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0px" | <tablebordercolor=#004097>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특례시 | ||||||||||
[[고양시| 북 고양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 [[용인시| 본 용인시]]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시 | |||||||
[[과천시| 본 과천시]] | [[광명시| 본 광명시]] | [[광주시| 본 광주시]] | [[구리시| 북 구리시]] | [[군포시| 본 군포시]] | |||||||
[[김포시| 본 김포시]] | [[남양주시| 북 남양주시]] | [[동두천시| 북 동두천시]] | [[부천시| 본 부천시]] | [[성남시| 본 성남시]] | |||||||
[[시흥시| 본 시흥시]] | [[안산시| 본 안산시]] | [[안성시| 본 안성시]] | [[안양시| 본 안양시]] | [[양주시| 북 양주시]] | |||||||
[[여주시| 본 여주시]] | [[오산시| 본 오산시]] | [[의왕시| 본 의왕시]] |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 [[이천시| 본 이천시]] | |||||||
[[파주시| 북 파주시]] | [[평택시| 본 평택시]] | [[포천시| 북 포천시]] | [[하남시| 본 하남시]] | [[화성시| 본 화성시]]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자치군 | |||||
[[가평군| 북 가평군]] | [[양평군| 본 양평군]] | [[연천군| 북 연천군]] | |||||||||
미수복지역* | |||||||||||
개성시 | 개풍군 | 장단군 | |||||||||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52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
시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ff5200 21%, #ff5200); font-size: 1em" 남양읍 | 본청 봉담읍 | 본청 우정읍 | 본청 향남읍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면 | |||||||||||||||||||||||||||||||||||||||||
본청 마도면 | 본청 매송면 | 본청 비봉면 | ||||||||||||||||||||||||||||||||||||||||||||
본청 서신면 | 본청 송산면 | 본청 양감면 | ||||||||||||||||||||||||||||||||||||||||||||
본청 장안면 | 동부 정남면 | 본청 팔탄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행정동 | 법정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기배동 | 동부 기안동 | 동부 배양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1동 | 동탄 석우동 | 동탄 반송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2동 | 동탄 반송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3동 | 동부] 동탄 능동 ,(일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4동 | 동탄 청계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5동 | 동탄 영천동 | 동탄 중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동탄6동 | 동탄 금곡동 | 동탄 방교동 |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2b3e88 21%, #2b3e88); font-size: 1em" 오산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탄 동탄7동 | 동탄 목동 [분동] | 동탄 신동 [분동] | 동탄 산척동 | 동탄 송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탄 동탄8동 | 동탄 장지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동부 반월동 | 동부 반월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병점1동 | 동부 병점동 |
동부 병점2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청 새솔동 | 본청 새솔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 동부 기산동 | 동부] 동탄 능동 ,(일부), | 동부 반정동 | 출장소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9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0deg, #436084 21%, #19ae48 21%, #19ae48); font-size: 1em" 진안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동부 화산동 | 동부 송산동 | 동부 안녕동 | 동부 황계동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본청 화성시청 관할 | 동부 동부 출장소 관할 | 동탄 동탄 출장소 관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ff52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 화성시 華城市 Hwaseong City | }}} | |||
<colbgcolor=#fa5200><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 시청로 159 (남양읍)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 4읍 9면 15동[1] | |||||
면적 | 699.41㎢[2][3] | |||||
인구 | 910,814명[4] | |||||
인구 밀도 | 1,302.26명/㎢ | |||||
시장 | | 정명근 (초선) | ||||
시의회 | | 13석[5] | ||||
| 12석[6] | |||||
도의원 | | 7석[7] | ||||
| 1석[8] | |||||
국회 의원 | <colbgcolor=#fa5200><colcolor=#ffffff> 갑 | | 송옥주 (재선) | |||
을 | | 이원욱 (3선) | ||||
병 | | 권칠승 (재선) | ||||
상징 | 시화 | 목백일홍 | ||||
시목 | 소나무 | |||||
시조 | 도요새 | |||||
지역번호 | 031 | |||||
홈페이지 | | |||||
링크 | |
|
화성시의 위치 |
| |
슬로건 | 마스코트 코리요&알콩이&달콩이&티렉스[9] |
| |
도시 브랜드 |
[clearfix]
1. 개요
화성의 경관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화성시청[10] | 메타폴리스[11]에서 바라본 동탄신도시 야경. | |
동탄호수공원 | 궁평항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융릉·건릉[12] | 화성시 홍보영상 |
내 삶을 바꾸는 희망 화성
- 민선 8기 슬로건
The Way to Better Living
길이 열리는 화성시
- 도시브랜드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시. 경기도 내에서 급속하게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이며, 꾸준한 인구증가로 2019년 9월에 인구 80만, 2022년 9월에 인구 90만을 돌파하였다. 또한 2019년 기준 대한민국 인구 증가율 1위임에도 아직까지 남양주시, 김해시, 평택시와 더불어 분구가 되지 않은 대도시이다.[13] 북으로는 수원시, 안산시, 동으로는 용인시, 남으로는 오산시와 평택시, 충청남도 당진시[14], 서로는 서해와 접한다.- 민선 8기 슬로건
The Way to Better Living
길이 열리는 화성시
- 도시브랜드
서울특별시의 약 1.4배에 달하는 면적과 특히 동서로 쭉 뻗은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15] 동서격차가 심하여 역사적으로 서쪽의 구 남양군 지역과 동쪽의 구 수원군 지역이 서로 이질적인 경관을 이루고 있다.[16] 사실 역사적으로도 다른 동네였으며 동부는 수원과 같은 고을이였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19세기 미국의 서부개척시대가 생각나게 하는 도시.
서부 지역[17]은 대부분 한적한 농촌 지역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사실상 안산 생활권인 새솔동을 제외하면 모두 읍/면 행정구역이다. 남양 간척지(남양호 일대)에서 생산되는 경기미가 유명하고, 송산면의 포도가 유명하다. 서해와 인접해 있어서 어업 또한 발달하었으며, 제부도가 관광지로 유명하다. 남양읍[18]과 향남읍, 봉담읍이 택지개발로 소생활권을 형성해나가고 있다.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327,739명, 면적은 609.12km2, 인구밀도는 538.05명/km2.[19]
동부 지역[20]은 번화한 도시 지역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21], 모두 동 행정구역이다. 화성시의 사실상의 도심으로 볼 수 있는 곳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을 시작으로 2000년대 중반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태안지구(병점), 동탄신도시(동탄1신도시, 동탄2신도시)가 차례로 연담화되어있다.[22] 병점역 서측에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융건릉이 있으며, 동탄신도시에는 경기도 최고층 건물인 메타폴리스가 있다. 2021년 7월 기준 인구는 544,798명, 면적은 84.81km2, 인구밀도는 6,423.75명/km2.[23]
과거 제암리 학살사건,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 씨랜드 참사와 같은 사건/사고를 겪은 아픈 역사가 있다.[24]
경기도내 재정자립도 1위, 전국 4위의 지자체이며, CNN에 앞으로 부유해질 도시에 아산시와 함께 4, 5위를 차지했다.
2021년 3월 21일 시 승격 20주년을 맞았다.
1.1. 상징
<colbgcolor=#fff> CI |
|
화성군 당시에 쓰던 CI |
|
시승격 이후 2008년까지 사용한 CI. |
광활한 대지와 천혜의 자현환경을 바탕으로 수도권의 핵심도시로 도약하려는 화성시와 화성시민의 의지를 산과 바다를 상징하는 역동적인 도형과 황금빛 원으로 표현해 수도권의 중심도시이자 기분좋은 화성시의 21세기를 나타내었다. |
<colbgcolor=#fff> 도시브랜드 |
|
<colbgcolor=#fff> 도시브랜드 로고 | <colbgcolor=#fff> 마스코트 |
| |
현재 사용중인 도시브랜드 로고 | 코리요 |
사방으로 뻗어져 나가는 형상을 통해 화성시가 커지고 성장함을 나타내며 사통달달의 도시로서, 서해안 시대의 핵심 거점으로서, 화성시가 사방으로 활발한 교역을 이루는 모습을 표현하였고, 활짝 펼쳐지고 열려있는 창을 통해 미래가 열려 있는 곳, 기회가 열려 있는 곳, 가능성이 열려 있는 곳으로서의 화성을 상징화 하였고, 퍼저나가고 커져가는 움직임의 잔상을 통해 화성시가 정체되어 있지 않는 경제 활성의 도시(booming city)임을 나타내며 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빠르게 대처하는 화성의 다변성을 상징하였다. 시각 프레임은 창이면서 화성의 행정구역을 상징하기도 한다. | 화성시를 상징하는 공룡 코리아케라톱스 화성엔시스의 이미지를 귀엽고 친근감있게 표현하여 코리요가 탄생하였습니다! 화성시 전곡항 깊숙한 뻘 속에 긴 세월 잠자던 코리요가 1억 300만년 만에 신비한 화성의 빛의 힘으로 알에서 깨어나, 아직 알을 절반씩만 깬 호기심 대마왕 동생 '알콩이'와 미워할 수 없는 말썽꾸러기 '달콩이'를 보살피면서 화성시의 많은 사람들과 재미있고 흥미로운 생활을 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
2. 역사
역사적으로, 생활권상으로 수원 생활권인 동부지역과 남양으로 불리는 서부지역이 끊임없이 갈등을 지속해 온 곳이다. 동탄신도시를 필두로 한 택지개발사업으로 2019년 현재 국내 인구 증가율 1위를 자랑한다. 30대 위주로 젊은 층이 많아서 출산율도 비교적 높은 편이다. 또한 가장 활동력 있는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25] 화성은 전국 기초자치단체를 통틀어 가장 공장이 많은 곳이기도 한데, 시로 승격한 지 얼마 안 된 곳이라 해서 시골 냄새가 풍긴다고 보면 결코 안 된다. 물론 도시화는 수원 인근에 집중되어 있어 극과 극을 달리지만, 현재 미개발지가 풍부하여 남양, 향남, 봉담을 거점으로 활발히 개발이 진행중인 서부 지역으로 이동하면 시골 풍경과 공장, 아파트 단지와 같은 대조적인 경관이 공존하는 모습, 예를 들면 20층 이상의 고층 아파트단지 바로 옆에 논밭이 펼쳐져 있는 미묘한 광경을 흔히 볼 수 있다.
화성시는 군 시절에도 인구가 15만 명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던 나름 군세있는 도시였지만, 자연적인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외곽지역인 오산, 영통과 반월이 주변도시의 확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떨어져 나가 20세기 말까지 15만 언저리에 계속 머물렀다. 그러다 2000년대 이후 수원시와 인접한 화성시의 노른자 땅이었던 동부지역에 여러 개발계획이 수립되며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2003년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 개통 이후 병점지역[26]의 태안지구가 입주를 시작하여 인구가 몰리면서 2006년 태안읍이 폐지되고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화산동, 기배동으로 분동되었다. 이후 동탄1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하여 2007년부터는 동탄면의 일부[27]가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으로 분동되고, 2015년부터는 동탄2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하여 동탄면의 잔여지역[28]이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으로 분동되었다. 앞으로 동탄2신도시의 신동 지역의 입주로 인구가 늘어나면 동탄신도시의 마지막 행정동인 동탄9동이 신설될 예정이다.
서부 지역은 비교적 조용하게 인구가 늘며 넓은 면적에 비례하여 3개의 생활권이 형성되고 있다. 화성시청이 있는 남양읍은 시 승격과 함께 화성시 최초로 동으로 전환되었으나, 사실상 농촌과 다를 바가 없는 상황에 주민들이 읍으로의 전환을 강력히 요구하였고, 마침내 2014년 전국 최초로 동에서 읍으로 회귀하였다. 남쪽의 향남읍과 수원과 인접한 봉담읍은 택지지구 개발로 각각 인구가 8만에 이르렀다. 2040 화성시 장기발전계획에 따르면 이들 향남읍과 봉담읍은 일반구 설치 이후 기능 고도화 기간인 2020년대 중반에 동으로 전환될 계획이 있다.
2021년 정부의 3기 신도시 계획으로 진안신도시가 발표되었다.
2.1. 지명 문제
수원읍이 수원군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원부(수원시)로 승격되면서, 수원군의 이름을 화성군으로 변경했는데, 이 화성이란 이름은 다름아닌 수원시(구 수원읍)에 있는 세계문화유산인 수원화성(水原華城)에서 따 왔다. 따라서 한자도 같다. 수원군청 이름 역시 화성군청으로 바뀌어 1970년 오산읍으로 이전할 때까지 수원시 내에 남아있었다.[29] 1995년 도농통합 대상에서 배제되어 수원시와 통합되지 않았고, 2001년 화성시로 승격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이 때문에 화성시라는 명칭과 달리 화성이 화성시가 아닌 수원시에 있어서 헷갈려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정작 당사자들인 수원시민 및 화성시민 대부분은 이에 대해 별 신경을 쓰지 않는 듯 하다. 다만 타 지역에서 출신지역을 소개할 때 동부 지역의 경우 위의 이유로 그냥 수원 산다고 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옛 수원군 수원읍이 1949년 수원부→수원시로 분리 승격될 때, 시와 군이 분리되면 둘 중 하나의 명칭을 바꿨던 당시의 관행에 따라 수원군의 잔여 지역을 수원의 전통적인 상징이자 옛 명칭인 화성에서 이름을 따와 '화성군'으로 개칭한 데서 출발한다. 수원화성 축조 이후 수원유수부를 '화성유수부'로 개칭되어 지명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이후에 다시 수원부로 격하되었다가 1895년 수원군으로 개편되었다. 1963년 수원시의 행정 구역이 대대적으로 확장되기 전까지만 해도, 당시의 화성군은 화성 성곽에 좀 더 근접한 곳(정자동, 송죽동, 조원동, 매탄동, 권선동[30] 등)까지 관할하고 있었다. 즉 그때만 해도 화성군에서 화성 성곽을 관할하진 않았지만 그래도 볼 수는 있었다. 이것이 시 승격 이후에도 현재까지 '화성시'란 이름으로 이어진 것이다.
