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01-29 10:52:31

안산시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안산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안산(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7px -0px"<tablebordercolor=#004097>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특례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 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 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321a88><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안산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일반구
상록구 단원구
시청소재지 : 단원구
}}}}}}}}} ||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安山市
Ansan City
}}}
<colbgcolor=#321a88><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단원구 화랑로 387 (고잔동 515)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2 25행정동 30법정동
면적 144.92㎢[1]
인구 641,660명[2]
인구 밀도 4,424.23명/㎢[3]
시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민근 (초선)
시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석[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석[5]
도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석[6]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석[7]
국회
의원
<colbgcolor=#321a88><colcolor=#ffffff> 상록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해철 (3선)
상록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민 (재선)
단원 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고영인 (초선)
단원 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남국 (초선)
상징 시화 장미
시목 은행나무
시조 노랑부리백로
지역번호 031[8]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링크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안산시 위치.svg
안산시의 위치
파일:안산시 슬로건 이민근.png 파일:ghddl.jpg
슬로건 마스코트 홍이, 먹이[9]
파일:안산시청전경.jpg
안산시청[10]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자연 환경3.2. 인구3.3. 시흥시-안산시 간 행정구역 개편 문제
4. 도시구조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6.3. 금융
7. 생활문화
7.1. 교육7.2. 문화시설7.3. 치안7.4. 차량 등록7.5. 의료기관7.6. 스포츠
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사건사고 / 논란11. 여담12. 출신 인물13.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1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안산시청전경.jpg파일:mug_obj_201601041746376216.jpg
고잔동에 위치한 안산시청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
파일:stadium_01.jpg파일:안산호수공ㅇ.png
안산 와~스타디움 안산호수공원
파일:IMG_0594.jpg파일:본관_정면_1.jpg
서울예술대학교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파일:안산다뮤ㅜㄴ화.png 파일:문화광장세월호.png
안산역 일대의 안산다문화음식거리 안산문화광장에서의 세월호 사건 추모
파일:2019.12.17_점등식_전야제_1_(안산_그랑시티자이에서)_LR.jpg 파일:6aosOcb.jpg
그랑시티자이 상록수체육관
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

반월국가산업단지시화국가산업단지[11]가 소재하고 있는 수도권 공업의 핵심 지역이다. 서쪽과 북쪽으로는 시흥시, 동으로는 군포시, 의왕시[12], 수원시, 북동으로는 안양시[13], 인천광역시 연수구[14], 남으로는 화성시, 서로는 충청남도 당진시, 서산시, 인천광역시 옹진군[15]에 접한다.

2. 역사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안산시/역사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안산시라는 명칭은 1914년 일제에 의해 시흥군에 통폐합된(구한말에 안산군으로 넘어온 옛 광주군 지역은 수원군으로 이관) 옛 고을인 안산군에서 유래되었다.

3. 지리

3.1. 자연 환경

북쪽과 동쪽으로 얕은 구릉지가 있으며 주요 산으로는 광덕산 등이 있고 동쪽 끝에는 안산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수리산이 있다. 수리산은 군포시와의 경계를 이루는 지점이다. 시내 중심부에도 조그만 언덕들이 솟아 있는데 대부분 개발하지 않고 공원으로 남겨 놓았다. 덕분에 시내 녹지 비율이 전국 최상위권에 드는 녹색도시가 되었다.[16] 주요 하천으로는 서에서 동 순서로 신길천, 화정천, 안산천, 반월천 등이 있으며 모두 북쪽에서 발원해 시화호로 흘러간다. 신길천은 남서쪽으로 흘러 공단을 지나며 화정천과 안산천은 사이좋게 남으로 흐르다 호수공원 옆에서 하나로 합쳐진다. 반월천은 수리산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빙 돌아 갈대습지공원을 통해 시화호로 빠져나간다. 시화호를 만든 시화방조제의 중간 부분에는 세계 최대의 조력발전소인 시화호 조력발전소가 있다. 단순히 발전소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요트 마리나를 만들어서 관광지로 육성할 예정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기상청 예보에선 항상 인천수원에 묻혀 잘 나오지는 않지만 내륙인 수원보다는 인천의 기후와 많이 비슷하고 온대하우기후에 주로 속한다. 바닷가답게 서울이나 수원에 비해서는 여름엔 2도 정도 시원하고, 겨울엔 2도 정도 따뜻하다. 대부도 일원을 제외하면 해안가 도시의 특성도 없는 지역인데도 기후적으로는 해양성 기후의 특징이 섞여 있어 상당히 쾌적하다. 연 강수량은 1,300mm 가량으로 일반적인 서해안 지역처럼 많은 편이다. 배수시설이 잘 돼있어 웬만해서는 침수 피해도 나지 않는다. 다만 해양성 기후 특성상 여름에 많이 습한 편이다. 여름에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도 습도 90% 이상을 기록하는 날이 많으며, 야간 시간대에는 100%도 심심찮게 기록된다.

지금은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지만 의외로 현재의 선부동에 80년대까지 흑연을 생산하는 광산이 존재했으며 광업 종사자도 많았다고 한다. 일제 강점기 때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80년대에 채산성 악화와 도시개발로 인해 폐광되었다. 과거 지리 교과서에도 언급되었을 정도. 그러나 당시에는 시흥군 군자면 소속이었기 때문에 시흥 흑연 광산으로 소개되었고 따라서 안산에 광산이 있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석수중학교 뒷산에서 정지초등학교, 원일중학교, 동명 벽산 블루밍아파트를 지나 선부역 광장(구 다이아몬드 광장) 북쪽까지 구릉지가 있었는데 그 일대에서 흑연을 채굴했다. 지금은 개발로 인해 이 구릉지의 남쪽 절반은 평지화되었고 지금은 상가와 아파트가 들어서 있으며, 북쪽 절반은 공원으로 쓰이고 있다.

3.1.1. 대부도

대부도는 단원구 본토의 면적과 비슷한 큰 면적의 섬이며 대부분 구릉지를 이루고 있지만, 지금은 활발한 간척으로 평야가 굉장히 많아진 편이다. 지금의 대부도는 주변의 선감도, 탄도, 터미섬 등을 모두 간척해 메운 것으로 원래는 지금보다 면적이 훨씬 작았다고 한다. 대부도의 서쪽으로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속의 선재도와 영흥도로 이어지며 북쪽으로는 시화방조제를 통해 시흥시로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시화호와 경기만을 잇는 좁은 해협을 사이로 화성시와 마주하고 있다. 대부도는 칼국수포도가 유명한데, 안산에 하도 특산품이 없다 보니 대부포도가 안산의 특산품으로 인정받고 있다.[17] 행정구역상 풍도가 대부도에 속해 있다. 수도권에서 가까운 해양 관광지라 가족 관광객도 많이 오고 대학생들이 MT로 놀러오기도 하며 갯벌에서 노느라 시간 가는 줄 모른다고 한다.

인천광역시지역번호(032)를 사용하는 대부도는 안산시청이나 안산역에서 30분 간격[18]으로 다니는 123번 시내버스를 타면 되지만, 풍도는 얄짤없다. 대부도에서 배를 빌려서 가거나, 인천 연안부두나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하루 한 번 다니는 여객선인 서해누리호를 타고 가야 한다. 행정구역이 안산으로 되어 있다고 해서 방심하면 혼난다.

참고로 대부도, 선감도, 탄도, 풍도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 소속이며[19], 대부동의 해당 해역 지역도 넓고, 해역 경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뿐 아니라 심지어 충청남도 당진시 서산시 관할 해역까지 접해있다.

섬 안에 각 각 파출소도 있는데 안산단원경찰서 대부파출소, 대부파출소 풍도분소로, 안산단원경찰서 소속이다. 해경도 파출소를 두고 있으며 시화방조제 방조제 입구의 대부파출소, 방조제 입구에 안산파출소가 그것들. 이들은 모두 평택해양경찰서 소속. 물론, 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도 안산시 단원구 소속으로 되어 있다.

대부도에 해당하는 행정구역인 대부동을 대부면으로 전환하자는 움직임이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대부도, 단원구 항목 참조.

