 진입하는 데에도 은근히 시간을 잡아먹어 송파구 일대에 편하게 도달하기에 딱히 좋다고 말하기 힘드니 처음부터 잠실은 포기하고 수요가 더 확실한데다 거리상 더 가까운 양재 일대나 수서, 강남역까지만 운행하는 등으로 노선을 정했다면 더 효율적이었을거라는 것.[10] 특히 지하차도가 엄청나게 막힌다. 그래서 일부 기사들은 조금이라도 빨리 가기 위해 지하차도를 경유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11] 안양1번가. 안양중앙시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