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2 15:29:26

광역급행버스 M4403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파일:정부상징.svg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
2권역
<colbgcolor=#000>
남양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남양주시 노선이 1개 추가될때마다 해당 부분의 width를 변경해줘야 하고, 0%가 되면 지워도 됩니다.
4권역
성남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성남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용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용인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화성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화성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5권역
수원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안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오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오산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평택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평택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6권역
김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김포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인천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인천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7권역
고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고양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파주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파주시..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비수도권
세종
##세종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광주
##광주시 노선..이하동문 (상단 남양주시 부분 참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 ||
파일:M4403 삼각유니.jpg
파일:대원고속M4403번(2922).pn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

파일:정부상징.svg 국토교통부 광역급행버스 M44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경기광주 M4403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화성시 반송동(나루마을.월드반도)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신분당선강남역)
종점행 첫차 05:20 기점행 첫차 06:10
막차 23:15 막차 00:00
평일배차 5~30분 주말배차 5~50분
운수사명 대원고속 인가대수 21대[1]
경유 정류장
화성(동탄1신도시) 서울(강남)
나루마을.월드반도(상)
나루마을.한화꿈에그린2차(하)
KCC사옥[A]
솔빛마을.서해.쌍용아파트(상)
새강마을.휴먼시아(하)
신논현역.영신빌딩[A]
다은마을 신분당선강남역(중)[A]
메타폴리스 뱅뱅사거리(중)[A]
한빛마을(상)
한빛마을.석우중학교(하)
양재역.서초문화회관(중)[A]
예당마을.롯데캐슬 시민의숲.양재꽃시장[A]

2. 개요

대원고속에서 운행중인 광역급행버스. 화성시 동탄신도시에서 강남역을 잇는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80.3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2009년 8월 10일에 국토해양부 광역급행버스 1기 노선으로 신설되었다. 이 노선의 신설로 이전까지 같은 노선으로 운행하던 8301번을 대체하게 되며 기존 8301번은 폐선되었다. 그런데 M버스의 입석 불가 규정 탓에 직행좌석 면허였던 8301번 시절과 달리 입석이 불가능해졌고 민원이 넘치자 대체 노선으로 1551번도 함께 신설되었다.
  •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몇 개 정류장에만 정차하는 간선급행버스가 생긴다는 소식에 간선급행버스를 요구해 8301번을 신설했다. 하지만 이걸로는 만족할 수 없었는지 광역급행버스도 요구하게 된다. 결국 국토해양부에서는 동탄 주민들의 손을 들어줘 노선 신설을 승인했다.
  • 하지만 대원고속 측에서는 자선사업이라 불러도 될 정도로 적자가 많은 동탄발 강남행 노선을 더 이상 늘릴 수는 없었기에 이 노선이 생기자마자 8301번을 폐선했다. 그로 인해 입석승차가 안되자 동탄 주민들은 그게 불편하다고 또다시 민원폭탄을...[8] 이 때문에 대원고속은 1550-2번의 '수원대 - 동탄' 구간을 단축해 배차간격을 줄였다.
  • 2011년 2월 11일에 동탄신도시 내 정류장이 M4108번처럼 '월드반도아파트 - 서해, 쌍용아파트 - 메타폴리스 - 예당마을'로 바뀔 예정이었으나, 다은마을 등 기존 승객들의 민원폭탄으로 백지화되었다. 이후 '오산 - 남부터미널' 시외직행버스 노선을 8311번으로 바꿀 때 서해, 쌍용아파트와 예당마을을 경유하도록 해 어느 정도 불만을 잠재웠다.
  • 2013년 11월 15일에 메타폴리스에서 출발하는 시간대(7시 5분, 7시 15분)가 생겼다.
  • 그리고 2015년 8월 22일에 이 노선의 직행좌석형 노선이었던 1550-3번이 운행중단에 들어갔으나, 8301번과 달리 별다른 반발은 없었다.
  • 2017년 7월부터 예약버스를 최초로 운행하고 있다. 예약버스로 운행하는 차량은 특별한 일이 없는 한 평일에는 같은 시간대에 운행한다.
  • 화성여객에서 M4403번과 노선이 동일한 직행좌석버스 4403번으로 분리개통 했고, 2017년 9월 28일부터 2층버스 1대가 운행을 시작했다. 이후 전세버스도 증차되었으며, 이 차량들 또한 4403번으로 노선을 설정하고 운행한다.
  • 2022년 10월 메타폴리스 중간출발 시간이 없어졌다.