3.2. 인구

파일:안산시 CI.svg경기도 안산시 인구 추이
(1980년~현재)
1979년 화성군 반월면(일부), 시흥군 군자면(일부)·수암면(일부) → 경기도 반월출장소 설치
1980년 31,139명
1985년 96,616명
1986년 반월출장소 → 안산시 승격
1990년 252,407명
1995년 504,615명
2000년 566,912명
2005년 679,011명
2010년 714,891명
2015년 697,885명
2020년 650,559명
2022년 12월 641,66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00만 명

2022년 12월 기준 주민등록인구는 641,660명이다. 한창 때는 외국인 포함 80만에 가까운 인구수를 찍기도 했지만 인구 상승 요인이 줄어들면서 인구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2010년대 이후 재건축이 활발해지고 서해선이 개통하면서 인구 증가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오히려 인구는 끝을 모르고 계속 감소했다. 이게 어느 정도냐면 자그마치 2013년 10월부터 76개월(6년 4개월) 연속으로 주민등록 인구가 감소했을 정도다. 그러다가 2020년 2월 드디어 그랑시티자이 입주에 힘입어 652명이 증가하며 증가세로 돌아섰고, 3월에는 1,552명이 증가하며 증가폭을 키우는가 싶었으나 2022년 5월부로 인구수 65만마저 붕괴되었다.

국내에서 주민들의 평균 연령이 젊은 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통계청의 '2010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안산시는 고령화지수 35.7, 고령자 비율 6.6%로 우리 나라에서 가장 젊은 5대 도시에 들었고, '2013년 고령자 통계'에서도 65세 이상 인구 비율 6.9%로 고령자 비율이 가장 낮은 시군구 8위를 차지하였다.

80년대부터 인구가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했으며, 그 영향으로 성냥갑 아파트가 많다. 특히 주공아파트 천국이다. 아주 계획적으로 지어진 도시여서 옛날에 이렇게 급격하게 인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언덕 위에 지어진 주택은 보기 힘들다. 야트막한 구릉지는 개발하지 않고 공원 명목으로 남겨두어 최대한 평지 상태로 개발했기 때문에 경사로 자체도 별로 없어서 도시 외관이 상당히 깔끔하다. 성장세는 2000년대 중반에 와서 고잔신도시의 개발이 끝나고 둔화되었다.

그린벨트로 묶인 땅도 많으며 개발할만한 땅은 거의 다 개발했기 때문이다. 베드타운 성격이 강한 부천시, 고양시 등과 달리 안산은 반월국가산업단지로 어느 정도 자급자족이 가능한 도시라 공단이 차지하는 면적도 만만치 않다. 도시 면적의 3분의 1을 공단이 차지한다고 봐도 무방하다. 안산시가 면적이 경기도에선 중간크기지만 30%가 대부도와 풍도 등 도서 지역의 면적이다.

인구 순위는 경기도 내에서는 수원, 고양, 용인, 성남, 부천, 화성, 남양주에 이어 8위며 전국 19위다. 원래는 6위였으나 화성시(2017년 10월), 남양주시(2018년 3월), 전라북도 전주시(2019년 10월), 충청남도 천안시(2019년 11월)에 인구가 역전당했다.

안산시 하면 외부인은 으레 외국인을 떠올리듯, 안산은 전국에서 외국인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지자체이고 실제 안산시의 외국인 주민인구는 2020년 2월 기준 88,128명이다. 2013년 1월 말에는 전체 인구 758,000여 명 중 약 53,000명이 외국인, 2015년 3월 말에는 전체 인구 76여 만 명 중 70,000명 가량이 외국인이라는 수치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외국인 인구 수는 2010년대 들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외국인을 제외한 순수 인구는 오히려 빠져나간 것이나 다름없다. 2015년 인구총조사 기준으로 안산 인구 중 외국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8.6%에 달했고, 이 중 8할이 단원구에 살고 있는 연유로 단원구에만 한정하면 14.3%까지 올라갔다. 동별로 나누면 가장 비율이 높은 곳은 원곡1동(45.6%)과 원곡본동(44.7%), 선부2동(23.1%) 순. 인구 사정이 이렇다보니 안산시에서도 다문화 정책을 적극 후원하고 있는 중이다.

안산이 본격적으로 외국인에 개방적인 도시가 된 것은 2000년대에 와서였으므로 현재 안산시의 새로운 이슈는 다문화 가정과 그 자녀들의 교육이다. 2000년대 중반까지도 학교에서 피부색이 다르거나 혼혈인 학생은 많이 없었으나 외국인들이 가정을 꾸리고 그들이 학교에 취학한 2010년 전후가 되면서 자연스럽게 학급에서 한국인 아이들과 외국계 아이들이 어울리게 되었다.안산시의 어떤 초등학교대부분의 학생들이 다문화 가정 출신이다.외국인 학생의 비율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간혹 탈북자 출신 가정에서 자란 아이들이 입학하거나 전학오기도 한다.

국적별로는 2015년 3월 기준 안산시청 통계에 따르면 조선족, 중국, 우즈베키스탄, 베트남, 인도네시아, 고려인, 필리핀, 네팔, 캄보디아, 스리랑카 순이다. 상록구는 별로 그렇지 않지만 단원구의 경우 거리를 돌아다니다 보면 피부색이 다르거나 꽤 이색적인 옷차림을 한 사람들을 다른 지역보다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물론 단원구의 외국인 비중이 14%라면 얼핏 들어서 10명 중 1명 이상이 외국인이란 소리이니 엄청 많이 보일 것 같지만 안산에 사는 외국인들 중 조선족의 비율이 64%고 중국인의 비율이 11%로 합치면 4분의 3이 중국계라 겉보기로는 잘 구별해내기 힘들다. 그래서 항상 이색적인 사람들을 볼 수 있는 건 아니다.

그래서인지 안산 시민들은 아무리 순혈 한국인이라고 하더라도 인종차별 등의 발언 및 행동에 굉장히 기겁하며 웬만해선 동조하지 않으려고 한다. 실험 영상 촬영 시점인 2021년 현재 반중감정이 전례 없이 극에 치닫는 와중에도 (반중 감정과는 별개로) 꽤 많은 시민들이 길을 물어보는 중국인에게 친절하게 안내를 해 주며, 다짜고짜 증오발언을 내뱉는 사람에게 따끔하게 일침을 가하는 등의 반응을 보인다.

그리고 젊은 도시다. 일단 학교가 상당히 많고, 최근에는 저출산의 영향으로 줄어든 감이 있지만 2000년대까지도 한 반에 40명 넘어가는 학급도 아주 평범했고 심하면 50명에 근소하게 못 미치는 48명, 49명 선에서 학급이 구성됐다. 이러니 서울에서 30명대 정도가 표준이 된 21세기에도 50명 이상이 수업받는 콩나물 학급이 안산 어딘가에 존재했을지도 모르는 일. 또한 공업도시니만큼 남성 인구가 더 많아 성비가 상당히 치우쳐 있다. 물론 이는 외국인 인구의 영향이 있기는 하지만 안산은 기본적으로 남초도시다. 2020년 2월 기준 안산의 성비는 105.18이다.

3기 신도시 추진과 함께 진행되는 중소규모 택지지구 중 안산장상지구(13,000호), 안산신길2지구(7,000호)가 포함되면서 인구가 늘어나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서울과 가깝지만 미개발지가 많던 건건동, 사사동 지역이 3기 신도시 의왕군포안산신도시에 포함되면서 인구가 늘어날 가능성이 더욱 더 커졌다.

3.3. 시흥시-안산시 간 행정구역 개편 문제

파일:attachment/행정구역 개편/경기권/Divided_SiHeung.png
: 부천시
: 시흥시 가운데 과거 부천군 소래면[20]에 해당하는 지역
: 시흥시 가운데 과거 시흥군 군자면·수암면[21]에 해당하는 지역
: 안산시

안산시의 이웃 도시인 시흥시의 도시 구조 및 역사적인 이유, 실제 생활권 문제 때문에 안산시-시흥시를 대상으로 한 행정구역 개편 논의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행정구역 개편/수도권/기초자치단체 통합 문서 참조.