다만 역사적으로 수원화성이 축조되기 전의 수원읍성은 현재의 화성시 안녕동 일대에 위치했다. (수원대학교도 이 옆의 봉담읍에 있는데, 학교 명칭과는 달리 수원시가 아닌 화성시에 있지만 옛 수원읍치 일대에 들어섰고 화성시 자체가 역사적으로 수원군이란 이름으로 연원을 같이 하므로 학교 명칭이 아주 잘못된 건 아니다.) 조선 정조가 구 수원읍치를 헐고 조성한 것이 바로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인 현륭원(융릉)이며, 수원화성을 축조하여 이를 새 수원읍치로 삼았다. 이 때문에 오늘날 수원화성은 수원시에 있고, 구 수원읍성은 화성시에 위치하게 된 아이러니한 상황이 된 것. 참고로 수원읍성 유적은 경기도 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31]
수원시-화성군(시)의 명칭 부여 방식과 유사한 사례로 대구시-달성군(달성은 대구시내에 위치했던 성곽), 경주시-월성군(월성은 경주에 있는 신라 왕성의 이름), 금성시-나주군(금성은 나주성의 별칭이자 나주의 고호)이 있다. 참고로 이들은 훗날 각각 월성군→경주군, 금성시→나주시로 명칭이 환원되었고 1995년 도농통합 당시 경주시, 나주군과 통합되거나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포함되어 시·군 분리의 역사를 극복하고 다시 하나가 되었다.
타 지역과 다르게 지명이 문제가 되는 또 한 가지 이유는 역사적으로 수원이나 화성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옛 남양도호부 지역 또한 화성으로 불리고 있어서 '시흥'처럼 현재 행정구역이 역사적 명칭과 맞지 않는 문제도 있다.
화성이 화성군에 없는 것처럼 달성과 월성 또한 각각 달성군과 월성군에 없는 상황이었으나 달성과 월성은 통합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다. 그러나 화성군만은 월성군이나 금성시처럼 명칭이 '수원군'으로 환원되지도 않아 도농분리로 인해 지역 명칭과 명칭의 유래가 맞지 않는 유일한 사례가 되었다. 또한 1995년 도농통합 당시 수원시(및 오산시)와도 통합되지 않은 채 2001년에는 독자적으로 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3. 지리
3.1. 자연지리
전형적인 동고서저 지형을 형성하고 있다. 동쪽 경계는 무봉산-병봉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용인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반면, 서쪽으로 낮아지면서 황해와 만난다. 경기도의 이천시 못지 않게 평지가 많다. 다만 이천시와는 달리 중간중간에 산들도 있어 평야가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상태는 아니다.서쪽 해안가는 갯벌과 리아스식 해안이 복잡하게 펼쳐 있긴 하나, 끝없는 간척 사업으로 지금은 많이 육지화 및 직선화가 된 상태이다. 시화방조제로 인한 시화호, 화성방조제로 인한 화성호가 조성되었으며 농지 또는 산업용지로의 개발이 진행 중이다. 이 탓에 비교적 활발하였던 인근해 어업은 크게 위축되었으며, 궁평항과 전곡항 등 일부에서만 어항으로서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은 인천만큼은 아니지만 조석 간만의 차가 굉장히 크다. 썰물 때 갯벌이 광활하게 펼쳐진 모습을 볼 수 있으며, 시화호 시화방조제에서 조력발전이 가능할 정도다.
3.2. 도시구조
[32]
동탄의 규모가 압도적이긴 하나 읍면 인구도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다만 각 읍면이 각개약진하듯 성장하다보니 도시의 구심점이 없고 소생활권이 분산되어 있다. 가장 큰 동탄-병점권[33]은 인구가 50만을 넘어 타 지역을 쌈싸먹고 있다. 다만 화산동은 병점과 인접하지만 경부선 철로로 인해 기 개발지와는 아직 이질감이 있고, 기배동은 봉담 생활권에 가깝다. 봉담읍은 약 8만 인구로 동탄-병점권과 다른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동탄-병점권보다는 수원과의 교류가 많다. 인구 약 8만의 향남읍(발안)은 주변의 우정,팔탄,장안,양감과 함께 소생활권을 형성하고 있고, 인구 약 4만의 남양읍 역시 주변 면들과 소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약 1만 인구의 정남면은 생활권이 병점과 오산에 걸쳐져 있다. 그 와중에 남양에서 분리된 새솔동은 화성이라기보단 안산시에 종속된 생활권이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화성군 시절부터 살아온 토박이들을 제외하면 '화성시민' 내지는 '화성 사람'으로서의 정체감이나 연대감이 매우 미약한데, 수원군에서 분리되기 전까지 '화성'이라는 이름의 기성 도시가 없었던 점, 택지개발로 유입된 외지인이 시민의 대부분인 점, 화성의 동서로 긴 지리적 여건[34]과 그로 인한 지역 간 이질성, 동부를 제외한 각 택지지구 간의 미흡한 교통 여건[35] 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다. 실생활에서 화성시민들이 자신들의 지역을 '화성'으로 표현하는 경우는 아예 없다고 봐도 좋으며, 남양, 봉담, 향남(발안), 병점, 반월, 1동탄, 2동탄 등의 동네 지명이 쓰인다. '화성'은 선거철이나 시청으로의 민원을 넣을 때 접하게 되는 지명이라고 여길 정도니 말 다했다. 그나마 연담화된 동부의 병점-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 라인조차 '화성시민'으로서의 소속감이 매우 약하다.[36] 따라서 화성시민, 특히 동부지역 사람이 '화성'이라고 하면 주로 시청이 위치한 서부 지역을 지칭하는 표현일 확률이 매우 높다.
도시가 형성된 지 20년도 안 되었고, 아직도 개발중이라서 동부지역의 지명이 중구난방이다. 동부지역은 크게 옛 태안읍(현 병점)지역과 동탄면(현 동탄)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2001년 시 승격때 옛 태안읍의 중심지인 병점(진안동)에 화성시 동부출장소가 설치되어 태안읍, 동탄면 지역을 관할했었다. 그러나 2018년 동탄2신도시 오산동에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화성시 동탄출장소가 설치되어 현재 이곳에는 옛 태안읍 지역을 관할하는 동부출장소와 옛 동탄면 지역을 관할하는 동탄출장소가 있다. 그러나 동탄이 점차 커져가는 과정에서 태안/동탄지역의 경찰서명이 화성시 동부경찰서에서 화성시 동탄경찰서로 개칭되어 신설되는 등 동부지역에서 병점, 넓게는 구 태안읍 전체와 동탄신도시간의 무언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다. 2022년 일반구 설치를 통해 비슷한 명칭과 혼용으로 시민들에게 혼란을 주던 옛 태안읍 지역의 '동부'명칭이 현재 이 지역의 통칭인 '병점' 또는 제2의 명칭으로 통합되기를 기대하는 수밖에 없다.
3.3. 인구
(1966년~현재) |
1966년 204,254명 |
1970년 193,954명 |
1975년 208,134명 |
1980년 217,040명 |
1983년 반월면 초평리·월암리 → 시흥군 의왕읍 편입 |
1985년 225,883명 |
1986년 반월면 일부 → 안산시 편입 1989년 오산읍 → 오산시 승격 분리 |
1990년 187,349명 |
1994년 반월면 → 안산시·군포시·수원시에 분할 편입, 태안읍 영통리·신리·망포리 → 수원시 편입 |
1995년 163,445명 |
2000년 191,444명 |
2001년 화성군 → 화성시 승격 |
2005년 296,530명 |
2010년 505,838명 |
2015년 596,525명 |
2020년 855,248명 |
2022년 12월 910,814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
읍면동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동탄7동 90,305명 |
봉담읍 87,786명 | |
향남읍 87,298명 | |
동탄4동 52,997명 | |
동탄1동 50,887명 | |
남양읍 48,080명 | |
동탄5동 46,541명 | |
진안동 43,828명 | |
동탄3동 41,723명 | |
동탄6동 41,175명 | |
병점1동 36,915명 | |
동탄2동 34,813명 | |
동탄8동 33,213명 | |
반월동 31,287명 | |
새솔동 25.258명 | |
화산동 23,784명 | |
병점2동 23,542명 | |
우정읍 17,622명 | |
기배동 16,265명 | |
정남면 11.293명 | |
송산면 11,001명 | |
장안면 10.245명 | |
팔탄면 10,056명 | |
서신면 7,243명 | |
마도면 7,011명 | |
비봉면 6,902명 | |
매송면 6,868명 | |
양감면 4,020명 | |
2022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0만 명 |
2001년 시 승격 당시 화성시 인구는 21만 명을 겨우 넘기는 수준으로 당시 면적이 훨씬 작은 군포시, 광명시, 시흥시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특히 현재 화성시 인구에 못미치는 안양시는 당시만 해도 화성시보다 인구가 거의 3배나 많았다. 심지어 당시 경기도에 있던 11개에 달하는 일반구들[37]보다도 인구가 적었다. 하지만 지난 18년 동안 화성시 인구는 4배 가까이, 그야말로 엄청나게 불어나면서 경기도 인구 5위[38]의 도시로 도약했다. 이제는 인구가 서서히 감소하고 있는 성남시를 추격하고 있다. 2022년 9월 인구 90만 명을 달성했다.
2007년 강남 대체 신도시로 '동탄2신도시'(기존 동탄1신도시의 동쪽 지역. 경부고속도로가 관통한다)가 선정되는 등, 2020년대에 강남 뺨치는 도시로 성장할 기대가 되는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수도권 최대 규모[39]로 조성되는 신도시인 동탄2신도시는 2018년부터 입주를 시작한 아파트들이 많으며, 동탄테크노밸리와 수도권에서 강남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업무지구인 광역비즈니스콤플렉스가 조성되고 있다.[40]
게다가 2021년 8월 30일에 정부에서 진안동 일대(반월동, 기산동, 진안동, 반정동) 대규모 택지를 개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비슷한 시기 봉담 또한 상당한 크기로 3지구가 들어서기에 인구가 상당히 늘어날 확률이 있다. 모두 개발이 된다면 수원시와 인구수로 1, 2위를 다툴가능성도 있다.
