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2권역 | <colbgcolor=#000> 남양주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남양주시 노선이 1개 추가될때마다 해당 부분의 width를 변경해줘야 하고, 0%가 되면 지워도 됩니다. | |
4권역 | 성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성남시 노선이..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용인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용인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화성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화성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5권역 | 수원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수원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안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오산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오산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평택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평택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6권역 | 김포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김포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인천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인천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7권역 | 고양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고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파주 | ##파주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1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100%" |
|
1. 노선 정보
| |||||
| |||||
기점 | 인천광역시 서구 석남동(경남아너스빌) | 종점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창천동(연세대앞) | ||
종점행 | 첫차 | 06:10 | 기점행 | 첫차 | 07:05 |
막차 | 21:00 | 막차 | 22:00 | ||
평일배차 | 25~30분 | 주말배차 | 토요일 40분 / 공휴일 운휴 | ||
운수사명 | 수정관광 | 인가대수 | 5대 |
경유 정류장 | ||
인천(석남동) | ↔ | 서울(연세대) |
경남아너스빌 | 선유고등학교 | |
거북시장 | 합정역 | |
성민병원 | 홍대입구역 | |
신현치안센터 | 신촌오거리·현대백화점 | |
신현쇼핑(상) 하늘채아파트(하) | 신촌오거리·신촌역 | |
가정역 | 연세대앞 |
2. 개요
수정관광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0.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3. 역사
- 2014년 7월 21일에 시범 운행을 시작하다가 이후 별도 공지 없이 정식 운행을 시작하였다. 당시에는 합정역까지만 운행하였다.
- 동교동삼거리 회차를 서울시에서 거부하자 2014년 11월 19일에 연세대학교로 연장되었다.
- 2016년 3월 27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동시에 상시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17년 9월 25일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1년 8월 9일에 일요일 운행이 중단되었다.
4. 특징
- 기존에 개통한 광역급행버스가 일종의 수도권의 대형 주거지와 서울의 주요 철도 역을 연계하는 성격이면 M6628번은 광역버스 입석금지에 따라 정부가 인천 지역 교통 대책으로 기존 광역버스의 증차 대신 그에 준하는 효과를 위해 신설한 노선이다. 기존 구간을 운행하는 1000번과는 종점 및 무정차 정류장을 제외하면 동일하다.
- 한때 서울 TOPIS에서 M6628번이 아닌 6628번으로만 나와서 '6628 인천'번을 선택해야 검색이 가능했었다. 6628번과 겹치는 구간이 없어 혼동할 우려는 없다.
- 서인천에서 1000번과 번갈아 운행한다. 단, 서인천 출발시각 기준 09:50~15:50 사이에는 운행하지 않는다.
- 광역급행버스 중 유일하게 전세버스 출신 차량이 운행중이다. 따라서 M버스 중 유일한 스윙도어 장착 차량 투입 노선이었으나 파주로 가는 광역급행버스 노선에 스윙도어가 장착된 전기버스가 투입되면서 유일하지 않게 되었다.
- 초기 기점이 마포구임에도 불구하고 도착지 권역 번호가 6이다.[1]
- 광역급행버스 인천면허 중 통합단말기 설치된 마지막 노선이다.
5. 시간표
1000, M6628 공동배차 시간표6. 연계 철도역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가정역
서울 지하철 6호선: 합정역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72f08><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틀:인천광역시 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72f08; font-size: 14px;"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f72f08> 서울역 | [[광역급행버스 M6724| M6724 ]] | |
인천공항 | |||
강남역 | [[광역급행버스 M6405| M6405 ]][[광역급행버스 M6439| M6439 ]] (역삼역)[[광역급행버스 M6450| M6450 ]] (삼성역) | ||
기타 | [[광역급행버스 M6628| M6628 ]] (신촌역)[[광역급행버스 M6751|~~ M6751 ~~]] (공덕역)7700 (가양역) | ||
인천공항행 노선 : 수도권 통합요금 미적용 및 한정면허 노선 강남역행 노선 : 종점 뿐만 아닌 중간 정류장으로 경유하는 경우 포함 7700 : 광역버스 노선에 포함되지 않고, 별도의 운임 체계를 사용하는 간선급행버스 노선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M2341 | 8001 | 8002 | |
M4403 | 8501 | 8502 | 4403 | |
M7412 | 9700 | 9711 | ||
M7106 M7119 M7129 | 1000(고양) | 1100 | 1200 | |
1900 | 9714 | |||
M2323 | 1000-1 | M2353 | 1003 | |
M4102 | G8110 | M4108 | 4108 | |
M4434 | 6001 | M4448 | 6002 | |
M4455 | 5003 | M6427 | 6427 | |
M6628 | 1000(인천) | M7111 | G7111 |
[1] 6권역인 영등포구 선유고교가 서울시내 첫 정류장이지만, 대부분은 종점지 권역을 기준으로 하므로 M6628이 이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