4. 도시구조

국가산업단지 배후로 계획 된 창원시, 비슷한 구조로서, 대한민국의 대표 초기 계획 신도시들 중의 하나다. 특히 서울 구로공단[22] 이전 계획 및 포화된 서울시 인구 이전 목적으로 계획된 도시이다.
기본적으로 도시환경 위해서 안산시 초기 반월신도시 1단계 계획부터 공업지역과 주거상업지역을 별도 구획 된 다핵구조로 계획되었다. 공업지역은 서남쪽 낮은구릉 및 해안간척지역에 계획되었으며,주거와 상업지역의 경우 서부지역을 군자지구과 동부지역은 수암지구로 나누어 각각 방사형태로 구획과 더불어 직교방사선 도로망이 계획되었고, 서울과 교통 연계 위해서 안산선 철도가 계획되었다. 또한 공원확보와 도시환경을 위해 평지가 아닌 작은 구릉지와 야산지역은 도시녹지로 지정해서 구획 개발했다. 1단계 개발 사업을 1993년 완료 후에 대규모 주거 아파트 계획을 포함한 안산시 2단계 도시계획이 1997년 시작으로 고잔신도시 이름으로 도시개발이 되었다. 2010년 이후 2020년대까지 신길지구 개발와 더불어 기존 군자와 고잔 일대에서 아파트단지들의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고잔동(안산)(중앙동) - 안산시를 대표하는 번화가. 중앙역(안산)앞에 위치해있다. 중앙동의 법적동 이름은 기존 고잔동과 고잔신도시지역의 호수동과 같이 고잔동으로 묶여있으며, 생활권으론 보통 중앙동 외에도 성포동, 월피동, 부곡동을 함께 일컫는다. 번화가인 중앙동은 안산시 중심 상업지역으로써 2019년 대한민국 100대 상권 48위에 들정도로 규모가 크다. 스타벅스가 3개나 입점해있으며, 롯데백화점다이소가 위치해있다. 영화관으로는 메가박스롯데시네마가 위치해 있으며, 교육시설로는 서울예술대학교가 위치해있다. 성포동에 있는 선경아파트는 안산 개발 초기에 부촌으로 인지도가 있었으며, 현재는 안산 센트럴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중앙, 파크 푸르지오등의 아파트가 그 명성을 승계했다. 또한 중앙동은 기존 고잔동과 함께 안산시청, 의회, 안산단원경찰서, 안산소방서, 안산세무서 등 주요 관공서와 상급종합병원인 고려대학교 안산병원이 위치해 있으며, 광덕로 동서 경계를 중심으로 핵심 사무업무지역을 형성한다.
  • 고잔신도시 - 주로 4호선 이남 당시 고잔동(현 호수동), 초지동, 해양동 그리고 일부 이동, 사동(안산) 일대이며, 1997년이후 개발된 신도시이다. 전체 시지역의 동서로 관통하는 수인선 안산선 남쪽 개발제한구역과 협궤수인선 고잔역 근처에 소규묘 자연부락인 원고잔이 있던 지역으로, 70년대까지 거의 갯벌였던 곳이며 도시개발 전에는 전용농지지역이였다. 반월공업도시 1단계 당시에는 공업지역과 주거지역 간 완충공간 및 안산천과 화정천이 합류되어 군자만으로 흐르는 유수지 기능에 따른 개발제한구역였다. 하지만 시화방조제 건설로 인해 유수지 기능을 상실하였고, 1단계 완료 후 도시의 인구 성장과 포화에 따라서 안산신도시 2단계 개발함으로써, 반월 및 시화공단 근로자의 택지공급과 서울인구의 분산, 수도권지역 택지 공급 기여 그리고 원래 1단계 안산시 개발에 따른 도시구조 재편성 및 시발전 위해서 개발되었다. 중심지는 안산문화광장으로 이곳에 신안산선 호수역이 생길 예정이다. NC백화점, CGV 안산, 롯데하이마트, 홈플러스 스페셜 안산고잔점, 롯데시네마, 맥도날드, 이마트 안산고잔점등 상권이 발달되어 있으며, 랜드마크라고 할 수있는 안산 레이크타운 푸르지오가 위치한다.
  • 선부동[23] - 서해선 선부역이 위치한 선부광장을 중심으로한 생활권을 일컫는다. 홈플러스 안산선부점, 맘스터치, 한도병원등이 위치한다. 이 동네 주민들은 선부동 생활권을 동명과 세반으로 나누는데 동명은 위에 적힌 것과 같이 선부광장 중심 상권이며, 세반은 동명 북쪽에 아파트단지[24]를 지나면 나오는 롯데마트와 학원가일대를 말한다. 최근 재개발 광풍이 불어 점차 신도시화되가고 있다.
  • 안산역 다문화거리 - 원곡동 일대를 지칭한다. 외국인 비율이 한국인 비율을 넘어서는 곳이다. 외부에서도 유명한 그 곳 맞다. 한글 간판보다 중국 간판을 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등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체험할 수 있다. 안산역 바로 앞에 버스정류장이 있는데, 이 버스정류장은 안산을 지나는 거의 대부분의 버스가 거쳐갈 정도로 규모가 크다.[25] 그리고 길건너 신길동에 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이 위치한다.

5. 교통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의 교통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도로 고속도로 영동선, 서해안선, 평택시흥선, 수도권제2순환선
국도 39번(중앙대로), 42번(수인로), 47번, 77번
지방도 84번, 98번, 301번, 313번, 305번, 322번
버스 노선버스 안산시 버스 목록
터미널 안산종합버스터미널
철도 파일:Seoulmetro4_icon.svg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파일:SeohaeLine_icon.svg 달미 · 선부 · 초지 · 시우 · 원시
파일:SBLine_icon.svg 사리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파일:SinansanLine_icon.svg 장하 · 성포 · 중앙 · 호수 · 한양대에리카캠퍼스 · 달미 · 선부 · 초지 · 시우 · 원시
해운 대부도 방아머리항
공공자전거 페달로[1], 카카오 T 바이크, 에브리바이크
[1] 2021년 12월 31일 부로 사업 종료 }}}}}}}}}
경기도의 교통

6. 경제

6.1. 산업

두말할 필요 없이 반월국가산업단지시화국가산업단지가 있는 수도권 최대의 제조업 지역이다. 도시 자체가 이를 기반으로 성장하였으며, 이웃 시흥시의 산단까지 영향력 안에 두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앞으로도 유지될 전망이다.

또 제조업에 묻혀서 그렇지 농업어업도 안산을 책임지는 산업들이다. 단지 현재는 공업의 발달로 농업과 어업은 예전만 못해서 그럴 뿐이다. 특산물로는 포도가 가장 유명하며, 또 포도에 묻혀서 그렇지 도 나름대로 유명하다. 이것들 외에는 토마토, 오이, 방울토마토, 상추, 배추, 시금치, 쑥갓, 고추 등이 재배되나, 포도와 쌀의 아성에는 못 미친다.

6.2. 상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산시/상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3. 금융

안산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
국가기관
안산우체국 (16)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16)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10)
시중은행
신한은행 (12) 우리은행 (8)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7)
국민은행 (12)
지방은행
대구은행 (1)
외국은행[27]
중국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군자농협 (6) 안양원예농협 (1) 안양축산농협 (1) 안산농협 (7)
반월농협 (8) 인천강화옹진축산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경기남부수협 (1) 옹진수협 (1)
새마을금고
안산중앙새마을금고 안산새마을금고 화랑새마을금고 단원새마을금고
상록새마을금고 반월새마을금고 안산제일새마을금고 안산시청새마을금고
두산인프라코어안산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안산중앙신용협동조합 군자신용협동조합 신반월신용협동조합 안산서부신용협동조합
수암동신용협동조합 시흥제일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페퍼저축은행 (1) OK저축은행 (1)

7. 생활문화

7.1. 교육

안산시내 중고등학교는 남중남고, 여중여고가 단 한 곳도 없으며 모두 다 남녀공학이지만, 고등학교의 경우 남녀분반이 절반 이상이다. 2014년 정도 까지는 성비 불균형으로 인해 생긴 잉여반 마저 얄짤없이 분반으로 운영하는 고교들이 대부분이었다. 3년 내내 전체 학년 합반을 하는 고등학교는 손가락에 꼽는다. 안산은 경기도 답지 않게 합반 고등학교를 찾아보기가 힘든 지역이다.

여담으로, 안산과 마찬가지로 관내 모든 중고등학교가 남녀공학인 지역이 경기도에 한 곳 더 있는데 이곳은 안산이랑 반대로 남녀분반 고등학교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이다.[29] 이곳은 분반 고등학교가 있다고 해도 문이과 구별이 없는 1학년만 분반이며 합반을 굉장히 당연시 여기는 곳이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산시/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문화시설

안산와~스타디움[30]과 전국에서 5위 안에 든다는 안산문화예술의전당과 경기도미술관 등이 있다. 두 개 짓고 남은 땅에 돔구장까지 짓겠다고 자칭 범시민 추진 위원단까지 생겼으나 돔구장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소리없이 묻혔다. 안산문화예술의전당에선 소소한 공연이나 콘서트가 자주 열린다. 와~ 스타디움도 한때 애물단지로 전락하다가 후에 경찰청 축구단이 연고지로 삼았고 2017년 5월 현재는 시민구단 안산 그리너스가 홈 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추가로 2010년에 안산문화광장이 생겨 그 주변으로 상권이 발달되고있다.