4. 도시행정
4.1. 청사
- 수원 시대 (1949~1970)
- 오산 시대 (1970~2000)
- 남양 시대 (2000~현재)
4.2. 우체국
4.2.1. 화성우체국
화성시 본청 관할 지역(봉담읍 제외)을 관할한다.화성우체국 | |
|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서로3길 53 (행정리) |
관할 구역 | 화성시 새솔동, 남양읍, 우정읍, 향남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
4.2.2. 화성동탄우체국
화성우체국이 관할하는 서부지역을 제외한 동부지역과 본청 관할인 봉담읍을 관할한다. 동탄신도시에 위치해있으며, 소포우편물에 한해 수원우편집중국이 아닌 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충남 천안권역)에서 담당한다.화성동탄우체국 | |
|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노작로 240 (석우동) |
관할 구역 | 화성시 동탄1~8동, 병점1~2동, 기배동, 화산동, 반월동, 진안동, 봉담읍, 정남면 |
4.3. 경찰서
원래 화성동부경찰서[42], 화성서부경찰서[43] 두개로 나눠져 있었다. 화성서부경찰서는 시청 소재지인 남양읍에 위치해있지만, 화성동부경찰서는 이름과는 달리 화성시가 아닌 오산시에 위치해 있었다. 원래 오산시 원동 현 CGV 오산중앙점이 입점해있는 르마레시티 자리가 경찰서 자리였다. 후 2011년 부산동으로 이전하였다. 2018년에는 오산경찰서와 분리되어, 동탄2신도시에 들어오게 되면서 화성동탄경찰서로 명칭이 변경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기존 화성동부경찰서는 오산경찰서로 바뀌었다.4.3.1. 화성서부경찰서
화성서부경찰서 | ||
관할 지역 | ||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 | ||
{{{#!wiki style="color: #2350a9; margin: -0px -10px"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 발안지구대 | 향남읍 3.1만세로 1095 |
☎ 031-352-0112 | ||
봉담지구대 | 봉담읍 와우로15번길 17 | |
☎ 031-227-1112 | ||
남양파출소 | 남양읍 남양시장로 47 | |
☎ 031-356-2112 | ||
우정파출소 | 우정읍 조암남로 31 | |
☎ 031-351-1112 | ||
서신파출소 | 서신면 매화1길 31 | |
☎ 031-357-3112 | ||
송산파출소 | 송산면 송산포도로 98 | |
☎ 031-357-1112 | ||
팔탄파출소 | 팔탄면 서촌길 9 | |
☎ 031-353-3112 | ||
비봉파출소 | 비봉면 양노로 118 | |
☎ 031-356-0112 | ||
매송파출소 | 매송면 화성로 2249 | |
☎ 031-291-2112 | ||
마도파출소 | 마도면 석교로 179 | |
☎ 031-356-1112 | ||
양감파출소 | 양감면 은행나무로 263 | |
☎ 031-352-1112 | ||
2 지구대 , 9 파출소 |
화성서부경찰서 Hwaseong Seobu Police Station | |
| |
약칭 | 화성서부경찰서 |
설립일 | 2008년 4월 4일 |
서장 | 총경 윤유희 |
관할구역 | 경기도 화성시 서부지역[44] |
상급기관 | 경기도남부경찰청 |
전신 | 화성경찰서 [45]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남양로 570 (신남리) |
홈페이지 | 화성서부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
4.3.2. 화성동탄경찰서
화성동탄경찰서 | ||
관할 지역 | ||
정남면,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1동, 동탄2동, 동탄3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반월동 | ||
{{{#!wiki style="color: #2350a9; margin: -0px -10px" 관할 지구대 / 파출소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 태안지구대 | 떡전골로 112-2 |
☎ 031-235-0112 | ||
동탄지구대 | 노작로 226-1 | |
☎ 031-613-3112 | ||
동탄2지구대 | 동탄영천로 70 | |
☎ 031-374-5112 | ||
동탄3지구대 | 왕배산길 6 | |
☎ 031-375-3112 | ||
반월파출소 | 영통로27번길 25-19 | |
☎ 031-203-3112 | ||
안용파출소 | 용주로32번길 4 | |
☎ 031-234-0112 | ||
정남파출소 | 정남면 만년로 582 | |
☎ 031-352-2112 | ||
4 지구대 , 3 파출소 |
화성동탄경찰서 Hwaseong Dongtan Police Station | |
| |
약칭 | 화성동탄경찰서 |
설립일 | 2018년 12월 27일 |
서장 | 총경 유제열 |
관할구역 | 경기도 화성시 동부지역[46] |
상급기관 | 경기도남부경찰청 |
전신 | 화성동부경찰서 [47]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동탄대로13길 70 (오산동) |
홈페이지 | 화성동탄경찰서 공식 홈페이지 |
4.4. 소방서
| ||
화성소방서 | ||
영문 명칭 | Hwasung Fire Station | |
개청일 | 2008년 5월 26일 | |
소방서장 | 조창래 | |
소재지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향남로 399 | |
설치년도 | 2008년 | |
상급기관 | 경기도 소방재난본부 | |
웹사이트 | |
화성소방서 | ||
{{{#!wiki style="color: #e40010; margin: -0px -10px" 관할 센터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 향남119안전센터 | |
주소 | 향남읍 향남로 399 | |
관할구역 |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 |
지역대 | 팔탄119지역대, 양감119지역대 | |
태안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병점중앙로 148 | |
관할구역 | 진안동, 병점1·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 |
지역대 | 미운영 | |
반송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동탄반석로 188 | |
관할구역 | 동탄1·2·3동 | |
지역대 | 미운영 | |
봉담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봉담읍 동화새터길 135 | |
관할구역 | 봉담읍, 매송면 | |
지역대 | 매송119지역대 | |
남양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남양읍 남양시장로 48 | |
관할구역 | 남양읍,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비봉면, 새솔동 | |
지역대 | 마도119지역대, 송산119지역대, 서신119지역대, 제부119지역대, 비봉119지역대 | |
정남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정남면 정남동로 514 | |
관할구역 | 정남면 | |
지역대 | 미운영 | |
장안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장안면 3.1만세로 119 | |
관할구역 | 장안면, 우정읍 | |
지역대 | | |
목동119안전센터 | ||
주소 | 화성시 동탄신리천로 359 | |
관할구역 | 동탄4·5·6·7동 | |
지역대 | 미운영 | |
8개 안전센터 운영 |
4.5. 세무서
화성시를 관할하는 세무서는 '화성세무서'와 '동화성세무서'의 2개이다. 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봉담읍에 위치하며, 병점·동탄권을 제외한 화성시 나머지를 관할한다. 동화성세무서는 화성시 동탄2신도시 지역에 위치하며, 화성시 동부(병점·동탄권)와 오산시까지 관할한다.화성세무서 | |
관할 구역 | 동탄, 병점을 제외한 화성시 전체지역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참샘길 27 |
동화성세무서 | |
관할 구역 | 동탄신도시, 병점, 오산시 지역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동탄오산로 86-3 동탄MK타워 3~4, 9~11층 |
4.6. 교육청
교육지원청은 오산시에 있는 '화성오산교육지원청'에서 두 도시를 모두 관할한다. 위의 경찰서와는 달리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까진 아니지만, 소재지는 '오산'인데 명칭에는 '화성'이 먼저 나오는 소소한 사항이 있다. 이상의 경찰서, 세무서, 교육청을 통해, 수원, 화성, 오산의 역사적 단일성과 도시권, 생활권이 행정상에도 상당히 반영돼 있음을 알 수 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 (오산시 • 화성시 관할)
오산시 북삼미로 119
화성오산교육지원청 | |
상급 기관 | 경기도교육청 |
관할 지역 | 화성시, 오산시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북삼미로 119 (외삼미동) |
5. 교통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 |
도로 | 고속도로 | 경부 · 수도권제2순환 · 오산화성 · 평택파주 · 서해안 · 평택시흥 | |
국도 | 1 · 39 ·43 · 77 ·82 | ||
지방도 | 23 · 82 · 83 · 301 · 302 · 305 · 306 · 309 · 310 · 311 · 313 · 314 · 315 · 317 · 318 · 322 | ||
버스 | 향남환승터미널 · - | ||
화성시의 버스 목록 · 화성시의 마을버스 | |||
항공 | - |
경기도의 교통 |
6. 경제
6.1. 산업
넓은 지역에(특히 서부 지역에) 많은 농지를 지니고 있기에 농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화성시에서 재배되는 쌀을 수향미라는 브랜드로 판매하고 있다. 또한 송산면에서 재배하는 송산포도도 유명하다.서해와 인접해 있어서 어업 또한 많이 발달되어있다. 그래서인지 속담에 “남양 원님 굴회 마시듯”이라는 속담도 있었는데, 북쪽과 서쪽 남서쪽 바다를 막아 사실상 어업이 많이 줄어들었다. 궁평항이 있는 서신면을 제외하면 거의 죽었다고 보는 게 맞을 듯.
사실 화성시 경제의 가장 큰 축은 제조업이다. 화성시 서부의 경제는 현대-기아자동차와 그 관계회사들이, 화성시 남부는 제약회사 공장들이, 화성시 동부의 경제는 삼성반도체를 비롯한 여러 대기업과 중견기업의 생산공장들이 이끌어가고 있다. 그리고 그 사이의 광활한 시골 벌판과 산골짜기마다 수천 개에 달하는 중소기업들과 공장들이 소재하고 있다. 그래서 경기도에서 기업이 가장 많은 도시이기도 하며 법인지방소득세도 경기도 1위다. 삼성과 현대 기아가 낸 법인지방소득세가 총액의 75%. 덕분에 타 지역에서의 인구 전출입이 활발한 편이고, 재정자립도도 경기도 최고수준이다. 여담으로 기업이 많아서 기업은행도 많다. 같은 경기도의 여주 같은 도시는 시내에도 기업은행이 없는데, 여기는 면에도 기업은행이 있다. 정말 농협 수준으로 많다.
17년부터 19년도까지를 기준으로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비중의 GDP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화성은 유일하게 지역별 비중에서 10%가 넘는 지역이다. #
- 기아 화성공장
-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
-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 현대트랜시스 화성구동연구센터
- 발안일반산업단지
- 향남제약일반산업단지
- 동탄테크노밸리
- 동탄일반산업단지
- 전곡해양산업단지
- 화남일반산업단지
- 장외산업단지
- 발안산업단지
- 백토리산업단지
- 다진산업단지
- 귀래산업단지
- 동오첨단산업단지
- 송산테크노파크
- 경기화성바이오밸리
- 화성스마트밸리
- 마도일반산업단지
- 양감산업단지
- 신왕산업단지
6.2. 상권
6.3. 금융
화성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 |||
제1금융권[괄호] | |||
국가기관 | |||
화성우체국 (11) | 화성동탄우체국 (7) | ||
국책은행 | |||
한국산업은행 (2) | 중소기업은행 (15) | ||
특수은행 | |||
수협은행 (2) | 농협은행(중앙회) (9)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0) | 우리은행 (15) | ||
SC제일은행 (2) | 하나은행 (5) | ||
국민은행 (13) | |||
지방은행 | |||
대구은행 (1) | 광주은행 (1) | 전북은행 (1) | 경남은행 (1) |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송산농협 | 마도농협 | 남양농협 | 서화성농협 |
수원농협 | 정남농협 | 팔탄농협 | 발안농협 |
조암농협 | 동탄농협 | 태안농협 | 서산농협 |
도드람양돈농협 | 수원축산농협 | ||
수산업협동조합 | |||
경기남부수협 (5) | 해남수협 (1) | ||
새마을금고 | |||
화산새마을금고 | 화성새마을금고 | 경기화성새마을금고 | 화성제일새마을금고 |
화성서부새마을금고 | 삼성전자새마을금고 | 기아자동차새마을금고 | |
신용협동조합 | |||
화성한마음신용협동조합 | 화성삼덕신용협동조합 | 화성제일신용협동조합 | 화성우리신용협동조합 |
병점신용협동조합 | |||
산림조합 | |||
화성오산수원산림조합 (1) | |||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 |||
융창저축은행 (1) |
7. 생활문화
7.1. 교육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a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a52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나루고등학교 | 남양고등학교 | 능동고등학교 | 동탄고등학교 | ▣ 동탄국제고등학교 |
동탄중앙고등학교 | ◈ 두레자연고등학교 | 반송고등학교 | ◈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 병점고등학교 | |
봉담고등학교 | ◈ 비봉고등학교 | 삼괴고등학교 | 새솔고등학교 | 서연고등학교 | |
송산고등학교 | 안화고등학교 | 이산고등학교 | 이솔고등학교 | 예당고등학교 | |
정현고등학교 | 창의고등학교 | 하길고등학교 | 한백고등학교 | 향남고등학교 | |
향일고등학교 | ◈ 홍익디자인고등학교 | 화성고등학교 | 화성반월고등학교 | ||
푸른색 바탕은 남자고등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고등학교. 흰색 바탕은 남녀공학. ⊙: 자율형사립·공립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f52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520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기산중학교 | 기안중학교 | 남양중학교 | 능동중학교 | 다원중학교 | |||||||||
동탄목동중학교 | 동탄중학교 | 동학중학교 | 두레자연중학교 | 반송중학교 | ||||||||||
발안중학교 | 방교중학교 | 병점중학교 | 봉담중학교 | 비봉중학교 | ||||||||||
삼괴중학교 | 서신중학교 | 석우중학교 | 솔빛중학교 | 송린중학교 | ||||||||||
송산중학교 | 수현중학교 | 신백중학교 | 안용중학교 | 안화중학교 | ||||||||||
양감중학교 | 예당중학교 | 와우중학교 | 이산중학교 | 장안여자중학교 | ||||||||||
정남중학교 | 진안중학교 | 청계중학교 | 청림중학교 | 치동중학교 | ||||||||||
푸른중학교 | 하길중학교 | 한백중학교 | 향남중학교 | 호연중학교 | ||||||||||
화도중학교 | 화성동화중학교 | 화성반월중학교 | 화성세정중학교 | 화성중학교 | ||||||||||
푸른색 바탕은 남자중학교, 붉은색 바탕은 여자중학교, 이외 남녀공학.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지역별 학교 틀 둘러보기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 사립 | ㅅ | |
ㅎ | |||
전문 대학 | ㅅ | ||
ㅈ | |||
기능 대학 | ㅎ | ||
대학원 대학 | ㄴ | }}}}}}}}} |
화성시는 과거 교육취약지역이었으나, 대규모 택지개발, 교육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현재 어느 정도 좋은 수준으로 올라갔다. 신도시 개발과 맞물려 학교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에 대부분은 공립이며 사립은 거의 찾아보기가 힘들다.