4. 특징

  • 당시 강남으로 가는 1550-2번은 출퇴근시간대에 항상 미어터졌고, 차량이 오래 되어 승차감도 좋지 못했던지라 신설 당시부터 주민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입석이 금지되는 M버스 특성 상 더 쾌적하게 갈 수 있고, 차량도 이 노선을 위해 새로 구매한 차량들이었기 때문. 게다가 수원대에서 출발하는 1550-2번과 달리 동탄에서 출발하는 것도 메리트였다. 덕분에 1550-2번은 얼마 못 가 폐선되었으며 현재는 본 노선이 '동탄 - 강남'을 대표하는 노선으로 정착하였다.
  • 출근시간대에는 기점인 월드반도아파트까지 가지 않으면 아예 탈 수 없으며, 출퇴근시간대가 아니더라도 만석으로 갈 때도 많을 만큼 수요가 많다.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 피셜로 흑자라고 한다.
  • 역시 흑자에 가축수송답게 '동탄-강남' 노선 중 제일 대표노선이며 압권이다. 보조해주고 있는 8501번은 동탄이 아닌 수원대 출발이고 남부터미널, 교대를 돌아 강남에 가다보니 약간은 이 노선의 전체 수요를 뒷처리해주는 메리트가 강하고, 또 1551번도 수원대 출발이며, 서울(강남)구간을 제외하면 동탄시내에서는 이 노선과 겹치는 구간이 아예 없고, 긴 배차간격에 삥삥 도는 선형이라 부분부분의 수요만 처리해주기 때문에, 직선화된 이 노선에 굴곡화된 위 두 노선이 압도적으로 밀린다. 1550-2번, 8301번의 폐선 이유도 이에 있다.
  • 이 노선의 바탕이 되었던 8301번 노선인가는 1551번을 신설할 때 쓰였다.
  • 수서평택고속선 개통 후에도 전혀 타격없이 오히려 승객이 늘었다. #[9] 다만 동탄 1신도시에서 동탄역으로 이동하는게 상당히 불편하고 SRT는 강남 중심까지 이어주지 않고 수서역에서 끊어지기 때문에 이 결과는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다. 훗날 GTX와 인덕원동탄선이 개통한다면 강남대로 정체가 심한 출퇴근 시간대에는 어느 정도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서울 구간 중 우성아파트와 교육개발원입구에는 정차하지 않으니 주의.

4.1. 시간표

시간표(2022년 10월 4일 기준, 4403 포함)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auto"<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5200><tablewidth=310>
파일:화성시 CI_White.svg
}}}
{{{#!wiki style="color:#ff5200,#49aaff;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5px"
<colcolor=#fff> 프리미엄
광역급행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5%"
직행좌석
좌석
일반
5-2조암
5-2동탄
11조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ackground: currentcolor; width: 20%"
'''
{{{#ddd,#44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currentcolor"
'''
경기도 시내버스 목록
화성시 마을버스 목록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3864> 파일:정부상징.svg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준공영제 대상 노선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역급행
직행
좌석
<colbgcolor=#f00><colcolor=#fff>광명
광주
김포
남양주
성남
시흥
양주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포천
하남
화성
기타
G1690구리
G2001연천
3002수원
3030군포
G3900의왕
6600평택
G9311양평
}}}}}}}}} ||

파일:화성시 CI.svg 동탄신도시 - 강남간 버스
광역급행
직행좌석

한국의 2층버스 운행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d409b><colcolor=#fff>파일:김포시 CI_White.svg<colbgcolor=#0d409b><colcolor=#fff>김포시······
파일:남양주시 CI_White.svg남양주시······
파일:성남시 CI_White.svg성남시··
파일:수원시 CI_White.svg수원시····
파일:시흥시 CI_White.svg시흥시··
파일:안산시 CI_White.svg안산시·
파일:오산시 CI_White.svg오산시·
파일:용인시 CI_White.svg용인시·······
파일:의정부시 CI_White.svg의정부시·
파일:파주시 CI_White.svg파주시········
파일:포천시 CI_White.svg포천시·
파일:하남시 CI_White.svg하남시·
파일:화성시 CI_White.svg화성시············
경기도내 기타····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인천광역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대전광역시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전라북도
}}}}}}}}} ||


[1] 평일 18대, 토요일 11대, 공휴일 9대로 운행하며, 하위호환 4403번의 운행 댓수까지 합쳐 계산한다면 사실상 평일 26대, 토요일 17대, 공휴일 15대로 운행한다[A] 편도운행[A] [A] [A] [A] [A] [8] 이전에도 동탄주민들은 노선 발표가 나자마자 서로 자기네 아파트 앞 정류장에 정차해달라는 민원을 수차례 KD 운송그룹과 화성시, 국토부, 경기도청 홈페이지에 올렸다.[9] 메타폴리스~동탄역 약 10분 + SRT 동탄역~수서역 약 14분 + 분당선 수서역~선릉역 11분 + 2호선 선릉~강남 3분을 합하면 순수 이동시간 만으로도 38분이 나오는데, 여기에 환승시간까지 포함하면 실제 소요시간은 10분 이상 늘어난다. 이에 비해 M4403은 메타폴리스에서 강남역까지 45분 이내로 도착한다. 물론 목적지가 수서역에 가까운 곳이라면 소요시간 면에서는 이득일 수도 있으나, SRT의 비싼 요금을 감안하면 경쟁력이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 통근열차 값이 5000원임을 감안하면, 실제 교통비는 7000원이 넘게 나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