안산을 대표하는 축제로는 2005년부터 매년 5월마다 개최되는 안산국제거리극축제가 있다. 2013년부터는 밸리 록 페스티벌대부도에서 열었으나, 2015년의 막장 운영으로 많은 이들에게 비난을 받았고, 감사원이 일대 토지 무단 이용을 적발함에 따라 결국 2016년부터는 열지 못하게 되었다.

도서관에 대해서는 안산시 공공도서관 목록 참조.

7.3. 치안

사건사고 문단을 보면 알겠지만 안산에는 굵직한 사건이 꽤 존재했었기에 언론에 보도되는 빈도가 많았고, 거기에 반월공단으로 그 주변에 외국인 노동자가 많은 것에 대한 편견이 뒤섞여 안산의 치안에 대한 인식은 시궁창이 되어있다. 대표적으로 "안산드레아스"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심지어 기자들도 알고 있다. # 물론 이것은 안산 밸리 록 페스티벌에서 벌어진 문제지만.

그러나 몇몇 네임드급 범죄가 언론에 노출되어 이미지가 다소 과장 되었는데, 2019년 범죄통계에 따르면 10만명당 강력범죄 발생건수는 경기도 3위, 전국 9위이며, 폭력범죄 발생건수는 경기도 1위, 전국 6위 수준이다. 순위가 높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결과가 어쩔 수 없는게 경기도 범죄율이 타 광역시도에 비해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이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치안이 좋고 안전하다고 보는 서울특별시의 범죄 발생빈도보다 낮다. 안산의 과장된 이미지만큼 살기 나쁜 도시도 아니란 것. 어쩌다 한 번 일어나는 게 핵폭발 급. 유일한 문제가 있다면 어쩌다 한번 일어나는 전국을 충격에 빠뜨릴만한 사건들이 여기 아니면 수원산토스에서 자꾸 터진다는것 정도.

또한 외국인 노동자의 경우도 반월공단 쪽에 주로 근무하기에 안산역 부근, 즉, 원곡동 등에 주로 거주하고, 나머지 동네는 그다지 외노자가 많다고 하기 어렵다. 안산에서도 신도시 느낌 물씬 나는 곳들은 여느 경기도 신도시들과 분위기가 별 다르지 않다. 물론 외노자 주 거주지가 어디냐는 얘기는 별개로, 그 이전에 외노자는 무조건 위험하다는 사회적 편견이 더 문제인 것일 수 있다. 내국인, 외국인 관계 없이 범죄자가 나쁜 것이고 주의해야하는 대상이지, 오히려 외노자라도 국내 사회적 분위기상 일정부분 차별받는 상황 속에서 착하고 성실하게 묵묵히 자기 일 열심히 사람도 많기 때문에 개인의 문제지 집단으로 보는 우를 범하는 것은 좋지 않다. 외국인 노동자 문제에 나온 내용 등을 감안해서 개인의 주관은 뭐라 못 하겠지만, 너무 편협한 시각이나 제노포비아로는 빠지지 않아야 한다.

2020년에는 악명 높은 아동 성폭행범 조두순의 출소를 앞두고 시민들이 불안에 떨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조. 그리고 결국 2020년 말엽 조두순은 출소해서 집으로 귀가했다. 그 과정에서 바닥에 드러누워 차량 진행을 막거나, 차량을 추격하거나 경찰과 충돌하는 시위 참가자들도 있었다고 한다.

7.4. 차량 등록

안산시는 1992년 까지만 하여도 차량 등록 업무를 전적으로 안양시에서 전적으로 전담하여 의존되었으나, 20여km나 이격하게 된 안양시로 나가야 하는 불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기사에 따르면, 그 때에는 2만여 대 이상의 차량[31]이 안산시에서 운행하였던 것으로 보인다.[32] 관련 링크 그러나 1993년 등록소 설치 이후 경기X쿠/버YYYY로 바뀌었다가 1996년 번호 개정에 따라 승용은 42와 43을, 승합은 73가~머, 화물은 86, 특수는 98머로 시작하였던 것으로 나온다. 경기도 승용 번호 중 44로 시작되는 차량번호가 결번인 이유는 해당 수가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외된 것으로 보인다.

영업용 차량번호는 택시:42바,43바, 버스:73바,73사, 화물:86바.

7.5. 의료기관

주요 의료기관으로 상급종합병원이자 대학병원인 고려대학교 안산병원(834병상)과, 종합병원으로는 근로복지공단 안산병원(383병상), 단원병원(299병상), 한도병원(292병상), 사랑의병원(222병상)이 있다. 이 중 한도병원은 대아의료재단에서 운영하던 당시에는 고려대안산병원 다음으로 큰 병원이었으나, 경영난으로 2020년에 부도가 났고 2021년 현재 석경의료재단[33]에서 인수할 예정이다.

한편 안산에 캠퍼스가 있는 한양대학교가 대학 부지에 종합병원 건립을 위한 MOU를 안산시 측과 체결하였다. 다만 현재 안산의 인구가 줄고 있고, 고려대안산병원의 입지가 워낙 탄탄하다 보니 실제로 한양대학교가 투자할 지는 미지수이다.

7.6. 스포츠

여자프로농구 6년 연속 우승을 한 안산 신한은행 에스버드의 연고지다. 옛 신한은행 안산지점 건물을 훈련소로 쓰고 있다. 경기는 와동체육관에서 열렸지만, 와동체육관은 애초에 좌석 수도 적은 등 프로농구 경기에도 부적합했던 곳이었고 와동체육관 사용을 두고 안산 시민들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신한은행은 2013-14 챔피언결정전 4차전을 마지막으로 인천광역시연고지 이전을 하게 됐다. 이제 안산시민들이 농구를 보려면 안양시안양실내체육관이나 수원시수원 KT 소닉붐 아레나로 가면 된다.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파일:stadium_01.jpg
안산 그리너스 FC 안산와~스타디움

프로축구는 안산와~스타디움을 사용하는 안산 그리너스 FC가 있다. 과거엔 안산 할렐루야의 연고지였고, 할렐루야 단장 이영무이영표랑 아는 사이었기 때문에 2010년 7월에 열렸던 월드컵 대표팀 자선경기가 이 곳 안산에서 했었다. 그렇지만 안산시 축구협회에서는 할렐루야 축구단을 쫒아내고 시민구단을 창단하기 위해 힘을 쓰고 있는데, 할렐루야 축구단은 2011 시즌이 끝난 후 하남시로 옮겨가기로 했지만 시에서 1년 추가로 연고협약을 맺으며 결국 2012년까지 안산에 머물게 되었다. 현재 안산시에서 시민구단 만들자는 건의문이 여야 만장일치로 채택되었다고 한다. 안산시에 시민구단이 만들어지면 경기도에서는 인근 안양이나 수원, 부천에 이어서 4번째 시민구단이 된다. 그 기세로 성남 일화 천마의 인수를 시도했지만 성남시에서 축구단을 인수하면서 무산되었고, 안산 경찰청 프로축구단공식 출범하였다. 2016시즌 안산시가 새로 시민축구단을 창단하기로 결정했고 경찰청축구단은 아산시로 연고지를 이적해 재창단하기로 예정되어있다. 2017년 2월 안산 그리너스 FC가 창단식을 가지고 2017년 K리그2에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2021년에는 인도네시아 국가대표 선수인 아스나위를 영입하는 등 지역색을 존중하는 행보를 보여주고 있다.

한 때 와~ 스타디움 옆 부지에 돔구장 건축이야기가 활발하게 돌았고, 실제로 넥센 히어로즈 측에서 안산 돔 건설 시 연고지 이전을 고려했었으나 돔구장 건설 자체가 백지화되어버린 후 잊혀진지 오래고, 현재 수원에 kt wiz가 창단되어 안산에 야구단이 들어올 가능성은 없다.