큰 틀에서 동부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학교는 동부에 몰려있으며 [52]서부에는 한 손으로 꼽을 정도로 학교가 적다. 동부의 경우엔 수원의 절대적 영향 아래에 있다. 수원의 교육환경이 상대적으로 좋은 탓에 상당수의 학생들이 수원권역으로 학원을 다닌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이 버스를 타고 적게는 몇십 분에서 길게는 한두 시간 동안 학원을 가기 위해 이동하는 것이 다반사이며 1시간 30분이 걸려 학원에 도착, 3시간 공부하고 다시 1시간 30분 걸려 집에 도착하기도 한다. 본격 배보다 배꼽이 더 큰 공부. 그나마 다행인 건 수원의 사교육 중심지가 병점, 동탄과 가까운 영통지구라는 정도..? 다만 동탄1신도시 입주 14년차가 된 지금은 동탄 학군이 어느정도 형성되어 반월동(신영통)쪽을 제외하면 예전보다는 수원학군의 영향이 줄었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동탄신도시 건설 초기 수요예측이 크게 빗나가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크게 부족했으며, 이로 인해 신도시 대부분의 유휴부지가 학교로 건설되었다. 심지어는 초등학교 옆에 중학교를 신설하려 했으나, 또 다른 새로운 초등학교가 들어서기도 했다.
인문계고등학교는 비평준화 지역이며, 중학교 내신 성적을 기준으로 합/불이 결정된다. 초기 대규모 택지지구가 들어서면서 신규 고등학교가 많이 생겨 먼저 설립된 순서대로 서열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실질적인 평준화 상태이며 대부분 준수한 교육 환경을 가지고 있다. 학교별로 영재학급이나 특성화 학급도 가지고 있다. 기숙사가 있는 학교들도 있는데[53] 이는 교통이 불편한 곳에 있거나, 교육적 목적을 위해 건립한 것들이다. 또한 2019년 정현고, 2020년 서연고, 2022년 이솔고 등 최근에도 지속적으로 고등학교가 신설되고 있다.
화성시 인문계 고등학교 역사에서 특기할 점은, 화성의 교육 환경 자체는 수원에 비해 낙후되었지만, 정작 학생들은 비평준화의 특성을 타고 수원에서 넘어온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화성고, 병점고 등은 수원, 특히나 영통지구에서의 진학 수요가 꽤나 있었으며, 신도시로 인한 수요과잉과 맞물려 화성시 동부 전역에서의 고등학교 커트라인 상승으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현재는 동부지역 대부분의 학교들이 교육적 측면에서 우수한 면학 분위기와 더불어 대부분 내신 및 비교과 관리가 어느 정도 잘 되는 편이다.
화성시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급 당 학생 수는 다른 지역에 비해 많다. 당장 2023학년도 입학생의 경우 대부분 학교에서 한 학급당 38명씩을 배정받았다. 전국 어디를 가도 지금 시기에 한 학급당 38명을 받는 지역은 없다해도 무방하다. 그야말로 고등학교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최악의 동네가 되어버렸다.[54] 또한 초경량 과밀학교가 무려 2(+1)개나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도 2개나 있다. 매우 악명높은 전국 최악의 초경량 과밀학교인 봉담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초경량 과밀학교가 된 동탄중앙고등학교, 교육청의 삽질로 곧 초경량 과밀학교가 될 새솔고등학교가 있다. 게다가 경량 과밀학교인 병점고등학교, 안화고등학교도 있어서 학생 수용에 애를 먹는다.
특목고는 동탄국제고등학교가 위치하고 있다. 전국구 모집단위로 선발하고 있으나, 지역인재전형으로 화성/오산시 고등학교 학생들을 우대해주고 있다. 우수한 환경을 가지고 있으며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외국어계열 특목고임에도 공립학교여서 싼 학비를 자랑한다. 또한 주변의 수원외국어고등학교, 세마고등학교로도 많이 진학한다.
특성화고는 매우 적은데, 이는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실업계라는 낙인으로 인해 입주민들이 반대했기 때문이다. 현재 존재하는 발안바이오과학고 의 경우 과거 발안농고가 특성화고로 바뀐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은 반 강제적으로 인문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수밖에 없으며, 특성화고에 진학하려는 학생은 수원의 수원공고나 삼일공고, 매향여상로 가게 된다.
하지만 고등학교 평준화 제도 도입 이야기가 들린다. 시장 및 시의원, 도의원, 교육감이 전부 선거 공약으로 내세웠으나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 일부 학부형들과 심지어 학생들사이에서도 이러한 평준화에 반대하는 목소리[55]도 있다. 중학교 진학과 달리 고등학교 진학은 내신성적에 의해서 정해져서, '공부 잘 하는 학생 = 착한 학생'이라는 고정관념에 의거하여 평준화가 이러한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것이다라는 이유 때문이다.
대학교는 많은데, 4년제 대학으로는 수원대학교, 수원가톨릭대학교, 신경대학교, 협성대학교, 홍익대학교 화성캠퍼스가 있고 전문대학으로는 수원과학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해란캠퍼스, 장안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화성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56] 덕분에 병점역 앞 버스정류장(특히 2번 출구, 후문)은 각 학교로 가려는 학생들로 엄청 붐빈다.[57] 그러나 한신대학교, 수원대학교 버스만 엄청 많다. 수원과학대 가는 버스는 20분마다 한번이다.
도봉과 동작 두 지역에 장학관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권 대학에 다닐 경우 이용할 수 있다.
7.1.1. 심각한 고등학교 과밀 현상
동탄신도시 개발 이후 부족한 고등학교로 인해 엄청난 과밀현상에 시달리고 있다. 자칫 잘못하면 학급 당 40명을 돌파해 2부제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아서 여러 조치를 해야 할 상황이다.다음은 증축이나 신설이 필요한 고등학교 목록이다.
신설 | ||
고등학교 | 학급 수 | 비고 |
동탄청계고등학교 | 36 | |
와우고등학교 | 36 | 2023년 개교 예정 |
봉담2고등학교 | 36 | 2025년 개교 예정 |
증축 | ||
고등학교 | 학급 수 | 비고 |
동탄고등학교 | 30(이전) 36(이후) | 수평증축 |
능동고등학교 | 24(이전) 30(이후) | 수직증축 |
반송고등학교 | 30(이전) 33(이후) | 수직증축 |
안화고등학교 | 30(이전) 39(이후) | 수직증축 |
새솔고등학교 | 30(이전) 42(이후) | 수직증축 + 수평증축 |
7.2. 도서관
화성시립도서관 홈페이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 도서관명 | 소속읍면동 | 주소 | 홈페이지 |
동탄 복합문화센터 도서관 | 동탄2동 | 노작로 134 (반송동) | # | |
동탄 중앙이음터 도서관 | 동탄4동 | 동탄대로시범길 115 (청계동) | ||
동탄 다원이음터 도서관 | 동탄5동 | 동탄순환대로 754-14 (영천동) | ||
동탄 목동이음터 도서관 | 동탄7동 | 동탄순환대로20길 6 (목동) | ||
동탄 왕배푸른숲도서관 | 동탄7동 | 동탄대로12길 102 (산척동) | ||
동탄 서연이음터 도서관 | 동탄8동 | 동탄순환대로8길 57 (장지동) | ||
송린이음터 도서관 | 새솔동 | 수노을2로 150 (새솔동) | ||
화성시립 병점도서관 | 병점2동 | 병점3로 132-6 (병점동) | ||
화성시립 봉담도서관 | 봉담읍 | 봉담읍 샘마을1길 8-4 (상리) | ||
화성시립 남양도서관 | 남양읍 | 남양읍 역골중앙로 143 (남양리) | ||
화성시립 태안도서관 | 화산동 | 화산중앙로 19 (안녕동) | ||
화성시립 삼괴도서관 | 우정읍 | 우정읍 쌍봉로 109-26 (조암리) | ||
화성시립 정남도서관 | 정남면 | 정남면 만년로 527 (발산리) | ||
화성시립 송산도서관 | 송산면 | 송산면 삼일공원로 87 (사강리) | ||
화성시립 진안도서관 | 진안동 | 병점중앙로 229 (진안동) | ||
둥지나래 어린이도서관 | 향남읍 | 향남읍 행정중앙2로 88 (행정리) | ||
두빛나래 어린이도서관 | 동탄3동 | 동탄숲속로 69-14 (능동) |
7.3. 영화관(멀티플렉스)
프랜차이즈 | 지점명 | 주소 | 비고 |
CGV | 동탄 | 동탄중앙로 220 타임테라스 A블럭 3층 | IMAX LASER |
동탄역 | 동탄대로 537 라스플로레스 A동 5층 | 4DX | |
동탄호수공원 | 동탄대로 181 레이크꼬모 지하2층 | ||
| 건설 중 | ||
화성봉담 | 봉담읍 동화길 51 지식산업센터 2층 | ||
| 건설 중 | ||
롯데시네마 | 병점 | 효행로 1052 시네샤르망 A동 6층 | |
향남 | 향남읍 상신하길로298번길 7-11 KT시네마 7층 | ||
동탄 | 오산동 967-2419 롯데백화점 동탄 | ||
메가박스 | 동탄 | 동탄지성로 11 7층 | 구. CGV 동탄스타점 |
| 예정 | ||
씨네Q | | 건설 중 |
7.4. 치안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으로 치안이 불안정할 것이라는 편견이 있지만, 화성시의 강력범죄 발생률은 2018년 기준 85개 도시들 중 82위로 오히려 치안이 굉장히 좋은 수준[58]이다. 단 하나의 사건으로 화성시민들은 30여년 간 연쇄살인의 도시에 산다는 오명을 뒤집어썼던 피해자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시간이 흐르면서 인구의 대부분을 택지개발/신도시 구성원으로 차지하게 되면서 도시의 치안이 나쁠래야 나쁠 수가 없다. 외노자의 경우 대부분이 서부 지역의 국도변에 있는 공장 등지에 다니는 경우가 많으므로 동부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다. 애초에 2000년대 들어 수원의 배후 신도시/택지지구로 개발된 곳들이기 때문이다.7.5. 의료기관
화성시보건소 보건행정과 | |||||||||||||||||||
화성시보건소 | 향남읍 3.1만세로 1055 | ||||||||||||||||||
화성시보건소 건강증진과 | |||||||||||||||||||
봉담주민건강지원센터 | 봉담읍 동화새터길 109 | ||||||||||||||||||
보건지소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margin-bottom: -6px; margin-left: -1px; margin-right: -1px; margin-top: -6px; color: #555555" | 동부 보건지소 | 떡전골로 72-3 | 동탄 보건지소 | 노작로 226-9 | |||||||||||||||
여울 보건지소 | 동탄순환대로 13 | 우정 보건지소 | 우정읍 쌍봉로 109-12 | ||||||||||||||||
매송 보건지소 | 매송면 매송로 43 | 비봉 보건지소 | 비봉면 비봉71번길 1 | ||||||||||||||||
마도 보건지소 | 마도면 마도북로 389 | 송산 보건지소 | 송산면 사강시장길 26 | ||||||||||||||||
서신 보건지소 | 서신면 궁평항로 1702 | 팔탄 보건지소 | 팔탄면 구장길 14 | ||||||||||||||||
장안 보건지소 | 장안면 포승장안로 1219 | 양감 보건지소 | 양감면 초록로 7 | ||||||||||||||||
정남 보건지소 | 정남면 서봉로 998 | 남양 보건지소 | 남양읍 남양시장로 25-2 |
화성시 내 응급실 운영 종합병원 | |||
병원명 | 주소 | 분류 | 병상수 |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 큰재봉로 7 (석우동) | 종합병원(대학) | 798병상 |
원광종합병원 | 화산북로 21 (송산동) | 종합병원 | 201병상 |
화성중앙종합병원 | 향남읍 발안로 5 (평리) | 종합병원 | 143병상 |
동탄신도시의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을 제외하고는 소규모 종합병원이다. 화성시 내에 상급종합병원은 없으며, 가장 가까운 상급의료기관은 수원의 아주대학교병원이다. 매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전국동시지방선거때 마다 후보들이 공약으로 대학병원, 의대 유치한다고 공약을 내걸고 있다.
7.6. 언어
대부분의 지역은 경기 방언과 표준어를 쓰지만, 우정읍과 장안면의 경우엔 충청 방언 권역에 해당되기도 한다. 아무래도 바로 밑에 위치한 평택시의 모든 지역이 충청 방언 권역에 해당하기 때문으로 보인다.자세한 사항은 경기 방언과 충청 방언 참조.
7.7. 스포츠
화성종합경기타운을 중심으로 많은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다.차후 한국기원도 동탄신도시로 이전할 계획이나 사업 합의에 차질을 빚고 있는것으로 알려졌다.
7.7.1. 야구
과거 넥센 히어로즈의 2군이 들어서게 되면서 "화성 베이스볼 파크"건립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연고지 이전과 팀명 변경등이 포함된 업무 협약서를 교환했다. 이에 따라 넥센 히어로즈 2군은 명칭을 화성 히어로즈로 변경하였다. 화성 히어로즈는 2014년 4월부터 비봉면 유포리에 있는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사용했으며, 이후에도 아시아 최대 규모의 리틀야구장인 화성 드림파크 신축 등 여러 야구장 부지를 건설하는 야구 인프라에 상당한 투자를 하고있다.
그러나 화성 히어로즈는 2019년부터 고양시로 이사가서 고양 히어로즈가 되었다. 이유는 계약 종료도 있지만, 화성시에서 화성 히어로즈 베이스볼 파크를 공원으로 재건할 계획을 세운 것도 있다.