2013-14시즌부터 안산 러시앤캐시 베스피드가 신축된 상록수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삼고 새롭게 창단되어 들어왔고, 13-14시즌 최종성적 11승 19패로 6위의 성적을 거둬 연고지로 자리잡았다. 현재 '안산 OK저축은행 러시앤캐시'에 이어 안산 OK금융그룹 읏맨로 이름이 바뀐 상태. 14-15시즌엔 리그 내내 좋은 성적을 거둬 강팀으로 성장해 안산시민 팬이 많이 늘었으며 창단 2년만에 우승까지 차지했다. 구단 자체적으로 안산시의 배구팀이 있는 초-중-고등학교를 돌며 엘리트 티칭 교실을 활발하게 열고 있다. 신축이긴 하나 수용인원이 적은 상록수체육관에서 다른 체육관으로 이전을 할 수도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데, 만약 그렇게 된다면 역세권 구장이라는 이점을 포기하게 될지도 모른다.

8. 정치

20대 대선 안산시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격차 투표율
후보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5,083
(54.71%)
171,259
(41.63%)
9,666
(2.34%)
+ 53,824
(△13.08)
415,202
(73.60%)
상록구 55.17% 41.16% 2.31% △14.00 73.25
단원구 54.18% 42.16% 2.38% △12.03 74.02
후보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격차 투표율
상록구 갑[A][E] 54.96% 41.47% 2.32% △13.49 71.85
상록구 을[B][F] 55.67% 40.77% 2.26% △14.9 76.60
단원구 갑[C][G] 56.18% 40.11% 2.27% △16.07 69.21
단원구 을[D][H] 52.29% 44.24% 2.46% △8.05 74.72
안산시 이재명 득표율
상위 5개 읍·면·동 하위 5개 읍·면·동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1위 상록구 일동 59.72% 1위 단원구 대부동 37.21%
2위 상록구 본오1동 59.38% 2위 상록구 해양동 50.08%
3위 단원구 와동 59.35% 3위 상록구 반월동 50.49%
4위 상록구 부곡동 57.69% 4위 상록구 성포동 51.09%
5위 단원구 선부2동 57.34% 5위 단원구 중앙동 51.56%
안산시 윤석열 득표율
상위 5개 읍·면·동 하위 5개 읍·면·동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순위 시·군·구 읍·면·동 득표율
1위 단원구 대부동 60.30% 1위 단원구 와동 36.44%
2위 상록구 해양동 46.77% 2위 상록구 일동 36.82%
3위 상록구 반월동 45.84% 3위 상록구 본오1동 37.02%
4위 상록구 성포동 45.63% 4위 상록구 부곡동 38.69%
5위 단원구 중앙동 44.84% 5위 단원구 선부2동 38.91%
21대 총선 안산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미래통합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86,779
(55.96%)
138,697
(41.55%)
+ 48,082
(△14.41)
338,170
(60.75%)
상록구 58.22% 39.21% △19.01 60.22
단원구 53.44% 44.18% △9.26 61.34
후보 전해철 박주원 (1위/2위) (선거인/표수)
상록구 갑[A][43] 59,021
(58.55%)
38,367
(38.06%)
+ 20,654
(△20.49)
101,953
(60.93%)
후보 김철민 홍장표 (1위/2위) (선거인/표수)
상록구 을[B][45] 43,599
(57.77%)
30,747
(40.74%)
+ 12,852
(△17.03)
76,660
(59.32%)
후보 고영인 김명연 (1위/2위) (선거인/표수)
단원구 갑[C][47] 42,009
(55.74%)
31,086
(41.25%)
+ 10,923
(△14.49)
76,381
(57.46%)
후보 김남국 박순자 (1위/2위) (선거인/표수)
단원구 을[D][49] 42,150
(51.32%)
38,497
(46.87%)
+ 3,653
(△4.45)
83,176
(65.39%)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94,335
(29.19%)
122,075
(37.77%)
30,873
(9.55%)
21,464
(6.64%)
17,009
(5.26%)
- 27,740
(▼8.58)
338,186
(60.73%)
상록구 48,626
(28.48%)
65,326
(38.27%)
16,225
(9.50%)
11,035
(6.46%)
9,249
(5.41%)
- 16,700
(▼9.78)
178,643
(60.21%)
동안구 45,709
(29.97%)
56,749
(37.22%)
14,648
(9.60%)
10,429
(6.84%)
7,760
(5.08%)
- 11,040
(▼7.24)
159,543
(61.32%)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투표율
상록구 갑[A][51] 28.86% 38.08% 9.37% 6.65% 5.28% ▼9.22 59.01
상록구 을[B][53] 29.29% 38.21% 9.52% 6.11% 5.21% ▼8.92 57.05
단원구 갑[C][55] 30.01% 38.43% 8.67% 6.01% 4.61% ▼8.42 55.42
단원구 을[D][57] 30.78% 36.06% 10.30% 7.60% 5.23% ▼5.28 63.15
8회 지선 안산시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안산시장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무소속
후보 김동연 김은혜 후보 제종길 이민근 윤화섭
득표수
(득표율)
133,984
(51.97%)
118,175
(45.84%)
득표수
(득표율)
119,595
(46.45%)
119,776
(46.52%)
16,919
(6.57%)
상록구 52.38% 45.45% 상록구 47.13% 46.08% 6.33%
단원구 51.50% 46.28% 단원구 45.67% 47.02% 6.83%
후보 김동연 김은혜 후보 제종길 이민근 윤화섭
상록구 갑[A][E] 52.02% 45.89% 상록구 갑 46.62% 46.31% 6.65%
상록구 을[B][F] 52.17% 45.79% 상록구 을 46.93% 46.71% 5.91%
단원구 갑[C][G] 51.85% 45.83% 단원구 갑 46.09% 46.39% 6.96%
단원구 을[D][H] 50.71% 47.37% 단원구 을 44.65% 48.09% 6.86%
광역의원 비례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의당
의석 7석 1석 비례표 125,079
(48.82%)
120,382
(46.99%)
7,958
(3.10%)
상록구 4 0 상록구 49.37% 46.49% 3.00%
단원구 3 1 단원구 48.19% 47.55% 3.21%
기초의원 비례대표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의석 11석 9석 득표 131,699
(51.74%)
122,816
(48.25%)
상록구 5 4 상록구 52.34% 47.65%
단원구 5 4 단원구 51.05% 48.94
지역구 합 10석 8석 비례표 합 1석
(51.74%)
1석
(48.25%)
경기도 안산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 선거구명 지역
국회의원 안산시 상록구 갑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반월동
안산시 상록구 을 상록구 일동, 이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안산동
안산시 단원구 갑 단원구 와동, 원곡동, 신길동, 백운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
안산시 단원구 을 단원구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
도의원 안산시1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3동
안산시2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안산시3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안산시4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안산시5 단원구 와동, 선부3동
안산시6 단원구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선부1동, 선부2동
안산시7 단원구 고잔동, 초지동
안산시8 단원구 중앙동, 호수동, 대부동

국회의원 선거구는 총 4곳인데, 안산 인구가 시흥, 화성 등으로 빠져나가면서 65만 명까지 감소하여 선거구 논란에서 항상 빠지지 않는 곳이다. 인구로는 3석이 적당하기 때문이다. 특히 인구에 비해 선거구가 적은 수원시, 고양시, 용인시 등과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미 2012년 19대 총선에서부터 이러한 문제가 제기되어 왔으나, 2020년 21대 총선까지 전혀 개선되지 않아 막무가내로 유지하면서 안산보다 인구가 40만 명이나 많은 고양시, 용인시와 선거구가 같고, 안산 인구를 아득히 추월한 화성시[66]보다 선거구가 많아 비판의 대상에 오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가장 큰 특징은 저조한 투표율이다. 2010년 제4회 지방선거 당시 옆동네 안양보다 인구가 15만 명이나 더 많지만 안산의 투표율은 46.2%에 그쳐 투표수는 오히려 안양이 더 많은 상황이 벌어졌다.[67] 그 중에서도 단원갑의 투표율은 단일선거구로 전국에서도 최하위권이다. 2008년 18대 총선의 경우 단원갑의 투표율이 35%대였다. 옆동네 시흥시 을도 만만치 않은데, 둘 모두 공단 지역이라 투표할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표율이 전국에서 가장 낮을 뿐더러 과천시, 세종시 투표율과 비교하면 굉장한 차이를 보인다.