7.7.2. 축구
| | ||||
화성 FC | 화성종합경기타운 |
7.7.3. 배구
여자배구의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의 연고지다. IBK기업은행은 2012~2013시즌 이후로 강팀으로 거듭났다.
그리고 남자 실업배구팀으로 화성시청팀이 있다.
7.7.4. 바둑
- 화성시 코리요 팀로고
8. 정치
8회 지선 화성시 개표 결과 | |||||||
경기도지사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73,747 (52.03%) | 153,636 (46.01%) | + 20,111 (△6.02) | 336,743 (47.34%) | |||
진안동[A] | 51.80% | 46.34% | △5.45 | 37.42 | |||
병점1동 | 53.29% | 44.76% | △8.53 | 44.55 | |||
병점2동 | 56.89% | 41.43% | △15.46 | 47.07 | |||
반월동[B] | 52.93% | 45.57% | △7.37 | 47.65 | |||
기배동[C] | 52.55% | 45.62% | △6.94 | 44.71 | |||
화산동[D] | 49.28% | 48.70% | △0.58 | 42.64 | |||
동탄1동[E] | 53.52% | 44.75% | △8.77 | 47.36 | |||
동탄2동[F] | 57.86% | 40.78% | △17.08 | 53.02 | |||
동탄3동[G] | 59.51% | 38.70% | △20.81 | 44.86 | |||
동탄4동[H] | 54.06% | 44.21% | △9.85 | 55.04 | |||
동탄5동[I] | 53.79% | 44.26% | △9.53 | 45.94 | |||
동탄6동[J] | 51.79% | 46.21% | △5.58 | 41.59 | |||
동탄7동[K] | 55.18% | 43.13% | △12.05 | 45.07 | |||
동탄8동[L] | 56.25% | 42.26% | △13.99 | 46.76 | |||
새솔동[M] | 54.38% | 44.01% | △10.37 | 44.92 | |||
봉담읍[N] | 53.83% | 44.10% | △9.73 | 42.80 | |||
우정읍[O] | 43.17% | 53.54% | ▼10.37 | 45.55 | |||
향남읍 | 55.16% | 42.55% | △12.61 | 36.82 | |||
남양읍[P] | 48.34% | 49.50% | ▼1.16 | 39.92 | |||
매송면[Q] | 38.49% | 60.07% | ▼21.58 | 48.16 | |||
비봉면 | 35.82% | 62.36% | ▼26.55 | 47.99 | |||
마도면 | 38.22% | 60.11% | ▼21.89 | 43.57 | |||
송산면 | 33.68% | 64.29% | ▼30.62 | 43.20 | |||
서신면 | 34.82% | 63.43% | ▼28.62 | 44.72 | |||
팔탄면 | 38.29% | 59.68% | ▼21.39 | 40.43 | |||
장안면 | 36.95% | 60.02% | ▼23.08 | 40.08 | |||
양감면 | 32.72% | 65.32% | ▼32.60 | 44.29 | |||
정남면 | 36.63% | 62.12% | ▼25.49 | 41.21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
거소투표 | 48.33% | 43.02% | △5.32 | ||||
관외사전투표 | 51.07% | 46.48% | △4.59 | ||||
국회의원 선거구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화성시 갑[R][77] | 46.39% | 51.46% | ▼5.07 | 40.85 | |||
화성시 을[S][79] | 54.02% | 44.11% | △9.91 | 43.39 | |||
화성시 병[T][81] | 54.61% | 43.68% | △10.93 | 47.56 | |||
후보 | 김동연 | 김은혜 | 격차 | 투표율 | |||
동 지역(병점)[U] | 52.81% | 45.39% | △7.42 | 43.35 | |||
동탄신도시[V] | 55.13% | 43.15% | △11.98 | 47.26 | |||
읍 지역[W] | 52.25% | 45.48% | △6.77 | 40.29 | |||
면 지역[X] | 36.31% | 61.80% | ▼25.49 | 43.25 | |||
화성시장 선거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정명근 | 구혁모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176,631 (53.03%) | 156,386 (46.96%) | + 20,245 (△6.08) | 336,736 (47.34%) | |||
진안동[A] | 52.87% | 47.13% | △5.74 | 37.42 | |||
병점1동 | 53.94% | 46.06% | △7.88 | 44.55 | |||
병점2동 | 58.42% | 41.58% | △16.84 | 47.07 | |||
반월동[B] | 54.12% | 45.88% | △8.24 | 47.65 | |||
기배동[C] | 53.52% | 46.48% | △7.04 | 44.71 | |||
화산동[D] | 50.89% | 49.11% | △1.78 | 42.64 | |||
동탄1동[E] | 54.22% | 45.78% | △8.44 | 47.36 | |||
동탄2동[F] | 59.27% | 40.73% | △18.54 | 53.02 | |||
동탄3동[G] | 60.74% | 39.26% | △21.48 | 44.86 | |||
동탄4동[H] | 53.91% | 46.09% | △7.82 | 55.04 | |||
동탄5동[I] | 53.95% | 46.05% | △7.90 | 45.94 | |||
동탄6동[J] | 51.66% | 48.34% | △3.32 | 41.59 | |||
동탄7동[K] | 54.11% | 45.89% | △8.22 | 45.07 | |||
동탄8동[L] | 57.03% | 42.97% | △14.06 | 46.76 | |||
새솔동[M] | 55.05% | 44.95% | △10.10 | 44.92 | |||
봉담읍[N] | 55.55% | 44.45% | △11.10 | 42.80 | |||
우정읍[O] | 45.47% | 54.53% | ▼9.06 | 45.55 | |||
향남읍 | 57.25% | 42.75% | △14.50 | 36.82 | |||
남양읍[P] | 49.98% | 50.02% | ▼0.04[102] | 39.92 | |||
매송면[Q] | 40.10% | 59.90% | ▼19.80 | 48.16 | |||
비봉면 | 38.23% | 61.77% | ▼23.54 | 47.99 | |||
마도면 | 39.57% | 60.43% | ▼20.86 | 43.57 | |||
송산면 | 35.93% | 64.07% | ▼28.14 | 43.20 | |||
서신면 | 37.47% | 62.53% | ▼25.06 | 44.72 | |||
팔탄면 | 39.83% | 60.17% | ▼20.34 | 40.43 | |||
장안면 | 40.39% | 59.61% | ▼19.22 | 40.08 | |||
양감면 | 36.06% | 63.94% | ▼27.88 | 44.29 | |||
정남면 | 38.29% | 61.71% | ▼23.42 | 41.21 | |||
후보 | 정명근 | 구혁모 | 격차 | ||||
거소투표 | 54.62% | 45.38% | △9.24 | ||||
관외사전투표 | 52.05% | 47.95% | △4.10 |
20대 대선 화성시 개표 결과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283,324 (52.69%) | 236,055 (43.90%) | + 47,269 (△8.79) | 542,027 (77.00%) | |||
진안동[A] | 52.69% | 43.88% | △8.81 | 68.58 | |||
병점1동 | 53.42% | 43.10% | △10.32 | 75.58 | |||
병점2동 | 58.01% | 38.37% | △19.64 | 76.81 | |||
반월동[B] | 52.93% | 43.86% | △9.07 | 78.21 | |||
기배동[C] | 56.33% | 39.81% | △16.52 | 79.97 | |||
화산동[D] | 52.99% | 43.66% | △9.33 | 71.72 | |||
동탄1동[E] | 50.45% | 46.50% | △3.95 | 78.25 | |||
동탄2동[F] | 55.79% | 41.09% | △14.70 | 81.09 | |||
동탄3동[G] | 56.82% | 39.75% | △17.07 | 78.40 | |||
동탄4동[H] | 52.61% | 44.44% | △8.17 | 83.93 | |||
동탄5동[I] | 52.45% | 44.08% | △8.37 | 77.65 | |||
동탄6동[J] | 49.94% | 46.78% | △3.16 | 74.75 | |||
동탄7동[K] | 53.60% | 43.26% | △10.34 | 76.77 | |||
동탄8동[L] | 55.60% | 40.87% | △14.72 | 79.56 | |||
새솔동[M] | 56.50% | 40.35% | △16.14 | 78.10 | |||
봉담읍[N] | 55.61% | 40.54% | △15.08 | 72.80 | |||
우정읍[O] | 48.68% | 47.43% | △1.25 | 70.92 | |||
향남읍 | 57.48% | 38.97% | △18.50 | 67.95 | |||
남양읍[P] | 51.20% | 45.08% | △6.12 | 69.10 | |||
매송면[Q] | 42.86% | 54.18% | ▼11.33 | 73.71 | |||
비봉면 | 41.81% | 55.25% | ▼13.45 | 74.06 | |||
마도면 | 44.96% | 52.02% | ▼7.05 | 71.09 | |||
송산면 | 38.12% | 58.67% | ▼20.55 | 71.05 | |||
서신면 | 40.09% | 56.94% | ▼16.86 | 70.25 | |||
팔탄면 | 47.97% | 49.14% | ▼1.18 | 74.21 | |||
장안면 | 45.05% | 51.29% | ▼6.24 | 65.29 | |||
양감면 | 46.18% | 50.88% | ▼4.70 | 78.61 | |||
정남면 | 43.88% | 52.46% | ▼8.58 | 71.29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6.87% | 47.13% | ▼0.25 | ||||
관외사전투표 | 50.17% | 46.21% | △3.96 | ||||
재외투표 | 64.42% | 32.18% | △32.24 | ||||
국회의원 선거구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화성시 갑[R][122] | 50.75% | 45.82% | △4.93 | 70.52 | |||
화성시 을[S][124] | 52.85% | 43.95% | △8.90 | 78.72 | |||
화성시 병[T][126] | 54.90% | 41.53% | △13.37 | 74.63 | |||
후보 | 이재명 | 윤석열 | 격차 | 투표율 | |||
동 지역(병점)[U] | 54.08% | 42.45% | △11.63 | 74.38 | |||
동탄신도시[V] | 53.33% | 43.45% | △9.87 | 78.68 | |||
읍 지역[W] | 54.86% | 41.42% | △13.43 | 70.16 | |||
면 지역[X] | 43.53% | 53.30% | ▼9.77 | 71.83 |
21대 총선 화성시 개표 결과 | ||||||||||||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송옥주 | 최영근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58,689 (49.65%) | 52,291 (44.24%) | + 6,398 (△5.41) | 119,449 (59.89%)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봉담읍[131][132] | 39.91% | 55.85% | ▼15.94 | 50.13 | |||||||
우정읍[O][134] | 44.19% | 48.33% | ▼4.15 | 57.68 | ||||||||
향남읍 | 55.76% | 37.41% | △18.35 | 56.13 | ||||||||
남양읍[P] | 53.62% | 40.65% | △12.97 | 55.73 | ||||||||
매송면[Q] | 41.61% | 52.93% | ▼11.32 | 60.33 | ||||||||
비봉면 | 37.02% | 57.73% | ▼20.70 | 62.44 | ||||||||
마도면 | 42.04% | 51.80% | ▼9.75 | 56.99 | ||||||||
송산면 | 34.82% | 60.22% | ▼25.40 | 58.49 | ||||||||
서신면 | 35.33% | 59.39% | ▼24.05 | 56.83 | ||||||||
팔탄면 | 42.25% | 51.51% | ▼9.26 | 57.90 | ||||||||
장안면 | 40.57% | 53.14% | ▼12.57 | 53.13 | ||||||||
양감면 | 37.65% | 57.99% | ▼20.34 | 63.18 | ||||||||
정남면 | 39.12% | 55.79% | ▼16.67 | 56.05 | ||||||||
새솔동[M] | 66.07% | 28.65% | △37.43 | 65.88 | ||||||||
후보 | 송옥주 | 최영근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41.60% | 41.25% | △0.35 | |||||||||
관외사전투표 | 52.62% | 41.10% | △11.51 | |||||||||
재외투표 | 72.56% | 24.77% | △47.79 |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을)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이원욱 | 임명배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98,612 (64.53%) | 52,802 (34.55%) | + 45,810 (△29.98) | 154,360 (68.8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동탄1동[E] | 64.05% | 35.04% | △29.01 | 67.08 | |||||||
동탄2동[F] | 69.89% | 29.36% | △40.53 | 71.34 | ||||||||
동탄4동[H] | 63.88% | 35.25% | △28.64 | 72.98 | ||||||||
동탄5동[I] | 64.53% | 34.45% | △30.08 | 65.71 | ||||||||
동탄6동[J] | 60.80% | 38.30% | △22.49 | 60.58 | ||||||||
동탄7동[K] | 63.00% | 36.11% | △26.89 | 63.96 | ||||||||
동탄8동[L] | 64.45% | 34.57% | △29.88 | 64.00 | ||||||||
후보 | 이원욱 | 임명배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57.28% | 37.68% | △19.60 | |||||||||
관외사전투표 | 66.53% | 32.35% | △34.18 | |||||||||
재외투표 | 69.39% | 30.60% | △38.80 |