총선에서는 대체로 민주당계 후보가 우세를 보였다. 과거에 안산에서 출마한 거물 의원은 김영환, 천정배가 있다. 둘 모두 안산에서 활동할 당시 민주당계 당적으로 다선을 지냈는데, 김영환 전 의원은 1996년 15대 총선, 2000년 16대 총선 2009년 재보궐선거, 2012년 19대 총선에서 안산에서 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천정배 전 의원도 1996년 15대 총선부터 2008년 18대 총선까지 단원 을에서 내리 4선을 지낸 후 지역구를 옮겼다. 자세한 내용은 각각 항목에서 확인하기 바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과거 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새정치민주연합의 제종길이 시장으로 당선되었다. 야권 단일화에 실패하여 야권 후보가 제종길, 김철민, 박주원 셋으로 분열되었으나, 선거 당일 박주원 전 시장이 사퇴하면서 간발의 격차로 제종길 전 의원이 당선되었다.[68]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 2석(단원갑 김명연, 단원을 박순자), 더불어민주당 2석(상록갑 전해철, 상록을 김철민)으로 더민주가 수도권에서 압승한 분위기와는 전혀 동떨어진 결과가 나왔다. 상록 갑은 국민의당 후보가 한나라당 출신으로 안산시장을 지낸 박주원 후보였으므로 현역인 더민주 전해철 의원이 여유롭게 이겼다. 문제는 상록 을과 단원 을이었는데, 각각 김영환과 부좌현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하고 국민의당에 입당했다. 그들의 인지도가 민주당 후보보다 높았던 데다 호남 출신 유권자가 많았던 특성상 국민의당으로 표 분산이 많이 일어나, 상록 을은 1:1:1의 득표율로 민주당 김철민 후보가 399표 차이로 당선되었고, 단원 을은 새누리당 박순자 후보가 38.1%로 당선되었다. 단원 갑은 국민의당에서 천정배계인 김기완 후보가 출마하였고 새누리당 김명연 후보가 3% 차이로 승리하였다.

그러나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 정부가 세월호 참사 이후 7시간 반 동안의 진실을 은폐한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자유한국당에 대한 민심이 급격히 이반되면서 2017년 치뤄진 19대 대선에서는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7.86%를 기록하여 시 기준으로 쳤을 때 경기도에서 최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뿐만 아니라 2018년 제7회 지방선거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현직 남경필 후보를 25% 차로 크게 눌렀고, 더불어민주당 윤화섭 후보가 자유한국당 이민근 후보를 더블스코어 차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2년 뒤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으로 열린 2020년 21대 총선에서는 제3지대로 많은 표를 잠식했던 국민의당이 사라지고 진보: 보수 양대 결집이 이루어짐으로서,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2004년 17대 총선 이후 16년 만에 네 지역구를 모두 싹쓸이하였다. 특히 단원고등학교가 있는 단원 을 박순자 의원은 신안산선을 따오는 등 지역구에서 평판이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전략공천된 신인 김남국 후보에 석패했다. 비례에서도 미래한국당이 상록구, 단원구 모두 30%를 넘지 못했는데, 2016년 총선에서의 단원구 새누리당 독식은 더불어민주당 공천 파동으로 인한 나비효과로 국민의당 표 분산이 주요 원인이었음이 드러났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야권 단일화 실패의 영향으로 국민의힘 이민근 후보가 단 181표차(득표율 0.07%p차)로 시장에 당선되었다. 2006년 박주원 시장 당선 이후 16년 만에 보수정당에서 시장을 배출하게 되었다. 현직 시장이었던 윤화섭 후보가 소속 정당이던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컷오프되고 대신 바로 앞전 시장이었던 제종길 후보가 공천을 받게 되면서 윤화섭 후보가 무소속 출마를 감행했다. 단일화 논의가 있었으나 끝내 결렬되었으며, 결국 선거에서 윤화섭 후보가 6.57%나 획득함으로써 이민근 후보가 매우 근소한 차이로 신승하게 되었다. 제종길 후보의 이의제기에 따라 2022년 7월 14일 재검표가 진행되었으나, 재검표에서도 이민근 시장이 179표를 더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 안산시 국회의원
안산시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장경우 (재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장경우 (3선)[69]
안산시 갑 안산시 을
15대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환 (초선)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천정배 (초선)
16대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환 (재선)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천정배 (재선)
상록구 갑 상록구 을 단원구 갑 단원구 을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장경수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임종인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천정배 (3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제종길 (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화수 (초선)
홍장표 (초선)[70] 천정배 (4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순자 (재선)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영환 (3선)[71]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전해철 (초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김영환 (4선)
김명연 (초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부좌현 (초선)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해철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민 (초선)
김명연 (재선) 박순자 (3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전해철 (3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민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고영인 (초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남국 (초선)
경기도 안산시장
1기(95~98)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송진섭 (초선)
2기(98~02)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박성규 (초선)
3기(02~06)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진섭 (재선)
4기(06~10)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주원 (초선)
5기(10~14)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철민 (초선)
6기(14~18)

[[새정치민주연합|
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제종길 (초선)
7기(18~22)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화섭 (초선)
8기(22~26)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민근 (초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9. 하위 행정구역

2개의 일반구를 두고 있다. 일반구 이름들이 굉장히 특이하다. 보통은 지역 내 지명이나 지역 명소의 이름으로 일반구의 이름을 짓는데, 안산시는 다음과 같이 독특한 작명센스로 이름을 지었다.
  • 상록구: 일제강점기의 소설가 심훈이 쓴 계몽소설상록수》에서 상록(常綠)을 따서 지었다. 작명 이유는 소설 상록수의 무대가 상록구 일대이기 때문. 《상록수》의 실제 모델인 최용신도 현재의 안산시 일대에서 농촌 계몽 운동을 했다. 상록수역[72]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상록수공원이 있으며, 그 안에 최용신기념관이 있다.
  • 단원구: 조선시대 후기의 유명한 화가 김홍도의 아호인 단원(檀園)을 따서 지었다. 작명 이유는 김홍도의 출생지이기 때문. 김홍도의 출생지는 명확하지 않아서 서울특별시 마포구도 거론이 되고 있다. 다만 연구가 좀 더 진행된 현재는 안산 출생설이 유력해졌다. 굳이 출생지가 아니더라도 활동 근거지가 현재의 안산 지역이었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김홍도 문서 참조. 원래 단원구를 별망성의 이름을 따서 별망구로 지으려고 했으나, 할망구가 연상된다는 이유로 구 이름이 바뀌었다.

2014년 이후로는 구를 추가로 분구하는 방안이 추진 중이다. 가칭은 이익 선생의 호를 딴 '성호구'.# 하지만 2016년 현재 정부에서 구 신설은 최대한 억제하고 책임읍면동제로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힘들 전망이다. 실제로 구 신설에 대한 것은 인구가 감소세로 돌아서며 흐지부지되었다. 그러나 2016년 5월 정부가 돌연 책임읍면동제 신설 중단을 선언하며 어떻게 될지는 모르게 되었다. 다만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기 때문에 어떻게 될지는 모를 일.

2017년 7월 1일부로 동 명칭 및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행정동 기준으로 사1동은 사동으로 사2동→사이동, 사3동→해양동, 고잔1동→고잔동, 고잔2동→중앙동으로 바뀌었으며, 원곡본동은 원곡동과 신길동으로 분리 운영되고, 원곡1동과 원곡2동은 통합돼 백운동으로 바뀌었다.

10. 사건사고 / 논란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10.1.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

굵직한 사건사고가 많이 발생했던 도시이지만 안산이라는 도시 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고는 역시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이다.

해당 사고의 피해 학교인 단원고등학교가 안산시 단원구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고로 인해 단원고등학교의 수많은 2학년 학생들과 담당 교사들이 사망했으며, 안산시의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침울해졌다. 평일에도 어느 정도 북적이던 중앙동 일대가 눈에 띄게 한적해졌을 정도. 또한 고려대학교 안산병원 뒤쪽의 고잔1동, 와동 등지는 사망한 학생들이 많이 살던 곳이기 때문에 특히 더 심각하다.

결국 2014년 4월 청해진해운 세월호 침몰 사고전라남도 진도군과 함께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었다. 고잔동에 세월호 사건에 의한 정신적 고통을 지닌 분들을 위한 센터가 생겼다. 이름은 온마음센터다.