국회의원 선거 (화성시 병) |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미래통합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권칠승 | 석호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득표율) | 88,793 (64.45%) | 47,377 (34.38%) | + 41,416 (△30.06) | 139,281 (63.41%)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진안동[A] | 63.21% | 35.69% | △27.52 | 55.63 | |||||||
병점1동 | 64.95% | 33.89% | △31.06 | 61.50 | ||||||||
병점2동 | 67.20% | 31.72% | △35.48 | 64.21 | ||||||||
반월동[B] | 64.10% | 35.08% | △29.02 | 65.87 | ||||||||
기배동[C] | 62.66% | 36.19% | △26.47 | 64.60 | ||||||||
화산동[D] | 55.98% | 42.65% | △13.33 | 58.73 | ||||||||
동탄3동[G] | 70.61% | 28.44% | △42.17 | 63.93 | ||||||||
봉담읍[150][151] | 62.48% | 36.33% | △26.15 | 60.09 | ||||||||
후보 | 권칠승 | 석호현 | 격차 | 투표율 | ||||||||
거소·선상투표 | 62.05% | 36.75% | △25.30 | |||||||||
관외사전투표 | 67.55% | 30.58% | △36.97 | |||||||||
재외투표 | 77.01% | 22.98% | △54.04 |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 (득표율) | 110,707 (27.89%) | 148,203 (37.34%) | 41,800 (10.53%) | 32,435 (8.17%) | 25,376 (6.39%) | - 37,496 (▼9.45) | 413,056 (64.18%)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16px;" | 진안동[A] | 26.94% | 38.65% | 10.84% | 8.24% | 5.15% | ▼11.72 | 55.63 | |||||||
병점1동 | 25.99% | 39.85% | 10.35% | 7.56% | 5.35% | ▼13.87 | 61.50 | ||||||||
병점2동 | 24.89% | 41.66% | 10.92% | 7.03% | 6.48% | ▼16.77 | 64.21 | ||||||||
반월동[B] | 27.15% | 38.80% | 10.66% | 8.54% | 6.54% | ▼11.65 | 65.87 | ||||||||
기배동[C] | 28.02% | 38.17% | 10.06% | 6.34% | 6.24% | ▼10.15 | 64.61 | ||||||||
화산동[D] | 33.45% | 35.97% | 9.18% | 5.49% | 4.55% | ▼2.51 | 58.72 | ||||||||
동탄1동[E] | 25.35% | 37.89% | 11.03% | 10.79% | 7.37% | ▼12.54 | 67.08 | ||||||||
동탄2동[F] | 22.76% | 40.20% | 11.48% | 9.19% | 8.27% | ▼17.44 | 71.34 | ||||||||
동탄3동[G] | 20.89% | 42.81% | 11.75% | 8.86% | 7.43% | ▼21.92 | 63.92 | ||||||||
동탄4동[H] | 23.72% | 37.58% | 12.46% | 11.98% | 8.08% | ▼13.86 | 72.97 | ||||||||
동탄5동[I] | 24.25% | 38.33% | 11.73% | 10.40% | 7.64% | ▼14.07 | 65.71 | ||||||||
동탄6동[J] | 25.27% | 36.33% | 11.86% | 10.94% | 7.34% | ▼11.07 | 60.58 | ||||||||
동탄7동[K] | 23.58% | 38.79% | 12.29% | 10.84% | 6.97% | ▼15.21 | 63.95 | ||||||||
동탄8동[L] | 23.00% | 39.40% | 11.15% | 10.41% | 7.58% | ▼16.40 | 64.02 | ||||||||
새솔동[M] | 22.87% | 41.36% | 11.57% | 8.93% | 6.23% | ▼18.49 | 65.87 | ||||||||
봉담읍[N] | 28.68% | 38.57% | 10.17% | 6.72% | 5.46% | ▼9.90 | 59.32 | ||||||||
우정읍[O] | 38.09% | 29.68% | 8.63% | 4.34% | 5.15% | △8.41 | 57.66 | ||||||||
향남읍 | 27.62% | 39.09% | 9.97% | 6.35% | 5.51% | ▼11.47 | 56.13 | ||||||||
남양읍[P] | 32.18% | 34.72% | 9.35% | 6.66% | 5.47% | ▼2.54 | 55.73 | ||||||||
매송면[Q] | 41.44% | 29.14% | 6.16% | 5.14% | 4.09% | △12.30 | 60.33 | ||||||||
비봉면 | 46.46% | 25.47% | 6.99% | 4.71% | 3.56% | △20.99 | 62.44 | ||||||||
마도면 | 43.25% | 28.57% | 7.02% | 4.72% | 4.38% | △14.68 | 56.96 | ||||||||
송산면 | 48.12% | 23.36% | 6.06% | 4.33% | 3.15% | △24.76 | 58.50 | ||||||||
서신면 | 48.02% | 25.88% | 5.78% | 4.40% | 2.78% | △22.14 | 56.84 | ||||||||
팔탄면 | 42.53% | 28.72% | 7.65% | 4.42% | 4.75% | △13.82 | 57.89 | ||||||||
장안면 | 42.56% | 28.74% | 7.03% | 4.74% | 3.83% | △13.82 | 53.13 | ||||||||
양감면 | 46.48% | 27.50% | 6.76% | 3.64% | 3.38% | △18.98 | 63.18 | ||||||||
정남면 | 44.96% | 26.78% | 7.04% | 4.63% | 3.95% | △18.19 | 56.05 | ||||||||
정당 |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 |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 |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30.01% | 28.13% | 9.52% | 10.67% | 3.75% | △1.88 | |||||||||
관외사전투표 | 27.03% | 36.89% | 10.50% | 7.41% | 7.58% | ▼9.86 | |||||||||
재외투표 | 22.29% | 36.78% | 11.26% | 5.74% | 16.09% | ▼14.48 |
경기도 화성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 ||
구분 | 선거구명 | 지역 |
국회의원 | 화성시 갑 | 봉담읍(일부)[갑],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 새솔동 |
화성시 을 | 동탄1동, 동탄2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 | |
화성시 병 | 봉담읍(일부)[병],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 |
도의원 | 화성시1 | 봉담읍(일부)[갑],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
화성시2 |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 |
화성시3 | 동탄1동, 동탄2동 | |
화성시4 |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 |
화성시5 | 동탄7동, 동탄8동 | |
화성시6 | 봉담읍(일부)[병], 기배동, 화산동 | |
화성시7 |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 |
화성시8 | 반월동, 동탄3동 |
경기도 농촌 지역의 특성으로 보수 세력이 꽉 잡고 있던 지역이었으나, 동탄신도시 입주를 기점으로 진보 세력이 뚜렷하게 성장하는 곳이다. 도시 지역과 농촌 지역의 성향이 매우 크게 갈리는데, 대표적으로 양대 진영이 1:1 구도로 붙었던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잘 드러난다.
급격한 인구 변화는 화성시의 국회의원 의석 수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화성군 시절이던 2000년 16대 총선만 해도 오산시와 선거구가 묶여 0.5석이었던 것이, 시로 승격된 2004년 17대 총선에서 첫 단독 선거구가 되고, 2008년 18대 총선과 2012년 19대 총선에선 화성시 갑/을(2석)로 분구되었다. 이후에도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2016년 20대 총선, 2020년 21대 총선에선 병 구가 추가되어 총 3석이 되었다. 동탄2신도시, 송산그린시티, 남양지구, 향남지구 등의 입주가 여전히 진행 중이라 22대 총선 때는 4개로 선거구 증가가 유력하다.
갑 선거구는 동탄, 병점, 봉담을 제외한 서부 지역으로 굉장히 보수 성향이 강했다. 그러나 이 지역도 송산그린시티 및 향남읍, 남양읍 등이 개발되면서 젊은 층의 유입이 늘어나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37,272표를 얻어 26,579표를 얻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10,693표차로 이겼고, 이후 모든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을 선거구는 동탄으로 이루어진 선거구로, 19대 총선과 20대 총선에서는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의 이원욱 후보가 당선되면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가 높아졌다. 동탄신도시가 위치해 있는 덕분에 젊은층이 많아 더불어민주당에게 유리한 지역구로 변화하였다.
병 선거구는 병점과 봉담으로 구성된 선거구로 20대 총선에서 신설된 지역구이다. 을 선거구와 더불어 젊은 층이 많은 지역구라 더불어민주당에게 비교적 유리한 지역구이다. 이 지역구에서는 더불어민주당 권칠승 후보가 무난히 당선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6%의 득표율을 얻어 경기도에서 1위를 했다.[173]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불과 17.9%를 얻는데 그쳤고, 중도를 표방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도 22.1%를 얻어 1위와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졌다. 불과 5년 전 18대 대선만 해도 박근혜 후보가 승리했었지만, 인구 구조가 급변하면서 정치 지형이 바뀌었다. 문 후보는 동탄에서만 무려 53.9%의 득표율을 올렸고, 병점 지역에서도 40% 후반대의 압도적인 득표율이 나왔다. 동부 지역 한정으로 호남과 세종시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문 후보 득표율이 높았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여전히 민주당의 강세임을 입증하였다. 다만, 이번에는 다른 선거들과 다르게 이재명의 득표율은 52.69%, 윤석열의 득표율은 43.9%로 두 후보간의 득표율 차는 8.79%p 차이로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을 지역구(동탄), 병 지역구(병점, 봉담)에서 격차가 확 줄었는데, 5년 전 2위 후보와 30%p 격차를 벌리던 동탄에서 10%p 미만 격차가 되었고, 동탄1동, 6동은 두 후보 사이에 3%p밖에 차이가 나지 않았다. 결국 부동산 이슈가 이 지역에도 영향을 끼쳤음이 확인되었다.
하지만 8회 지방선거에서는 동탄신도시에서 다시 민주당의 몰표를 몰아주는 경향이 보였다.[174] 특히 동탄2동, 3동, 8동에는 압도적으로 민주당으로 몰아주었다. 그러나 화성시 갑 지역구에서는 다시 보수성향이 두드러지고 있는데, 특히 남양읍에서는 국민의힘 후보를 더 찍었으며, 화성시 병 지역구에서는 화산동만 박빙이 되었다.
화성시 국회의원 | |||||||
화성군 | |||||||
13대 | 박지원,(초선), | ||||||
오산시·화성군 | |||||||
14대 | [[민주자유당| | ||||||
15대 | [[자유민주연합| | ||||||
16대 | [[새천년민주당| | ||||||
화성시 | |||||||
17대 | [[열린우리당| | ||||||
고희선(초선)[176] | |||||||
화성시 갑 | 화성시 을 | ||||||
18대 | 김성회,(초선), | 박보환,(초선), | |||||
19대 | [[새누리당| | 이원욱,(초선), | |||||
[[새누리당| | |||||||
화성시 갑 | 화성시 을 | 화성시 병 | |||||
20대 | [[새누리당| | 이원욱,(재선), | 권칠승,(초선), | ||||
21대 | 송옥주,(재선), | 이원욱,(3선), | 권칠승,(재선), |
화성군수 → 화성시장 | |||||||
화성군수 | |||||||
1기(95~98) | [[민주자유당| | ||||||
2기(98~02) | [[새정치국민회의| | ||||||
우호태 ,(초선)[180], | |||||||
화성시장 | |||||||
3기(02~06) | | ||||||
최영근 ,(초선)[182], | |||||||
4기(06~10) | 최영근 ,(재선), | ||||||
5기(10~14) | [[민주당(2008년)| | ||||||
6기(14~18) | [[새정치민주연합| | ||||||
7기(18~22) | 서철모 ,(초선), | ||||||
8기(22~26) | 정명근 ,(초선), |
9. 군사
땅덩이에 비해 큰 군사시설은 없는 편이다. 매송면에 제51보병사단 본부가 있고, 봉담에서 발안으로 넘아가는 길 근처에 해병대사령부가 있다. 다만 병점권은 제10전투비행단의 수원 공군기지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지역이며, 이 수원비행장을 화성으로 이전하는 것에 대해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당연히 현지 반발이 심하다. 이는 매향리 사격장이 소음과 오폭 등의 문제로 50년 넘게 고통받다가 폐쇄되었는데, 다시 근처에 공군기지가 들어온다고 하면 그 피해는 더욱 심할 것이기 때문이다.[184]
10. 관광
11. 행정구역
| |
동부지역의 법정동[185] | |
| |
화성시의 행정구역 | 동부지역의 행정동[186] |
화성시청 본청 |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
화성시청 동부출장소 | 경기도 화성시 병점3로 23 (진안동) |
화성시청 동탄출장소 |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로 122 5~8층 (오산동) |
다만 화성시청의 일부 과는 시청 청사의 문제인지 아님 지역 균형을 위함인지, 차량등록사업소와 함께 향남읍에 위치한 화성종합경기타운 내에 있다. 향남읍, 우정읍, 양감면, 장안면, 팔탄면 쪽의 물건지 관련으로 세금 신고를 하려면 이쪽으로 가자.
11.1. 행정구역 개편과 광역시 승격 논의
12. 사건 사고
13. 다른 도시와의 관계
13.1. 수원시, 오산시와의 관계
위에 서술되있다시피 현 화성시와 수원시, 오산시는 원래 다 수원군 지역이였다.13.2. 자매우호 도시
13.2.1. 국내
- 서울특별시 송파구 2020. 1. 13.