10.2. 강력범죄

왠지 잊을 만하면 한번씩 강력범죄(특히 토막살인 사건)로 뉴스에 대서특필되는 사건이 터지는 곳이라 치안이 불안하다는 인식이 있다. 그래서 안산시의 별명도 GTA 패러디로 안산드레아스.[73]

안산시에서 보도된 강력범죄는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는 임팩트가 특히 컸던 사건.
  • 안산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
  • 안산역 토막시체 유기사건
  • 강호순 사건
  • 조두순 사건
  • 편의점 여종업원 둔기폭행 사건 - 2011년 9월 4일, 안산시 단원구 원곡본동의 모 편의점에 조선족 강도가 침입해 21세 여성 종업원을 망치로 폭행한 뒤 돈을 갈취해 도주한 사건. 이 사건으로 인해 피해 종업원은 광대뼈가 심하게 골절되고, 왼쪽 안구가 파열되어 실명 위기에 처했다. #
  • 초등학생 납치사건 - 2010년 7월 30일, 30대 남성이 카드빚을 청산하기 위해 10세 초등학생을 납치하여 해당 초등학생의 부모에게 수차례 전화를 걸어 5천만 원을 요구하는 등의 인질극을 벌이다 경찰의 역추적으로 체포된 사건이다. #
  • 곽한구 차량절도사건 - 이로 인해 곽한구의 별명이 Grand Theft Auto IV의 주인공 니코 벨릭의 별명을 본 따 곽니코가 된 덕에 안산드레아스 드립은 이 때부터 흥하기 시작했다.
  • 안산 리어카 토막 살인 사건
  • 안산 남성 변사 사건 - 2014년 시화호 살인 사건으로 미제사건이다.
  • 안산 인질극 사건
  • 시화호 토막 살인 사건 - 안산시의 사건은 아니지만 안산 생활권인 시화호에서 벌어진 사건이며 피해자가 안산에 거주하는 조선족 여성이므로 외부인 입장에선 안산과 다르지 않다. 시흥시 자체가 생활권이 여러 곳으로 나뉘어 있는데 정왕동 내지 오이도 정도면 안산 생활권이며 안산 거주자가 핵심 연관 인물이므로 이 목록에 등재한다.
  • 조성호 살인사건[74]

때문에 한때 이지역 중고딩 사이에선 강력범죄를 연례행사 취급했었다는 소리도 있다. 특히 강호순 사건의 경우는 현장검증이 유독 학교 부근이 많았기때문에 혹자들은 '없는 게 없는 도시'라고 말하기도 한다고.[75]

굳이 예를 들자면 2012년에는 공단 베트남 근로자 12명이 작업속도로 다투던 몽골인들에게 앙갚음을 하기 위해 기숙사에서 자고있던 몽골인 5명을 상대로 쇠파이프흉기를 휘둘러 복부자상 등의 상해를 입힌 사건도 발생했다. 2013년 6월 5일에는 중앙동에서 살인미수사건이 일어났다. 술을 마시던 도중 난입, 3명을 공업용 커터칼로 목을 베고 도망갔다. 이후 SNS를 타고 정보와 피해자 사진이 안산 시민들 사이에서 빠르게 번지기도 했다. 범죄 동기는 사업에서 제외된 것이라는 듯. 다행히 피해자 3명 모두 생명에 지장은 없다고 한다. # 2015년 1월 13일엔 아내의 외도를 의심한 남편에 의해 안산 인질극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11. 여담

심훈의 상록수(소설)의 배경이 되는 청석골(본오동)도 이 곳에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의 역 중 이 동네에 있는 역 이름이 상록수역이기도 하다.

신길동에 있는 신길온천역은 역 이름과는 달리 주변에 온천이 없는 역으로도 유명했다. '능길역'으로 역명변경을 검토중이기도 했지만 고인이 된 온천 개발자의 유족이 안산시를 상대로 가처분신청을 제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EZ2DJ가 태어난 곳이라고 한다.[76] 어뮤즈월드 공장이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163번길 122(원시동 816-2번지)에 있어서였다. 물론 지금은 공장이 가동되지 않는다.

주요 상권에 금영노래방이 거의 없고, 대부분이 TJ미디어다. 참고로 금영노래방 기기가 있는 곳으론 중앙동 악쓰는 하마, 한양대 에리카 근처 채플린 노래방, 본오2동 궁전 노래방 등이 있다고 한다. 물론 시간 지나면 언제든 바뀔 수 있다.

루리웹에서 어느 유저가 "게임을 사지 않은" 사람을 욕하며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 "안산놈들이 문제라니까" 라는 표현을 하게 되었는데 이를 경기도 안산으로 받아들인 사람의 반응으로 인해 유머글로 유명해져 루리웹에서는 자주 쓰이는 드립이 되었다. 보통 이 드립이 나올 경우 다른 지역 이름으로 개드립을 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부산[77]이 많이 나온다.

고잔동 고잔역 근처에 큰 건물이 하나 있는데 지어진지 오래됐지만 외형만 지어졌을 뿐 내부 인테리어는 시공되고 있지 않다. 사정인즉슨 오션식스리조트라는 주식회사에서 해당 건물을 짓고 워터파크를 만드려고 했는데 시공 도중 회사가 부도했다.[78] 이 워터파크에 투자한 업체 중에는 대한민국재향군인회도 있었는데 600억 가량을 투자했다가 회사가 망하자 건물이라도 차지하려고 했지만 인테리어 업체가 공사대금 대신 담보로 건물에 외부인을 두고 유치권을 행사 중이었다. 재향군인회에서는 용역업체 직원들을 고용하여 이 외부인을 쫓아내고 건물을 강제로 차지했다가 인테리어 업체에서 내건 소송에 패소해 다시 건물을 뺏겼다. 그 이후에도 건물이나 부지가 매각이 되지 않는지 건물이 철거되지 않고 지역의 흉물이 되었으나, 2021년 8월 현재는 어떻게 사업자를 찾았는지, 테마파크, 볼링장과 이디야까지 입점한 상가가 되었다. 허나 여전히 그 앞은 한산하다.

사법행정은 수원지방법원 안산지원 소관이며 안산 외에도 시흥과 광명을 관할로 하고 있다. 최근 지역에서 안산지원을 지방법원으로 승격시키자는 이야기가 나오나, 광명시가 관할 법원을 바꿔달라는 요구가 있어서 이 문제로 타격이 있는 모양이다.

김연경 선수는 오른쪽 종아리에 안산시 초지동의 좌표(경도와 위도)를 새겼다.

안산시와 양궁 3관왕 안산 선수와 한문명이 동일하다.[79]

지금 우리 학교는에서 나오는 가상의 도시인 효산시의 위성사진이 나오는데, 여기서 효산시가 실제 안산시의 위치에 존재한다는 것이 나온다. 옆동네 양동시는 군포 쪽으로 나온다.

12.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안산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세종실록지리지에서의 설명

1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위 도시명 광역자치단체 인구 (2022)
<colcolor=#fff><colbgcolor=#0047a0> 1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서울특별시 9,436,836명
2 파일:부산광역시 휘장.svg 부산광역시 3,320,276 명
3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 2,962,388명
4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2,366,852명
5 파일:대전광역시 휘장.svg 대전광역시 1,446,863명
6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광역시 1,432,651명
7 파일:수원시 CI.svg 수원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1,189,654명
8 파일:울산광역시 휘장.svg 울산광역시 1,111,707명
9 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1,077,111명
10 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1,074,705명
11 파일:창원시 CI.svg 창원시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1,023,269명
12 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920,667명
13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904,267명
14 파일:청주시 CI.svg 청주시 파일:충청북도 휘장.svg 충청북도 849,207명
15 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792,561명
16 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737,352명
17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657,210명
18 파일:전주시 CI.svg 전주시 파일:전라북도 휘장.svg 전라북도 652,695명
19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645,952명
20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 576,192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50만 이상 특례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bgcolor=#0c489d>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
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1][2]
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1][2]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width=25%>
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1][2]
||<width=25%> 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1] ||<width=25%> 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2][3]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0%><bgcolor=#00a664>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width=20%><bgcolor=#8c8c70,#8f8f72>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width=20%><bgcolor=#76b624><color=#373a3c>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라북도
||<width=20%><bgcolor=#004ea2>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width=20%><bgcolor=#f35a3a>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
파일:김해시 CI.svg
김해시[1][2]
[1]: 현재 일반구 미설치 지역.
[2]: 도농복합시
[3]: 2023년 1월 예정
}}}}}}}}} ||