- 전라남도 완도군 2020. 6. 30.
- 경기도 부천시 1996. 9. 3.
- 서울특별시 서초구 2009. 3. 5.
- 강원도 평창군 2009. 3. 17.
- 경상남도 합천군
14. 여담
- 봉담읍에는 한국에 체류 중인 태국인들을 위한 불교 사원인 왓풋타랑씨서울이 있다.
- 향남읍 제암리에서 교과서에서도 나오는 일제의 만행 중 하나인 제암리 학살사건이 일어났었다.
- 이름이 화성시이기 때문에 가끔 가다 화성시 출신이라고 하면 화성에서 온 외계인이냐고 농담을 던지는 사람들이 은근 많으며, 일론 머스크의 화성 우주여행 계획을 알리는 기사에도 “서울에서 버스타면 얼마 안나와요”라는 드립이 베댓이 되기도 했다. 이 드립을 응용해 무한도전 마션 특집을 여기서 찍었다.
- 마도면에 화성직업훈련교도소가 있다.
- 경기도 내 일반시 중 7번째로[189] 화성에도 용인과 성남처럼 일반구를 설치할 예정이다. 예정으로는 동탄신도시를 A구, 봉담-정남-태안지역을 B구, 그외 지역에 C구를 설치할 예정으로 총 3개 구청이 설립될 예정이다.화성시 구청 설립 계획 그러나 인구가 이제 90만 명 진입을 앞두고 있고, 실제 화성시에서도 100만 명 돌파 시 4구청으로 염두에 두고 있다.
- 우체국에서는 동 지역(새솔동 제외), 봉담읍, 정남면을 소포우편물에 한해 충남 천안권역(중부권광역우편물류센터)으로 분류한다.
15. 출신 인물
16. 주요 시설물
1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인구 50만 이상 특례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width=25%> ||<width=25%>![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1] ||<width=25%>![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2][3] ||
성남시 ||<width=25%> ||<width=25%>
시흥시[1] ||<width=25%>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0%><bgcolor=#00a664> ||<width=20%><bgcolor=#8c8c70,#8f8f72> ||<width=20%><bgcolor=#76b624><color=#373a3c> ||<width=20%><bgcolor=#004ea2> ||<width=20%><bgcolor=#f35a3a> ||
}}}}}}}}} || [1]: 현재 일반구 미설치 지역. [2]: 도농복합시 [3]: 2023년 1월 예정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위 | 도시명 | 광역자치단체 | 인구 (2022)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1 | | 9,436,836명 | ||
2 | | 3,320,276 명 | ||
3 | | 2,962,388명 | ||
4 | | 2,366,852명 | ||
5 | | 1,446,863명 | ||
6 | | 1,432,651명 | ||
7 | | | 1,189,654명 | |
8 | | 1,111,707명 | ||
9 | | | 1,077,111명 | |
10 | | | 1,074,705명 | |
11 | | | 1,023,269명 | |
12 | | | 920,667명 | |
13 | | | 904,267명 | |
14 | | | 849,207명 | |
15 | | | 792,561명 | |
16 | | | 737,352명 | |
17 | | | 657,210명 | |
18 | | | 652,695명 | |
19 | | | 645,952명 | |
20 | | | 576,192명 |
[1] 추후 3구청 설치 계획이 있다.[2] 2022년 1월 1일 화성시청 면적 통계[3] 서쪽의 간척 사업으로 인해 늘어난 면적(지번이 부여되지 않아 면적 조사에서 제외되었다.)까지 포함하면 844㎢, 해수면 면적 282.13㎢까지 포함 시 총 1,126.13㎢.[4]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5]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계철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김경희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이은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전성균, 김상균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영수, 배정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배현경, 유재호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장철규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이해남
비례대표: 위영란, 이용운[6]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공영애, 송선영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조오순, 정흥범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차순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김종복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상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박진섭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김미영, 임채덕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오문섭
비례대표: 명미정[7] 화성시 제1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홍근 (초선)
화성시 제3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박세원 (재선)
화성시 제4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신미숙 (초선)
화성시 제5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태형 (재선)
화성시 제6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김회철 (초선)
화성시 제7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이은주 (3선)
화성시 제8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박진영 (초선)[8] 화성시 제2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박명원 (초선)[9] 캐릭터의 원본은 팔레오아티스트 줄리어스 크소토니(Julius Csotonyi)의 코레아케라톱스 복원도다. 길쭉한 비율과 진한 색감 때문에 시청 부서에서 인쇄물에 활용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어 2019년 8월에 리뉴얼되었다.[10] 주소는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가는 법은 H65번, 310번, H404번, 999번, 1001번, 1002번, 1008번을 이용하면 된다.[11]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12] 이곳은 원래의 수원화성 건설 전 원래의 수원 시가지가 존재하던 곳으로, 정조대왕 능행차행사가 서울에서부터 이곳까지 50km가 넘는 구간을 통해 진행된다.[13] 시에서는 행정안전부에 3개의 일반구 설치 신청을 마친 상태이며, 향후 급속한 인구증가로 인하여 2020년대 후반에는 4개의 일반구로 분구할 계획이 있다.[14] 해수면 상으로만 접한다.[15] 제부도에서 동탄2신도시까지의 직선거리는 48.1km로, 이는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또한 화성시 매송면에서 직선거리로 48.1km를 그어보면 무려 의정부시, 파주시까지 닿는 상황을 목격할 수 있다.[16] 동서격차로 유명한 대전광역시도 화성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대전은 신도심과 원도심의 무게중심 차이 정도라면, 화성은 서쪽에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같은 화성시민으로서의 동질감이나 소속감을 찾아볼 수도 없다! 동부지역 주민들은 오히려 인접한 수원과의 동질감이 훨씬 크고 서북부 새솔동 주민들은 안산과의 동질감이 훨씬 크다.[17] 동부출장소 관할 지역 중 정남면을 포함한 화성시 본청 관할 지역[18] 화성시청 소재지. 시청이 동이 아닌 읍에 있다. 용현면에 시청이 있는 경상남도 사천시와 함께 화성시는 시임에도 시청이 시내 동 구역이 아닌 곳에 있는 유이한 지역이다.[19] 강원도 동해시와 비슷한 인구밀도이다.[20] 정남면을 제외한 화성시 동부출장소, 동탄출장소 관할 지역[21] 태안3지구, 안녕2지구 개발이 진행중인 경부선 서측의 화산동과 기배동은 철로로 경부선 동측의 병점과 단절되어 비교적 농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기배동은 오히려 봉담읍 생활권에 가깝다.[22] 태안지구는 2004년, 동탄1신도시는 2007년, 동탄2신도시는 2015년 입주를 시작하였다.[23]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비슷한 인구밀도이다.[24] 다행히 대한민국 3대 미제 사건 중 하나인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은 2019년에 해결됐다.[25] 참고로 가장 활동력 있는 도시의 2위는 서울특별시.[26] 현 병점동, 진안동[27] 동탄1신도시 지역[28] 동탄2신도시 지역[29]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30] 현재 수원버스터미널이 있는 곳이다.[31] 「수원고읍성 (水原古邑城)」, 문화재청[32] 2022년 1월 기준. 노란색은 서부, 파란색은 동부 지역이다. 다만 동부지역 중 경부선 서측에 해당하는 화산동과 기배동은 도시화가 비교적 진행되지 않았다.[33] 동탄-병점권이 연담화되어있기는 하지만 동서로 길게 연결되어있어 동탄1신도시-병점이나 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간의 교류는 많으나 병점-동탄2신도시간의 교류는 많지 않다. 동탄2신도시의 북동탄을 제외한 지역(리베라cc 이남)은 병점역보다는 오산대역이나 오산역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34] 동탄신도시-송산그린시티간 거리는 서로 분당, 부천보다도 멀리 떨어져 있다.[35] 화성 내의 간선교통(동서)으로는 2021년에야 비로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JC~마도JC가 개통되어 송산~남양~봉담~병점~동탄의 연결이 되었다. 대중교통으로는 이 지역들 간의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점, 송산~동탄권에 해당되지 않는 조암, 향남 등과의 연결은 여전히 부실하다는 점은 화성시에게 아직도 숙제로 남아 있지만 대신 이 모든 지역에서 수원시나 서울특별시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당장 위의 도시구조 지도만 보아도 알 수 있으며, 크게 서쪽은 서해안선(예정)으로, 중부는 경부선으로, 동부는 수서평택고속선으로 서울과 연결된다.[36]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화성시 동부지역의 경우 인프라와 생활을 전적으로 수원시에 의존하고 있다. 비슷한 사례로는 이 도시.[37] 분구되기 전의 일산구, 분당구, 원미구, 덕양구, 동안구, 권선구, 장안구, 팔달구, 중원구, 만안구, 수정구[38] 경기도 1-4위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성남시이다.[39] 분당신도시 면적의 약 1.8배[40] 공급과잉으로 인한 주택 가격 하락과 역전세난 문제가 있다. 관련기사[41] 출처: 매일경제 1999년 11월 26일 기사[42] 동부지역 관할[43] 서부지역 관할[44]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45] 화성동부경찰서와 분립[46] 정남면, 반월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동탄1~8동[47] 오산경찰서와 분립[48] 의용소방대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52] 화성, 오산의 고등학교 목록에 들어가서 보면 화성시의 고등학교 대부분이 동쪽에 많이 있다. 그 다음으로 향남읍이 그나마 고등학교가 많은수준. 초등학교나 중학교도 마찬가지다.[53] 병점고, 화성고, 삼괴고, 동탄국제고[54] 사실 이건 저출산 시대에 그만큼 화성시가 아이들이 많은 젊고 활력 있는 도시라는 의미도 된다.[55] 특히 동탄 내 내신커트라인 높은 학교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도 평준화 반대 여론이있었으며 1년후배들이 내신커트라인 낮아졌다고 이에 대해 비난하는 경우도 있기도하다.[56] 병점과 그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대부분 착각하는 사실은 한신대학교가 화성시에 속해 있을거란 생각이지만, 한신대학교는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여기는 행정구역 상 오산시이지만 정문에서 200m만 나가면 바로 화성시 안녕동이다. 오산시내보다 수원, 병점이 더 가깝다.[57] 단 수원가톨릭대학교는 통학생이 거의 없다. 일부 수도자나 평신도 학생들은 통학하지만, 학생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구신부 지망 신학생들은 엄격한 규율 아래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며, 외출 또한 엄격하게 통제된다. 이는 신부를 양성하는 가톨릭 신학대학이라면 다 똑같다.[58] 대한민국/범죄통계 문서 참조.[A] 법정동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B]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기안동 + 배양동[D] 법정동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E] 법정동 석우동 · 반송동(일부). 메타폴리스가 있는 동탄1신도시[F] 법정동 반송동(일부). 동탄1신도시[G]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H] 법정동 청계동. 동탄2신도시[I] 법정동 영천동 · 중동. 동탄2신도시[J] 법정동 오산동 · 방교동 · 금곡동. 동탄2신도시[K] 법정동 목동 · 신동 · 산척동 · 송동. 동탄2신도시[L] 법정동 장지동 동탄2신도시[M] = 송산그린시티[N]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및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O]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있는 동네[P] 화성시청 및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있는 동네[Q] 제51보병사단이 있는 동네[R] 새솔동,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77]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S] 동탄1동, 동탄2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79]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T]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봉담읍[81]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U]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V] 동탄1~8동[W] 남양읍, 봉담읍, 우정읍, 향남읍[X]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A] 법정동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B]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기안동 + 배양동[D] 법정동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E] 법정동 석우동 · 반송동(일부). 메타폴리스가 있는 동탄1신도시[F] 법정동 반송동(일부). 동탄1신도시[G]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H] 법정동 청계동. 동탄2신도시[I] 법정동 영천동 · 중동. 동탄2신도시[J] 법정동 오산동 · 방교동 · 금곡동. 동탄2신도시[K] 법정동 목동 · 신동 · 산척동 · 송동. 동탄2신도시[L] 법정동 장지동 동탄2신도시[M] = 송산그린시티[N]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및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O]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있는 동네[P] 화성시청 및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있는 동네[102] 단 3표 차이였다[Q] 제51보병사단이 있는 동네[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122]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S] [124]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T] [126]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U] [V] [W] [X] [131]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132] 남부 미개발지역 한정(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O] [134] 송옥주 후보의 고향[P] [Q] [M] [E] [F] [H] [I] [J] [K] [L] [A] [B] [C] [D] [G] [150]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가 있는 동네[151] 북부 개발지역 한정(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갑] 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병] 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갑] [병] [173] 시/군 단위로만 계산할 경우. 구 단위까지 따지면 수원 영통에 이어 2위다.[174] 동탄6동만 제외.[175] 06.11.10.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176] 07.4.25. 재보궐선거[177] 13.8.25. 별세[178] 13.10.30. 재보궐선거[179] 99.10.22. 군수직 사퇴 (뇌물수수로 구속)[180] 99.12.9. 재보궐선거[181] 05.1.27.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로 구속)[182] 05.4.30. 재보궐선거[183] 14.7.24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 임기 종료 후 대법원 선고[184] 다만 군부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크다. 원래 허허벌판이었던 곳에다 군 공항을 지었는데 도시가 확장되면서 비행단의 보안이 도심 빌딩들에게 뚫려 어쩔 수 없이 이전해야 되는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대도시에 있는 대부분의 군부대나 교도소 등이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85] 청색 지역은 구 태안읍, 적색 지역은 구 동탄면이다.[186] 동탄7동, 동탄8동 분동이 아직 반영이 안 된 지도다.[187]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은 제외, 정남면 포함[188]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 포함[189] 수원시, 성남시, 안양시, 고양시, 안산시, 용인시. 원래 부천시에도 일반구가 있었으나 2016년 폐지됐다.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김경희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이은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전성균, 김상균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영수, 배정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배현경, 유재호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장철규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이해남
비례대표: 위영란, 이용운[6] 화성시 가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공영애, 송선영
화성시 나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조오순, 정흥범
화성시 다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차순임
화성시 라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김종복
화성시 마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상수
화성시 바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박진섭
화성시 사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김미영, 임채덕
화성시 아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오문섭
비례대표: 명미정[7] 화성시 제1선거구 (봉담읍(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 향남읍, 팔탄면, 양감면, 정남면): 이홍근 (초선)
화성시 제3선거구 (동탄1동, 동탄2동): 박세원 (재선)
화성시 제4선거구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신미숙 (초선)
화성시 제5선거구 (동탄7동, 동탄8동): 김태형 (재선)
화성시 제6선거구 (봉담읍(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 기배동, 화산동): 김회철 (초선)
화성시 제7선거구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이은주 (3선)
화성시 제8선거구 (반월동, 동탄3동): 박진영 (초선)[8] 화성시 제2선거구 (우정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장안면, 새솔동): 박명원 (초선)[9] 캐릭터의 원본은 팔레오아티스트 줄리어스 크소토니(Julius Csotonyi)의 코레아케라톱스 복원도다. 길쭉한 비율과 진한 색감 때문에 시청 부서에서 인쇄물에 활용할 때 많은 어려움을 겪어 2019년 8월에 리뉴얼되었다.[10] 주소는 남양읍 시청로 159 (남양리) 가는 법은 H65번, 310번, H404번, 999번, 1001번, 1002번, 1008번을 이용하면 된다.[11]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다.[12] 이곳은 원래의 수원화성 건설 전 원래의 수원 시가지가 존재하던 곳으로, 정조대왕 능행차행사가 서울에서부터 이곳까지 50km가 넘는 구간을 통해 진행된다.[13] 시에서는 행정안전부에 3개의 일반구 설치 신청을 마친 상태이며, 향후 급속한 인구증가로 인하여 2020년대 후반에는 4개의 일반구로 분구할 계획이 있다.[14] 해수면 상으로만 접한다.[15] 제부도에서 동탄2신도시까지의 직선거리는 48.1km로, 이는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에서 서울특별시청까지에 해당하는 거리이다! 또한 화성시 매송면에서 직선거리로 48.1km를 그어보면 무려 의정부시, 파주시까지 닿는 상황을 목격할 수 있다.[16] 동서격차로 유명한 대전광역시도 화성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이다. 대전은 신도심과 원도심의 무게중심 차이 정도라면, 화성은 서쪽에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같은 화성시민으로서의 동질감이나 소속감을 찾아볼 수도 없다! 동부지역 주민들은 오히려 인접한 수원과의 동질감이 훨씬 크고 서북부 새솔동 주민들은 안산과의 동질감이 훨씬 크다.[17] 동부출장소 관할 지역 중 정남면을 포함한 화성시 본청 관할 지역[18] 화성시청 소재지. 시청이 동이 아닌 읍에 있다. 용현면에 시청이 있는 경상남도 사천시와 함께 화성시는 시임에도 시청이 시내 동 구역이 아닌 곳에 있는 유이한 지역이다.[19] 강원도 동해시와 비슷한 인구밀도이다.[20] 정남면을 제외한 화성시 동부출장소, 동탄출장소 관할 지역[21] 태안3지구, 안녕2지구 개발이 진행중인 경부선 서측의 화산동과 기배동은 철로로 경부선 동측의 병점과 단절되어 비교적 농촌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으며, 기배동은 오히려 봉담읍 생활권에 가깝다.[22] 태안지구는 2004년, 동탄1신도시는 2007년, 동탄2신도시는 2015년 입주를 시작하였다.[23]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비슷한 인구밀도이다.[24] 다행히 대한민국 3대 미제 사건 중 하나인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은 2019년에 해결됐다.[25] 참고로 가장 활동력 있는 도시의 2위는 서울특별시.[26] 현 병점동, 진안동[27] 동탄1신도시 지역[28] 동탄2신도시 지역[29] 화성행궁 앞 지금의 후생병원 자리에 있었다. 군청이 있었음을 알리는 표석[30] 현재 수원버스터미널이 있는 곳이다.[31] 「수원고읍성 (水原古邑城)」, 문화재청[32] 2022년 1월 기준. 노란색은 서부, 파란색은 동부 지역이다. 다만 동부지역 중 경부선 서측에 해당하는 화산동과 기배동은 도시화가 비교적 진행되지 않았다.[33] 동탄-병점권이 연담화되어있기는 하지만 동서로 길게 연결되어있어 동탄1신도시-병점이나 동탄1신도시-동탄2신도시간의 교류는 많으나 병점-동탄2신도시간의 교류는 많지 않다. 동탄2신도시의 북동탄을 제외한 지역(리베라cc 이남)은 병점역보다는 오산대역이나 오산역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34] 동탄신도시-송산그린시티간 거리는 서로 분당, 부천보다도 멀리 떨어져 있다.[35] 화성 내의 간선교통(동서)으로는 2021년에야 비로소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화성JC~마도JC가 개통되어 송산~남양~봉담~병점~동탄의 연결이 되었다. 대중교통으로는 이 지역들 간의 이동이 여전히 어려운 점, 송산~동탄권에 해당되지 않는 조암, 향남 등과의 연결은 여전히 부실하다는 점은 화성시에게 아직도 숙제로 남아 있지만 대신 이 모든 지역에서 수원시나 서울특별시로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당장 위의 도시구조 지도만 보아도 알 수 있으며, 크게 서쪽은 서해안선(예정)으로, 중부는 경부선으로, 동부는 수서평택고속선으로 서울과 연결된다.[36]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 화성시 동부지역의 경우 인프라와 생활을 전적으로 수원시에 의존하고 있다. 비슷한 사례로는 이 도시.[37] 분구되기 전의 일산구, 분당구, 원미구, 덕양구, 동안구, 권선구, 장안구, 팔달구, 중원구, 만안구, 수정구[38] 경기도 1-4위는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성남시이다.[39] 분당신도시 면적의 약 1.8배[40] 공급과잉으로 인한 주택 가격 하락과 역전세난 문제가 있다. 관련기사[41] 출처: 매일경제 1999년 11월 26일 기사[42] 동부지역 관할[43] 서부지역 관할[44] 새솔동, 남양읍, 봉담읍, 향남읍, 우정읍, 서신면
송산면, 팔탄면, 비봉면, 매송면, 마도면, 양감면[45] 화성동부경찰서와 분립[46] 정남면, 반월동, 병점1동, 병점2동, 진안동, 화산동, 기배동, 동탄1~8동[47] 오산경찰서와 분립[48] 의용소방대이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52] 화성, 오산의 고등학교 목록에 들어가서 보면 화성시의 고등학교 대부분이 동쪽에 많이 있다. 그 다음으로 향남읍이 그나마 고등학교가 많은수준. 초등학교나 중학교도 마찬가지다.[53] 병점고, 화성고, 삼괴고, 동탄국제고[54] 사실 이건 저출산 시대에 그만큼 화성시가 아이들이 많은 젊고 활력 있는 도시라는 의미도 된다.[55] 특히 동탄 내 내신커트라인 높은 학교들 디시인사이드 갤러리에서도 평준화 반대 여론이있었으며 1년후배들이 내신커트라인 낮아졌다고 이에 대해 비난하는 경우도 있기도하다.[56] 병점과 그 인근에 사는 주민들이 대부분 착각하는 사실은 한신대학교가 화성시에 속해 있을거란 생각이지만, 한신대학교는 경기도 오산시 양산동에 위치해 있다. 그런데 여기는 행정구역 상 오산시이지만 정문에서 200m만 나가면 바로 화성시 안녕동이다. 오산시내보다 수원, 병점이 더 가깝다.[57] 단 수원가톨릭대학교는 통학생이 거의 없다. 일부 수도자나 평신도 학생들은 통학하지만, 학생 대부분을 차지하는 교구신부 지망 신학생들은 엄격한 규율 아래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하며, 외출 또한 엄격하게 통제된다. 이는 신부를 양성하는 가톨릭 신학대학이라면 다 똑같다.[58] 대한민국/범죄통계 문서 참조.[A] 법정동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B]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기안동 + 배양동[D] 법정동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E] 법정동 석우동 · 반송동(일부). 메타폴리스가 있는 동탄1신도시[F] 법정동 반송동(일부). 동탄1신도시[G]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H] 법정동 청계동. 동탄2신도시[I] 법정동 영천동 · 중동. 동탄2신도시[J] 법정동 오산동 · 방교동 · 금곡동. 동탄2신도시[K] 법정동 목동 · 신동 · 산척동 · 송동. 동탄2신도시[L] 법정동 장지동 동탄2신도시[M] = 송산그린시티[N]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및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O]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있는 동네[P] 화성시청 및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있는 동네[Q] 제51보병사단이 있는 동네[R] 새솔동, 우정읍, 향남읍, 남양읍,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77]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S] 동탄1동, 동탄2동, 동탄4동, 동탄5동, 동탄6동, 동탄7동, 동탄8동)[79]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T]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 동탄3동, 봉담읍[81]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U] 진안동, 병점1동, 병점2동, 반월동, 기배동, 화산동[V] 동탄1~8동[W] 남양읍, 봉담읍, 우정읍, 향남읍[X] 매송면, 비봉면, 마도면, 송산면, 서신면, 팔탄면, 장안면, 양감면, 정남면[A] 법정동 진안동 · 기산동 · 반정동[B]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이 있는 동네[C] 법정동 기안동 + 배양동[D] 법정동 안녕동 · 송산동 · 황계동[E] 법정동 석우동 · 반송동(일부). 메타폴리스가 있는 동탄1신도시[F] 법정동 반송동(일부). 동탄1신도시[G] 법정동 능동. 동탄1신도시[H] 법정동 청계동. 동탄2신도시[I] 법정동 영천동 · 중동. 동탄2신도시[J] 법정동 오산동 · 방교동 · 금곡동. 동탄2신도시[K] 법정동 목동 · 신동 · 산척동 · 송동. 동탄2신도시[L] 법정동 장지동 동탄2신도시[M] = 송산그린시티[N]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 장안대학교 및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O]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이 있는 동네[P] 화성시청 및 현대자동차그룹 남양연구소가 있는 동네[102] 단 3표 차이였다[Q] 제51보병사단이 있는 동네[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122] 지역구 국회의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재선)[S] [124] 지역구 국회의원: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3선)[T] [126] 지역구 국회의원: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재선)[U] [V] [W] [X] [131] 대한민국 해병대사령부가 있는 동네[132] 남부 미개발지역 한정(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O] [134] 송옥주 후보의 고향[P] [Q] [M] [E] [F] [H] [I] [J] [K] [L] [A] [B] [C] [D] [G] [150] 수원대학교, 협성대학교가 있는 동네[151] 북부 개발지역 한정(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갑] 분천리, 왕림리, 세곡리, 당하리, 마하리, 유리, 덕리, 덕우리, 하가등리, 상기리[병] 상리, 내리, 수영리, 동화리, 와우리, 수기리[갑] [병] [173] 시/군 단위로만 계산할 경우. 구 단위까지 따지면 수원 영통에 이어 2위다.[174] 동탄6동만 제외.[175] 06.11.10.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176] 07.4.25. 재보궐선거[177] 13.8.25. 별세[178] 13.10.30. 재보궐선거[179] 99.10.22. 군수직 사퇴 (뇌물수수로 구속)[180] 99.12.9. 재보궐선거[181] 05.1.27. 시장직 상실 (뇌물수수로 구속)[182] 05.4.30. 재보궐선거[183] 14.7.24 당선무효 (선거법 위반). 임기 종료 후 대법원 선고[184] 다만 군부대 입장에서는 억울한 부분이 크다. 원래 허허벌판이었던 곳에다 군 공항을 지었는데 도시가 확장되면서 비행단의 보안이 도심 빌딩들에게 뚫려 어쩔 수 없이 이전해야 되는 상황이다. 이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대도시에 있는 대부분의 군부대나 교도소 등이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185] 청색 지역은 구 태안읍, 적색 지역은 구 동탄면이다.[186] 동탄7동, 동탄8동 분동이 아직 반영이 안 된 지도다.[187]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은 제외, 정남면 포함[188] 동탄신도시 구역에 포함된 능동(옛 태안읍 능리) 포함[189] 수원시, 성남시, 안양시, 고양시, 안산시, 용인시. 원래 부천시에도 일반구가 있었으나 2016년 폐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