[1] 대부도를 제외한 본토는 104.58㎢[2]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3] 대부도를 제외한 본토는 6,130.81명/㎢[4] 안산시 가선거구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3동): 최찬규, 한명훈
안산시 나선거구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김진숙
안산시 다선거구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박태순
안산시 라선거구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유재수
안산시 마선거구 (단원구 와동, 선부3동): 박은경
안산시 바선거구 (단원구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선부1동, 선부2동): 박은정, 송바우나
안산시 사선거구 (단원구 고잔동, 초지동): 최진호
안산시 아선거구 (단원구 중앙동, 호수동, 대부동): 선현우
비례대표: 황은화
[5] 안산시 가선거구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3동): 한갑수
안산시 나선거구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이지화
안산시 다선거구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현옥순
안산시 라선거구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설호영
안산시 마선거구 (단원구 와동, 선부3동): 김재국
안산시 바선거구 (단원구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선부1동, 선부2동): 이진분
안산시 사선거구 (단원구 고잔동, 초지동): 이혜경
안산시 아선거구 (단원구 중앙동, 호수동, 대부동): 이대구
비례대표: 김유숙
[6] 안산시 제1선거구 (상록구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3동): 김동규 (초선)
안산시 제2선거구 (상록구 본오1동, 본오2동, 반월동): 김태희 (초선)
안산시 제3선거구 (상록구 일동, 이동, 성포동): 장윤정 (초선)
안산시 제4선거구 (상록구 부곡동, 월피동, 안산동): 정승현 (재선)
안산시 제5선거구 (단원구 와동, 선부3동): 강태형 (재선)
안산시 제6선거구 (단원구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선부1동, 선부2동): 이기환 (초선)
안산시 제7선거구 (단원구 고잔동, 초지동): 김철진 (초선)
[7] 안산시 제8선거구 (단원구 중앙동, 호수동, 대부동): 서정현 (초선)[8] 대부동 등 일부 지역에서는 인천광역시의 지역 번호 032를 사용하는 곳도 있다.[9] 붓을 타고 있는 선비가 홍이, 홍이 어깨에 앉아있는 검은색 먹이 먹이이다. 단원 김홍도를 모티브로 만들어졌으며, 원래는 테크미였으나 안산시 공식 sns에 안산시의 마스코트 홍이라고 소개되는 것을 보면 바뀐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안산시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아직 테크미로 소개된다.[10] 이 건물은 1979년 경기도 반월지구출장소 건물로 지어졌다.[11] 공업단지 이미지 개선을 위해서 안산시와 시흥시는 각각 반월, 시화산단이라는 법정 명칭은 그대로 두고 '스마트허브'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12] 의왕시와 안산시를 잇는 도로가 없어 의왕시로 가려면 군포시나 수원시를 경유해야 한다.[13] 이 안산, 안양, 군포 사이에 걸쳐 있다. 물론 이를 잇는 도로는 없어서 군포시나 시흥시를 경유해야 한다.[14] 대부도 한정. 물론 연수구와는 시화호로 시가지와는 완전히 단절되어 있어 남남이나 마찬가지이다.[15] 당진시, 서산시, 옹진군은 해수면 상으로 접한다.[16] 이렇게 안산시에서 공원 조성을 많이 하는 배경에는 공업도시의 이미지를 희석시키고자 하는 데 있다. 비슷한 예로 울산광역시가 있다.[17] 대부섬포도로 만든 포도주도 유명하다.[18] 물론 평일 기준이고 주말이나, 평일이라도 오후 늦은 시간이면 배차간격이 엄청나게 늘어난다.[19] 그런데 안산 육지에서 여기 가려면 경기도 시흥시를 거쳐서 가야 하는 웃지 못할 상황이다.[20] 1914년 이전 구 인천군 지역.[21] 후술하듯이 1914년 이전 구 안산군 지역.[22]구로디지털단지 가산디지털단지[23] 선부 1, 2, 3동 중 선부3동에 치중되어있다.[24] 수정한양 아파트, 공작한양 아파트[25] 큰 길을 사이에 두고 안산역쪽에 일반버스 정류장 2곳과 광역버스 정류장 1곳 그리고 택시승강장이 있으며, 길건너 맞은편에도 똑같이 존재한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7] 여기서 외국은행은 대한민국 영토 내에 지점 또는 사무소 형태로 진입한 경우로만 한정되며, SC제일은행과 한국씨티은행의 경우에는, 한국내의 법인형태로 운영중이며 시중은행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곳에 넣지 않는다.[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29] 대진고등학교 단 한 곳 만이 전체 학년이 분반이다.[30]물결표(~ 표시)까지가 풀네임이며, 물결표는 이름의 핵심 포인트다. 박주원 전 안산시장이 직접 지었는데 이거에 대한 일화는 개장 전에 경기장 이름 공모전을 하였는데 결국 당선된 것이 안산종합운동장이었다. 그런데 이것이 원래 맨 처음부터 붙여질 이름이었고, 그걸 알게 된 박주원 전 시장이 그 명칭을 쓸꺼면 뭐하러 공모전을 했느냐라고 무위로 돌렸고, 어느 행사에 참관하다가 참가자들의 '와~'라는 함성을 듣고 떠오르게 되어, 결국 와~ 스타디움이라 명명된 것이다.[31] 해당 사항은 1990년 기준.[32] 당시 관장하게 된 안양시청 차량등록계가 차량등록소 역할을 실질적으로 하고 있으나 관할 구역은 안양시, 군포시, 의왕시, 과천시, 안산시, 시흥시 등 경기 남서부권의 6개의 시에 관할받아 불편이 컸다. 당시 차량번호는 경기X더YYYY이다. 이 외에도 도, 두, 드, 오 등의 기호를 썼다.[33] 시흥시에서 센트럴병원을 운영한다.[A] 사동, 사이동, 해양동, 본오1동, 본오2동, 본오3동, 반월동[E] 지역구 국회의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3선)[B] 일동, 이동, 부곡동, 월피동, 성포동, 안산동[F] 지역구 국회의원: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재선)[C] 와동, 원곡동, 백운동, 신길동, 선부1동, 선부2동, 선부3동[G] 지역구 국회의원: 고영인 (더불어민주당, 초선)[D] 고잔동, 중앙동, 호수동, 초지동, 대부동[H] 지역구 국회의원: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초선)[A] [43] 지역구 국회의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재선)[B] [45] 지역구 국회의원: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초선)[C] [47] 지역구 국회의원: 김명연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재선)[D] [49] 지역구 국회의원: 박순자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무소속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3선)[A] [51] 지역구 국회의원: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재선)[B] [53] 지역구 국회의원: 김철민 (더불어민주당, 초선)[C] [55] 지역구 국회의원: 김명연 (새누리당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재선)[D] [57] 지역구 국회의원: 박순자 (새누리당 → 바른정당 → 무소속 → 자유한국당 → 미래통합당, 재선)[A] [E] [B] [F] [C] [G] [D] [H] [66] 2020년 기준 80만 명 돌파[67] 당시 안양의 투표율은 약 55.9%. 평균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이다.[68] 새누리당 조빈주 후보와 경합승을 거두었다. 다만 안산시 도의원 8석은 새정치민주연합이 싹쓸이했다. 이들은 새정치민주연합 분당 당시에도 모두 더불어민주당에 잔류했다.[69] 95.06.10. 의원직 사퇴 (경기도지사 출마).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70] 09.07.23. 의원직 상실 (선거법 위반)[71] 09.10.28. 재보궐선거[72] 분구되기 한참 전인 1980년대부터 지어진 역명이다.[73] 동일한 드립이 신안군에도 존재한다.[74] 다만 이 경우는 시체만 안산시 대부도에 유기되었고, 사건 자체는 인천에서 벌어졌다.[75] 대개 이런 거다. "가게요? 있지요. 경찰요? 있지요. 없는 게 없어요. 다른 데선 찾기 힘든 강력계 사건도 있다니까요."라는 비아냥. 덧붙여서 안산 주민에 의한 농담 섞인 푸념 발언이다.[76] 안산팩토리 채널 이미지에 나와있다.[77] 왜 이리 부산스러워 등[78] 추진한 업체 관계자가 배임 혐의로 2년 6개월간 복역했다고 한다.[79] 도쿄 올림픽 후 안산시청 소속 출전 선수들 플랜카드를 걸 때 포함되었으며, 안산역장과 안산시장 등이 별도로 축하메세지를 보내고 선물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정작 선수 본인은 안산에 와본 적이 없다고 한다.

분류